공중도시

flying_city_by_artandjoy-d73xfiz.png

空中都市 / Flying City

1 개요

말 그대로 하늘을 나는 도시. 하늘을 나는 도시는 아니지만 마추픽추가 높은 곳에 위치해있는 것 때문에 공중도시로 소개가 되고는 한다.

잠시 흥을 깨자면 바빌론의 공중정원이나 영종하늘도시(...)는 이게 아니다.

2 개념

과거 SF에는 금성의 대기를 날아다니는 비행 콜로니 같은 것이 등장하긴 하지만, 현재 공중도시라고 하면 거의 대부분 지구 내에서 날아다니는 도시를 의미한다. 하늘을 나는 것은 인류의 꿈이라고 하던가(...).

거의 대부분 을 뒤집어놓은 듯한 바위나 흙덩어리 위에 건물이 올라앉은 모양새를 하고 있으며, 가끔 가장자리에 폭포가 있기도 하다. 가끔 바리에이션으로 소라껍데기 위에 올라앉은 것이라든가, 우주를 나는 고래 위에 올라앉은 것도 있다.

또한 아무나 공중도시로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어시설이 존재한다. 방어막이라든지 로봇군단이라든지 대공포, 전투기 부대 등등. 심지어는 도시 자체가 요새인 경우도 있다. 이른바 공중요새란 것으로 이동요새의 하위개념 중 하나다.

공중도시가 비행하는 높이가 위성궤도까지 올라가면 스페이스 콜로니가 된다.

애초에 단단한 지반이 없는 목성과 같은 가스형 행성에서 도시를 건설하려면 당연히 공중도시의 형태를 띨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도시를 나름 구체적이고 과학적으로 그리고 있는 소설로 대수학자라는 작품이 있다.

3 원리

당신이 원하는 대로.

마음에 드는 이름 적당히 붙여서 비행하게 만들자(...). 걸리버 여행기라퓨타는 자기력으로 비행했고, 네서릴의 공중도시들이나 달라란은 마법으로 비행했고, 천공의 성 라퓨타라퓨타는 비행석이라는 이상한 돌로 비행했고, 하늘누리는 하늘을 나는 거대한 동물인 하늘치 위에 올라탔고, 노바스 아이텔의 경우 기도의 힘(...)으로[1], 바이오쇼크 인피니트컬럼비아는 루테스 입자라는 신물질로, 리벨=아크 같은 도시는 아예 그런 설명도 없이 그냥 비행한다. 신경 쓰지 말자. 반중력 같은 것도 쓰이는 것 같다.

스페이스 콜로니우주 정거장의 확대버전이니 굳이 따로 설정할 필요도 없고....

3.1 부양 방법

현재 기술적으로 유효한 방법은 비행기비행선의 원리를 응용하는 것뿐이다.

  • 기구 타입: 수소헬륨. 혹은 뜨거운 공기, 바로 열기구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 부유기체는 어마어마한 양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부유 기체로 하늘을 나는 도시는 만들기 어렵다.
    • 수소: 수소는 값이 싸며, 부유력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은 불씨 하나만으로 도시 전체를 파괴할 수 있으므로 엄청나게 위험하다.
    • 헬륨: 헬륨의 부력은 1세제곱미터 당 1킬로그램 정도이다. 헬륨은 수소보다 안정적이지만 부유력은 조금 낮다.(수소의 92% 정도) 지구상에 적은 물질이므로 값이 비싸고 산출지는 미국에 한정되어 있으며 곧 고갈된다는 문제가 있다.
    • 뜨거운 공기: 공기의 부력은 외부를 30도, 내부를 100도로 놓았을 경우 1세제곱미터 당 245그램 이다. 여담으로 검은 표면을 가진 '태양열 풍선'은 적외선을 흡수하여 공중을 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상당히 불안정하다.
  • 헬리콥터 타입: 거대한 프로펠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엔진을 이용하여 도시를 띄운다. 동력원의 문제와 공중에서 기계 정비가 아주 어렵다는 것, 그리고 주민들이 소음 공해에 시달리게 된다는 점 때문에 별로 매력적이지 않다. 덕티드 팬으로 하면 소음은 다소 줄일 수 있지만 다른 건 여전.
  • 동력: 하늘에 떠 있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동력이 별로 없다.
    • 태양 에너지: 태양전지판을 거북선 마냥 더덕더덕 붙인 것으로 성층권 비행선 등에서 기획되고 있다. 도시는 아니고 무인에 가깝다.
    • 풍력: 제트기류를 이용한 성층권 발전 역시 아이디어와 실험 단계에서 존재하고 있다.
    • 원자력: 원자로를 실어두면 방사능 폐기물은 알아서 잘 처리한다는 전제 하에 안정적인 동력원을 확보할 수 있다. 만일 원자력 사고라도 난다면 그 순간 사람 사는 건 엄두도 못 내게 될 터. 이 쯤 되면 성층권 핵투발 플랫폼 안 되겠소 떨굽시다!

4 문제점

애초에 공중도시라는 개념 자체가 로망스토리에 필요해서 등장하는 거지, 실제로 효용성이 있어서 등장하는 건 아니다. 물론 나중에 지구가 포화상태가 된다면 미래의 아파트 비스무리하게 각광받을지도 모르지만 사실 그런 상황이 되더라도 지하도시, 해저도시, 스페이스 콜로니가 훨씬 현실성 있고 비용 대비 효율도 좋아서 공중도시는 절대 안 나온다고 봐도 좋다(...).

가끔 가다 공중도시를 때려부숴서 떨궈버리려는 反공중도시파들도 있다. 이들 중 일부는 기어코 성공하기도 한다(...).

  • 안전성: 공중도시는 말 그대로 공중에 떠있기 때문에 도시 바깥은 황천길이나 마찬가지다. 잘못해서 사람이 떨어지면 그대로 사망 확정이다. 만약 공중도시 전체가 추락하면 일단 추락지점과 그 주변의 넓은 반경이 무사하지 못하다. 도시 정도 되면 직경 5km짜리 운석도 아득히 넘어가니 그 파괴력은 비교가 안 될 것이다. 게다가 그 위에 있는 사람들도 멀쩡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만약 무척 커다란 공중도시가 추락한다면 마치 공룡처럼 진짜로 인류가 멸망할 수도 있다!!![2]
  • 기후 문제: 공중도시가 떠 있는 대류권은 날씨가 변화무쌍하며 특히나 태풍 같은 격렬한 기상현상이 일어나면 도시의 존속이 위태위태해진다. 도시 전체에 돔을 씌우고 공기를 집어넣으면 이런 문제가 해결될지는 모르지만, 돔 자체가 하늘 위에서 멀쩡히 버틸 수 있다고 보기 힘들다. 도시 전체에 씌우려면 면적이 무척 넓어야 하기 때문에 받는 피해도 커지고, 돔에 조그만 구멍 하나라도 생긴다면 금방 공중도시는 막장 테크를 타게 된다.
    • 기압: 공중도시의 고도가 성층권까지 올라간다면 기상현상에 의한 문제는 거의 없어진다. 그런데 고도가 높아질 수록 기압과 산소 분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 정도의 높이가 될 경우 이제는 기압과 산소 농도가 문제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산소호흡기 같은 장치의 도움을 받지 않고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생리적 한계고도는 해발 5200미터 정도이고, 신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잠시나마 머무를 수 있는 고도도 7000미터 정도가 한계다.[3] 이런 상황에서 에베레스트보다 한참 더 높은 곳에서 사람이 멀쩡하게 살 수 있을 리가 없다. 일단 공중도시가 실현될 정도라면 그 공기부족을 무마시킬 뭔가 유지보수가 적게 필요한 초월적인 수단 정도는 하나둘 있을 것이지만.
  • 식량 문제: 당연히 사람은 먹어야 살 수 있으므로 식량 생산은 필수이다. 그런데 공중도시에서 안 그래도 부족한 땅에 농사를 지을 수 있을까? 충분한 식량을 생산할 수 있을 만큼의 땅이 모자랄 것이다. 목축업은 가축들도 먹여야하고 농사보다도 많은 땅이 필요하므로 사치고, 공중도시라서 바다 같은 건 구경도 못 한다. 그나마 새라도 잡을 수 있으면 모를까, 그마저도 일정하지 않아서 효율이 떨어진다. 대형 식물 공장을 세우든지 인공 영양소를 만들어낸다든지 할 수 없다면 수많은 사람들이 그대로 아사할 것이다(...).
  • 폐기물 문제: 쓰레기, 하수, 오물 핵폐기물 등을 하늘 위에서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공중도시인데 땅에다 묻는 건 말도 안 될 일이고, 태웠다가는 공해를 직통으로 맞는데다 잘못해서 불이 옮겨붙으면 그대로 대화재다. 그럼 그냥 공중도시 바깥으로 버리면 되지 않느냐고 할 수 있는데 그럼 높은 고도를 뜷고 지상에 내려와서 폭탄과 다름 없는 효과를 낼 것이다. 핵투발 플랫폼 맞다니깐? 그래서 공중도시의 하수나 오물 등은 지상의 사람들이 다 뒤집어쓰게 된다는 농담도 있다(…). 사실 그냥 뒤집어쓰면 다행이고 보통은 그대로 쓰레기에 맞아 죽을 것이다. 그래서 일부 공중도시는 도시 경계선에 팻말을 세워두기도 한다. 이를테면 파이브 스타 스토리에 나오는 플로트 템플의 "위험! 여기는 상공 3000m 입니다. 쓰레기를 투척하지 마십시오." 같은 식으로.

5 패턴

이런 도시는 보통 과거의 유물 같은 것이라 현대에는 재현이 불가능한 것이 많고, 사람이 살지 않거나 살아도 예전부터 자기네들끼지 폐쇄된 공동체에서 살던 경우가 많다. 그런데 주인공이 가면 반겨줄 뿐더러 말이 술술 잘 통한다. 하늘에 떠 있어서 그런지 선민사상이 있다거나, 돈 많은 사람들만 산다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요새의 성격을 가지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도시기 때문에 뭔가 바글바글하다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허공을 날아다니는 것만 보면 넓게 느껴지는데 비해 내부에 있으면 비좁다는 느낌을 받는다.

6 등장 작품

도시가 아닌 공중을 떠다니는 대륙은 ☆로 표시. 부유도와도 겹친다.

  1. 사실은 기도의 힘이 아니라 천사를 감금(...)한 후 그 힘을 뽑아 쓰는 것. 천사의 힘으로 땅도 풍요로워져서 매년 풍작이라고.
  2. 실제로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빌런 울트론은 일부러 초대형 반중력 엔진으로 소코비아의 도시 하나를 대기권까지 띄웠다가 역추진시키는 방식으로 인류 멸망을 꾀하기도 했다.
  3. 7000미터 이상의 고산지대는 일명 '죽음의 지대'로 불리며, 산소 마스크 등으로 부족한 산소를 보충해주지 않으면 지속적인 체력 저하 등의 악영향이 나타나게 된다. 이 때문에 7000미터 이상의 고산지대에서의 무산소 등정은 시간과의 싸움으로 표현되며, 이런 곳을 등정하는 등반가들은 안될 것 같다 싶으면 정상이 설령 코앞이라 하더라도 그냥 내려온다고 한다. 조금 더 올라가려다가 아예 못 내려오게 될 수 있기 때문.
  4. 공중도시가 등장한 작품이다.
  5. 원래 지상의 아라드 대륙과 하늘성으로 이어져 있었지만 대전이이후 하늘성이 폭파됐다.
  6. 사실 숲 속의 앨리스미니언 포레스트로 넘어오면서 배경이나 브금 등은 다 똑같은데 이름만 살짝 바꾸는 식으로(...) 변했다.
  7. 혹성 아쿠아의 기후를 관리한다. 아카츠키, 우디, 이 창공의 섬 출신
  8. 아쉽게도 유저가 직접 갈 수는 없고 배경으로만 보인다. 이미지로는 이렇다.
  9. 공중도시 + 궤도병기
  10. 크라티아족들이 모여 사는 공중도시로, 파티멤버 쥬디스의 고향
  11. 라퓨타의 패러디.
  12. 하지만 과거에 마법 한 번 잘못 썼다가 몰살 크리.
  13. 단, 엔딩 장면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