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급행1

(대구 버스 105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1998년 5월 5일부터 2006년 2월 18일까지 운행했던 구 번호인 대구 버스 105로도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1급행2급행3급행4급행5급행6급행7급행8
400px
종각네거리 KT 대구전화국 앞에서 찍은 사진.[1]2006년 개편 직후의 세진교통 2040호 예비차로 현재는 대차되었다. [2]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1번
기점대구 동구 용수동
(동화사시설집단지구)
종점대구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정수사업소)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05:36
막차22:09막차22:01
평일배차13분주말배차13분
운수사명세진교통, 우진교통인가대수20대[3]
노선
(주요경유지)
동화사 - 이시아폴리스 - 대구국제공항 - 동대구역지하도 - 2.28공원 - 서구청 - 용산2동주민센터 - 계대동문 - 다사

2 개요

동화사, 팔공산 등산객의 아이콘.
택배근성을 통한 교통편 개선의 대표적인 사례.[4]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팔공산 동화사 시설집단지구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1)에서 중구 공평동 2.28기념중앙공원(0)을 거쳐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리공영차고지(5)까지 운행하는 세진교통, 우진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급행버스로, 2006년 개편 전 번호는 좌석버스 105번(구.376번)이었다. 운행 거리는 왕복 77.4km.

전체 정류소 목록

추가로, 팔공산 승시 축제, 벚꽃 축제, 단풍 축제 등 동화사로 가는 승객이 많은 봄, 가을철 축제 기간이나 석가탄신일에는 동화사동대구역지하도 구간만 잘라서 운행하는 팔공4번 급행1번 팔공산 증회 운행이라는 맞춤 노선이 있다. 이 노선은 동대구역지하도까지만 급행1번과 동일하게 운행하며, 동대구역 회차 구간은 팔공2번과 동일하다.[5] 물론 파티마병원이나 큰고개오거리 정류소는 원래부터 급행 지정 승강장이 아니라서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할 것.

3 역사

1988년 좌석버스 신설 이전에는 동화사를 76번 일반버스가 전담했으며[6] 1988년 좌석버스 첫 신설 당시부터 1998년 개편 전에는 동화사에서 시내를 거쳐 서대구공단(당시 서구 중리동 세한여객 차고지)까지 운행하던 376번 좌석버스였다. 1998년 개편 이 후 105번 좌석버스가 됨과 동시에 중리동에서 죽전네거리를 거쳐 용산지구(죽전그린빌 인근)까지 연장했다가, 다시 2001년에 계명문화대학교[7]까지 연장했다.

2006년 2월 19일 개편으로 급행1번이 되었으며, 일부 구간이 직선화[8]되고 신흥버스 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또한 복현오거리 분리 구간을 폐지하고 101(-1)번에 넘겼다.

개편전 번호였던 대구 버스 105 리다이렉트는 이 문서로 온다.

2009년 9월 1일부터 동대구역지하도와 대구국제공항 공항 청사[9] 구내를 경유하게 되었다. 원래는 파티마삼거리에서 KT동대구지사로 직진하여 큰고개오거리로 갔으나 401번처럼 파티마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동대구역지하도를 경유하게 되면서 팔공1번보다 더 돌아가는 노선이 되었고, 대구국제공항 청사 구내로 들어가면서 급행버스 주제에 일반버스인 401번팔공1번보다 더 돌아가는 노선이 되었다.

다만, 동대구역지하도를 경유하게 된 건 괜찮은 게 동화사, 팔공산 일대는 물론이요, 중앙네거리 서쪽 지역인 성서(선원로 지역), 서구 중리동, 평리동 등지에서 동대구역으로 직행하는 노선이 생겨 수요가 꽤 생겼기 때문이다.지금 동대구역 공사 때문에 차라리 지하도 쪽으로 가는 것도 나쁘지 않고 소요시간도 기존 파티마삼거리 직통보다 5~7분 정도만 늘어났을 뿐. 이는 택배근성을 이용하여 교통편을 개선한 대표적인 사례다. 동화사 자체가 외지인에게도 널리 알려진 관광지이며 광역교통 연계가 필수이므로 외지인이 이용하기에는 좌석버스가 아무래도 편하고 좋음을 감안하면 탁월한 선택이다.

그러나 대구국제공항 청사 경유는 그야말로 병크였다. 대구국제공항 청사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데 거의 5분 정도 까먹는 데다가 실제로도 공항청사에서 승, 하차하는 승객은 거의 없다시피했다. 이왕 경유할 거 양방향 경유도 아니고 일방향 경유이니 공항청사로 가는 승객한테도 반쪽자리 노선에 불과했다. 공항청사에서 바로 팔공로로 빠져나가는 도로가 있긴 하지만 대구국제공항 정류장에서 환승해서 이 버스를 타는 승객들[10] 때문에 팔공로로 바로 빠져나가지 못했다.

결국 2012년 6월 16일 대구국제공항 내부 도로를 운행하지 않고 기존 정류장으로 돌아왔으나, 여전히 정류소가 많은 것은 사실이다. 급행1번이 한때 정차했던 공항청사 정류장 근처에는 현재 대구국제공항구미종합버스터미널을 오가는 공항리무진 전용 정류장이 있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신흥버스 차고지 대신 매곡리공영차고지로 종점이 변경되었다. 2015 개편으로 성서산단에 급행5번, 급행7번 등 급행버스 노선이 늘어나면서 수요 분담이 이루어질 것이기에, 급행1번은 최근 들어 인구가 증가한 다사읍의 주거 지역 수요를 모아보려는 계획으로 보인다. 실제로도 노선 개편 후 수요가 소폭 늘어난 것이 보이며, 524번도 상황이 같다. 다사로 연장됨으로 따라 급행1에 있던 차량들 중 신흥버스 차량들은 모두 급행5번으로 이동했고[11] 차돌리기 중 가장 쉬웠습니다. 매곡리의 새로운 강자 우진교통이 배차에 참여한다. 이왕이면 경산에 소재하고 있는 세진교통 차고지와 팔공산 종점과의 공차거리가 멀어서 회사트레이드가 필요해 보인다

4 특징

성서 지역 중 상대적으로 지하철 수혜를 덜 보는 지역과 도심을 잇고 있음은 물론이요, 대구 시가지로부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시아폴리스, 팔공산 방문객의 태반이 이용할 수밖에 없는 노선이라 급행 치고 승강장이 많은 주제에 크게 흥하고 있는 노선이다. 그리고 독점 구간도 있기 때문에[12] 타 급행 노선들에 비해 정거장 간 거리가 짧은 편이고 정류장 수 역시 많아 운행 시간이 타 급행 대비 긴 편이며 급행으로서의 쾌속성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특히 서문시장부터 계대 성서캠퍼스까지 402번[13], 와룡네거리까지 400(-1)번[14], 2015년 8월 1일 개편 이후부터는 240번, 급행5번에게 여러 구간에서 스피드가 뒤쳐지는 일은 이제 흔할 정도. 523번은 배차가 느려 급행1번에게 뒤쳐지고 있다

때때로 사정이 여의치 않을 땐 입석 도색의 예비차량이 급행1번을 운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노선 개편 후에는 좌석도 미개조한 입석버스로의 운행이 발견되어 충공깽을 선사(...) 노선 개편 전이나 개편 후나 정말 드물게 목격됐다.

장기 정차는 동화사에서 한다.

2015년부터 LED 행선판에 대구의료원이 추가됐으나, 버스운영과의 잔머리 굴리기 + 속임수로 인해 정식 명칭인 대구의료원 라파엘 웰빙센터가 서구1(-1)번처럼 대구의료원으로만 출력되고 있다.[15]

4.1 정차 정류소 개수 문제

급행버스 치고는 정차 정류소가 제법 많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원래부터 정차하는 정류장 개수가 많은 노선은 아니었지만, 다른 급행 노선들과는 달리 팔공산 구간과 서구 일대에서 이 노선을 받쳐주는 일반버스가 제 역할을 못하기 때문에 민원에 의해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꾸준히 늘어났다. 특히 팔공산 구간은 백안삼거리, 내동을 제외하고 모두 승하차가 가능하다.

이렇게 좌석버스가 사실상 일반버스의 역할을 대행하는 경우가 전국적으로 흔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남양주 버스 330-1[16], 부산 버스 203[17], 화성 버스 1004[18], 포천 버스 138-5[19], 인천 버스 790[20] 처럼 좌석버스가 병행하는 일반버스가 없거나 제 기능을 못해서 독점하는 구간이 제법 있다. 동화사 일대도 이 중 하나. 사실 팔공1번이 들락날락하지만, 이거만 가지고 일반버스가 제 역할을 한다는 건 지나친 비약이다. 게다가 동화사팔공1번은 1일 10회밖에 안 온다.

실제로 자동차전용도로로 다니는 급행8번을 빼고 다른 급행들을 보면 어떻게든 일부 구간이나마 커버쳐 주는 일반노선들이 있다. 급행2번304번706번이 받쳐 주고 급행3번234번724번, 814번 등이 받쳐 준다. 게다가 급행3번을 폐선시켜 버릴 줄 알았던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도심구간을 뺀 나머지 구간에서 급행3번을 보완해 주고 있다.칠곡중앙대로 무시하지 마라! 그리고 급행4번 역시 600번655번이 받쳐 주고, 급행5번425번518번과 그리고 하양에서 안심역으로 연결해 주는 노선들이이 받쳐준다. 급행6번은 구간이 조금 다르긴 하지만 706번이 어느 정도 백업을 하고 있으며, 급행7번527번의 완벽한 상위호환 노선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놈의 배차간격이 길어서 문제지....

중앙네거리를 기준으로 동쪽 지역은 401번이 백안삼거리까지 받쳐 주지만, 401번이 들어가지 않는 동화사 쪽 이용승객이 많아서 401번이 커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서쪽 지역은 2006년 개편 전에는 524번(구.87번)[21]이 있었지만 이 노선이 2006년 개편 때 폐선되면서 계대동문~중앙네거리 구간에서 이 노선을 제대로 받쳐주는 간선노선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2006년 9월 24일 개편으로 400(-1)번이, 2015년 8월 1일 개편 이후로 서구1(-1)번이 서대구공단네거리를 경유하면서 급행1번을 보조하지만[22] 성서 쪽에서는 여전히 받쳐 주는 노선이 없는 실정이다. 그나마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이후 같은 급행버스인 급행5번이 계대에서 2.28공원까지 어느 정도 이 노선과 병행하면서 백업을 조금이나마 해 줄 수 있게 되었고, 신설된 급행6번이 금호강변로에 들어와 파군재삼거리까지 올라오면서 보조해 줄 수 있게 되었지만 이들은 일반버스가 아니라는 태생적인 한계가 있고 둘 다 급행1번과 완벽하게 겹치지도 않는다. 급행5번은 대구의료원으로 가고 급행6번경대이시아폴리스 진입도로(금호강변로)를 경유하기 때문.

4.1.1 반론

하지만 정거장 수 문제가 제기되는 팔공산 쪽은 어차피 수요가 별로 없다. 즉, 승객이 없어 무정차 통과할 때가 더 많기 때문에 실질은 급행이 맞다.[23] 비슷한 상황은 안심역~경일대 구간을 들 수 있다. 서구 구간 또한 산업단지이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곤 한산하다. 하루에 승하차하는 사람도 별로 없는데, 급행이라면서 다 통과하는 것보다는 하나라도 정차해서 수요를 잡는 것이 훨씬 이득이다. 일본의 일부 급행 노선이 이렇게 운행하는데, 교외 지역에선 모든 역에 정차하고, 도심지역에서 급행운행을 하는 방식이다. 대구광역시 버스정보운영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버스 목록 표로 표정속도를 계산해도 급행1번이 급행8번, 급행4번에 이어 3번째로 순위에 있고[24], 급행1번의 팔공산 구간을 비슷하게 운행하는 팔공1번도 표정속도 순위의 상위급에 있는 걸 보면, 팔공산 구간이 다른 구간보다 표정속도가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대구국제공항에서 급행1번을 기다리다 보면 정말로 미칠듯이 안올 때가 가끔 있긴 있다. 배차간격이 일정한데도 말이다. 이시아폴리스 일대도 아닌 팔공산 인근에서 안내려오는 걸 볼 때마다 의문과 인내심의 한계만 다다를 뿐(...) 불로삼거리 헬게이트가 있을 텐데요?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늘어나면서 급행버스의 본 취지를 잃어가긴 했지만, 그래도 급행버스로서의 메리트가 아예 사라진 것은 아니다. 확실히 다른 간선노선보다는 빠르다. 급행답게 빠를 때는 급행5번 못지않게 고속으로 운행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용산동에서 동대구역지하도까지 30분만에 주파했다 하지만 대구시 정확하게는 악명이 높다던 버스운영과와 당시의 용역업체관계자의 밀실논의는 508번의 후신노선청구중고교를 무정차 통과해 버리는 사고를 저질러 버린다

5 연계 철도역

  1. 해당 차량은 현재 급행5번으로 이동하여 운행 중이다.
  2. 105번 시절의 행선판에서 105를 지우고 급행1로 땜질한 것이며 회차점인 계명문화대가 인쇄되어 있다. 계명문화대 경유이며 당시 종점도 멀지 않긴 했다.
  3. 세진교통, 우진교통 모두 10대씩 배차한다.
  4. 후술하는 동대구역지하도 때문이다.
  5. 큰고개오거리 → 파티마삼거리 → 동대구역지하도
  6. 76번은 좌석버스를 신설하면서 간선노선에서 오지노선으로 격하되었고, 1998년 개편 때 131번을 거쳐 2006년 개편 후 현재는 팔공1번이 되었다.
  7. 당시에는 계명문화대학
  8. 강산아파트 진입에 따른 팔공아파트, 지저동주민센터 미경유 등.
  9. 동화사 방면 한정으로 정차했다. 성서 방면은 기존 정류장에 정차했다.성서 방향까지 들어갔으면 민원폭탄 났을걸?
  10. 동촌, 반야월 방향에서 719번이나 동구2번을 타고 대구국제공항에서 내려서 이 버스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있다.
  11. 이 과정에서 신흥버스의 좌석예비차들도 정규차량으로 변경되어 급행5번에 투입 중이며, 2008년식 일반예비차 딱 1대(1105호)만 좌석형으로 개조해 급행5번 정규차량으로 투입 중이다. 세진교통도 차령이 얼마 남지 않은 차량들(2006~2007년식 BS106)을 급행5번에 개조차량으로 투입했고, 2016년에 해당 개조차량들을 대차하며 급행1번에 투입하면서 기존 급행1번 정규차량들을 급행5번으로 보냈다. 하지만 세운버스는 156번에 뻔히 좌석차량이 있음에도 이들을 급행6번으로 보내지 않았으며, 해당 좌석차량들 중 1대는 2015년에 감차해 버리는 병크를 저질렀다. 거기에 2015년에 뽑은 지 얼마 안 된 입석차량들을 개조하여 급행6번으로 보내는 병크 오브 병크에 돈지랄까지 했다.
  12. 백안삼거리~동화사 구간이 대표적인 예. 일반 노선이 없는 건 아닌데 팔공1번 동화사행은 1일 10회 운행이라 존재감이 없다. 중리네거리~서대구산단네거리~와룡네거리 구간도 400(-1)번이 들어오기 전까지는 독점 구간이었다.
  13. 폐지됐다.
  14. 역시 폐지.
  15. 202(-1)번이 폐지되자 대구의료원 경유 노선이 결코 줄어든 것이 아니라는 것처럼 보이려고 이런 짓을 해두는 듯하다만, 라파엘웰빙센터와 대구의료원(정문) 본원은 엄연히 다르다는 걸 명심하자. 대구의료원 정문을 경유하는 노선은 노선 개편 이전과 동일하게 2개지만 202(-1)번은 환승을 통해 달서구 월배 지역과 대구의료원 정문을 유일하게 연결하고 있었던 걸 생각하면 서구1(-1)번이 왜 까이는지 답이 나온다.
  16. 남양주시 수동면 일대
  17.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금정산성)
  18. 제부도 입구 쪽. 이 외에도 화성 버스 1002화성 버스 330이 있는데 이들 모두 좌석버스다.
  19. 포천시 일동면 및 이동면 일부 지역
  20. 대부도 서부 및 선재도와 영흥도.
  21. 현재의 524번은 521번이 종점을 바꾼 것. 이거는 옛 83번에 기원을 두고 있다.
  22. 이처럼 보조하는 노선들이 있거나 더 늘어났지만 서구의 진달래아파트 정류소는 중리시장, 서구청 사이를 두고 정차하는 정류소인데, 이유를 알기 어려운 부분이다.뭐긴 뭐야 그쪽 주민들의 핌피질이지
  23. 간혹 뜸할 때는 동화교부터 팔공보성아파트까지 무정차 할 때도 있다.
  24. 급행2번은 4번째다.
  25. 북쪽으로 가는 방향인 경우, 해당 시점에서 내리는 것을 놓치면 지하철 환승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