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655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101(-1)156204234240300304306309323(-1)
349356401403405410(-1)413425449503
509518523524527564600609618623
649650651653655706708719724726
730750805808814836840849(-1)909937
939980
† : 경산시 시내버스와 공동 배차를 하는 노선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55번
기점대구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종점대구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정수사업소)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05:30
막차22:11막차22:22
평일배차15분주말배차21분
운수사명뉴세한여객, 우진교통, 경신교통인가대수18대[1]
노선
(주요경유지)
현풍터미널 - 달성1차산단 - 달성군청 - 옥포 - 대곡역 - 대천교 - 성서산업단지역 - 계대정문 - 다사

2 개요

대구 최장거리 노선 2위
서울 108번의 대구버전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6)에서 달서구 이곡동 성서네거리(5)를 거쳐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정수사업소(5)까지 운행하는 뉴세한여객, 우진교통, 경신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1998년 개편 전에는 논공 금포리 종점[2]~계명대학교동문 구간을 운행하던 337번 좌석버스였으며, 일부 구간을 변경하고 종점을 서재리로 돌려 37번 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3] 37번은 그 후 서재리에서 해량교 입구를 거쳐 방천리까지 연장했으며 1998년 개편으로 655번으로 변경되었다. 655번은 오랫동안 서재리, 방천리 일대를 전담했으며[4] 이후 2대를 증편하여 배차간격이 약간 단축되었다.[5] 2006년 개편 때부터 종점을 방천리가 아닌 다사읍 매곡리공영차고지로 바꾸고 달성군청을 들어갔다 나오며 편도운행 구간[6]을 본리초등학교로 통합하고 3대 증차하여 배차간격도 10분까지 단축되었다.

2008년 6월 5일 공기수송으로 악명높던 달성공단1번[7] 통합하여 금포리종점에서 달성군민운동장[8]까지 연장되었다. 따라서 당시에도 운행 시간이 1시간 50분~2시간 정도되는 장거리 노선이었지만 2011년 8월 18일부터 현풍시외버스터미널까지 연장되어 무려 왕복 100km이 됐다. 따라서 600번에 버금가는 엄청난 장거리 노선이 되었다.[9]그런데 4대가 증편된 600번과 달리 655번은 단 1대의 증편 없이 그냥 연장되어 배차 간격이 길어졌다. 따라서 성격이 완전히 달라졌다. 600번과는 상인역에서 달성1차공단까지 99% 구간이 같은데[10] 이전에 600번현풍시외버스터미널를 종점으로 운행했을 때 경유하던 현풍중고교, 현풍주공아파트 방면을 이어받았다. 600번은 655번과 같은 날 연장되어 현풍농협과 현풍면 중심가를 가로질러 달성경찰서, 달성소방서, 구지면사무소를 거쳐 구지면 내리 달성2차공단관리청사까지 운행하고 있다.

2015년 8월 개편으로 유천교~상인역~월성2동주민센터~동본리네거리~본리초교~죽전네거리~계명대역 구간을 달서5번에 이관하고 유천교~대천동공영차고지~성서공단네거리~성서네거리~성서주공1단지~계명대역으로 변경된다. 사실상 단축 및 노선 분할이고 더 이상 성서아파트단지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럴 경우 노선 번호가 665번에 가까운데 다른 노선들과 달리 왜 변경하지 않았는지 알 수 없다. 또한 경신교통남도버스가 철수하고 우진교통이 참여한다. 유천교 ~ 계명대역 구간을 달서5번에 넘기면서 달성군 서남부 지역에서 성서로 가는 빠른 노선이 되었으나, 여전히 장거리 노선인데다가 증차도 되지 않아서 배차간격은 변동이 없었으나, 2015년 12월 21일 운행시간표가 개정되면서 소폭(1~2분) 줄어들었다. 유천교에서 성서산업단지역까지는 완전히 중복인데 이 구간을 단독으로 운행하던 달서1번의 출퇴근 시간대 과밀화를 줄일 수 있을지 기대해볼 여지는 있다.

2016년 2월 13일의 제 2차 몹쓸 개편(...)으로 인해 경신교통이 다시 655번 공동배차에 참여한다. 경신 기사 : 아 ㅅX 잠깐만 저 초장거리를 또 뛰라고? 덤으로 이 영향을 받아 240번이 무려 3대나 감차당하며[11] 경신교통이 655번을 다시 운행 하더라도 기존 두 업체에서 각각 2대, 합쳐서 4대나 빼버리도록 지시 하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1대가 감차되는 것이다. 버스운영과가 서대구산단과 마찬가지로 또다시 희망고문을 선사 하는 것이다.

4 특징

개편 이전에는 오지노선으로 분류되어서 배차간격이 길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아침에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여 만차가 기본인 가축수송 노선이었다. 다만 2006년 개편 전에는 화원읍, 월배에서 성서 방면로 가는 승객들이 많이 탔으나,[12] 2006년 개편 후 무료환승제가 도입되고 준공영제가 도입되어 수익 창출에 덜 신경쓰게 되면서 월배에서 성서까지 더 빨리 이어주는 노선들이 생기자 승객이 감소하였다. 그래서 2006년 개편 당시 10분 배차였던 것이 지속적으로 감차되고 2008년 이후에는 노선도 길어지면서 배차간격이 벌어졌다.

그런데 앞서 지적했듯이 600번월배~달성1차산단 구간이 거의 중복되고 달성1차공단의 승하차 비율이 적다. 무엇보다 달성공단1번을 흡수하면서 달성1차공단을 한 바퀴 도는 노선이 됐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만 무려 20분 가까이 소요된다. 그래서 대구광역시에서는 2012년 초 655번을 매곡리공영차고지 ~ 유천교 또는 대곡역 노선으로 단축하고 현풍터미널~유천교 또는 대곡역 대체노선으로 대곡역~달성2차산단/유가사를 잇는 신규 노선을 신설하려고 했으나, 월배 주민들과 달성군민들의 반발로 무산되었다.[13] 그리고 2012년 10월 20일 개편으로 1대가 감차되어 신설된 급행4번에 투입되었다.

특이한 점은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중에서 405번과 더불어 기종점이 달성군 지역이다. 달성군 남서쪽 현풍면~논공읍~옥포면~화원읍에서 월배, 성서 구간을 지나 북서쪽 다사읍으로 들어가는 노선이다.

참고로 2006년 개편 이전에는 이 노선과 번호가 비슷했던 665번 일반버스가 있었다. 655번과 맨 앞 자리 숫자와 맨 뒷 자리 숫자가 똑같고 다른 건 가운데 숫자가 5냐 6이냐의 차이인데 이 두 숫자가 생긴 게 비슷해서 낚이기 쉬웠다. 이 노선은 2006년 개편 때 폐선되었다.[14]

준공영제 이전의 공동배차제 시절에는 하루에 무려 14개의 버스회사에서 이 노선을 운행했다. 회사당 1대의 차량이 운행했던 것. 당시 회사별로 1대씩 오지노선 운행만 전담하는 차량이 있었는데, 655번도 오지노선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이 오지노선 운행만 전담하는 차들만 투입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렇게 오지노선만 전담하는 차들은 대부분 오래 된 차량들이었기 때문에 이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들의 연식도 다소 안습했었다. 2000년까지만 해도 냉방차량 구경하기도 어려웠을 정도.[15]

2015 개편 후 잠시 동안 달성2차산단 ~ 대천동공영차고지로 크게 단축된 600번를 앞질러 대구 최장거리 노선으로 등극했었다. 월성2동, 상인동 구간을 날렸음에도 여전히 장거리 노선이라, 왕복 87km의 위엄을 자랑한다.[16] 이는 현재 최장거리인 600번보다 4km 짧은 거리. 하지만 2015년 9월 7일부터 옥포, 논공 및 설화리 이남 주민들의 이용 불편 때문에 600번KT 남대구지사까지 연장되고 2016년 3월 1일부로 앞산공원으로 재연장되면서 다시 초장거리 타이틀은 왕복 약 96km의 600번이 갖고 가게 된다.

2015년 8월 개편으로 대곡역에서 대천교를 지나 대구비지니스센터 ~ 성서산업단지역 ~ 계명대학교로 노선이 변경되면서 운행시간이 단축되고 또한 1호선 대곡역과 2호선 성서산업단지역을 빠르게 이어주고 있어서 지하철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이 늘어났다. 1호선이든 2호선이든 승객 절반이 내린다(...)간선 노선중에는 유일하게 한국산업인력공단 사거리에서 직진해서 대천교로 가는 노선이다. 또한 성서에서 대곡까지 15분~20분 정도면 도착할 정도로 달서구에서 운행 시간이 소폭 줄어들었다. 이래도 장거리 2위라니

600번급행4번과 달리 CNG 충전은 매곡공영차고지에 CNG 충전소가 있어서 거기서 가스 충전을 하기 때문에 운행 도중 가스가 떨어져 가스 충전하러 가고 그럴일은 없다.

장기 정차는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한다.

2016년 6월 현풍시외버스터미널이 적자로 폐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655번의 종점이 현풍시외버스터미널 폐쇄가 되면 변경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유력 후보지로 유곡사거리나 DGIST가 많은 의견을 얻고 있다.

5 연계 철도역

  1. 뉴세한여객이 9대, 우진교통이 6대, 경신교통이 3대를 배차한다.
  2. 달성군예비군훈련장 앞 공터에 있는 32번(현 836번)의 금포리 종점으로 32번과 같이 종점을 쓰고 있었다.
  3. 37번으로 운행했던 당시 행선판은 337번 행선판에서 '3' 하나를 가려서 썼다.
  4. 꽤나 장거리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이 때는 불과 12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무려 20분이었으며 거기다 일반버스였다. 다만 이후에 조금씩 증차되긴 했다. 하지만 당시보다 더 장거리 노선이 된 2014년 현재도 휴일 배차간격은 20분이다. 안습
  5. 방천리 일대는 달천리, 박곡리와 인접하여 205-1번이 운행하다가 1998년 5월 개편 이후에는 52-2번이 오랫동안 전담했었다. 서재리는 37번이 합류했고 서재리 일대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후 현재의 509번인 355번 좌석버스가 추가되어 서서히 두각을 드러낸 곳이다.
  6. 논공 방면은 죽전네거리에서 감삼역으로 직진한 후 원화/경화여고를 거쳐 제일여상으로 내려왔고, 다사(서재) 방면은 현재처럼 제일여상에서 본리초등학교로 들어갔었다.
  7. 2007년 8월 27일 653번 4대, 651번 2대를 감차하여 신설된 노선이다. 대곡역(진천래미안아파트)~달성군민운동장(달성1차공단)을 운행하던 노선으로 남도버스에서 6대로 운행했었다. 배차간격도 20분으로 길었고 달성1차산단 구간은 박석진교에서 성원아파트~동아제약네거리~샤니삼거리~공단하수처리장으로 편도 운행했는데 공단 어디에서 타도 시내 방향으로 나갈 때 600번과 반대 방향에서 타야 되는 구조라서 승객이 적었다. 이 때 달성공단1번 6대가 모두 655번에 통합되면서 남도버스공동 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8. 달성군민운동장 인근에 국민은행 달성공단지점이 있는데 국민은행 건너편 주차장에 회차지가 있었다.
  9. 원래 계획은 836번을 달성1차산단까지 연장하려고 했다. 그러나 836번을 달성1차산단으로 연장하면 반야월역에서 논공읍 북리까지 운행하는 현재 655번은 물론 현재 600번을 뺨치는 초장거리 노선이 나와서 취소되었다.
  10. 다른 1% 구간은 달성군청 구간이다. 600번달성군청을 미경유하지만 655번은 달성군청으로 들어가서 U턴하고 나온다.
  11. 240번의 2대가 655번으로 가고, 1대는 726으로, 서구1번의 저상버스 1대가 원래 있던 655번으로 복귀한다.
  12. 이 노선도 굴곡이 좀 있긴 하지만 당시에는 월배 등 6권역에서 성서로 가장 빨리 가는 노선이었다. 6권역에서 성서로 가는 노선으로는 이 노선 외에도 506번이나 665번이 있었지만 이 노선보다 한참 더 돌아서 갔다. 월배에서 성서로 바로 연결할 경우 수익이 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지 조금이라도 수익을 내려고 스크류바노선을 이리저리 꼬았기 때문이다.
  13. 특히 다사읍 일대에서 논공, 화원, 현풍 일대로 환승없이 직행하는 노선은 655번 하나뿐이다. 예를 들면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달성군청을 간다던가. 그런데 굴곡이 엄청 심해 다사읍 쪽에서 달성군청으로 출근하는 공무원들의 불만이 많다고 한다.
  14. 달서3번이 약간 이 노선과 선형이 비슷하지만 개편 때 본리초등학교 구간을 날려먹고 월성2동에서 감천네거리, 현대백조아파트, 장기초록나라를 직통해 용산1동으로 빠진다. 665번은 달서소방서에서 송현제림타운, 서부정류장, 금봉네거리, 본리초등학교로 들어갔다가 본리네거리와 남대구IC로 나왔기 때문에 굴곡이 심했다. 그것도 1998년 9월에 성당네거리에서 성서 방향으로 좌회전이 허용되기 전에는 양방향으로 대명역과 대명11동, 관문시장까지 경유해서 굴곡이 더 심했었다.
  15. 어떤날에는 천연가스차량이 투입된적이 있기도 하다.
  16. 대구 시내버스 출도착지 검색 기준. 편도 43.5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