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위 항목 : 역사 관련 정보
1 로마 제국의 역대 황제
로마 제국 | ||||||
왕조 | 이름 | 즉위년일 | 퇴위년일 | 재위기간 | 특이사항 | 퇴위원인 |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 아우구스투스 | BC27.1.16 | AD14.8.19 | 40년 215일 | 초대황제/최장재위[1] | |
티베리우스 | 14.9.18 | 37.3.6 | 22년 175일 | |||
칼리굴라 | 37.3.18 | 41.1.24 | 3년 313일 | 암살 | ||
클라우디우스 | 41.1.24 | 54.10.13 | 13년 265일 | 중독사[2] | ||
네로 | 54.10.13 | 68.6.9 | 13년 243일 | 자살 | ||
내란기 | 갈바 | 68.6.8 | 69.1.15 | 221일 | 암살 | |
오토 | 69.1.15 | 69.4.16 | 91일 | 자살 | ||
비텔리우스 | 69.4.17 | 69.12.20 | 247일 | 처형 | ||
플라비우스 왕조 | 베스파시아누스 | 69.7.1 | 79.6.24 | 9년 360일 | ||
티투스 | 79.6.24 | 81.9.13 | 2년 82일 | |||
도미티아누스 | 81.9.14 | 96.9.18 | 15년 4일 | 암살 | ||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 네르바 | 96.9.18 | 98.1.27 | 1년 131일 | ||
트라야누스 | 98.1.18 | 117.8.7 | 19년 206일 | |||
하드리아누스 | 117.8.11 | 138.7.10 | 20년 338일 | |||
안토니누스 피우스 | 138.7.10 | 161.3.7 | 22년 246일 |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161.3.7 | 180.3.17 | 19년 10일 | 공동 통치[3] | 전선에서 병사 | |
루키우스 베루스 | 161.3.7 | 169.1 | 8년 | |||
콤모두스 | 180.3.18 | 192.12.31 | 12년 291일 | 암살 | ||
내란기 | 페르티낙스 | 193.1.1 | 193.3.28 | 86일 | 암살 |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193.3.28 | 193.6.1 | 65일 | 암살 | ||
세베루스 왕조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193.4.9 | 211.2.4 | 18년 64일 | 전선에서 병사 | |
카라칼라,(공동)게타 | 211.2.4 | 217.4.8 | 6년 65일 | 공동 통치[4] | 암살 | |
마크리누스[5] | 217.4.11 | 218.6.8 | 1년 58일 | 암살 | ||
엘라가발루스 | 218.6.8 | 222.3.11 | 3년 277일 | 암살 | ||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 222.3.13 | 235.3.18 | 13년 5일 | 암살 | ||
군인 황제 시대 |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235.3.20 | 238.4 | 3년 | 암살 | |
고르디아누스 1세 | 238.3.22 | 238.4.12 | 15일 | 공동 통치 | 자살 | |
고르디아누스 2세 | 238.3.22 | 238.4.12 | 15일 | 전사 | ||
푸피에누스 | 238.4.22 | 238.7.29 | 98일 | 공동 통치 | 암살 | |
발비누스 | 238.4.22 | 238.7.29 | 98일 | 암살 | ||
고르디아누스 3세 | 238.4.22 | 244.2.11 | 5년 296일 | 암살 | ||
필리푸스 아라부스 | 244.2 | 249 | 5년 | 로마 건국 천년제 거행 | 자살 | |
데키우스 | 249 | 251.6 | 2년 | 전사 | ||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251.6 | 253.8 | 2년 | 암살 | ||
아이밀리아누스 | 253.8 | 253.10 | 3개월 | 암살 | ||
발레리아누스 | 253.10 | 260 | 7년 | 공동 통치 | 옥사[6] | |
갈리에누스 | 253.10 | 268.9 | 15년 | 암살 |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268.9 | 270.1 | 2년 | 전염병 | ||
퀸틸루스 | 270.1 | 270.5 | 4개월 | 암살 | ||
아우렐리아누스 | 270.5 | 275.4 | 5년 | 암살 | ||
타키투스 | 275.9.25 | 276.6 | 9개월 | 전임과의 사이에 5개월 공백 | ||
플로리아누스 | 276.6 | 276.9 | 3개월 | 암살 | ||
프로부스 | 276.9 | 282.10 | 6년 | 암살 | ||
카루스 | 282.10 | 283.8 | 10개월 | 사고사[7] | ||
누메리아누스 | 283.8 | 284.11 | 1년 3개월 | 공동 통치 | 암살[8] | |
카리누스 | 283.8 | 285.3 | 2년 | 암살[9] | ||
제1차 사두정치[10] | 디오클레티아누스 | 284.11.20 | 305.5.1 | 20년 167일 | 4명의 황제와 공동 통치 | 자진 퇴위[11] |
막시미아누스 | 284.11.20 | 308.11.11 | 24년 | 자진 퇴위[12] | ||
갈레리우스 | 293.3.1 | 311.5.5 | 18년 69일 | |||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 293.3.1 | 306.7.25 | 13년 149일 | |||
제2차 사두정치[13][14] | 막시미누스 다이아 | 305.5.1 | 313.5 | 8년 |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305.5.1 | 307.3 | 2년 | 처형 | ||
막센티우스 | 306.10.18 | 312.10.28 | 6년 10일 | 사고사 | ||
리키니우스[15] | 308.11.11 | 324.9.18 | 15년 315일 | 처형 | ||
콘스탄티누스 1세[16] | 306.7.5 | 337.5.22 | 30년 329일 | |||
콘스탄티누스 왕조 | ||||||
콘스탄티누스 2세 | 337.5.22 | 340 | 3년 | 공동 통치 | 전사[17] | |
콘스탄스 | 337.5.22 | 350 | 13년 | 암살[18] | ||
콘스탄티우스 2세[19] | 337.5.22 | 361.11.3 | 24년 196일 | |||
율리아누스[20][21] | 360.2 | 363.6.26 | 1년 266일 | 전사 | ||
요비아누스 | 363.6.26 | 364.2.17 | 234일 | |||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 ||||||
발렌티니아누스 1세 | 364.2.26 | 375.11.17 | 11년 267일 | 분사[22] | ||
발렌스 | 364.3.28 | 378.8.9 | 14년 137일 | 공동 통치 | 전사 | |
그라티아누스 | 367.8.4 | 383.8.25 | 16년 21일 | 암살 | ||
발렌티니아누스 2세[23] | 375.11.17 | 392.5.15[24] | 16년 184일 | 암살 | ||
테오도시우스 1세[25] | 379.1.1 | 395.1.17 | 16년 16일 |
2 서로마 제국의 역대 황제
서로마 제국 | ||||||
왕조 | 이름 | 즉위년일 | 퇴위년일 | 재위기간 | 특이사항 | 퇴위원인 |
발렌티니아누스-테오도시우스 왕조 | 호노리우스 | 393.1.23 | 423.8.15 | 30년 204일 | 동/서로마 본격 분리 | |
콘스탄티우스 3세[26] | 421.2 | 421.9.2 | 7개월 | |||
발렌티니아누스 3세 | 425.10.23[27] | 455.3.16 | 29년 144일 | 암살 | ||
최후의 순간 |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455.3.17 | 455.5.31 | 75일 | 암살 | |
아비투스 | 455.7.9 | 456.10.17 | 1년 101일 | 암살 | ||
마요리아누스 | 457.4.1 | 461.8.2 | 4년 124일 | 암살[28] | ||
리비우스 세베루스 | 461.11.9 | 465.8.15 | 3년 280일 | 암살[29] | ||
안테미우스 | 467.4.12 | 472.7.11 | 5년 92일 | 전사[30] | ||
올리브리우스[31] | 472.3.23 /472.7.11 | 472.10.23 /472.11.2 | 214일 /114일 | 암살[32] | ||
글리케리우스 | 473.3.3 | 474.6 | 1년 | 항복[33] | ||
율리우스 네포스 | 474.6 | 475.8.28 | 1년 | 퇴위[34] | ||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 | 475.10.31 | 476.9.4 | 309일 | 퇴위[35] |
로마 교황에 의해 계승된 서로마 제국 황제의 지위는 신성 로마 제국/역대 황제 문서 참조.
3 동로마 제국의 역대 황제
헤라클리우스 이후로 그리스어를 제국의 공용어로 공인하였기 때문에 이후 황제의 이름 역시 그리스식으로 작성하여 원어를 따라가는 거라고 하는데, 그렇게 보다면 당대에도 별로 쓰이지 않았던 코이네가 아니라 중세 그리스어로 표기해야 함이 옳다.[36] 헤라클리우스의 이 조치에 대해 널리 퍼진 오해를 서술하려면 아마 항목 하나가 더 필요하겠지만, 분명한 것은 그리스어의 경우 이미 공화정 로마 시대 때부터 제국의 공용어 중 하나였고 군사 용어로서도 일부 부분은 제국 동부에선 디오클레티아누스 이전부터 쓰였다는 게 되겠다. 일례로 이미 켄투리오는 에카톤다키스(Εκατοντάκις)로, 데쿠리오는 데카코스(Δεκάκος)로 불리고 있었으며 유스티니아누스 때 새로 생긴 편제 단위인 "메로스(Μέρος)"는 그리스어다.
동로마 제국 시절에 사용되던 언어는 중세 그리스어였다. 물론 중세 그리스어의 기원은 코이네 그리스어이며, 코이네 그리스어가 보다 단순화된 것이 중세 그리스어이지만, 두 언어가 통용되던 시기는 거의 600년 이상의 갭을 가진다. 현대 한국어와 훈민정음 시절의 한국어의 갭을 생각해보면 코이네식 발음법으로 표기하는 것은 아주 이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동로마 제국이 라틴어 표기를 아예 버렸던 것은 아니며 서방을 대상으로 한 문서에서는 라틴어식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잦았다. 그러므로 라틴어식 인명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게 아니며, 오히려 3세기에도 제대로 쓰였는지 의심이 되는 코이네를 구태여 쓸데없이 고집하는 게 더욱 잘못된 이상한 생각이 된다. 당대 발음과 문화를 굳이 존중한다면 중세 그리스어로 표기해야 마땅하다.
동로마 제국 | ||||||
왕조 | 이름 | 즉위년일 | 퇴위년일 | 재위기간 | 특이사항 | 퇴위원인 |
발렌티니아누스-테오도시우스 왕조 | 아르카디우스 | 395.1.17 | 408.5.1 | 13년 108일 | 동/서로마 본격 분리 | |
테오도시우스 2세 | 408.5.1 | 450.7.28 | 42년 88일 | 낙마 | ||
마르키아누스 | 450 | 457.1.27 | 7년 | |||
레오 왕조 | 레오 1세 트라키안 | 457.2.7 | 474.1.18 | 16년 349일 | ||
레오 2세 | 474.1.18 | 474.11.17 | 303일 | 병사[37] | ||
제노 | 474.11.17 | 475.1.9 | 53일 | 폐위 | ||
바실리쿠스 | 475.1.9 | 476.8 | 1년 | 찬탈, 폐위 | ||
제노 | 476.8 | 491.4.9 | 15년 | 복위 | ||
아나스타시우스 1세 | 491.4.11 | 518.7.9 | 27년 96일 | |||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 유스티누스 1세 | 518.7.9 | 527.8.1 | 9년 22일 | ||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 527.8.1 | 565.11.14 | 38년 105일 | |||
유스티누스 2세 | 565.11.14 | 578.10.5 | 12년 328일 | |||
티베리우스 2세 콘스탄티누스 | 578.10.5 | 582.8.14 | ||||
마우리키우스 | 582.8.14 | 602.11.27 | 20년 106일 | 처형 | ||
없음 | 포카스 | 602.11.27 | 610.10.5 | 7년 314일 | 찬탈 | 처형 |
이라클리오스 왕조 | 헤라클리우스[38] | 610.10.5 | 641.2.11 | 찬탈, 그리스어를 군사 용어로 쓰기로 공식화[39] | ||
콘스탄티노스 3세 | 641.2.11 | 641.5.25 | 공동 통치 | 독살 | ||
이라클로나스 | 641.2.11 | 641.9 | 7개월 | |||
콘스탄스 2세 포고나토스[40] | 641.9 | 668.9.15 | 27년 | 암살 | ||
콘스탄티노스 4세 | 668.9.15 | 685.9 | 17년 | |||
유스티니아노스 2세 리노트미토스[41] | 685.9 | 695 | 10년 | 폐위 | ||
레온디오스 | 695 | 698 | 3년 | 찬탈 | 처형 | |
티베리오스 3세 | 698 | 705.8.21 | 7년 | 찬탈 | 처형 | |
유스티니아노스 2세 리노트미토스 | 705.8.21 | 711.11.21 | 복위 | 처형 | ||
없음 | 필리피코스 바르다니스 | 711.12.11 | 713.6.3 | 폐위 |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713.6.3 | 715.5 | 2년 | 폐위 | 처형 | |
테오도시우스 3세 | 715.5 | 717.3.25 | 2년 | 반란, 강제퇴위 | ||
이사브론 왕조 | 레오 3세[42] | 717 | 741 | 성상파괴령 시작 | ||
콘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모스[43] | 741.6.18 | 741.6/7 | 폐위 | |||
아르타바스도스 | 741.6/7 | 743.11.2 | 폐위 | |||
콘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모스 | 743.11.2 | 775.9.14 | 복위 | |||
레오 4세[44] | 775.9.14 | 780.9.8 | ||||
콘스탄티노스 6세 | 780.9.8 | 797.8.18 | 모후에 의해 퇴위 | 병사[45] | ||
이레네 헤 아테네아[46] | 797.8.18 | 802.10.31 | 반란, 폐위 | |||
니키포로스 왕조 | 니키포로스 1세 | 802.10.31 | 811.7.26 | 추대로 즉위 | 전사[47] | |
스타브라키오스 | 811.10.2 | 812.1.11 | 병사[48] | |||
미카일 1세 랑가베스[49] | 812.1.11 | 813.7.11 | 자진 퇴위 | |||
없음 | 레오 5세 아르메니오스[50] | 813.7.11 | 820.12.25 | 암살 | ||
아모리아 왕조 | 미카일 2세 트라볼로스 | 820.12.25 | 829.10.2 | |||
테오필로스 | 829.10.2 | 842.1.20 | ||||
테오도라 | 842 | 855 | 섭정, 성상파괴령 종식 | |||
미카일 3세 메씨소스 | 842.1.20 | 867.9.23 | 암살 | |||
마케도니아 왕조 | 바실레이오스 1세[51] | 867.9.23 | 886.8.29 | 사고사[52] | ||
레오 6세 소포스[53] | 886.8.29 | 912.5.11 | ||||
알렉산드로스 2세 | 912.5.11 | 913.6.6 | 공개적으로 기독교 신자임을 부정한 율리아누스 이후의 첫 황제. | |||
콘스탄티노스 7세 포르피로예니토스[54] | 913.5.15 | 959.11.9 | 공동 황제 | |||
로마노스 1세 리카피노스 | 920.12.17 | 944.12.20 | ||||
로마노스 2세 포르피로예니토스[55] | 959.11.9 | 963.3.15 | 병사[56] | |||
니키포로스 2세 포카스 | 963.8.16 | 969.12.11 | 암살[57] | |||
요안니스 1세 쿠르쿠아스 치미스키스[58] | 969.12.11 | 976.1.10 | 병사[59] | |||
바실레이오스 2세 불가록토노스[60] | 976.1.10 | 1025.12.15 | ||||
콘스탄티노스 8세 | 1025.12.15 | 1028.11.15 | ||||
로마노스 3세 아르기로스 | 1028.11.15 | 1034.4.11 | 조에의 첫째 남편 | 암살[61] | ||
미카일 4세[62] | 1034.4.11 | 1041.12.10 | 조에의 둘째 남편 | 병사 | ||
미카일 5세 칼라파티스[63][64] | 1041.12.10 | 1042.4.20 | 폐위 | 암살 | ||
조에[65] | 1042.4.19 | 1042.6.11 | 공동 통치 | |||
테오도라[66] | 1042.4.19 | 1042.6.11 | ||||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호스 | 1042.6.11 | 1055.1.11 | 조에의 셋째 남편 | |||
테오도라 | 1055.1.11 | 1056.8.31 | 복위 | |||
없음 | 미카일 6세 브링가스 | 1056.8.31 | 1057.8.30 | 폐위 | ||
콤니노스 왕조 | 이사키오스 1세 콤니노스[67] | 1057.6.3 | 1059.11.22 | 병으로 인해 자진 퇴위 | ||
두카스 왕조 | 콘스탄티노스 10세 두카스 | 1059.11.24 | 1067.5.22 | 7년 181일 | ||
로마노스 4세 디오예니스 | 1068.1.1 | 1071.10.24 | 3년 297일 | 폐위 | ||
미카일 7세 두카스[68] | 1071.10.24 | 1078.3.24 | 6년 153일 | 폐위 | ||
니키포로스 3세 보타니아티스 | 1078.3.31 | 1081.4.4 | 3년 4일 | 양위 | ||
콤니노스 왕조 | 알렉시오스 1세 콤니노스 | 1081.4.4 | 1118.8.15 | 37년 142일 | ||
요안니스 2세 | 1118.8.15 | 1143.4.8 | 24년 242일 | 사고사[69] | ||
마누일 1세 메가스(대제) | 1143.4.8 | 1180.9.24 | 37년 179일 | |||
알렉시오스 2세 | 1180.9.24 | 1183.9.24 | 1년 | 살해[70] | ||
안드로니코스 1세 | 1183.9.24 | 1185.9.11 | 1년 353일 | 반란, 폐위 | 처형 | |
앙겔로스 왕조 | 이사키오스 2세 앙겔로스 | 1185.9.12 | 1195.4.8 | 9년 210일 | 폐위 | |
알렉시오스 3세 | 1195.4.8 | 1203.7.18 | 8년 103일 | 폐위 | ||
이사키오스 2세 | 1203.7.18 | 1204.1.28 | 194일 | 공동 황제 | ||
알렉시오스 4세 | 1203.8.1 | 1204.1.28 | 180일 | 살해 | ||
알렉시오스 5세 두카스 무르주플로스[71] | 1204.2.5 | 1204.4.13 | 68일 | 폐위 | 처형 | |
라스카리스 왕조 |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 1204.4.13 | 1205.3.19 | 340일 | 자칭 황제[72] | |
테오도로스 1세 | 1205.3.19 | 1221.11 | 16년 | |||
요안니스 3세 바타지스[73] | 1221.12.15 | 1254.11.3 | 32년 331일 | |||
테오도로스 2세 | 1254.11.3 | 1258.8.18 | 3년 289일 | |||
요안니스 4세 | 1258.8.18 | 1261.12.25 | 3년 130일 | 공동 황제 | 폐위 | |
팔레올로고스 왕조 | 미카일 8세 팔레올로고스 | 1258.12.1 | 1261.12.25 | 3년 24일 | ||
콘스탄티노폴리스 탈환, 동로마 제국 | ||||||
팔레올로고스 왕조 | 미카일 8세 팔레올로고스 | 1261.12.25 | 1282.12.11 | 20년 356일 | ||
안드로니코스 2세 | 1282.12.11 | 1328.5.23 | 45년 175일 | 공동 황제 | ||
미카일 9세 | 1282 | 1320.10.12 | 38년 | |||
안드로니코스 3세 | 1328.5.23 | 1341.6.15 | 13년 22일 | |||
요안니스 5세 | 1341.6.15 | 1347.12 | 6년 | 폐위 | ||
요안니스 6세 칸타쿠지노스 | 1347.3.31 | 1354.12.4 | 7년 254일 | 폐위 | ||
요안니스 5세 | 1354.12.4 | 1376.8.12 | 21년 257일 | 공동 황제 | ||
마쎄오스 칸타쿠지노스 | 1354.12.4 | 1357.12.10 | 3년 6일 | |||
안드로니코스 4세 | 1376.8.12 | 1379.7.1 | 2년 323일 | 공동 황제[74] | ||
요안니스 7세 | 1376 | 1379 | 3년 | |||
요안니스 5세 | 1379.7.1 | 1390.9.17 | 156일 | 복위 | ||
요안니스 7세 | 1390.9.17 | 1391.2.16 | 152일 | 복위 | ||
마누일 2세 | 1391.2.16 | 1425.7.21 | 34년 155일 | |||
요안니스 8세 | 1425.7.25 | 1448.10.31 | 23년 104일 | |||
콘스탄티노스 11세 드라가시스[75][76] | 1449.1.6 | 1453.5.29 | 4년 143일 | 수도 함락, 멸망 | 전사[77] |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후 명목상의 황제들 | ||||
왕조 | 이름 | 즉위년도 | 퇴위년도 | 특이사항 |
팔레올로고스 왕조 | 디미트리오스 팔레올로고스 | 1453 | 1453 | 콘스탄티노스 11세의 동생. 오스만에 항복 |
토마스 팔레올로고스 | 1453 | 1465 | 콘스탄티노스 11세의 막내동생. 이탈리아로 망명 후 황제의 예우를 받다 로마에서 사망 | |
안드레아스 팔레올로고스 | 1465 | 1502 | 1453년 출생. 자식 없이 사망. 동로마 황제 혈통의 소멸[78] |
- ↑ 정확히는 동서분열 이전까지 최장재위다.
- ↑ 공식적인 사인은 중독.. 하지만, 소 아그리피나가 암살한 거라는 가설이 가장 유력하다.
- ↑ 로마 역사상 최초의 공동 통치.
-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루키우스 베루스 와 마찬가지로 형제가 공동 으로 재위에 올랐다. 모두 동생이 먼저 죽고 형이 이후 단독통치를 했고. 차이점은 루키우스 베루스 는 자연사. 게타 는 카라칼라 의 손에 죽었다.
- ↑ 이 사람은 세베루스 황제의 일족이 아니다.
- ↑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포로로 잡히신 몸.
- ↑ 전쟁 중에 쳐놓은 천막에 벼락이 떨어지는 안습이 일어났다. 하지만 사인이 너무 우연적이기 때문에 번개에 의한 죽음은 사실 암살을 은폐하기 위한 연막이었다는 주장도 있다.
- ↑ 암살범은 친위대장 이페르로 추정. 이 때 경호대장이 디오클레스였다. 이가 바로 훗날의 디오클레티아누스.
- ↑ 디오클레티아누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던 중에 부하에게 심장을 관통당해 죽었다. 이유는 부하의 아내를 유혹했기 때문이라고.
- ↑ 부황제에 있었던 기간 역시 통치 기간으로 정의한다
- ↑ 로마 제국 역사상 최초로 스스로 퇴위한 경우.
- ↑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자진 퇴위할 때 같이 퇴위.
- ↑ 역시 부황제에 있었던 기간도 통치 기간으로 정의한다
- ↑ 나머지 둘은 위에 서술한 갈레리우스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 ↑ 갈레리우스 사후 그 자리를 이어받은 인물. 콘스탄티누스 1세와 324년까지 강화를 맺었으나 결국 밀려난다.
- ↑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의 후임으로 기독교를 공인. 기독교 쪽에서는 콘스탄티누스 '대제'라 부른다.
- ↑ 콘스탄스와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바로 형제싸움.
- ↑ 휘하 장군 마그넨티우스의 반란이었다.
- ↑ 콘스탄티우스 1세는 바로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 ↑ 배교자란 뜻의 아포스타타란 별칭이 붙고 최후의 '이교도' 황제로 일컬어지지만 엄밀히 따지면 아니다. 그의 이후로도 공개적으로 이교도를 자처한 황제가 한 명 더 등장하기 때문이다. 서로마 제국만 로마 제국이란 생각에서는 맞다고 볼 수 있겠지만.
- ↑ 사실 서로마 제국 황제 가운데, '이교도 황제' 는 한 사람 더 있다. 유게니우스(재위: 392년~394년)라는 사람인데, 다만 그는 정치적인 필요상 로마의 전통 종교를 지지하긴 했지만 본인은 기독교도였고 정통 황제가 아니라 테오도시우스 1세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키고 황제를 자칭했다. 따라서, '이교도 황제' 라 불러줄 만 한지는 각자 판단하기 나름.
- ↑ 콰디족 사절단의 오만방자한 태도를 보고 열받아서(...)죽었다고 한다.
- ↑ 그라티아누스 황제가 이탈리아를 따로 떼어주고 임명했다
- ↑ 실질적으로는 383년부터 테오도시우스가 제국 전역을 통치하기 시작했다. 이 때 그라티아누스가 반란군에게 암살되고 발렌티니아누스 2세는 쿠데타군을 피해서 동방으로 피난을 가기 때문.
- ↑ 기독교를 제외한 다른 종교를 모두 금지했다. 기독교 쪽에서는 테오도시우스 '대제'라 부른다.
- ↑ 콘스탄타누스 가문과는 큰 연관이 없다. 그냥 이름이 같은 것 뿐.
- ↑ 2년간의 공백이 생긴 이유는 이 때 동로마 제국에 체류하고 있었기 때문.
- ↑ 사실 암살이라고 하기도 뭐한 게 원정이 실패한 뒤 귀환하던 그의 일행을 리키메르의 군대가 대놓고 공격해 몰살시켰기 때문.
- ↑ 리키메르의 손에 독살되었다.
- ↑ 아래에 나오는 올리브리우스가 추대되면서 내전이 일어났다. 최대의 정적이었던 리키메르의 군대가 안테미우스의 군대를 패퇴시키고, 안테미우스는 거지로 분장해서 성당에 숨어들었다가 발각되어 살해되었다.
- ↑ 레오 1세는 절대로 이 사람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한다.
- ↑ 리키메르의 조카인 군도발트가 실권을 잡은 뒤 암살했다.
- ↑ 군도발트가 올린 허수아비 황제.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서로마 제국 황제로 지정한 율리우스 네포스가 쳐들어오자 항복했다.
- ↑ 이후 글리케리우스 파 암살자에게 살해되었다.
- ↑ 오도아케르에 의해서 퇴위된 후 연금받고 살았다고 전해지지만 사망년도는 불명. 율리우스 네포스가 다시 제위에 올랐다고는 하지만, 역사학자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것이 서로마 제국의 멸망.
- ↑ 때문에 이 경우 라틴어인 헤라클리우스는 코이네인 헤라클레이오스가 아니라 이라클리오스가 된다.
- ↑ 독살당했다는 설도 있다.
- ↑ 그리스어 명칭은 이라클리오스(Ηράκλειος), 중세 그리스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한 황제로 여겨지기 때문에 그리스에서는 준 성인수준으로까지 공경받는 황제이다.
- ↑ 이 시기부터 황제들의 인명 역시 그리스어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다만 라틴어식 표기를 아주 저버렸던 것 역시 아니니 유의. 국내에선 코이네 표기만 고집하는 이상한 주장이 한동안 대세였다. 여튼 이 시기 이후 동로마 제국의 공식명칭은 전부 중세 그리스어로 통일한다.
- ↑ 별명 : 털복숭이
- ↑ 별명 : 코가 없는 자
- ↑ 이사브리아에서 출생해서 이 황제의 별칭이 이사브리아인이다.
- ↑ 별명 : 똥싸개... 아기 때 세례받으면서 세례반에 똥을 쌌기 때문.
- ↑ 하자로스. 어머니가 하자르족이었기 때문에 하자르인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 ↑ 눈이 뽑힌 후에 죽은 것은 사실인데, 자료마다 죽은 시기가 제각각이다.
- ↑ of Athens라는 뜻. 아테네 출신이어서 이런 별명이 붙었다.
- ↑ 불가르족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해골은 은도금되어 크룸의 술잔이 되었다.
- ↑ 불가르족과의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
- ↑ 최초의 성을 가진 황제.
- ↑ 아르메니아 출생
- ↑ 출생지는 아르메니아지만 10대에 마케도니아로 이주. 따라서 그가 창시한 왕조를 마케도니아 왕조라고 한다.
- ↑ 사냥을 하다가 사슴뿔에 들이받혀 죽었다고 하는데 암살을 당했다는 설도 있다.
- ↑ 별명 : 현자
- ↑ 별명 : Born in purple. 태어났을 때 부모가 모두 황제와 황후의 신분이여야 이 칭호를 받는다. 태어났을 때부터 황자, 황녀 라는 뜻.
- ↑ 이것 역시 별명이다
- ↑ 독살로 추정됨
- ↑ 요안니스 1세 치미스키스에게 살해당했다.
- ↑ 별명 : '치미스키스'는 별명. 쿠르쿠아스 가문 출신이다. 어머니가 니키포로스 2세의 여자 형제였으므로 니키포로스 2세의 친조카에 해당한다.
- ↑ 독살로 추정됨
- ↑ 불가르인의 학살자라는 뜻
- ↑ 미카일 4세가 그를 암살하고 조에와 재혼해 황제가 되었다.
- ↑ 파플라고니아인
- ↑ 별명 : 땜장이
- ↑ 미카일 4세의 조카로 그의 양자가 되어 즉위
- ↑ 여황제
- ↑ 조에의 여동생, 여황제
- ↑ 성. 이후부터 모든 황제들은 성이 있음. 왕조가 있는 경우 그 왕조 구성원이 아닌 인물만 성 표기
- ↑ 성. 실제 불렸던 별명은 '파라피나키스'. 뜻은 '마이너스 1/4'(...). 노미스마 금화로 전에는 밀 1되를 살 수 있었는데 이 황제의 치세 이후 3/4되 밖에 살 수 없어서(...)
- ↑ 사냥 도중에 날아온 화살에 맞아 패혈증으로 인해 사망
- ↑ 안드로니코스에게 살해당한 뒤 보스포루스 해협에 던져짐
- ↑ 별명 : 짙은 눈썹
- ↑ 정식황제로는 인정받지 못했다.
- ↑ 성 : 테오도로스 1세의 데릴사위. 따라서 아들 테오도로스 2세의 성은 라스카리스
- ↑ 반란으로 즉위했으나 폐위당했다
- ↑ 별명 : 어머니의 성. 자신을 드라가시스로 칭하는 것을 좋아했다.
- ↑ 참고로 이 사람의 조카딸인 조이가 러시아의 이반 3세와 결혼해서, 이반 3세는 이걸로 자신이 '제3의 로마'의 황제라고 자칭했다.
- ↑ 다만 오스만 제국측 사료나 후대에 서유럽 역사가들이 쓴 사료 가운데에는 흔히 알려진 것과 달리 도시가 함락되는 순간 목을 맸다거나 겁을 먹고 도망치려다가 끔살당했다거나 하는 등의 내용도 보인다.
- ↑ 다만 토마스 팔레올로고스의 딸인 조에 팔레올로기나가 러시아로 시집을 갔고(시집간 뒤엔 소피아로 개명), 그녀의 핏줄은 이후 1610년까지 이어졌다. 다만 그녀가 낳은 아이들의 성(姓)은 이미 팔레올로고스가 아니었으므로, 팔레올로고스 황가가 조에(소피아)를 통해 이어진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
- ↑ 다만 학자들 사이에서는 안드레아스 자신의 씀씀이가 헤펐다고 보는 경우도 있지만, 교황에게서 받은 생활비 자체가 부족했기에 방탕하고 뭐고 할 것도 없었다(토마스가 로마로 이주한 이래, 그의 가족들은 로마에 살고 있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 ↑ 그리고 스페인의 왕 페르난도 2세와 이사벨 1세에게 또다시 팔아먹었지만, 이미 죽어가던 무렵이었기에 돈을 받았는지는 불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