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제아무리 대단한 권력을 가졌고, 신하들이 만세를 불러주는 왕이라 할지라도 운 나쁜 사람은 옥좌에 앉은지 얼마 되지도 않아 자의든 타의든 자리에서 물러나야 하는 경우가 많다. 그 원인으로는 권력다툼에서의 패배와 암살이 압도적으로 많고, 간혹 가다가 다른 사람에게 왕위를 넘기는 셔틀이 되는 경우도 있다. 1년이나마 재위하다 쫓겨나는 건 그래도 나은 편인데, 1달이나 1주일은 고사하고 하루도 버티지 못하고 쫓겨나는 일도 있었기 때문(…).
재위 기간이 짧은 왕이 생기는 경우 그 국가는 보통 국가 막장 테크를 밟고 있을 가능성[1]이 높은데, 재위기간이 짧다는 것이 권력의 누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2 재위기간이 짧은 왕들 목록
- 왕들 항목의 난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스트에 추가하고 싶으실 때에는 재위기간이 1년 이하인 군주만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 가능하면 재위 기간이 긴 순서대로 정렬해 주세요.
- 비고에 넣을 내용은 주석으로 처리해 주세요.
2.1 1달 초과~1년 미만
군주 | 국가 | 왕조 | 재위기간 | 즉위년일 | 퇴위년일 | 비고 |
정강왕 | 대한민국 | 신라 | 365일 | 886.7.5 | 887.7.5 | |
폐왕 | 대한민국 | 발해 | 약 12개월 | 793 | 793 | |
소황(昭皇) | 베트남 | 리(李) | 약 12개월 | 1224.10 | 1225.10.21 | |
호뀌리(胡季犛) | 베트남 | 호(胡) | 약 12개월 | 1400.2 | 1400/1401 | |
루이 5세 | 프랑스 | 카롤링거 | 11개월 14일 | 986.6.8 | 987.5.22 | |
루이 18세 | 프랑스 | 부르봉 | 11개월 14일 | 1814.4.6 | 1815.3.20 | [2] |
함응이제(咸宜帝) | 베트남 | 응우옌 | 11개월 3일 | 1884.8.1 | 1885.7.4 | [3] |
공제(황태주) | 중국 | 수 | 11개월 1일 | 618.6.22 | 619.5.23 | |
고조 | 중국 | 후한 (오대십국시대) | 약 10개월 | 947.2 | 948 | |
푸아드 2세 | 이집트 | 무하마드 알리 | 10개월 23일 | 1952.7.26 | 1953.6.18 | [4] |
에드워드 8세 | 영국 | 윈저 | 10개월 22일 | 1936.1.20 | 1936.12.11 | |
소제 | 중국 | 남송 | 10개월 9일 | 1278.5.10 | 1279.3.19 | |
루이즈 히폴리테 | 모나코 | 그리말디 | 10개월 3일 | 1731.2.26 | 1731.12.29 | |
아구스틴 1세 | 멕시코 제국 | 이투르비데 | 10개월 | 1822.5.19 | 1823.3.19 | |
첫 번째 가짜 드미트리 | 러시아 | 9개월 27일 | 1605.7.21 | 1606.5.17 | [5] | |
크리스티안 2세 | 스웨덴 | 올덴부르크 | 9개월 22일 | 1520.11.1 | 1521.8.23 | |
레오 2세 | 동로마 제국 | 레오 | 9개월 12일 | 474.2.3 | 474.11.17 | |
해럴드 2세 | 영국 | 앵글로색슨 | 9개월 9일 | 1066.1.6 | 1066.10.14 | |
마나바 | 벵골 | 샤샨카 | 약 8개월 | 625 | 626 | |
하비불라 가지 | 아프가니스탄 | 8개월 26일 | 1929.1.17 | 1929.10.13 | ||
전폐제(前廢帝) | 베트남 | 후 레 | 8개월 25일 | 1459.10.28 | 1460.6.24 | |
홍희제 | 중국 | 명 | 8개월 22일 | 1424.9.7 | 1425.5.29 | |
인종 | 대한민국 | 조선 | 8개월 10일 | 1544.11.28 | 1545.8.7 | |
비텔리우스 | 로마 제국 | 8개월 6일 | 69.4.17 | 69.12.20 | ||
미카일 6세 | 동로마 제국 | 7개월 20일 | 1056.9.1 | 1057.4.20 | ||
남안은왕 | 중국 | 북위 | 7개월 18일 | 452.3.11 | 452.10.29 | |
안정왕 | 중국 | 북위 | 7개월 14일 | 531.10.30 | 532.6.13 | |
갈바 | 로마 제국 | 7개월 7일 | 68.6.8 | 69.1.15 | ||
에드워드 2세 | 잉글랜드 | 웨식스 왕조 | 7개월 7일 | 1016.4.23 | 1016.11.30 | |
스가랴 | 이스라엘 | 북이스라엘 예후 왕조 | 약 6개월 | BC753 | BC752 | |
성왕 | 대한민국 | 발해 | 약 6개월 | 793 | 794 | [6] |
신무왕 | 대한민국 | 신라 | 181일[7] | 839.1/4 | 839.7.23/11.23 | |
상제 | 중국 | 후한 | 6개월 29일 | 106.2.23 | 106.9.21 | [8] |
북향후 | 중국 | 후한 | 6개월 22일 | 125.5.18 | 125.12.10 | |
공제 | 중국 | 후주 | 6개월 6일 | 959.7.28 | 960.2.3 | |
명종 | 중국 | 원 | 6개월 3일 | 1329.2.27 | 1329.8.30 | |
공제 | 중국 | 수 | 5개월 25일 | 617.12.18 | 618.6.12 | |
순종 | 중국 | 당 | 5개월 8일 | 805.2.28 | 805.8.5 | |
충제 | 중국 | 후한 | 4개월 26일 | 144.9.20 | 145.2.15 | |
홍농회왕 | 중국 | 후한 | 4개월 13일 | 189.5.15 | 189.9.28 | |
미카일 5세 | 동로마 제국 | 마케도니아 | 4개월 9일 | 1041.12.11 | 1042.4.20 | |
유수프 4세 | 그라나다 | 나스리드 | 약 3개월 | 1432.1 | 1432.4 | |
여호아하스 | 이스라엘 | 남유다 | 약 3개월 | BC609 | BC609 | |
사마륜 | 중국 | 서진 | 3개월 29일 | 301.2.3 | 301.6.1 | |
민제 | 중국 | 양 | 3개월 28일 | 555.7.1 | 555.10.29 | |
동해왕 | 중국 | 북위 | 3개월 27일 | 530.12.5 | 531.4.1 | |
여호야긴 | 이스라엘 | 남유다 | 3개월 10일 | BC598 | BC598 | |
프리드리히 3세 | 독일 | 호엔촐레른 | 3개월 6일 | 1888.3.9 | 1888.6.15 | |
순종 | 대한민국 | 고려 | 3개월 3일 | 1083.9.2 | 1083.12.5 | |
오토 | 로마 제국 | 3개월 1일 | 69.1.15 | 69.4.16 | ||
무라트 5세 | 터키 | 오스만 | 3개월 1일 | 1876.5.30 | 1876.8.31 | |
소소문 | 중국 | 제 | 2개월 13일 | 494.9.10 | 494.11.23 | |
유소 | 중국 | 송 | 2개월 11일 | 453.3.16 | 453.5.27 | |
스타우라키우스 | 동로마 제국 | 니키포로스 | 2개월 8일 | 812.7.26 | 812.10.2 | |
알렉시우스 5세 | 동로마 제국 | 앙겔로스 | 2개월 5일 | 1204.2.5 | 1204.4.12 | |
살룸 | 이스라엘 | 북이스라엘 살룸 왕조 | 약 1개월 | BC752 | BC752 | |
영자영 | 중국 | 진 | 1개월 16일 | BC207 | BC207 | |
유주 | 중국 | 북위 | 1개월 15일 | 528.4.2 | 528.5.17 | |
영종 | 중국 | 원 | 1개월 13일 | 1332.10.23 | 1332.12.14 | |
움베르토 2세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1개월 3일 | 1946.5.9 | 1946.6.12 | [9] |
사반왕 | 대한민국 | 백제 | 미상 | 234 | 234 | [10] |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는 네로 황제 이래 차례로 즉위함으로써 그 막장성을 더했다...
조선 단종의 선배 고려 헌종의 재위기간은 음력 1094년 5월 2일~1095년 10월 7일(양력 1094년 6월 17일~1095년 11월 6일, 1년 142일)이라서 리스트에서 제외. 신라의 소성왕도 재위기간이 1년 남짓이지만 정확히 1년은 넘겼기 때문에 리스트에서 제외(798년 12월 29일 즉위, 800년 6월 훙서). 조선 예종도 1년은 넘겨서 역시나 제외다. 1468년 9월 22일에서 1469년 12월 31일까지 1년 3개월 정도 재위했다. 고려 헌종보다도 짧다.
2.2 1주 초과~1달 미만
군주 | 국가 | 왕조 | 재위기간 | 즉위년일 | 퇴위년일 | 비고 |
천순제 | 중국 | 원 | 29일 | 1328.10.16 | 1328.11.14 | |
태창제 | 중국 | 명 | 29일 | 1620.8.28 | 1620.9.26 | |
창읍왕 | 중국 | 전한 | 27일 | BC74.7.18 | BC74.8.14 | [11] |
밀란 오브레노비치 | 세르비아 | 오브레노비치 | 26일 | 1839.6.25 | 1839.7.8 | |
콘스탄틴 | 러시아 | 로마노프 | 24일 | 1825.12.1 | 1825.12.25 | |
고르디아누스 1세 | 로마 | 내란기 | 21일 | 238.3.22 | 238.4.12 | |
고르디아누스 2세 | 로마 | 내란기 | 21일 | 238.3.22 | 238.4.12 | |
유주(幼主) | 중국 | 북제 | 20일 | 577.2.4 | 577.2.24 | |
상제(殤帝) | 중국 | 당 | 18일 | 710.7.8 | 710.7.25 | |
아니칸가 마하디파다 | 스리랑카 | 폴로나루와 | 17일 | 1209 | 1209 | |
나폴레옹 2세 | 프랑스 | 보나파르트 | 16일 | 1815.6.22 | 1815.7.7 | |
자야(子野) | 중국 | 노(魯) | 14일 | BC542.6.28 | BC542.7.11 | [12] |
루이 2세 | 홀란트 | 보나파르트 | 12일 | 1810.7.1 | 1810.7.13 | |
선통제 | 중국 | 청 | 11일 | 1917.7.1 | 1917.7.12 | [13] |
제인 그레이 | 잉글랜드 | 튜더 | 9일 | 1553.7.10 | 1553.7.19 | |
사드 알압둘라 알살림 알사바 | 쿠웨이트 | 알사바 | 9일 | 2006.1.15 | 2006.1.24 | [14] |
앙리 5세 | 프랑스 | 부르봉 | 7일 | 1830.8.2 | 1830.8.9 | [15] |
통 란 | 태국 | 아유타야 | 7일 | 1370 | 1370 | |
시므리 | 이스라엘 | 북이스라엘 시므리 왕조 | 7일 | BC885 | BC885 |
2.3 1일 초과~1주 미만
군주 | 국가 | 왕조 | 재위기간 | 즉위년일 | 퇴위년일 | 비고 |
오토 비테 | 알바니아 | 5일 | 1913.8.13 | 1913.8.18 | ||
'유복자왕' 장 1세 | 프랑스 | 카페 | 5일 | 1316.11.15 | 1316.11.20 | [16] |
크라테로스 | 마케도니아 | 아르가이 | 4일 | BC399 | BC399 | |
효문왕 | 중국 | 진 | 3일 | BC250.11.12 | BC.250.11.14 | [17] |
중종(中宗) | 베트남 | 전 레(前黎) | 3일 | 1005.10 | 1005.10 | |
폐제(廢帝) | 베트남 | 후 레(後黎) | 3일 | 1516 | 1516 | |
죽득제(育德帝) | 베트남 | 응우옌 | 3일 | 1883.7.20 | 1883.7.23 | |
이나야툴라 칸 | 아프가니스탄 | 바라크자이 | 3일 | 1929.1.14 | 1929.1.17 | |
디펜드라 | 네팔 | 샤 | 56시간 | 2001.6.1 | 2001.6.4 | [18] |
사이드 칼리드 빈 바르가쉬 | 잔지바르 | 알부사이드 | 2일 | 1896.8.25 | 1896.8.27 | [19] |
2.4 1일 미만
군주 | 국가 | 왕조 | 재위기간 | 즉위·퇴위년일 | 비고 |
미하일 2세 | 러시아 | 로마노프 | 약 16시간 | 1917.3.15 | [20] |
완안승린(完顏承麟) | 중국 | 금 | 약 12시간 | 1234.2.9 | [21] |
루이스 2세 | 포르투갈 | 브라간사-작센-코부르크고타 | 약 20분 | 1908.2.1 | [22] |
루이 19세 | 프랑스 | 부르봉 | 약 15~20분 | 1830.8.2 | [23] |
3 관련 문서
- ↑ 아래의 왕들의 목록 중에서 프랑스, 이집트, 러시아, 포르투갈
- ↑ 초기 재위. 나폴레옹이 엘바섬에서 복귀한 후 백일천하가 끝나자 복위하여 9년 더 재위했다.
- ↑ 세계사 교과서에서 베트남을 다룰 때 한번은 꼭 나오는 황제로, 근황군 봉기를 촉구한 격문을 발표한 사람이다. 발표 당시의 그의 나이 14세. 격문 발표 직후 수도를 탈출해 지방을 돌며 프랑스에 저항하다가 1888년 알제리로 망명했고 1943년 72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 ↑ 아버지인 파루크 1세가 실정을 거듭하다가 결국 국민의 신망을 잃어 군부의 실력자 나세르의 쿠데타가 성공해 이탈리아로 망명했다. 이에 푸아드 2세가 형식적으로 즉위했으나 다음해에 왕정이 폐지되었다. 스위스로 건너갔으며 현재 59세.
- ↑ 류리크 왕조의 마지막 차르 표도르가 후사 없이 사망해 황통이 단절되자 표도르의 장인 보리스 고두노프가 차르가 되었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세력이 어렸을 때 사망한 표도르의 형 드미트리를 내세워 그에게 대항했고 이때 수도사였던 그리고리 오트레피에브가 드미트리를 참칭해 정식으로 즉위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차르가 되고 나서 이상한 짓만 하는 바람에 민심을 잃어 끔살당했다.
- ↑ 793년 끝에 즉위해 794년 초에 사망.
- ↑ 삼국유사에 따르면 839년 11월에 사망해 10개월.
- ↑ 중국 역대 최연소 황제. 태어난 지 1년도 안 돼서 황제가 되었다가 8달 만에 감기에 걸려 사망했다.
- ↑ 2차대전 패전 책임을 두고 왕정폐지 찬반투표를 앞둔 가운데 부친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어떻게든 왕정을 유지해보려고 인기없는 자신이 퇴위하여 망명하고 그나마 인기있는 아들인 움베르토 2세를 후계자로 세운건데… 그 노력이 헛되어 국민투표에서 왕정폐지가 결정되었다.
- ↑ 거의 즉위 직후에 폐위된 것으로 추정됨.
- ↑ 소제 사후 곽광이 옹립했으나 한 달도 되지 않는 동안 1천 개가 넘는 죄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폐위되었다. 근데 어린 나이에 즉위한 왕들 항목에서는 즉위 당시 8세(...). 사마광에 따르면 그가 소제(昭帝)의 빈소에 가면서 '슬퍼하는 기색이 없이 길위에서 고기 반찬을 먹으니, 곽광(霍光)이 그 죄를 묻고 폐했다고...
- ↑ 아버지 양공(襄公)이 죽은 후 옹립되었으나, 아버지를 잃은 슬픔을 견디지 못하고 생을 마감했다.
- ↑ 복위사건, 이른바 장훈의 복벽으로 인한 재위기간.
- ↑ 선왕이자 부친인 셰이크 자베르 알아흐메드 알사바가 사망하여 왕위에 올랐으나, 공식석상에서 휠체어를 타고 다른 사람과 악수를 하지 못할 정도로 건강 상태가 나쁘다는 이유로 9일만에 퇴위하고 뒤이어 사촌이자 현 국왕인 사바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가 즉위하였다. 퇴위한 지 2년만인 2008년 5월 13일에 사망하였다.
- ↑ Henry V, 1820년 9월 29일 - 1883년 8월 24일. 샤를 10세의 손자이자 샹보르 백작. 7월 혁명으로 샤를 10세가 양위했으나 7일만에 섭정으로 예견되었던 루이 필리프에게 쫓겨났다. 이후 1870년 나폴레옹 3세가 폐위되자 다시 제위를 주장하였으나 프랑스 혁명을 부정하여 등극하지 못했다. 후계자 없이 사망해 부르봉 왕조는 단절.
- ↑ 이 왕은 재위기간=수명이다. 태어나자마자 즉위한 것.
- ↑ 아버지 소양왕이 56년 동안 재위한 여파 또는 여불위가 독살했다는 주장이 있다.
- ↑ 왕세자였던 디펜드라는 부왕 비렌드라를 포함한 왕족들에게 총을 난사해 15명을 살상한 뒤 자기 머리에 총을 쐈지만 의식 불명상태에 빠졌다. 병원 후송된 디펜드라는 이 상태에서 왕위를 자동 승계했다가 56시간 뒤 사망했고 비렌드라의 동생 갸넨드라가 다음 왕이 되었는데 그가 이 사건의 흑막이라는 소문이 있다 카더라.
- ↑ 영국-잔지바르 전쟁에 의해 퇴위 당하였다.
- ↑ 흔히 말하는 미하일 대공. 러시아 혁명(2월 혁명)이 일어나자 형 니콜라이 2세로부터 양위받았지만 민중들이 거세게 반발했고 임시 정부도 퇴위를 권고해 결국 이를 받아들였다. 그리고 1년 뒤에 끔살.
- ↑ 금나라의 마지막 황제이자 중국 역사상 최단기간 재위한 황제. 항목 참조. 사실상 기네스북에도 오른 (정식으로 즉위한) 최단 재임 황제.
- ↑ 아버지인 포르투갈의 카를루스 1세가 공화파에게 암살당할 때 같이 총을 맞았으며, 아버지보다 20분 더 오래살았지만 결국 세상을 떠났고, 왕위는 그나마 팔에만 총을 맞았던 동생인 마누엘 2세가 계승한다. 어떤 상황이였냐면 왕실 가족들이 모두 함께 리스본 거리를 걷고 있는 도중에 암살자들이 저격을 한 상황. 이 사건의 여파로 인해 왕실인 브라간사-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는 왕정 폐지 후 후손이 없어서 가문의 대가 끊긴다. 참고로 영문판 위키백과에서는 포르투갈에서는 선왕이 죽을 경우 자동적으로 왕위를 계승하는 법이 없으므로 포르투갈에서는 왕으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언급되어 있는데...정확한 정보를 아는 위키러는 수정바람. 덧붙여서 마누엘 2세의 재위기간에 포르투갈은 왕정이 폐지된다...
- ↑ 앙굴렘 공작 루이 앙투안. 샤를 10세의 아들로 앙리 5세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과정에서 형식적으로 20분간 재위했다. 루이 필리프 1세 재위 후 영국에 망명한 후에야 형식적인 대관식이나마 할 수 있었다. 후사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