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나이에 즉위한 군주들

1 개요

성년이 되지 않은 어린 나이(0~19세)에 황제 등 군주가 되는 경우는 대체로 선대왕의 병크 또는 단명, 주변 세력들의 병크, 왕위 계승에 있어서 직계자손 고집으로 인한 폐해,[1] 혹은 앞의 세 가지 이유가 모두 어우러진 경우 등 이유가 다양하다.

문제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는 것으로 이들의 이야기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 대개 이러면 왕의 후견인이 섭정이 되어 대신 정치를 맡는데 이러면서 생기는 정치적 폐단과 민심 문란 등으로 하루가 편한 날이 없고 이 상황이 심화되기 시작하면 황실 가족들끼리도 유혈사태가 일어난다. 덕분에 어린 나이에 왕위에 등극한 사람치고 일생이 편안하거나 그 마지막이 정상적인 사람이 드물다. 후새드.

물론 예외는 있다. 조선 성종은 후세에 성공한 왕으로 평가받으며, 성종도 명군이었다. 고구려신라의 부흥기를 이끈 정복군주 태조왕진흥왕은 고작 7세에 즉위했다.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으로 유명한 후기신라의 명군 성덕왕은 11살 즉위, 그리고 여러모로 유명한 프랑스루이 14세도 어릴 때 즉위했다. 광개토왕흠좀무.[2] 그리고 중국 역대 황제 중 끝판왕인 강희제도 8세에 즉위했다.

덧붙여, 시간이 지난 뒤에 어리다고 얕잡아보는 자들을 역관광보내는 경우도 있다. 조선 숙종[3], 진시황, 이반 뇌제, 루이 14세, 메흐메트 2세, 표트르 대제 등이 그런 경우.

다음 목차에서는 0~19세의 나이로 왕이나 황제가 된 사람들을 다룬다.[4] 국가, 군주, 등극할 당시의 나이, 즉위년일, 퇴위년일, 재위기간, 섭정의 순서이며, 군주와 섭정이 혈연관계인 경우 괄호 안에 명기했고 섭정 없이 친정했을 경우에는 '친정'이라 표기했다.

2 실존인물

2.1 한국사

고려, 조선 시대의 연대는 양력으로 환산되었다.

국가군주등극시 나이즉위년일퇴위년일재위기간섭정/친정
고구려대무신왕15세184426년친정
태조왕7세5314693년부여태후(생모)
광개토대왕18세39141221년친정
장수왕18세41349178년친정
신라박혁거세13세BC57AD461년친정, 혹은 촌장대신들[5]
진흥왕7세54057636년법흥왕비 보도부인(백모)
효소왕5세69270210년
성덕왕11세70273735년
효성왕15~16세7377425년
혜공왕8세76578015년경덕왕비 만월부인(생모)
애장왕13세8008099년김언승(숙부)
경문왕16세[6]86187514년
백제삼근왕13세4774792년좌평 해구
가야김수로생후 15~40일42199157년친정[7]
고려목종17세997.11.291009.3.211년 96일경종천추태후(헌애왕후, 생모)
현종18세1009.3.21031.6.722년친정
덕종15세1031.6.71034.10.313년현종비 원성태후(생모)
정종16세1034.10.311046.6.412년현종비 원성태후(생모)
헌종10세1094.6.171095.11.61년 142일선종비 사숙태후(생모)
인종14세1122.5.151146.4.1024년예종비 인예태후(생모)
충혜왕15세1130
1339
1332
1334
2년
5년
충숙왕비 명덕태후(생모)
충목왕8세134413484년충혜왕비 덕녕공주(생모)
충정왕11세134813513년충혜왕비 덕녕공주(적모)[8]
우왕9세1374138814년충숙왕비 명덕태후(조모)
창왕9세138813891년
조선단종12세1451.6.11455.6.253년 24일김종서 등 고명대신 → 수양대군(숙부)[9]
예종19세1468.9.221469.12.311년 100일친정[10]
성종13세1469.12.311495.1.2025년 20일세조비 정희왕후(자성대비, 조모)
명종12세1545.8.71567.8.221년 252일중종문정왕후(성렬대비, 생모)
선조16세1567.8.21608.3.1640년 237일명종비 인순왕후(선렬대비, 양모)[11]
현종19세1659.6.231674.9.1715년 90일친정
숙종14세1674.9.171720.7.1245년 310일친정
순조11세1799.7.301834.12.1335년 144일영조정순왕후(예순대비, 계증조모)[12]
헌종8세1834.12.131849.7.2514년 228일순조비 순원왕후(명경대비, 조모)
철종19세1849.7.251864.1.1614년 178일순조비 순원왕후(명경대비, 양모)
고종12세1864.1.161907.7.1943년 194일문조신정왕후(효유대비, 조 대비. 양모)
흥선대원군(생부)

2.2 세계사

2.2.1 중국

국가군주등극시 나이즉위년일퇴위년일재위기간섭정/친정
성왕13세?BC1042?BC1021?21년?주공 단
평공5세?BC576BC53244년화원
(晉)도공14세BC573BC55815년친정
평공13세?BC558BC53226년
양공3세BC572BC54230년계손행보
간공5세BC565BC53035년자사
(秦)녕공10세BC716BC70412년
출자5세BC708BC6986년
시황제13세BC247.7.6BC210.8.1137년여불위
전한소제8세BC87.3.30BC74.6.513년곽광, 김일제
창읍왕8세BC74.7.18BC.8.1427일곽광
성제18세BC33BC726년
평제9세BC1AD6.1.46년왕망
유자영1세68.112년왕망
후한화제10세88.2105.1217년장덕황후 두씨(양모)[13] → 두헌[14]
상제생후 100일[15][16]105.12106.89개월화희황후 등씨(양모)[17]
안제12세10612519년화희황후 등씨
순제11세12614418년
충제2세144.5.23145.2.151년양기
질제8세1451461년양기
환제15세14716720년양기
영제12세16818921년효인황후 동씨(생모)[18]
소제13세189.5.15189.9.284개월영사황후 하씨(생모), 하진(외숙부)
헌제9세189.9.28220.12.1031년동탁
촉한유선17세22326340년제갈량
조방9세23925415년사마의
조모14세2542606년사마사
조환15세2602655년사마소
손량8세2522586년제갈각, 손준, 손침
동진성제5세32534217년명목황후 유씨(생모) → 왕도, 유량
목제2세34436117년강헌황후 저씨(생모)
효무제10세37239624년
안제14세39641812년
소제17세422.6.26424.7.72년서선지, 부량, 사회, 단도제
문제17세42445319년
전폐제15세464.7.12466.1.11년
후폐제10세472.5.11477.8.15년
순제10세477.8.5479.5.271년소도성
해릉왕14세494.9.10494.11.232개월
동혼후15세4985013년
화제13세501.4.14502.4.301년 16일소연
경제12세5555572년진패선, 왕승변
폐제12세5665682년
북위문성제12세45246513년
헌문제11세4654716년문명황후 풍씨(적모)
효문제4세471.9.20499.4.2627년 218일문명황후 풍씨(조모)
선무제16세49951516년원희(숙부), 왕숙
효명제4세51552813년영황후 호씨(생모)
유주3세5285282개월영황후 호씨
후폐제18세5315326개월고환
동위효정제9세53455016년고환
서위공제17세5545562년우문각
북제폐제14세5595601년
후주9세56557712년
유주7세5775772개월
북주선제19세5785791년
정제7세5795813년양견
공제12세617.12.18618.6.12176일이연
상제15세710.7.8710.7.2517일위황후(생모)
경종15세824.2.29827.1.92년 315일
문종17세827.1.13840.2.1013년 28일
희종11세873.8.16888.4.2014년 251일
애제12세904.9.26907.5.122년 228일주전충
후주공제7세9599601년조광윤
성종11세982.10.141031.6.2548년 254일예지황후 소씨(생모)[19]
흥종15세1031.6.251055.8.2824년 64일흠애황후 소씨(생모)
인종13세1022.3.231063.4.3041년 37일장헌황후 유씨(적모)
신종19세1067.1.251085.4.118년 66일
철종10세1085.4.11100.2.2314년 331일선인황후 고씨(조모)
휘종18세1100.2.231126.1.1825년 329일흠성황후 향씨(적모)
이종19세1224.9.171264.11.1640년 60일사미원
공제4세1274.8.121276.2.41년 176일사황후(조모), 전황후(생모)
단종9세1276.6.141278.5.81년 328일
조병8세1278.5.101279.3.19313일
정통제9세1435.2.7
1457.2.11
1449.9.1
1464.2.23
14년 206일
7년 12일
왕진
천계제16세1620.10.11627.9.306년 364일위충현
순치제6세1643.10.81661.2.517년 120일예친왕
강희제8세1661.2.51722.12.2061년 318일보정대신 4명
동치제5세1861.11.111875.1.1213년 62일효정현황후(적모)+효흠현황후(생모)
광서제4세1875.2.251908.11.1433년 263일효흠현황후(숙모)
선통제[20]3세1908.12.21912.2.123년 72일순친왕(생부)

2.2.2 일본

2.2.3 기타

3 가공의 인물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4 관련 문서

  1. 이게 동아시아에서만 일어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있는데, 밑에서 볼 수 있듯이 유럽이나 중동은 더했으면 더했지 못하지 않았다. 태아의 계승권을 미리 인정하고 아들로 태어나면 바로 왕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
  2. 광개토왕을 제외하고는 어렸을 적 할머니나 어머니, 후견인들이 섭정에 충실하여 왕들이 성인이 된 후의 발판이 되어 주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3. 사실 이쪽은 즉위 직후부터 예송논쟁을 이어받아 환국을 진행시켜버렸다. 또 다음 다음 환국에서는 송시열을 숙청했다.
  4. 이 기준에 따라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즉위한 건 20세(동아시아식 나이로는 21세)이므로 제외한다.
  5. 6촌이 6부가 되었고, 촌장들의 이름도 다 있으니, 엄밀하게 촌장도 맞다. 그러나 13세가 되니 숙성하여 왕이 되었다고 하니 13세 이후는 친정이라고 볼 수도 있다.
  6. 삼국유사에 의하면 19세.
  7. 가야 건국 설화에 의하면 왕이 알에서 깨어난 뒤부터 계속 자랐다고 하며 다음 달 보름(생후 15~40일 사이)에는 웬만한 성인과 같아졌다고 한다. 프라이마크 물론 신화의 내용이므로, 실제 즉위 나이는 알 수 없다.
  8. 충정왕의 생모는 충혜왕의 후궁인 희비 윤씨지만 덕녕공주가 정비로서 섭정을 했다.
  9. 수렴청정을 맡을 대비가 없었다.
  10. 이에 대해선 약간 논란이 있는데, 막 즉위했을 무렵엔 모후(생모)인 정희왕후가 동석해 수렴청정했으나 금방 거뒀다는 것이 정설이다.
  11. 단 선조가 총명하여 1년 가까이만 수렴을 하고 이후 일찍 거두었다. 지나친 총명
  12. 이미지와 달리 3년만에 수렴을 거두었다.
  13. 장제의 정비. 화제의 생모 양귀인을 죽였다.
  14. 장덕황후 두씨의 오빠.
  15. 김수로를 제외하고 동아시아 최연소 군주. 황제로서는 동아시아 최연소.
  16. 페르시아의 샤한샤는 보통 황제로 간주되기 때문에 동서양 다 합쳐서 샤푸르 2세가 최연소 황제인 것으로 간주됨.
  17. 화제의 두 번째 황후.
  18. 삼국지에 등장하는 동태후.
  19. 일반적으로는 승천태후 또는 소태후로 유명하다.
  20. 영화 마지막 황제의 주인공 그분 맞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21. 호르미즈드 2세는 임신중인 아내 이프라의 뱃속에 있는 태아에게 샤푸르 2세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왕위계승자로 삼았다. 남편의 유언을 충실하게 지킨 이프라는 샤푸르 2세의 대관식 때 자신의 배 위에(물론 그 안에 샤푸르가 들어있기 때문) 왕관을 올렸으며, 출산 전까지 왕관을 다리 사이에 두어 태아가 태어나자마자 즉위하도록 만반의 준비를 했다. 아들이 아니면 어쨌으려고(...)마기들이 아들이라고 호언장담하긴 했다. 일단 동서양 합쳐서 최연소 황제로 간주.
  22. 유복자였다. 즉, 태어나기 전부터 왕위 계승이 확정되어 있던 것. 생후 5일 만에 죽었지만(...)
  23. 프랑스 시민들의 불만이 커지자 샤를 10세는 손자인 앙리에게 양위한 후 인기가 좋았던 친척 루이 필리프에게 섭정을 맡길 생각이었는데, 7월 혁명 때문에 앙리 5세가 즉위했을 때 혁명의 주도 세력이 루이 필리프를 왕으로 옹립(사실 루이 필리프 자신이 혁명을 일으킨 사람 중 한 명이기도 했다.)하면서 물거품이 되었다.
  24. 장 1세와 마찬가지로 유복자였다. 즉, 아들로 태어나면 누나들을 제치고 태어나기 전부터 왕위 계승이 확정되어 있던 것. 장 1세와는 다르게 오래살았지만 공화혁명으로 퇴위당한다.
  25. 독살설이 유력함
  26. 실질적인 왕위에 오른 것은 16세, 대관식 후 정식으로 왕이 된 것은 21세이다.
  27. 다만 G16을 끝냈을 경우에만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