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향공신

配享功臣

1 개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나라에 큰 공이 있거나 이름을 떨친 공신들을 왕실의 사당인 종묘에 모셔놓은 것을 말한다. 이름하여 '종묘배향공신'. 나라의 제도에서 유래했다.

왕이 사망했을 경우 그의 치세에 큰 공을 세운 명신을 뽑아서 그 왕과 함께 왕실 사당인 종묘에 모시는 것으로, 여기에 드는 것은 본인은 물론 가문에 엄청난 영광이었다. 또한 여러 왕의 치세에 벼슬을 했던 신하가 있어도 공신으로는 한 번. 즉 한 명의 왕과만 함께 배향된다. 이것 때문에 가끔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일반적으로는 선왕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먼저 재위한 왕의 공신으로 올라간다.

한편 공신은 아니지만 공자의 사당인 성균관 문묘나 향교에 모시는 유명한 선비로 '문묘명현(文廟名賢)'이라는 것이 있다. 한국의 유학자로는 18인이 모셔져 있는데 이들을 '문묘 18현(文廟十八賢)'이라고 부른다. 문묘에 모셔지는 사람의 신위는 당대의 정치상황을 고려하여 정해지며, 후대에 정치 상황이 바뀌면 추가로 모셔지거나 빠지는 경우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숙종시절 환국으로 정국이 어수선할 때 이이성혼은 문묘에서 빠졌다가 다시 배향되기를 반복했다. 오늘날에는 둘 다 문묘에 배향되어 있다.

배향공신과 관련해서 충격적인 사실을 들자면 이완용도 종묘배향공신에 최소 5년간 모셔진 대참사가 실제 일어났다. 1928년 5월에 대한제국 시기의 고위 관료와 황실 인사들이 후보 추천과 투표를 거쳐 순종의 배향공신으로 송근수, 김병시, 이경직, 서정순 4인을 정한 후, 순종의 후사였던 황태자 이은에게 보고하고 결재를 받았다[1]. 그러나 며칠 후 이왕직 장관인 한창수의 주장에 따라 김병시, 이경직이 보류되고 이완용이 추가되었고[2], 배향공신 논의에 참여했던 고위 관료 출신과 황실 인사들이 이에 반발하자 7월에 이왕직은 배향공신의 종묘 배향을 일단 보류하였다. 그러나 1940년 3월 11일에 송근수, 12일에 이완용, 13일에 서정순을 종묘에 배향하는 의식을 정식으로 치렀으며[3], 이왕직에서 간행한 기록물에 이를 등재하였다. 해방 후에 이완용의 신위는 당연히 출향되었고, 김병시, 이경직의 종묘 배향이 정식으로 진행되었는지 여부가 분명하지 않아서 다수 기록물에 순종의 배향공신이 송근수, 서정순 2인만 기재되어 있다. 이완용은 저승에서 다른 종묘배향공신들에게 뒤지게 처맞았을 것이다. 지금도 있었으면 종묘에서 여러 사람 뒷목 잡고 쓰러졌을 듯

2 역대 왕조의 배향공신

2.1 한국

2.1.1 고려

묘정시호작호공신이름출생사망배향비고
태조무열공(武烈公)-[4]배현경(裵玄慶)?936994(성종 13)
충렬공(忠烈公)-[5]홍유(洪儒)?936994(성종 13)
무공공(武恭公)-[6]복지겸(卜智謙)??994(성종 13)
장절공(壯節公)-[7]신숭겸(申崇謙)?927994(성종 13)
충절공(忠節公)-[8]유금필(庾黔弼)?941994(성종 13)
희개공(熙愷公)--최응(崔凝)8989321027(현종 18)
혜종엄의공(嚴毅公)-[9]박술희(朴述熙)?945994(성종 13)태조의 고명대신
극익공(克翼公)-[10]김견술(金堅術)??994(성종 13)
정종위정공(威靜公)-[11]왕식렴(王式廉)?949994(성종 13)
광종광위공(匡衛公)-[12]유신성(劉新城)??994(성종 13)
정민공(貞敏公)--서필(徐弼)901965994(성종 13)
경종민휴공(敏休公)--최지몽(崔知夢)907987994(성종 13)
광익공(匡益公)--박양유(朴良柔)??1027(현종 18)
성종광빈공(匡彬公)--최량(崔亮)?995998(목종 1)
문정공(文貞公)[13]-최승로(崔承老)927989998(목종 1)
정헌공(貞憲公)--이몽유(李夢游)??1027(현종 18)
장위공(章威公)--서희(徐熙)9429981027(현종 18)
---이지백(李知白)??1027(현종 18)
목종정신공(貞信公)--한언공(韓彦恭)94010041027(현종 18)
충의공(忠懿公)--최숙(崔肅)??1027(현종 18)성종의 배향공신 최승로의 아들
---김승조(金承祚)??1027(현종 18)
현종인헌공(仁憲公)[14][15]강감찬(姜邯贊)9481031
절의공(節義公)[16][17]최항(崔沆)9721024
정숙공(貞肅公)[18][19]최사위(崔士威)96110411052(문종 6)
영숙공(英肅公)[20][21]왕가도(王可道)?1034[22]
덕종양의공(襄懿公)-[23]유소(柳韶)?1038
정종원숙공(元肅公)--서눌(徐訥)?1042광종의 배향공신 서필의 손자
성종의 배향공신 서희의 아들[24]
경문공(景文公)-[25]황주량(黃周亮)??[26]
문헌공(文憲公)-[27]최충(崔冲)9841068
정간공(貞簡公)--김원충(金元冲)??
문종순공공(順恭公)--최제안(崔齊顔)?1046
장화공(章和公)[28][29]이자연(李子淵)10031061인종대의 권신 이자겸의 조부
경숙공(景肅公)--왕총지( 王寵之)?1067
문화공(文和公)-[30]최유선(崔惟善)?1075정종의 배향공신 최충의 아들
순종문충공(文忠公)--이정공(李靖恭)?10991107(예종 2)
선종정헌공(貞獻公)[31][32]문정(文正)?1093
광숙공(匡肅公)--유홍(柳洪)?1091숙종비 명의태후 유씨의 아버지
문정공(文貞公)--김상기(金上琦)1031?
숙종충겸공(忠謙公)-[33]소태보(邵台輔)10341104
경렬공(景烈公)--왕국모(王國髦)?1095
충경공(忠景公)[34][35]최사추(崔思諏)10341115정종의 배향공신 최충의 손자
예종정간공(貞簡公)--유인저(柳仁著)?1113
문숙공(文肅公)[36][37]윤관(尹瓘)?11111130(인종 8)
문성공(文成公)-[38]김인존(金仁存)?1127
충렬공(忠烈公)--위계정(魏繼廷)?1107
장순공(章順公)--왕자지(王字之)10661122배향 철회[39]
인종장경공(莊景公)-[40]최사전(崔思全)106711391147(의종 1)
문열공(文烈公)[41][42]김부식(金富軾)107511511153(의종 7)의 저자
의종-최윤의(崔允儀)정종의 배향공신 최충의 현손
<상정고금예문>의 저자
공숙공(恭肅公)유필(庾弼)
-문공원(文公元)
명종(文定公)윤인첨(尹鱗瞻)예종의 배향공신 윤관의 손자
충숙공(忠肅公)문극겸(文克謙)
신종문경공(文景公)조영인(趙永仁)
희종문의공(文懿公)최선(崔詵)
양숙공(良淑公)임유(任濡)
강종익렬공(翊烈公)정극온(鄭克溫)
고종문정공(文定公)조충(趙冲)신종의 배향공신 조영인의 아들
-이항(李杭)
위열공(威烈公)김취려(金就礪)
원종-이세재(李世材)
-채정(蔡楨)
충렬왕문경공(文敬公)허공(許珙)
문량공(文良公)설공검(薛公儉)
충선왕충정공(忠正公)홍자번(洪子藩)
문정공(文定公)정가신(鄭可臣)
충혜왕사숙공(思肅公)한악(韓渥)
-이규(李揆)
문열공(文烈公)[43][44]이조년(李兆年)12691343
충정왕문정공(文貞公)[45][46]이암(李嵒)129713641375(우왕 1)
문충공(文忠公)[47][48]이인복(李仁復)130813741375(우왕 1)고려 말의 권신 이인임의 형
공민왕정헌공(正獻公)[49]-왕후(王煦)129613491376(우왕 2)본래 이름은 권재(權載)
문충공(文忠公)[50]-이제현(李齊賢)128713671376(우왕 2)공민왕의 후궁 혜비 이씨의 아버지
문충공(文忠公)[51][52]이공수(李公遂)130813661376(우왕 2)
양평공(襄平公)[53][54]조익청(曺益淸)?13531376(우왕 2)
문희공(文僖公)[55][56]유숙(柳淑)131613681376(우왕 2)

2.1.2 조선

묘정시호작호공신이름출생사망배향비고
태조문충공(文忠公)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57]조준(趙浚)13461405
경무공(景武公)의안대군(義安大君)[58]이화(李和)13481408태조의 이복동생
충경공(忠景公)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59]남재(南在)13511419[60]
경무공(景武公)흥안군(興安君)[61]이제(李濟)?1398[62]
양렬공(襄烈公)청해군(靑海君)[63]이지란(李之蘭)13311402
강무공(剛武公)의령군(宜寧君)[64]남은(南誾)13541398[65]
충정공(忠靖公)한산군(漢山君)[66]조인옥(趙仁沃)13471396
정종안양공(安襄公)익안대군(益安大君)[67]이방의(李芳毅)13601404태조의 3남

2.1.3 문묘 18현

시대시호작호이름출생사망배향비고

신라시대 2인(설총, 최치원), 고려시대 2인(안향, 정몽주), 나머지 14명은 조선시대 인물이다.

2.2 중국

2.2.1

2.2.2

2.2.3

2.2.4

  1. 순종효황제순명효황후부묘주감의궤(純宗孝皇帝純明孝皇后祔廟主監儀軌) 상권 하교급품의(下敎及上稟) 5월 3일자 '四人抄啓別單書入之意敢稟答曰知道' 4인을 초계하여 별단으로 들이니 품의에 대해 답하시기를 알았다.
  2. 순종효황제순명효황후부묘주감의궤 상권 하교급품의(下敎及上稟) 5월 9일 '下敎曰忠文公金炳始忠肅公李耕稙姑爲保留內 閣總理大臣李完用添書以入' 하교하기를, 충문공 김병시, 충숙공 이경직을 보류하고,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을 추가 기재하여 넣으라.
  3. 종묘숙직일지(宗廟宿直日誌) 1940년 3월 11일, 12일, 13일 기사
  4. 개국일등공신, 삼한벽상공신
  5. 개국일등공신, 삼한벽상공신
  6. 개국일등공신, 삼한벽상공신
  7. 개국일등공신, 삼한벽상공신
  8. 개국이등공신
  9. 개국공신
  10. 개국공신
  11. 개국공신, 광국익찬공신(匡國翊贊功臣)
  12. 공신
  13. 청하후(淸河侯)
  14. 천수현개국후(天水縣開國侯)
  15. 추충협모안국공신(推忠協謀安國功臣), 추충협모안국봉상공신(推忠協謀安國奉上功臣)
  16. 청하현개국자(淸河縣開國子)
  17. 추충진절위사공신(推忠盡節衛社功臣), 수정공신(守正功臣)
  18. 청하현개국백(淸河縣開國伯)
  19. 추충좌리동덕공신(推忠佐理同德功臣), 광국공신(匡國功臣)
  20. 개성현개국백(開城縣開國伯)
  21. 치성공신(致盛功臣), 수충창궐공신(輸忠創闕功臣)
  22. 현종이 당시 무신정변을 진압한 공로를 인정하여 왕씨 성을 하사하였다. 원래의 이름은 이자림(李子琳).
  23. 추충척경공신(推忠拓境功臣)
  24. 이 집안은 살아서는 3대가 모두 재상을 지냈고 죽어서는 3대가 모두 종묘에 배향되는 영예를 누렸다.
  25. 추충진절문덕광국공신(推忠盡節文德匡國功臣)
  26. 여요전쟁 때 불타버린 실록을 복원한 '7대 실록'의 편찬자.
  27. 추충찬도공신(推忠贊道功臣), 추충찬도협모동덕치리공신(推忠贊道恊謀同德治理功臣), 추충찬도좌리동덕홍문의유보정강제공신(推忠贊道佐理同德弘文懿儒保定康濟功臣)
  28. 경원군개국공(慶源郡開國公)
  29. 추성좌세보사공신(推誠佐世保社功臣)
  30. 추충찬화강정수제공신(推忠贊化康靖綏濟功臣)
  31. 장연현개국백(長淵縣開國伯)
  32. 추충찬화탕구정새공신(推忠贊化蕩寇靜塞功臣)
  33. 협모공신(協謀功臣)
  34. 대령군개국후(大寧郡開國侯)
  35. 보정공신(輔正功臣), 추성봉국공신(推誠奉國功臣)
  36. 영평현개국백(鈴平縣開國伯)
  37. 추충좌리평융척지진국공신(推忠佐理平戎拓地鎭國功臣)
  38. 익성동덕공신(翊聖同德功臣)
  39. 이름 때문이 아니라 탐욕이 심하고 부정부패했다 하여 배향이 철회되었다.
  40. 추충위사공신(推忠衛社功臣)
  41. 낙랑군개국후(樂浪郡開國候)
  42. 수충정난정국공신(輸忠定難靖國功臣), 동덕찬화공신호(同德贊化功臣)
  43. 성산군(星山君)
  44. 성근익찬경절공신(誠勤翊贊勁節功臣)
  45.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46. 추성수의동덕찬화공신(推誠守義同德贊化功臣), 추성수의동덕찬화익조공신(推誠守義同德贊化翊祚功臣)
  47. 흥안부원군(興安府院君)
  48. 단성좌리공신(端誠佐理功臣)
  49.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50.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51. 익산부원군(益山府院君)
  52. 추충수의동덕찬화공신(推忠守義同德贊化功臣)
  53. 하성부원군(夏城府院君)
  54. 순성직절동덕찬화공신(純城直節同德贊化功臣)
  55. 서령군(瑞寧君)
  56. 연저수종일등공신(燕邸隨從一等功臣), 안사공신(安社功臣),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
  57. 순충분의좌명개국공신(純忠奮義佐命開國功臣)
  58. 순충분의좌명개국공신(純忠奮義佐命開國功臣)
  59. 순충분의좌명개국공신(純忠奮義佐命開國功臣)
  60. 남은의 형. 동생과는 달리 무인정사 당시 이방원의 편에 속해 있었기에 살아남았고, 이후 부귀영화를 누렸다. 아이러니하게도 태종이 태상왕이 된 뒤 그 동생이랑 같이 배향공신에 추가되었다.
  61. 순충분의좌명개국공신(純忠奮義佐命開國功臣)
  62. 태조의 사위로 경순공주의 남편이다. 무인정사 당시에 정도전과 함께 정안군 이방원에 의해 제거되었으나 후일 태종이 태상왕이 된 뒤 좀 미안했는지 배향공신에 추가되었다.
  63. 순충분의좌명개국공신(純忠奮義佐命開國功臣)
  64. 순충분의좌명개국공신(純忠奮義佐命開國功臣)
  65. 남재의 동생. 무인정사 당시 정도전과 함께 정안군 이방원에 의해 제거되었으나 후일 태종이 태상왕이 된 뒤 배향공신에 추가되었다. 이쪽의 경우 태종이 진짜로 제거해버린걸 후회한 말을 했다.
  66. 순충분의좌명개국공신(純忠奮義佐命開國功臣)
  67. 순충분의좌명개국공신(純忠奮義佐命開國功臣)
  68. 태종의 친척이다.
  69. 양녕대군의 세자 시절 글스승이기도 하다.
  70. 4군의 개척자로 조영무와 더불어 몇 안되는 무장 정승이며 배향된 걸로는 조영무와 최윤덕이 유일하다.
  71. 세종의 대군 시절 글스승이기도 하다.
  72. 중종때 두차례에 걸쳐 14년이나 정승을 맡았고 그중에 11년은 영의정을 한 중종대의 명재상이다.
  73. 기묘사화 때 화를 입었다고 중종 말 중종에 의해 컴백한다.
  74. 명종의 장인인 청릉부원군 심강의 아버지. 그의 손자가 붕당정치의 시작과 관련된 인물인 심의겸이다.
  75. 선조의 고명대신 7명중 하나이다
  76.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의 아들이자 수제자로, 그의 제자에는 대표적으로 송시열, 송준길이 있다.
  77. 인조의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이다.
  78. 인현왕후 민씨의 아버지로, 민정중은 그의 형이다. 영조의 배향공신 민진원이 그의 아들이다.
  79. 대동법 시행의 핵심 인물인 김육의 장남. 김좌명의 동생인 김우명은 현종 비 명성왕후 김씨의 아버지이다.
  80. 송시열의 제자 중에서 송시열에 제일 아꼈다고 전해진다.
  81. 숙종의 장인이다.
  82. 소론의 영수지만 후에 노론으로 전향한다.
  83. 최명길의 손자.
  84. 효종의 배향공신 김좌명의 아들.
  85. 구운몽의 저자인 그 김만중 맞다. 현종의 배향공신인 김만기의 동생.
  86. 김조순의 증조할아버지
  87. 인현왕후 민씨의 오라비.
  88. 효장세자의 장인.
  89. 순조때 출향되나 고종때 복귀
  90. 소론으로 대왕대비가 중용했다. 그러나 대왕대비의 2차수렴시도를 저지시켰다. 이시수 너마저도
  91. 8자흉언사건을 꺼내서 벽파의 재기의 뿌리를 제거해버렸다.
  92.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
  93. 효명세자의 장인, 즉 신정왕후의 아버지이다.
  94. 남이의 후손이다.
  95. 조만영의 아들로, 신정왕후의 오라비.
  96. 순조의 배향공신 조만영의 동생.
  97. 철종 비인 철인왕후 김씨의 백부이다.
  98. 제너럴셔먼호 사건의 해결자이자 개화파의 선조격인 인물이다.
  99. 을미사변 당시 일본군을 막아서다 살해당한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