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항섭

width=50%
건국훈장
독립장(單章) 수훈자
강기덕고광순고두환권기옥권오설기삼연김단야
김덕제김도원김도현김동식김마리아김상덕김상옥
김석김석진김석황김성숙김수민김이원김정익
김진묵김철김철수김학규김홍일남궁억문일민
민양기박상진박장호박재혁박희광반하경방순희
백남규백정기석호필선우혁손정도송병선송진우
송학선심남일안경신안공근안규홍안명근안승우
안태국안희제엄항섭우덕순유관순유림유석현
유일한윤동주윤자영이강훈이상룡이상정이애일라
이윤재이인이재유이재현이춘숙이회영이희승
장도빈장지연정인보정화암조동호조명하조병옥
조지 쇼주기철최중호함석은함태영호머 헐버트장태수

1 소개

독립유공자, 정치인 1898~1962.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독립당 요인으로 김구 선생의 최측근으로 활동했다. 아명은 일파로 엄일파라고도 했다.

2 생애

2.1 생애 초반

1898년 10월 15일(음력 9월 1일)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주록리에서 엄주완과 김규식의 딸 청풍 김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엄세영(嚴世永)으로 농상공부아문 대신 판중추부사, 경상북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였고 아버지는 승지 주완(柱完)이다. 어머니 김씨는 김규식의 1남 3녀 중 둘째 딸이며, 외할아버지 김규식은 규장각 제학과 충청도 관찰사를 지냈으나 단발령을 감행하는 과정에서 단발령에 저항하는 성리학자들에게 암살당했다. 형제로는 형 엄승섭(嚴承燮), 남동생 엄홍섭(嚴弘燮) 등이 있다.

유년 시절에 대한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보성고등보통학교[1]를 졸업하고 3.1 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중국으로 망명했다. 중국 망명 당시에는 일명 예빗·엄이라고도 불렀다. 중국에 망명해서는 일파(一波)라는 호를 주로 사용했고, 필명으로 대위(大衛)를 사용한 적도 있다. 엄항섭의 성장과정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고 1920년 항저우(杭州)에 있는 지장대학(芝江大學)을 졸업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후 상하이(上海)에서 언론활동을 하다가 1929년 재중국한인청년동맹 중앙위원이 되었다.

2.2 대한민국 임시정부시절

본래 상하이프랑스 조계국에서 일했던 그는 상해임시정부에 들어가게 된다. 그의 가장 노가다에 가까운 업적은 그 시절에 김구의 백범일지를 등사기로 일일이 인쇄한 것이다(...) 등사기가 무엇인가, 복사기의 조상으로 한 장을 일일이 인쇄해야 하고 글자를 일일이 칼로 파야 했다. 그것도 한자를 말이다.
htm_2011032815042430003010-001.GIF
왼쪽부터 김구, 박찬익, 이동녕, 엄항섭

이후 김구를 극진히 대우하였고, 김구의 생활비를 조달하기도 했다. 임시정부가 와해될 위기에 처했어도 임정을 떠나지 않고 김구를 보좌하면서 김구의 최측근이 된다.


결혼식. 엄항섭 선생과 부인 연미당의 결혼식(1927). 선생의 결혼식에 참석한 김구·안창호·이동녕·이시영 등의 임시정부 요인들의 모습이 보인다.

2.3 한국 광복군 활동

광복군총사령부성립전례식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성립전례식은 충칭에서 가장 좋은 호텔인 가릉빈관에서 개최되었고, 당시 충칭에 있는 외국 사절들을 비롯하여 중국 국민당·중국 공산당의 인사들과 중국군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행사였다. 행사는 일본공군기의 공습을 피해 아침 7시부터 3시간 동안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한국 광복군이 창설되었다. 이 행사의 제반 준비와 실무를 맡아 한 것이다.

그리고 임시정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이나 활동을 미주교포들에게 알리는 일을 맡아 했다. 당시 임시정부가 해결해야 했던 주요한 과제의 하나는 재원을 마련하는 일이었다. 중국 정부로부터 재정적인 지원을 받기는 하였지만, 그것만 가지고는 턱없이 모자랐다. 광복군을 창설하였지만, 그 대원들의 의식주도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자금이 필요하였고, 그것을 미주교포들에게 의지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

재정적인 지원을 얻기 위해서는 임시정부가 어떠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는지를 알려야 했다. 선생이 그 일을 맡았다. 선생은 「광복군총사령부성립전례배관기(光復軍總司令部成立典禮拜觀記)」·「광복군에 관한 보고」·「대한철혈남아 사방에서 운집」등의 글을 작성하여, 임시정부가 광복군을 창설하여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선생이 보내는 글들은 대부분 미주에서 발행되는 《신한민보》에 그대로 보도되었다. 선생은 《신한민보》의 통신원 역할을 하였고, 《신한민보》는 ‘임시정부 소식’난을 마련하여 이를 미주교포들에게 알리고 있었다.

%EA%B9%80%ED%95%99%EA%B7%9C%EC%97%84%ED%95%AD%EC%84%AD.JPG
김학규와 엄항섭

1382743538.jpg
한국 광복군OSS에서 도와주었는데 엄항섭이 그걸 주선해주었다.

맨 왼쪽부터가 엄항섭,김구. 엄항섭이 보낸 전보(1944) 중국 군사위원회가 일임했던 광복군에 대한 행정권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위임되었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

2.4 8.15 광복 이후


중국 충칭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광복을 맞이한 김구 선생(앞줄 왼쪽 5번째)과 임정 요인들이 환국을 앞둔 1945년 11월 3일 촬영한 사진. 김구 선생 왼편이 엄항섭선생(앞줄 왼쪽에서 4번째)이다.(『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44, 2011)

광복 후 11월 3일 임시정부 환국 제 1진의 한 사람으로 상하이 비행장을 출발해 비행기편으로 김포공항에 착륙하였다. 귀국해서도 김구를 따라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1946년 2월 14일 비상국민회의 선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945년 12월 24일 한국 소년군 총본부 이사장에 추대되었다. 취임사에서 그는 '우리 소년군은 오늘과 같이 길러온 유지들을 중심으로 진행할 방침인데 일반 사회에서도 많은 원조를 해주기 바란다.'라고 발표하였다.

1947년 12월 이후 김구가 남북협상으로 전환하면서 그 역시 노선을 전환, 1948년 4월 20일 남북협상에서 한국독립당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했다.

1948년 1월 12일 UN한국위원회가 서울에 도착하자 회의에 참관하였다. 김구가 이승만과 결별하자 김구를 따라 1948년 남북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연석회의에 함께 참가하는 등 계속 김구의 측근으로 활동하다가 김구 사후에는 지인들과 멀리하면서 정치적으로 몰락해 갔다.

엄항섭의 막내딸 출생지가 경교장 근처일 정도로 김구와 가깝게 지냈다. 그런데 해방 초에 미군정에 일하는 한인 직원들에게 반탁을 위한 파업을 부탁했는데,그 결과 미군정 직원들이 파업한 것이다. 그래서 결국 김구는 엄항섭에게 부탁해 파업중지 방송을 권고했다. '우리의 투쟁은 미군정에 대한 것이 아니라 탁치에 반대하는 것이며, 워싱턴에서 온 전문에 따르면, 탁치를 실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니 미군정 관리를 포함한 모든 조선인들은 적대행위를 중지하고 업무에 복귀하라'는 내용이었다. 그래서 화가 난 존 하지는 김구를 협박했다.

0_DankookU_0.JPG
단국대학교 설립시 김구와 격려차 방문 1948년 1월 18일 낙원동. 앞줄:김구, 장형, 뒷줄:장도빈, 엄항섭, 양주동, 김정실, 박정숙

1947년 3월 건립된 건국실천원양성소(建國實踐員養成所)에서 강사와 부소장을 맡기도 하였다

양성소의 매기 교육 인원은 100명 내외였다. 교육기간은 제1기가 2개월이었고, 제2기부터 마지막 교육을 받은 제9기까지는 1개월이었다. 교육내용은 독립운동사·정치·경제·법률·헌법·역사·선전·민족문화·국민운동·철학·약소민족문제·농촌문제·협동조합·사회학·공산주의 비판·여성문제 등과 특별강의였다. 1948년 12월 제5기 수료생 명부에 따르면 명예소장 이승만, 소장 김구, 부소장 엄항섭, 이사장 장형으로 진용을 갖추고 있었다.

강사는 조소앙(趙素昻)·조완구(趙琬九)·신익희(申翼熙)·지청천(池靑天)·나재하(羅在夏)·김성주(金成柱)·김경수(金敬洙)·최호진(崔虎鎭)·김정실(金正實)·양주동(梁柱東)·민영규(閔泳珪)·엄상섭(嚴詳燮)·엄항섭(嚴恒燮)·김학규(金學奎)·설의식(薛義植)·김기석(金基錫)·이상조(李相助)·주석균(朱碩均)·홍병선(洪秉璇)·김하선(金昰善)·김석길(金錫吉)·안재홍(安在鴻)·정인보(鄭寅普)·황기성(黃基成)·이인(李仁)·김활란(金活蘭)·김법린(金法麟)·박순천(朴順天)·이은상(李殷相) 등 각계의 인사들이었다. 이때 엄항섭은 친분이 있던 김정실, 양주동과 함께 강사로 참여하였다.

1949년 6월 26일 한국독립당 당수 김구가 육군포병소위 안두희(安斗熙)에게 권총으로 살해된 김구암살사건(金九暗殺事件)이 발생하여 건국실천원양성소의 본부였던 원효사는 1948년 9월 홍익대학교가 인수했지만 김구가 암살된 후, 해체되었다.

2.5 6.25 전쟁 이후

그는 6.25 전쟁 이후 납북되었는데, 조소앙과 함께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서 활동했다. 하지만 저 단체는 말 그대로 얼굴마담이었다. 북한에 억류된 한국독립당 인사들 중에서는 제일 젊었다.(50대)

1958년 9월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 통일방안이 자신들의 생각과 다르다고 판단한 북한당국은 납북인사들을 탄압, '엄항섭, 명재세, 노일환' 등에 반혁명분자라는 혐의를 씌어 연행한다. 이것이 바로 북측이 자행한 '엄항섭(嚴恒燮) 사건'으로 엄항섭 등을 체포하자 함께 납북됐던 조소앙은 조작이라며 이에 항의하여 단식투쟁을 벌였다. 단식투쟁 중 병을 얻어 1958년 9월 10일 조소앙은 타계했다고 알려져 있다.

엄항섭은 북한에서도 남북통일을 위해 진력한 것으로 알려졌고 1962년 7월 30일 외롭게 숨을 거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1956년 7월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상임위원 겸 집행위원을 지냈다. 1989년 대한민국에서 건국훈장 독립장이 서훈되었다. 또한 1990년 8월 15일 북한에서 조국통일상이 추서되었다.

2006032911435937820.75952200.jpg
엄항섭의 묘. 평양직할시 애국열사릉에 있다.

3 미디어에서

야인시대에서는 성우 김동현이 연기했다.
  1. 고려대학교의 전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