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기사단이라 함은 기사들로 이루어진 단체이다. 그러나 실제 역사상 이름있는 기사단 중 절대 다수가 기사수도회이므로 사실상 기사수도회의 줄임말이 기사단이라 봐도 무방하다.[1] 기사수도회는 십자군 전쟁 이후로 탄생한 특수한 형태의 가톨릭 수도회로, 일반적인 수도회와 달리 이교도(무슬림)로부터 그리스도교 왕국을 수호할 군사적 임무와 수도자로서의 의무를 함께 서약 했다.
영어로는 결사, 집단 등을 뜻하는 'Order'나 기사 모임을 뜻하는 'Knights'라 한다. 흔히 'Order'라고 하는데, 이 말은 본래 결사나 집단 등을 뜻하는 일반 명사지만, 기사수도회는 기본적으로 수도회(Religious order)이므로, 'order'가 기사단을 뜻하는 말로 굳어졌다. 반면 기사로 구성된 집단이라는 개념을 강조하기 위해 'knights'라고 쓰기도 했다.
대중문화에서 기사단은 '가톨릭 수도자'로서의 이미지 보다는 기사로서의 이미지가 더 강하지만, 사실 이들은 기사이기 이전에 수도자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사단 내에서 기사들이 연애놀음을 한다거나 하는 일은 당연히 없었다(...)[2][3]
2 역사
2.1 중세 초기
상당수의 사람들이 중세 시대 내내 각국에 국가 기사단이 실존했던 것처럼 알고 있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기사는 자기 영지(장원)을 갖고 평시에는 자기 장원에 매여 있는 농노들의 노동을 감독하면서 무술을 연마하거나 사냥 등으로 소일하다가 왕이나 영주의 명에 따라 소집되어 싸우는 지방 영주의 형태이기 때문에 영주들로 이루어진 기사단이라는 개념은 불가능했다.[4]
귀족의 성이나 왕의 궁정에 거주하며 직접 호위하는 기사들도 있었지만 딱히 이들을 기사단이라 부르지는 않았고, 그런 호위하는 기사들도 일부는 40일간의 봉건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궁성으로 와서 일하다가 자기집으로 다시 내려가는 기사들, 일부는 하우스홀드 기사(House-hold knight)라 부르는 반영구적으로 봉신이 되는 대신 기사위를 수여받아 왕실/영주 직영지에 거주하거나 직영지에서 장원을 받은 기사, 또는 장원을 아직 못받은 기사들로 구성된 느슨한 경호대였다. 왕도 기사단을 평시에 유지하기 보다는 실력있는 용병을 장기 고용하는 쪽을 더 선호했다고 한다.
2.2 십자군 전쟁 시기
그러나 십자군 전쟁이 벌어지자 장기적으로 팔레스타인에 군대를 주둔시켜야 했고,조직적으로 통제가 가능한 '기사들의 단체'가 필요해졌다. 하지만 기사들은 본래 봉건 영주들이므로, 이러한 일을 할 수 없었다. 그렇기에 유럽인들은 '수도자들을 무장시키자'는 발상을 하게 되고, 이는 매우 혁신적인 개념이었다. 왜냐하면 수도회는 여러 명이 동거하며 공동생활을 하는 곳이므로, 기사단으로 쓰기에 너무나 적합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수도자들은 엄격하고 체계적인 교육이 가능했으며, 사유재산을 포기하였거나 매우 제한적인 형태로만 인정받는 사람들이므로 세속적인 이해관계로부터도 비교적 자유로웠다. 심지어 종교적 계율로 무장했기에, 기존의 무력집단과 비교하면 도덕성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론 좋은 평가를 받았다. 여기에 더해 '가톨릭 수도회'이므로 십자군 전쟁에서 당연히 사기도 높았다. 따라서 이 시기에 성전기사단이나 구호기사단, 튜튼기사단 등 많은 기사수도회들이 조직되었다. 사실상 성지 예루살렘 탈환이라는 종교적인 목적이 없었다면 기사단은 아예 존재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특히 가장 높은 활약을 한 것은 이베리아 반도, 즉 에스파냐의 기사수도회들이다. 무슬림의 점거가 이루어졌던 이베리아 반도의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무슬림은 저어어기 멀리 중동에 있는 적들이 아니라, 바로 코앞에 존재하는 강력하고 현실적인 침략자들이었기 때문이다.[5] 그렇기에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일찍이 기사수도회들이 발달하였다. 칼라트라바(Calatrava) 기사수도회를 비롯한 레온(León) 의 알칸타라(Alcántara) 기사수도회, 포르투갈의 오비쉬(Oviz) 수도회, 아라곤(Aragón)의 몬테사(Montesa) 수도회 등 수많은 기사수도회들이 발달하였다. 이베리아 반도의 기사들은 역시 가톨릭이라는 종교적 구심점으로 적(무슬림)과 자신들을 구분하긴 했으나, 그때부터 이미 카스티야, 아라곤에 대한 민족적 국가적 충성심으로 결속하는 역할도 하였다. 또한 이베리아 반도의 기사수도회는 결과적으로 '이베리아 반도의 탈환'이라는 목적을 완전하게 이루었으므로, '예루살렘 탈환'에 실패한 다른 기사수도회와 비교할때 넘사벽으로 큰 실적을 남겼다 할 수 있다.
십자군 시기 기사단 중 일부는 나중에 성지 탈환을 위한 전비 확충을 빌미로 무역을 독점했으며, 성전기사단은 그렇게 모은 부가 화근이 되어 교황과 프랑스 왕의 협공으로 이단으로 낙인찍히고 개발살이 났다. 물론 그들이 모았던 재화는 프랑스 왕과 교황이 나눠 먹었어야 했는데, 다 나눠 먹지는 못하고 상당수의 재산이 생존자들에 의해 빼돌려졌다고 하며, 이런 재산과 성전기사단의 생존자들이 나중에 온갖 비밀결사처럼 관련성 있는 떡밥이 되었다.
2.3 그 이후
유럽 각국의 왕과 귀족들이 이런 종교적인 기사단을 모델로 왕립 기사단을 창설하게 되지만[6] 이러한 왕립 기사단이 생성된 시기는 중세 중후반에서 르네상스 초엽이었다. 물론 이들 기사단들도 상당한 용맹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왕립 기사단에 들어올만한 인물은 그에 걸맞는 훌륭한 태생일 것이 요구되고, 귀족이 만든 기사단들도 친구들끼리 만든 친목회에 가까운 경우가 많아서 머릿수가 십수 명에서 몇 십 명 이내로 항상 제한되어 있었다. 또한 기사수도회들도 중세 말기에 이르면 상당수가 차츰 귀족들의 명예 단체로 변하게 되었다.
근대국민국가의 탄생 이후에도 기사단이 출범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개는 '무력 집단'보다는 NGO에 가깝다. 19세기 말 아프리카 등에서 개척민과 선교자 보호, 노예무역 근절, 기독교 국가 건립 등을 목표로 몇몇 성직자와 모험가가 기존의 용병을 대체할 종교기사단을 건립하려는 시도를 하긴 했다. 그러나 국가 외의 무력집단을 용인할 수 없는 각 세속정부들, 30년 전쟁의 재래를 걱정한 종교계의 냉담함[7] 등으로 실패했다. 가톨릭언론을 비롯한 수많은 언론들이 이 새로운 기사단에 대해 적대적이거나 무관심했다고.
21세기인 아직까지도 수많은 무장단체와 준군사조직들이 기독교, 십자군, 기사단의 이름과 발상을 빌리고 있다. 주님의 저항군(Lord's Resistance Army)이나 러시아 정교군(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армия: Russian Orthodox Army)[8] 등등... 물론 실제 기사단과는 거리가 멀고, 잔혹행위나 안 저지르면 다행이다. 냉전 직후 무기상인을 주제로 한 영화 로드 오브 워에서도 이런 무장단체들 보고 "이름들은 기가 막히게 짓는다"고 디스할 지경.
3 기사단 목록
- 이하의 목록은 분류에 맞춰 가나다 순으로 정리바랍니다.
3.1 실존 기사단
- 1318년에 포르투갈의 성전기사단원들이 국왕 디니스 1세의 중재로 교황의 허가를 받아 만들었다. 포르투갈 지부장이 초대 기사단장이 되었으니 성전기사단의 포르투갈 지부가 재산과 조직을 그대로 가진 채 이름만 바꿔서 재창단한 것으로, 성전기사단의 후예답게 대항해시대에 놀라운 활약을 한다. 기사단의 영지에서 나오는 돈으로 아프리카 해안의 탐험비를 충당하고, 엔리케 왕자 같은 왕족들이 기사단장을 맡고, 바스코 다 가마 같은 항해자들이 기사단원으로 있는 등 포르투갈의 황금 시대를 만들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기사단. 1910년 혁명으로 해산되었으나 1917년 재창단, 그 뒤부턴 포르투갈의 대통령이 기사단의 단장을 맡고 있다.
- 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
- 몬테사 기사단
- 부처님기사단[9]
- 산티아고 기사단(Order of Santiago)
- 성 스테파노 기사단
- 피렌체 공화국의 후신인 토스카나 공국에서 만든 기사단
이라고 쓰고 해적단으로 읽는다. 구호기사단과 더불어 이슬람 상선들의 악몽이었던 기사단. 레판토 해전 이후에 창설된 기사단으로 구호기사단과 달리 성직자들이 중심으로 세운 기사단은 아니었지만[10] 구호기사단 못지 않게 기독교도 노예 구출을 명목으로 이슬람 선박을 약탈하고 심지어 레반트 지역에 상륙하여 약탈까지 하였다. 오죽 심했으면 콧대 높은 오스만 제국 술탄이 직접 성 스테파노 기사단의 후원자였던 토스카나 대공에게 자제를 부탁하고 이를 대가로 통상 수교를 요청했을까. 하지만 상공업이 중심이었던 공화국 시절과 달리 농업 중심이었던 토스카나 공국에서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그럼 왜 해적질 하는지?덕분에 성 스테파노 기사단의 기항이었던 리보니아에서는 이슬람에 대한 승리와 이슬람 교도 노예들을 묘사한 부조가 대놓고 있다. 만화 헬싱에도 동명의 기사단이 나오는데 이를 참조한 듯(아예 토스카나 군단이라고 대놓고 오마쥬하고 있다).
- 부르고뉴 공작 필립 선량공이 포르투갈 공주와의 결혼을 기념해 1430년 초에 만든 기사단. 잔 다르크가 그 해 5월에 콩피에뉴에서 부르고뉴군과 전투를 벌이다가 포로로 잡혔는데, 그녀를 상대로 전투를 벌였을 가능성도 있다. 부르고뉴 가문이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결혼으로 흡수합병된 이후엔 합스부르크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기사단은 기독교의 수호자를 대표했으나 당시에는 어느 정도 이단으로 여겨진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황금양모라는 이름을 기사단 이름에 붙여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3.2 가공의 기사단
4 관련 문서
- ↑ 다만 근대 이후로 각종 단체가 기사단이라는 이름을 붙인 경우는 있다. 물론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말타고 돌격하는 그런 기사는 아니다.
- ↑ 가톨릭의 성직자와 수도자는 청빈, 정결, 순명의 복음삼덕을 서원한다.
- ↑ 물론 실제 역사상의 기사수도회들도 어디까지나 사람 사는 곳이었기에 당연히 온갖 인간군상이 있었겠지만, 대중 문화에서 묘사되는 식으로 보라는 듯이 대놓고 세속적 쾌락을 추구할 수는 없었다.
- ↑ 물론 특정 국가에 소속된 기사들을 묶어서 그 나라의 기사단이라고 부를 수는 있으나,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흡사 상비군스러운 그런 기사단은 없었다.
- ↑ 사실 무어인 입장에선 좀 억울할 수도 있는 표현이지만, 당시 이베리아 반도의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이 말은 맞는 말이었다.
- ↑ 영국의 가터 기사단 등
- ↑ 구호기사단마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 ↑ 돈바스 전쟁의 친러 의용군. 그 정체는 러시아군이라는 게 정설.
- ↑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문서 참조
- ↑ 구호기사단의 단원들은 일단 결혼이 금지된 일종의 수사들이었다. 하지만 성 스테파노 기사단은 그런 규정이 없어서 단원들이 결혼도 할 수 있었을 뿐더러 유부남도 참가할 수 있었다고. 물론 귀족이라는 전제가 필요했다.
- ↑ 델피니아 왕국의 기사단은 델피니아의 각 요지에 위치해 있으며, 일단은 각 영주로부터 독립되어 있는 집단이다. 다만, 완전히 독립된 집단은 아니고, 유사시에 국왕의 명령을 받아서 움직이는 역할을 맡고 있다. 항상 수도에서 수비를 맡고 있는 근위병단과 비교하면 규율이 좀 더 자유로운 편이며, 그것도 각 기사단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과 지휘관에 따라 특성이 다르다.
- ↑ 일개 용병단에서 미들랜드 국왕에 의해 백의 칭호를 받지만 단장인 그리피스가 샬로트 공주와 동침한 것이 들통나서 하루만에 반역자로 몰린다.
- ↑ 기사단이란 호칭을 쓰지만 실질적으로는 무인 계급을 의미한다.
- ↑ 칼라이의 기사단과 달리 이쪽은 전형적인 기사단과 비슷한 면모가 많다.
- ↑ 본래 유서 깊은 기사단이었으나 모종의 사건으로 구성원 거의 전원이 파문당하여 해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