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원표

道路元標 / starting point of mile posts


서울의 도로원표 표시. 동화면세점 앞에 있다.

Busan.jpg
부산의 도로원표 표시. 기존에 있던 표석은 현재 부산시청 근처에 있으며, 바로 앞에 있는 건물은 롯데백화점 광복점.

1 개요

도로의 기점(起點), 종점(終點) 또는 경과지를 표시한 것.

조금 더 자세히 설명 하자면, 각 국도에서 서울 00Km, 수원 00Km, 부산 00Km등 몇Km가 남았나 표시해 주는 도로표시가 있는데, 그 기준점이 되는 곳이다. 서울의 도로원표는 광화문 광장 중심에 위치 하는데, 다른 지역에서 서울이 20Km남았다는 것은 다른 곳이 아닌 광화문광장 중심까지의 거리가 20Km 남았다는 것이다.

2 상세

도로원표는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시(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15조에 따른 행정시를 포함)에 따라 특별시, 광역시, 시, 행정시, 군에 각각 하나씩 설치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서울의 도로원표는 광화문 광장 중심에 위치하며 이는 서울시장이 설치 및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다른 지역은 각 광역시장, 특별자치시장, 시장, 행정시장, 군수가 설치 및 관리 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대신에 도로원표의 위치는 광역자치단체장이 정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시청 및 군청이 도로원표가 되는 지역이 많은듯 하고, 따로 정해져 있는 지역도 많다.

도로원표의 종류에는 진표와 이표가 있다. 진표는 실제 도로원표, 즉 기준이 되는 곳이며 이표는 도로원표를 기념하려 표시가 된 곳이다. 예를 들어 서울의 경우 진표는 광화문사거리이지만 도로 한복판이여서 기념조형물 등을 세울 수 없다. 그리하여 이표가 동화면세점 근처에 표시되어 있으며, 국내 주요도시는 물론 세계 주요도시까지의 거리도 표시가 되어 있다.

이표가 설치되어 있는 곳은 대체적으로 방위표가 그려져 있고, 주요 도시들까지의 거리가 표시도 있는 경우가 많으며, 지역 랜드마크나 다른 조형물을 도로원표의 이표로 삼는 지역도 많다.

본 문서의 도로원표 위치는 진표를 기준으로 표시하였다.

3 지역별 도로원표

3.1 수도권

3.2 강원도

3.3 충청도

3.4 경상도

3.5 전라도

3.6 제주도

4 기타

각 국도에서 각 지역의 남은 거리를 표시하는 기준이 되지만, 고속도로에서는 이야기가 다르다. 고속도로에서 남은 거리 표시는 IC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경부고속도로에서 김천 50Km라는 표시가 보였다면, 이는 김천의 도로원표까지의 거리가 아니라 김천IC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경부고속도로에서 서울이 몇Km 남았다는 것은 광화문사거리가 아니라 양재IC가 기준이다. 경부고속도로의 공식적인 종점이 양재IC이기 때문.
  1. 지금의 도로원표는 한 차례 이전된 역사가 있다. 원래의 도로원표는 세종대로사거리의 고종 칭경기념비 앞에 지금도 있다. 이 도로원표는 일제강점기 시절이던 1914년 조선총독부가 서울, 인천, 군산, 대구, 부산, 마산, 평양, 진남포, 원산, 청진 등 10개 도시에 시가지 원표를 위치를 결정·고시하면서 설치됐다. 문제는 이 도로원표에 새겨진 글자가 일본식 한자이고 그 기준도 모호했다는 점. 결국 1997년에 새 도로원표를 만들기로 결정하고 지금의 자리에 한국식 도로원표를 새로 설치했다.
  2. 강화군은 광역시에 속한 군들 중 예외로 도로원표를 둘 수 있도록 했지만 따로 도로 원표를 지정하지는 않았다.
  3. 시급 도시들 중 거의 유일하게 시청이 중심시가지(병점/동탄일대)가 아닌 남양'읍'에 위치한다. 화성이 개발 역사가 길지 않은 만큼 병점 동탄일대가 중심지로서 입지가 낮기도 하고 이 일대가 동쪽으로 치우쳐져 있기도 하기에 생긴 일이다. 병점/동탄/봉담 일대 화성 동부지역은 화성 도로원표보다 수원이나 오산의 도로원표를 참고하는게 조금 더 정확하다. 단, 남양읍이 지리적으로는 화성시 중앙정도에 위치하므로 잘못된 위치선정으로는 볼 수 없다.
  4. 정확하게 시청과 사우나 건물 사이이다. 시청 앞이라 도로원표로 지정된것으로 보인다.
  5. 도로원표가 신철원, 구철원으로 나뉘어져 2개다. 실제로 이 지역은 이정표도 철원, 신철원으로 구분한다.
  6. 모텔건물이다. 왜 이곳이 지정되었는지는 불명...
  7. 화성시에 이어 시급 도시들 중 드물게 조치원'읍'에 도로원표가 위치한다. 이는 연기군시절 연기군 중심이 되는 곳이 경부선 철도가 통과하는 조치원읍이였기 때문이다. 물론 현재의 중심지는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볼 수 있겠으나 도로원표를 이전하지는 않았다.
  8. 홍주교 근처 하상주차장이다.
  9. 현재 롯데백화점 광복점 앞 중앙대로와 영도대교로 갈라지는 교차로이다. 다만 도로원표 표석은 부산시청이 연제구로 옮기면서 같이 이설되어 부산시청 주차장 쪽 공원에 있다.
  10. 다만 원래 대구 도로원표의 위치는 1호선 중앙로역 북편 사거리 앞 중심이다. 즉 도로 한가운데이기 때문에 실제 위치에서 215m 떨어진 경상감영공원 앞에 세워졌다.
  11. 문화의 거리안의 중앙길과 교차되는 교차로가 기준이다.
  12. LPG충전소가 위치해 있다. 지리적으로 울진의 중간정도라 결정된것 같다.
  13. 문경의 도로원표지만 이정표에는 점촌으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국도에서 점촌 몇Km라고 적혀있다면 이곳이 기준이다. 이 일대에서 문경이라는 이정표를 따라가면 이곳이 아니라 문경읍이 나온다. 이는 문경군과 점촌시가 통합하여 문경시가 되었으며 문경시의 중심지가 문경읍이 아닌 구 점촌시 일대이기 때문이다. 비슷한 예로 통영(통영군+충무시 통합) 등이 있긴 한데, 충무의 지역색이 많이 옅어진 통영과 달리 문경+점촌은 유달리 점촌의 지역색이 강하다. 자세한 내용은 문경시 항목의 3번 문단을 참조.
  14. 남성동에 위치한 상주시청과는 다른 곳이다. 시청과 시의회가 한부지에 있는 보통의 지역과 달리 상주는 시청과 시의회가 다른곳에 위치해 있다.
  15. 의병로와 의병로 24길, 백산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이다. 참고로 의령로가 아니라 의병로가 맞다.
  16. 산청군 보건의료원은 중앙로에 위치하는데, 그 맞은편에 친환경로2720번길이 있다. 그곳이 산청의 도로원표이다.
  17. 충장로와 구성로가 교차되는 교차로이다.
  18. 봉황로와 운수로가 교차하는 삼거리이다.
  19. 중앙길과 영수길이 교차하는 사거리이다.
  20. 울릉군과는 달리 신안군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긴 하지만 2번 국도가 지나간다. 2번국도의 공식적인 기점은 신안군 압해읍의 송공항으로, 이곳에서 2번 국도서울 지하철 6호선의 응암루프선마냥 신안을 한바퀴 돌아 송공항으로 돌아오는 구조이다. 신안군이 여러개의 섬이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군데군데 끊어져 있기는 하지만, 국도가 지나가기는 하므로 도로원표가 지정되어 있다. 신안군은 추후 다리로 2번 국도 구간을 포함해서 25개 섬을 이을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신안군이나 2번 국도 항목을 참조.
  21. 일반 상가건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