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완나품 국제공항

airport-upgrade.jpg

ท่าอากาศยานสุวรรณภูมิ (태국어)
Suvarnabhumi International Airport (영어)
IATA: BKK
ICAO: VTBS

1 개요

태국의 수도 방콕의 남쪽에 있는 사뭇쁘라깐 주 방플리 군에 위치한 국제공항. 타이항공의 허브 공항이며, 방콕 시내에 있는 기존의 돈므앙 국제공항이 포화 상태에 이르자 태국 정부가 야심차게 준비하여 2006년 9월에 개항하였다.

동남아시아의 중앙에 위치한 태국의 특성상 항공(환승)수요는 충분했고, 방콕 자체도 세계적인 관광 도시이기 때문에 동남아의 허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에어아시아는 이 공항이 아닌 돈므앙 국제공항으로 다시 허브를 옮긴 상태.[1] 에어아시아를 이용하는 위키니트들은 조심하도록 하자.

대한민국에서는 인천국제공항김해국제공항 직항이 있다. 2014년 9월부터는 대구국제공항으로 가는 직항 노선이 추가[2]되었으나 현재는 운휴 중이다.

홍콩 홍콩 국제공항(캐세이퍼시픽,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중국국제항공),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일본항공),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전일본공수),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중국동방항공), 타이베이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에바항공중화항공) 등 중국, 대만, 홍콩, 일본을 거치는 경유편도 있다. 경유편은 좀 더 오래 걸리지만 더 싸다. 타이베이홍콩타이항공이 인천-대만, 인천-홍콩 구간 발권을 하는 만큼 스탑오버로 홍콩이나 타이베이를 구경하고 와도 된다. 캐세이퍼시픽의 방콕행의 경우 제일 소요시간이 짧아 2시간 내외면 가며, 특이하게 뭄바이-두바이로 운행하는 완행버스 스런 항공편도 있다. [3]

공항에 내리면 대부분 동남아권 공항들이 그렇듯 택시 삐끼들이 리무진이 없다는둥, 공항철도가 끊겼다는둥 하며 달라붙는데, 쿨하게 무시해 버리고 리무진과 공항철도를 찾아가면 된다. 물론 새벽에는 그 말이 맞을 수도 있으니까 맹신하지는 말 것 1층에 있는 public taxi 타면 삐끼 없이 가잖아

2008년 태국 반정부 시위 때 돈므앙 국제공항과 함께 반정부 시위대에 의해 점거되어 공항 운영이 전면 중단되었던 적이 있었다. 그 때 발이 묶인 대한민국 사람들로 인해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태국 공군의 허가를 받아 파타야나 다른 태국 공군 비행장으로 임시 여객기를 띄워 귀국하도록 조치했다.

여담으로, 대만 국적사인 중화항공에바항공타오위안에서 유럽을 오갈 때 양안관계로 인해 대만중국 본토를 오가는 여객기 외에는 중국 영공을 통과할 수 없어 이 공항에서 중간 기착했다.요즘도 중간기착하는데? 현직 승무원이 알려준거임 하지만 현재는 방콕으로 들어오지 않고, 유럽으로 갈 때는 김해일본 열도 상공으로 올라갔다가 쿠릴 열도를 거쳐 러시아 상공을 통과하며 유럽에서 돌아올 때는 태국베트남, 남중국해를 거쳐 들어온다. 이전 작성자가 지리를 잘 몰랐던 모양인데 구체적으로 대만으로 들어오는 루트의 동남아 국가는 베트남이다.[4]

그럼에도 일부 대만 - 유럽 노선들은 이 공항에서 현재도 중간 기착하며, 중화항공의 경우는 방콕 대신 인도 델리 중간기착편이 하나 있다. 과거 냉전이 한창이던 시절에는 대한항공[5]김포발 중동 노선 및 일부 유럽 노선[6]의 경우도 당시 여객기의 항속거리 때문에 중간 급유를 위해 이 공항의 전신인 돈므앙 국제공항에 중간 기착을 하곤 했는데, 공산권 국가들인 소련중국 영공을 통과할 수 없어서였다.

2 운항노선

2.1 국제선

항공사편명취항지
타이항공TG인천, 김해(부산), 호치민시티, 하노이, 타이페이, 쿠알라룸푸르, 페낭, 시엠립, 프놈펜, 자카르타, 비엔티안, 발리(덴파사르), 싱가포르(창이), 양곤, 홍콩, 마카오, 도쿄(하네다), 도쿄(나리타), 삿포로(신치토세), 나고야(추부), 후쿠오카, 오사카(간사이), 퍼스, 브리즈번, 시드니, 오클랜드, 두바이, 파리(샤를 드 골), 오슬로, 프랑크푸르트(암 마인), 스톡홀름, 런던(히드로), 브뤼셀, 코펜하겐, 뮌헨, 밀란, 취리히, 방갈로르, 가야(인도) 델리, 첸나이, 콜카타, 타이페이(타오위안), 베이징, 청도, 광저우, 쿤밍, 샤먼, 다카, 이슬라마바드, 카라치, 바라나시(인도), 카트만두, 무스카트,[7]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가야
방콕 항공PG비엔티안, 루앙프라방, 양곤, 만달레이, 네피도, 홍콩, 시엠립, 프놈펜, 나고야, 도쿄(하네다), 시드니
타이 스마일 항공WE양곤, 만달레이, 시엠립, 마카오, 창사, 충칭, 콜롬보
대한항공KE서울(인천), 김해(부산)
아시아나항공OZ서울(인천), 김해(부산)
이스타항공ZE제주, 서울(인천)
말레이시아항공MH쿠알라룸푸르
아에로플로트SU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아스타나 항공KC알마티, 아스타나
중국국제항공CA베이징, 항저우, 톈진
중국동방항공MU상하이(푸동), 쿤밍, 난징
상하이항공FM상하이(푸동), 베이징
사천항공3U청두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BG다카
노르웨이항공DY오슬로
라오항공QV비엔티안, 루앙프라방, 카이손폼비한
루프트한자LH프랑크푸르트(암마인)
제트스타 항공JQ멜버른
제트스타 퍼시픽 항공BL하노이, 호치민
제트스타 아시아 항공3K싱가포르
제트 아시아 항공JF자카르타(하타)
필리핀 항공PR마닐라
오만 에어AF무스카트
에미레이트항공EK두바이, 홍콩, 시드니
에티하드 항공EY아부다비
에어 프랑스AF파리
에어마카오NX마카오
에어 오스트랄UU레위니옹
에어 인디아AI델리, 뭄바이
에어 마다가스카르MD광저우[8], 안타나나리보
우즈베키스탄항공HY타슈켄트
우크라이나 국제항공PS키예프(보리스필)
로얄 요르단 항공RJ홍콩
영국항공BA런던(히드로)
캐세이퍼시픽CX홍콩, 싱가포르, 카라치, 뭄바이, 두바이
쿠웨이트 항공KU쿠웨이트, 마닐라
홍콩항공HX홍콩
에티오피아 항공ET아디스 아바바, 쿠알라룸푸르[9]
전일본공수NH도쿄(하네다), 도쿄(나리타), 나고야, 삿포로
일본항공JL도쿄(하네다), 도쿄(나리타), 나고야
제주항공7C인천, 부산
루프트한자LH프랑크푸르트(암 마인)
카타르 항공QR도하, 하노이[10]
쿠웨이트 항공KU쿠웨이트
진에어LJ인천
S7 항공S7이르쿠츠크, 크라스노야르스크, 노보시비르스크, 블라디보스토크
베트남항공VN하노이, 호치민, 다낭
비엣젯 항공VJ하노이, 호치민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GA자카르타
걸프 에어GF바레인
로얄 부르나이 항공BI브루나이
중국해남항공HU베이징, 하이커우, 난닝
인디GO6E콜카타
젯에어웨이즈9W뭄바이
마한 항공W5테헤란(이맘 호메이니)
메가 몰디브LV말레, 선양
샤먼항공MF푸저우, 항저우, 광저우, 샤먼
샤힌 에어NL카라치, 라호르
세부퍼시픽5J마닐라
싱가포르항공SQ싱가포르
실크에어MI싱가포르
충칭 항공OQ충칭
타이거 항공TR싱가포르
트랜스아시아 항공GE타이베이(쑹산)
투르크메니스탄 항공T5아슈하바트
콘도르 항공DE프랑크푸르트
콴타스QF시드니
KLMKL암스테르담
미얀마 국제항공8M양곤, 만들레이
미얀마 항공UB양곤
준야오 항공HO상하이(푸둥)
스페이스젯SG콜카타
스리랑카 항공UL콜롬보
드루크 항공KB구와하티, 다카, 실리구리, 팀부(파로)
타쉬 항공B3콜카타, 팀부(파로), 가야
럭키 항공8L쿤밍
유로윙스UU쾰른
에어 오스트랄EW레위니옹
에어 아스타나KC알마티, 아스타나
오케이 항공BK톈진, 시안
중화항공CI타이베이(타오위안), 가오슝
춘추항공9C베이하이, 창춘, 청두, 다롄, 푸저우, 하얼빈, 항저우, 창저우, 지난, 란저우, 난창, 닝보, 스지좡, 인촨, 양저우, 상하이(푸둥)
에바항공BR타이베이(타오위안)
플라이두바이FZ두바이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K6씨엠립, 프놈펜
이집트항공MS카이로, 자카르타(하타), 쿠알라룸푸르
타이 베트젯 항공VZ가야, 하이퐁, 호치민
베이징 캐피탈 항공JD시안, 구이양, 잔장
미얀마 항공UB양곤, 만달레이
우랄 항공UB베이징, 창춘, 하얼빈, 하바롭스크. 예카테린부르크, 블라디보스토크

2.2 국내선

추가바람.

3 같이보기

  1. 국제선도 같이 옮겨 갔다!
  2. 2014년 9월 25일 취항. 제주항공에서 운항한다.
  3. 이 항공편의 경우 비행기 안에는 인도인, 아랍인, 필리핀인만 가득하고 한국인은 단체 관광객 빼면 없다. 중국인도 잘 없다. 기내식도 카레가 나오고 스튜어디스 중 중국계 다음으로 인도계가 많으며 아랍어 안내가 들리기도 한다.
  4. 북아메리카 노선의 경우 러시아중국 영공을 통과한다. 과거에는 알래스카 앵커리지 국제공항을 거쳐야 했었다.
  5. 아시아나항공은 냉전 끝무렵인 1988년에 설립했고, 유럽 국제선 취항은 소련의 붕괴와 함께 냉전이 종식되어 하늘길이 모두 뚫린 1990년대에 들어서 이루어졌다.
  6. 김포 - 취리히 노선으로 북극 항로가 아닌 바레인, 쿠웨이트 등의 중동 국가를 경유하는 루트로 노선이 짜여져 있었다.
  7. 카라치 경유편
  8. 중간 기착지
  9. 중간 기착지
  10. 중간기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