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남양주시 버스 목록/폐선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목차

1 개요

구리시·남양주시 버스 목록 중 폐선된 버스 노선들을 기재하였다. 폐선된 노선들이 많다보니, 별도로 분리되었다. 제목 길이가 크고 아름다운 건 넘어가자.

번호만 같을 뿐, 현재 운행 중인 노선과는 무관한 노선이 많다. 그리고 구리시 관할 노선의 경우 여기서도 강조 표시로 구분하는데, 구리시를 기점으로 삼는 관외 노선도 같은 처리를 한다.

이 게시물들을 참고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1 #2 #3 #4

2 직행좌석버스

2.1 남양주 버스 765-1

구) 9205(차산리 - 서울역)가 2006년 12월에 신내동으로 잘리면서[1] 차산리 - 청량리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서 신설된 노선이다. 이후 경춘선 개통이후에 급격한 수요감소로 766과 같이 폐선된다.

이 노선이 없어지고서 동사 65번이 이 노선이 다니던 구간을 이어받아서 다니게 되었다.

2.2 남양주 버스 766

SDC11014.JPG
대원운수에서 운행했던 직행좌석버스 노선. 남양주시 호평동에서 동대문역까지를 잇는 노선이다.

대원운수 호평동차고지에서 출발하여, 평내호평역과 평내동, 호평동을 한바퀴 돈 다음, 경춘대로를 타고 금곡, 도농, 구리시를 거쳐 망우로, 종로를 경유하여 동대문역까지 운행했다.

광역급행버스 운행 당시 운행경로는 평내농협 - 장내마을 - 금곡동 구 종점 - 금곡역 - 무정차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동대문역이다.

2009년 8월 광역급행버스 M2104로 운행을 개시했으나, 1차 개설 노선중 가장 실패한 노선. 1일 평균 승객 뒤에서 1위다. 평시간대에는 거의 공기수송을 하는 상황. 광화문이나 종로까지 노선이 이어졌으면 제법 수요가 날 법도 한데 문제는 규정상 종점으로부터 5km 이내까지만 정류소를 설치할 수 있다는 것. 광화문까지 노선을 연장하려면 청량리역을 과감히 포기해야 하는데 그게 어디 쉽나... 지금이야 7.5 km로 바뀌긴 했지만

게다가 청량리에서부터 남양주방향으로 버스 중앙차로를 이용하는데 구리, 남양주 지역 중앙차로는 추월차로가 거의 없는 편이라 시간단축효과도 다른 광역급행버스에 비해 미비한 편이었다.

결국 2010년 11월 15일부로 직행좌석버스 766번으로 변경하고 전 정류장에 정차했으나, 한 달 후 경춘선 전철이 개통하면서 동일 구간의 버스 수요를 떡실신시키는 바람에[2] 결국 2011년 3월 2일부로 폐선되었다. 망했어요.

그리고 766에 배치되어있던 버스는 1660, 1670번 등에서 아주 잘 다니고 있다. 전면 LED를 가린 채로.(...)[3]

2.3 남양주 버스 1115-7

파일:1115-7.jpg
경기도 광주시 면허이던 시절의 모습. 2007년 3월에 촬영.

경기운수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 초기에는 경기고속에서 운행했던 노선이다. 면허 이관 시점은 경기버스, 경기운수가 출범한 2010년 초이다.

운행구간은 진벌리 - 진접지구 - 오남읍 - 사릉한신아파트 - 퇴계원 - 잠실역으로 100번2000번이 오기전까진 오남권역에서의 유일한 직행좌석버스였다. 사능(진건)에서 잠실을 운행하던 1115-3번의 오남 연장 + 구리 미경유 판으로 분리된 게 시초이며 1115-3번은 도시형 전환 후 폐선됐다.

2008년에 신설된 오남 - 강변역 급행 노선 100번[4]과 중복되면서 조금 느린 것 같지만[5] 딱히 타격은 없었다.

근데 문제는 2009년 3월 강남역으로 가는 2000번이 이 노선에서 분리 신설된 것으로, 초창기부터 배차간격이 그다지 좋지 못했던 게 더욱 악화됐던 것. 2000번도 마찬가지...가 아니라 더욱 심각했다. 헬게이트 테헤란로를 지나는 건 물론이고, 남양주-강남 직행좌석버스들 중에서 도로 사정이 가장 나쁜 구간만을 골라 다녔기에[6] 이도저도 아닌 상태가 돼버린 것. 그러다 진접지구의 구원투수 남양주 버스 8012[7]이 신설되면서 반쯤 잉여가 돼버렸다.

차량구성은 경기고속 시절에는 로얄럭셔리 신형 가스차들[8]이 주력차종이었으나 경기운수로 넘어가면서 04년식 이전의 구형 로얄럭셔리(02~03년식)들로 바뀌었다.

2008년부터 아침에 한해 퇴계원을 경유하지 않는 급행으로 운행했다. 운행횟수는 3회. 기사 잠실역 방면 한정이었으며, 따로 노선번호가 부여되지 않아서 급행구간(신월리- 47번국도 - 고속도로 - 토평IC)을 운행하는 동안은 '현재 노선이탈 운행 중입니다.'라는 안내멘트가 계속 나왔다. 급행차량은 '퇴계원 미경유', '잠실역 광역급행' 이라는 2개의 팻말을 꽂고 다녔다. 1115-7번이 2000번에 흡수되면서 이 급행노선은 2000-1이라는 정식 노선번호를 부여받는다.[9]

그래도 오남, 사능에서 잠실로 가던 노선으로 인지도가 있었기에 대충 버티다가 2013년 3월 4일에 남양주 버스 2000번으로 흡수됐다. 그리고, 2000번은 공동배차로 다니다가 경기운수가 차량을 모두 받아와 단독으로 운행하게 된다.

3 일반좌석버스

3.1 남양주 버스 133

  • 운행 노선 : 청평 - 대성리 - 마석 - 금곡 - 돌다리 - 상봉역 - 청량리

1330번의 일반좌석형으로 경기고속에서 이걸 인수해 3300번이라는 직행좌석버스로 운행했다가 얼마 못가서 폐선하고 지금의 경기면허 765번으로 다시 개통되어 운행하다가 이마저도 30번에 통합되어 사라진 노선이다.

3.2 남양주 버스 330

운행 노선 : 마석 - 금곡 - 도농 - 돌다리 - 상봉역 -청량리

3.3 남양주 버스 330-2

  • 운행 노선 : 가평 - 청평 - 대성리 - 마석 - 금곡 - 돌다리 - 구리농수산물시장

3.4 남양주 버스 330-3

  • 운행 노선 : 마석 - 금곡 - 73사단 - 돌다리 - 상봉역 - 청량리.

3.5 남양주 버스 650

  • 운행 노선 : 천마산 - 호평동 - 양정동 - 구리역 - 상봉역 - 청량리역

삼용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로 개통시킨 노선이었으나 대원교통 765번 견제 인해 한동안 일반시내 요금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다 2001년경에 결국 대원운수로 넘어간 이후 좌석버스로 격상해서 운행하다 폐선되었다. 대원운수 65번의 좌석형 버전.

3.6 남양주 버스 707-1

  • 운행 노선 : 내촌 - 광릉내 - 장현 - 퇴계원 - 신내동 - 상봉역 -경동시장.

현 707번을 내촌으로 연장시킨 노선이다. 결국 오래 못가서 폐선된다.
참고로, 707번이 진벌리에서 내촌으로 연장되면서 이 노선이 부활하나 싶었지만, 다시 환원되었다.

4 일반시내버스

4.1 남양주 버스 1-3

23번이 선진상운으로 넘어가기 전의 노선 번호.
자세한 이야기는 남양주 버스 23 문서 참고.

4.2 구리·남양주 버스 1-5


세진버스에서 운행하던 모습. 출처

경기운수경기여객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이다.

원래 세진버스에서 2004년경 개통한 노선으로 당시 운행구간은 양지리 - 오남읍 - 사릉 - 뱅이삼거리 - 퇴계원 - 동구릉 - 배탈고개 - 광나루역 - 강변역으로 오남과 진건에서 강변역까지 가장 빨리 가는 시내버스로서 큰 장점이 있었지만 5대로 개통하여[10] 노선의 비중이 적었고 이 때문에 1-5번 신설을 노려 시내버스로 전환됐던 1115-3번[11]에 탈탈 털리게 되고[12] 그 와중에 1-8번이라는 100% 중복되는 노선을 2대 떼어서 운행하기도 했다. 이쯤 되면 세진버스가 확실히 막장(…)

1번을 넘김과 동시에 세진버스는 2005년 KD그룹 경기고속에 이 노선을 팔게 되고 양지리에서 금곡리로 차고지를 연장[13]했으며 같은 회사 노선인 1115-3번을 흡수한 후 상당히 성장하게 되는데 당시 경쟁관계였던 명진여객 1-1번을 견제하려 했기 때문. 뱅이나루터부터 완전히 중복됐으므로 퇴계원부터 경쟁이 시작됐고 구리 인창동에서도 나름 활약을 하게 된다.[14]

도농동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고서 구리를 이리 저리 도는 9번에 비해 많이 빨랐다는 점에서 오남, 진건 주민들에게는 좋은 노선이었지만 1-1번과의 경쟁 때만 좋았지 명진여객 인수 이후로는 사람이 그리 많지는 않았다. 그러다가 2008년에는 진벌리 영업소가 생겨 다시 연장했으며[15]오남 주민들이 11번처럼 고속도로 경유 강변역 노선을 만들어달라는 민원으로 급행 버전인 100번을 분리 신설하기도 했었다.(100번은 해당문서 참조) 이 외에도 여러 노선들이 진벌리 차고지로 입주한 터라 당시 광릉내 - 경복대학 셔틀노선인 3번(선진상운)을 견제하기에 이르렀다.[16]

2010년 이후에는 진접택지지구 경유 및 7-5번과 노선이 교차되어 7-5번이 가던 퇴계원역을 경유하게 되나 이는 1-5와 7-5가 같이 잉여로 전락하는 패착이 되었다.

노선 변경시기에 경기고속에서 경기여객[17]으로 바뀌고 오남과 진건 시내를 경유하지 않고[18] 지금과 같은 노선으로 바뀌고 나서는 배차 간격이 터무니없이 늘어나[19][20] 예전의 리즈시절만큼은 못하게 되었고[21], 결국 2012년 4월 1일부로 운행 중단이 확정되었다. 이 노선을 폐선하면서 구간 대체 명목으로 5-1번(진접지구 - 사릉역)이 신설된다.

4.3 남양주 버스 1-7

  • 운행 노선 : 진벌리 - 진접지구 - 오남리 - 퇴계원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강변역

경기운수에서 1-5번을 공동배차하던 초기에 부여한 별도 노선 번호. 사릉역 경유 이전에 1-5번으로 통합되었으므로 운행경로는 사릉역 경유 이전의 것으로 적어두었다

4.4 남양주 버스 1-8

  • 운행 노선 : 양지리 - 오남 - 진건 - 퇴계원 - 동구릉 - 구리시청 - 광나루역 - 강변역

관련 게시물

세진버스가 1-5를 감편시켜서 만든 노선. 경기고속이 인수하고 한동안 굴리다가, 1-5, 1-8, 1115-3이 1-5로 통합되면서 폐선된다.

4.5 남양주 버스 2

남양주 버스 2 문서 참고.

별내신도시를 위해서 3개월간 다닌 노선이었다.
차량 관리문제, 1155번 구간 대체 문제로 인해서 명진여객으로 넘어가서 1-2가 되었으며, 현재도 잘 다니고 있다.

4.6 남양주 버스 3

  • 운행 노선 : 광릉내 - 광릉초교 - 신창아파트 - 경복대학교

현재 운행중인 구리 버스 3번과는 다르며 경복대학 남양주 캠퍼스 셔틀노선이었다.

4.7 남양주 버스 5

  • 운행 노선 : 용정리 - 사릉 - 진관리 - 구리농수산물시장 - 교문사거리 - 상봉역 - 청량리

현재의 노선과는 전혀 다른 노선으로, 용정리 차고지에서 출발해서 사릉한신 일대를 돌고 진관IC를 통해서 47번 국도를 이용해 퇴계원을 쌩까고 구리로 갔던 노선.

타 노선과는 차별성이 있었으나, 타 노선을 증차시키기 위해서 폐선된다.

4.8 남양주 버스 6

  • 운행 노선 : 독정리 - 배양리 - 남양주 제2청사

현재 노선과는 다른 노선이다.

4.9 남양주 버스 7

남양주 버스 7 문서를 참조.

참고로 포천 버스 7은 이 노선에서 파생된 노선이다.

4.10 남양주 버스 7-1

  • 운행노선 : 광릉내 - 장현 - 퇴계원 - 동구릉 - 농수산물시장 - 배탈고개 - 돌다리 - 도농사거리 - 남양주제2청사

선진상운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 1대로 운행하던 노선. 폐선당시에는 시내버스중 유일하게 진접에서 유일하게 배탈고개로 가는 노선이였으며, 남양주시청제2청사 내부를 거쳐 회차하였다. 2000년대 중반 폐선.

4.11 남양주 버스 7-2

  • 운행 노선 : 광릉내 - 장현 - 퇴계원 - 동구릉 - 돌다리 - 구리여고 - 교문A - 정각사입구

선진상운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 1대 33회 운행했다고 한다. 저 거리를 1대 33회를 다닌게 말이 안된다. 잘 아시는 분이 사실 추가바람

4.12 남양주 버스 7-3

4.13 남양주 버스 7-6

7-6퇴계원동구릉·57사단·신내동·상봉역·청량리역경동시장

퇴계원아파트단지 입주에[22] 대비해 개통된 노선으로 서울 버스 1156 과 동일하게 퇴계원을 경유하고 사노동을 거쳐 북부간선도로를 경유해 나가는 특이한 노선이다. 물론 예나 지금이나 북부간선의 교통정체는 악명높았고, 707번이 경춘북로 따라서 직진만 하며 워낙 잘 다녔던 탓에 얼마안가 인가만 살아있는 유령노선이 되었다.

4.14 남양주 버스 7-8

7-8광릉내장현·퇴계원·동구릉·교문사거리·청량리역경동시장

4.15 남양주 버스 8(호평동)

대원운수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였다.[23]

  • 주요 경유지

호평동차고지 ~ 평내호평역 ~ 호평고 ~ 천마산입구 ~ 평내호평역 ~ 백봉초 ~ 장내중 ~ 평내 주민센터

호평지구와 평내지구 내부만을 도는 노선인데, 이게 원래 한 사업자[24]마을버스를 만들려고 했던 것이었던 것을 KD그룹기상요구로 취소되고 나온 노선이다.

  • 개통되기까지

호평.평내지역 순환 마을버스 운행은 주민들이 오래 전부터 요구해온 것이었고, 경춘선 전철이 개통되면서 요구는 더욱 거세진다.[25] 그러다 시에서 운행을 허가한 소식까지 왔는데 위 각주에 달린 기사에서 나왔듯이 개통 예정 시기였던 6월 말을 넘겨 2달 이상 미뤄질거라 했는데 신생업체 사정이고 뭐고 할거 없이... 빼도박도 못한다는데(...)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국 마을버스를 절대 취급하지 않는 KD그룹의 원칙에 따라 시내버스로 개설이 됐다.

  • 개통 이후

문제는, 이웃 동네 오고 가는데 타는 노선의 배차간격이 꽤 길다는 것. 초기에 중형차량이 투입되다가 소형차량으로 모두 교체됐는데 안타깝게도 노선의 수요가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아주 조용히 운행이 중단됐다.

4.16 남양주 버스 8(광릉내)

  • 운행 노선 : 광릉내 - 장현 - 퇴계원 - 인창동 - 돌다리 - 구리시청 - 구리여고

경기버스(당시엔 선진상운)에서 남양주 버스 88의 진접읍 - 돌다리 구간 보조라고 쓰고 경쟁이라 읽는다를 맡기 위해 2004년 개통된 노선이었다. 운행구간은 88번과 교문사거리[26] 까지 동일하나 이후 구리시청을 경유하여 구리여고에서 회차했다. 수요는 회차구간에서 많은 편이나 그 외에는 88번이랑 같이 다니는데다 88보다 배차간격이 안 좋은 편이라 비중이 적었다. 그래도 경쟁에서 지지 않으려고 78번(밑의 옛 80번의 번호 변경 전)을 조금씩 감차시켜 증차를 하기도 했다. 자세한 이야기는 경기버스 폐선 80번 참고.

4.17 남양주 버스 9-9

2008년에 9번에서 분리신설된 노선으로, 수자원공사를 경유했던게 특징이다.

이후 2010년에 KD가 유성운수와 선진상운을 인수하며 중복 노선을 쳐낼때 당시 타 노선과 겹치던 9-9도 노선 단축 후 99번으로 번호 변경된다. 결국 도농동으로 잘리고 병X으로 전락해서 조용히 폐선돠다.

자세한 건 남양주 버스 99 문서를 참조.

4.18 남양주 버스 10

  • 운행 경로 : 천마산입구 - 호평동 - 평내동 - 남양주시청 - 금곡 - 73사단 - 도농역 - 돌다리 - 동구릉 - 퇴계원 - 사릉

현재 운행하는 대원운수 10번과는 무관한 노선으로, 호평동에서 퇴계원을 잇는 노선으로 생겨난 노선이다. 2003년에 10-5를 분리신설했다. 타 노선과 겹쳐서 장사가 안됬는지, 2006년에 폐선된다.

4.19 남양주 버스 10-1

4.20 남양주 버스 10-3

4.21 남양주 버스 10-6

4.22 남양주 버스 11

  • 운행 경로 : 천마산입구 - 호평 - 금곡 - 73사단 - 도농 - 빙그레 - 미금중 - 구리농수산물시장

구리농수산시장까지 운행했다가 태릉교통의 반발로 환원되었단 이야기가 있는데 추가바람

4.23 남양주 버스 11-1

  • 운행 경로 : 중랑공영차고지 - 갈매동 - 화랑대역 - 57사단 - 배탈고개 - 교문R - 세무서 - 구리여고 - 밀알교회 - 워커힐 - 천호동 - 길동

광주시 버스 목록/폐선에서 11-1번 항목을 참고. 경기도 광주 관할인 경기고속에서 신설한 노선이라 이 쪽에 기재하였다.

4.24 남양주 버스 30-2

30-2구암리마석·금곡·도농·LG백화점·돌다리구리농수산물시장

흔한 30번의 가지치기 노선, 삼용버스 도산과 동시에 소리없이 사라진다.

4.25 남양주 버스 30-3

30-3마석금곡·도농·LG백화점·돌다리·구리시청구리여고

흔한 30번의 가지치기 노선, 삼용버스 도산과 동시에 없어진다.

4.26 남양주 버스 30-4

30-4마석금곡·도농·LG백화점·돌다리·교문사거리망우리고개

4.27 남양주 버스 30-5

4.28 남양주 버스 34

  • 하남시 - 마석으로 다니던 34번이 도곡리로 노선이 단축되면서 30-15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자세한 건 남양주 버스 30-15 문서 참조.

4.29 남양주 버스 38

38마석백월리·월문리·덕소·도농·돌다리·상봉역청량리

현 30-15와 167번을 섞어놓은 노선이라 이해하면 빠르다. 당연하지만, 수요처가 없는 노선 특성상 소리없이 증발.

4.30 구리 버스 53

53수택동구리 농수산물시장 - 동구릉 - 배탈고개 - 망우역청량리

남양주 버스 202를 견제하기 위해 야심차게 개통한 노선으로 전차량 저상버스로 운행했다. 수택동차고지에서 구리 버스 1115-6이 다니는 왕숙천로를 경유한것이 특징. 인지도나 배차간격면에서 202번이 워낙 넘사벽인지라 별 힘도 쓰지 못했고 결정적으로 유성운수를 인수하는 바람에 조용히 폐선.

4.31 남양주 버스 71-2

  • 2010년 71번이 순환버스 형태로 노선이 연장된 후 분리된 노선 중 하나. 하지만 수요부족으로 71-1번만 남아 그것이 71번으로 바뀌고 이 노선은 폐선되었다. 남양주 버스 71 문서 참조.

결국 6대까지 증차해서 다니던 71번은 완벽히 잉여가 된다.

4.32 남양주 버스 72

남양주 버스 72 문서 참조.

4.33 남양주 버스 78

  • 운행 노선 : 광릉내 - 장현·퇴계원·인창동·구리여고·광나루역 - 강변역

4.34 남양주 버스 80

  • 운행 노선 광릉내 - 장현·퇴계원·인창동·구리여고·광나루역 - 강변역

위에 있는 8번(광릉내)의 연장판이었다. 하지만 2008년에 원래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4.35 남양주 버스 88-1

  • 운행 노선 : 금곡리 - 장현·퇴계원·인창동·돌다리·상봉역·청량리역 - 경동시장

4.36 남양주 버스 91-1

  • 91번의 수자원공사 경유 지선이었으나 9번이 이 역할을 대신하면서 폐선되었다. 자세한 건 남양주 버스 91 참고.

4.37 남양주 버스 99

4.38 구리 버스 112-2

  • 운행 노선 : 도곡리 차고지 - 팔당대교 - 미사동 - 천호역 - 올림픽대교 - 강변역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경기여객으로 이관 후 2010년에 폐선되었다.

폐선전엔 경기여객의 유일한 아웃 구리노선이었다.
위의 노선으로 재신설 되기 전 팔당-하남아파트단지-올림픽대로-잠실역을 운행하던 직행좌석버스로 운행하기도 했었다. 현재의 하남 버스 9302와 비슷한 형태였으며 BH090으로 운행하였다.

4.39 남양주 버스 165

지금의 165번은 원래 -1이 붙은, 여기서 파생되어 나온 노선이다. 남양주 버스 165 문서 참조.

4.40 남양주 버스 165-3

  • 남양주 버스 165-3 문서 참조. 구 대원교통 2016(2230) 대체노선. 별개의 노선이긴 하다.

4.41 남양주 버스 166

  • 운행 노선 : 도곡리 - 덕소역·도농역·구리역·상봉역 - 청량리

4.42 남양주 버스 167-2

  • 운행 노선 : 구암리 - 시우리·덕소·도농역·구리역·상봉역 - 청량리

4.43 남양주 버스 169

  • 운행 노선 : 차산리 - 창현.마석지구·호평.평내지구·금곡·73사단·양정역·덕소역 - 도곡리 - 하남시 미사지구

잉여로 유명한 168번과 같이 다니던 노선으로, 저상버스로 다녔었다. 2010년에 없어졌다.

4.44 남양주 버스 1115-2

파일:Attachment/P508506.jpg

대원운수에서 운행하 농어촌버스시내버스.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이래저래 막장인 노선이었다.(...)

원래 삼용버스직행좌석버스 1990번(마석-강변역)이었던 것을 KD 운송그룹이 차산리 영업소[27]를 인수해오면서 번호를 1115-2번으로 바꾸게 된다. 그러나 수요가 적었는지 도시형으로 전환하여 운행하는데, 이마저도 재미를 못 보고 모두 중형차량으로 바뀐다. 문제는 이용하려 그래도 배차간격이 길어서 그냥 좌석버스 타고 잠실역을 가거나 금곡에서 자주 오는 9-1번을 타는 게 나았으니(...)

그러다, 상당히 파격적인 변화가 있었는데, 남양주 시내버스[28]로는 최초로 강변북로를 경유하게 된 것. 주변에서 호응이 꽤 좋은 편이었으나 잘 안오는 문제(15~25분 간격)는 여전했고 출퇴근 시간대에 검배길[29]의 지정체가 심했기 때문에 이 역시 성공을 못 하고 결국 도로 직행좌석버스로 다시 전환한다.

그러면서 마석지구를 경유하는데 수요가 저조한 건 마찬가지였고 마석지구 수요가 조금 느는 듯 싶었으나 주민들의 민원[30]으로 또다시 시내버스로 전환됐다. 서울 버스 108번이나 서울 버스 706번, 경기광주 버스 303번도 좌석-시내-좌석-시내를 거치긴 했다.그런데 저 셋은 지금 본전이라도 잘 건지지

수난은 계속되는데 도시형으로 2차 전환된 직후 광나루역을 경유하는 것까진 괜찮아 보였는데, 얼마 안 있어 강변북로 경유를 폐지하고 구리여고, 장자못호수공원(토평지구) 경유로 바뀌어 다른 9번대 노선들의 보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다 대원운수로 이관되고 좀 정착이 되는 듯 싶었는데, 노선이 많이 비슷한 93번이 대성리로 연장되고 나서는 엄청나게 줄어들었다. 2011년 9월 19일부터는 한마음길(덕현한가람A) 경유로 바뀌었다.[31]

2013년 현재 하루 16번만 다닌다.1115-2번 시간표(2013년 3월 평일 기준). 회원만 볼 수 있다. 대충 1시간~1시간 20분 간격(…)포기하면 편해 2013년 12월 2일부터 천마산역을 경유한다.어차피 저거 타고 환승할 사람도 없겠구만

이거랑 판박이일려나

2014년 3월 24일부터 168번과 통합된다.뭐 사실상 폐선이지만 애물단지같았던 노선이 결국 이렇게 끝이난다. 다만 168번과의 통합은 사실 알고 보면 1115-2번의 너구내고개 구간만 계승하고 차량 댓수만 168번이 흡수하는 형태고 사실 이 노선을 제대로 대체할 수 있는 버스는 93번이다.

4.45 남양주 버스 1119

100_4774_135620sorkqkq_com.jpg
직행좌석으로 운행하던 모습.
100_041_230204sorkqkq_com.jpg
형간전환 이후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던 모습. 두 사진 출처

경기운수에서 운행하던 노선으로 구암리와 길동을 잇던 노선이다.

  • 운행경로 : 구암리 - 평내동 - 금곡동 - 부영아파트 - 돌다리 - 구리시청 - 워커힐 - 광나루역 - 천호역 - 길동

경기고속에서 직행좌석버스로 개통 이후[32] 세진버스 1-4번을 견제하기 위해 일반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해서 운행하였다. 전환과 동시에 신차도 사고 길동으로 연장되어서 1-4와 똑같이 다녔을 정도이다.

그러나 세진버스가 경영난으로 선진그룹에 먹히면서 KD에 1, 1-4를 매각하자 낙동강 오리알 신세로 전락했다.
그 좋은 가스차도 수원, 성남권으로 뺏기고 낡은 99~02년식 차량 위주로 다녔다. 그리고 감차도 많이 당했다. 이후 2007년에 신차가 들어오지만[33] 얼마 못가서 타지에 있던 차량(04년 10월식)과 맞바꿨다.

이렇게 해서 다니다가, 2010년 4월에 1115-7과 함께 경기운수로 이관되었다.[34]

경기운수로 이관되고 얼마 못가서[35] 임의결행으로 이어졌고, 결국 2010년 10월경 GBIS에서 삭제되면서 모든 차량이 1-5번으로 이동하고 폐선되었다.

5 마을버스

33마석()마석가구단지·호평동·금곡동군장리
62
70[36]덕송리불암동·담터·화랑대역·태릉입구역석계역
78퇴계원퇴계원사거리·구검문소·삼일공사·삼거리농원·상계4동당고개역
83별내남광하우스토리대원A·별내역·동익미라벨·신일유토빌·삼육대후문·신안인스빌A·별내고·동익미라벨·별내역·대원A별내남광하우스토리
100천마산입구호평·금곡·73사단·도농·빙그레미금중
100-1천마산입구호평·금곡·73사단·도농·돌다리구리농수산물시장
100-2평내 무궁화A남양주시청금곡

6 관외 운행 노선

6.1 서울 버스

1225별내동삼육대학교·서울여자대학교·화랑대역·먹골역태릉입구역
2016(진건)용정리73사단·도농역·돌다리·면목역·사가정역·답십리역·왕십리역·신당역동대문운동장
2226수택동201과는 경희대를 제외한 구간 동일청량리
2228양수리능내리·덕소역·도농역·구리역·상봉역청량리
2229도곡리덕소역·도농역·돌다리·상봉역청량리
2231호평동금곡·도농역·구리역·망우리·면목역면목2동
2232[37]수택동구리시청 - 상봉역 - 동2로 - 화양동 - 구의역강변역
9201차산리(마석)창현지구·호평·금곡·도농역·돌다리·상봉역·청량리역경동시장
9202차산리(마석)창현지구·금곡·도농역·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잠실역
9203도곡리덕소역·수석동·강변북로잠실역
9204도곡리덕소역·수석동·강변북로·광나루역강변역
9205차산리마석·호평·금곡·구리역·청량리역·동대문역·종로·을지로입구역·숭례문서울역

6.2 경기광주 버스

5-2[38]수택동남양시장ㆍ인창주공단지ㆍ배탈고개ㆍ망우역상봉역ㆍ홍릉사거리현대코아
9-2[39]사릉사릉역퇴계원역ㆍ동구릉ㆍ구리여고ㆍ광나루역강변역
9-6[40]빙그레농수산물시장ㆍ인창주공단지ㆍ구리여고ㆍ교문2동ㆍ광나루역강변역
14[41]청학리임송ㆍ퇴계원ㆍ동구릉ㆍ배탈고개ㆍ구리시청ㆍ광나루역강변역
100[42]진벌리진접지구ㆍ오남읍ㆍ사릉ㆍ구리요금소ㆍ워커힐ㆍ광나루역강변역
112-3[43]도곡리도심역ㆍ덕소ㆍ강북정수장ㆍ워커힐ㆍ광장동강변역20~30
167[44][45]다산유적지능내리ㆍ팔당ㆍ덕소ㆍ도농역ㆍ돌다리ㆍ상봉역청량리역
167-1[46]율석리양정역도농역ㆍ돌다리ㆍ상봉역청량리역
765[47][48]대성리마석역평내호평역ㆍ금곡ㆍ도농역ㆍ돌다리ㆍ상봉역청량리역경동시장15~20
1115[49]대성리마석역ㆍ평내호평역ㆍ금곡ㆍ도농역ㆍ구리요금소잠실역30~60[50]
1115-3[51]양지리사릉ㆍ퇴계원ㆍ배탈고개ㆍ구리시청ㆍ광나루역강변역잠실역

6.3 의정부 버스

1-6[52]의정부용현동ㆍ청학리ㆍ중말사거리ㆍ주을래마을ㆍ배탈고개ㆍ구리시청ㆍ광나루역강변역1일 5회
22[53]가능동의정부역ㆍ시장앞ㆍ의정부터미널ㆍ축석고개ㆍ직동리ㆍ광릉ㆍ광릉내진벌리25~40
35[54]경민대학의정부역ㆍ용현동ㆍ청학리ㆍ덕송리ㆍ태릉ㆍ중랑교청량리역
  1. 이후 203번으로 다니다가 2007년 4월에 없어지고, 강남으로 가는 241번이 생긴다.
  2. 소요 시간을 버스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여 버렸다.
  3. 전면 LED는 계속 766으로 나온다.(...)
  4. 초기엔 경기고속에서 신설했으며 이때는 시내버스였다.
  5. 100번은 이 노선 및 2000번과 달리 퇴계원을 경유하지 않고 신월리에서 바로 고속화도로를 탄다.
  6. 난개발의 부작용으로 오남-사능을 잇는 도로(진건오남로)도 헬게이트.
  7. 얘는 오남ᆞ진건을 모두 쌩까고 간다.
  8. 1115-6, 112-3 출신이다.
  9. 현재도 잠실에서 시종착한다.
  10. 무려 초기에는 1001번을 감편시켜서 굴렸기 때문에 신형 BH116으로 다녔었다. 해당 차량은 KD가 인수하고 대원고속으로 넘어가서 다니다가 11년 다 채우고 폐차되었다.
  11. 강변 거쳐 잠실까지 갔던 그 시내버스 맞다.
  12. 배차간격이 15~20분 이상 되었으나 상대편이 5대니까...더이상 설명이 필요한가?
  13. 금곡리에 별도의 차고지를 마련했으며 지금은 택지지구 개발 덕분에 없어졌다.
  14. 효과가 크지는 않았지만 14번(농수산물시장-강변역, 이후 청학리 연장 후 폐선), 9-9번(동구릉-강변역, 지금 99번과는 관련이 없다)으로 두 번이나 말아먹은 거에 비하면 성공했던 셈.
  15. 경복대학 수요가 새로 생겨서 체면치레는 했다.
  16. 이 3번은 2006년에 경복대학 남양주 캠퍼스가 생긴 후 2008년까지 해당 학교를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결정적으로는 의정부에서 광릉내로 가는 21번(명진여객)이 09년 1월에 경복대로 연장됨에 따라 폐선됨
  17. 경기운수는 1119번 폐선이후 소속 차량들을 이용해 공배를 시작함
  18. 오남우회로를 이용함에 따라서 오남경유가 없어졌다. 그리고 86번 지방도(양진로) 완공과 동시에 노선을 핀 결과 급격히 무너진다.
  19. 애초에 수요처인 오남과 진건을 안 들어가니까 수요가 감소하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진접택지는 1, 9 같은 빗자루 노선들이 있으니 20분에 1대씩 다니던 1-5가 외면받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20. 이 노선이 감차되면서 경기운수는 철수했다.
  21. 심지어 74 아 3164, 77 바 1517, 77 바 1541 이렇게 3대만 운행하기에 이르렀다.(...)
  22. 강남아파트
  23. 이전 버전에서는 마을버스 요금을 받는다고 적혀있었다(…)
  24. 인천에 있는 지선버스 업체 삼성여객으로 추정된다.
  25. 화도 지역에서의 요구도 있었다.
  26. 교문사거리와 돌다리 정류장은 양평 8번이 다녔던 터라 남양주 혹은 구리시청으로 가야 하나 간혹 청량리나 양평에 다다른 경우가 있었다(반대방향도 동일). 물론 실제 간격이 긴 편이라 확률은 적은 편.
  27. 시내 30-1(65), 좌석 330-1(650, 얼마 못 가 폐선)
  28. 경기고속에서 운행했기 때문에 경기도 광주 시내버스, 일명 '아웃 광주'
  29. 돌다리사거리에서 수택동을 잇는 4차선 도로. 수택.교문동-강변역 노선의 대부분이 이 길을 지난다. 왕복 4차선인데 길가에 주차돼있는 차량들이 많아 혼잡한 편
  30. 마석지구에 시내버스라곤 55번판대기 달고다니는 시골버스들이 전부였다. 안습
  31. 그리고 이와 동시에 91번이 장자대로 경유로 변경된다.
  32. 참고로 마석에서 출발해서 강변으로 가는 1115-2의 직행좌석버스 버전이다.
  33. 디젤차량 2대
  34. 운행차량은 기존 디젤차량 그대로 운행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10-5, 30번과의 차량교환이 조금 있었다.
  35. 2010년 여름부터 임의결행 수순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36. 현 82A/B와 유사한 기능을 했던 노선으로, 00년대에는 없었다.
  37. 구 568, 특이하게도 다른 노선들처럼 워커힐ᆞ구리시청 경유가 아니라, 구리에서 면목동ᆞ군자동ᆞ화양동을 찍고서 강변역을 갔다.
  38. 경기여객으로 면허이관,이후 번호변경.
  39. 경기여객으로 면허이관, 이후 번호번경 및 노선연장.
  40. 대원운수로 면허이관 후 경기여객으로 면허 재 이관.
  41. 수요 부족으로 폐선. 1-1번과 퇴계원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완전 동일
  42. 대원운수으로 면허이관 및 형간전환. 당시 시내버스였다.
  43. 1660번과 노선통합.
  44. 현재 운행중인167번과 무관.
  45. 다만 운행구간은 상당히 유사한다.
  46. 대원운수으로 면허이관 및 30-2번 대체명목으로 농수산물시장으로 노선단축.
  47. 30번과 노선통합.
  48. 한 때는 마석 - 청량리간 대표 직행버스였고, 지선들(765-1, 766)도 갖고있던 노선이었으나 경춘선 때문에 망했다. 애초에 태생이 같던 1330번도 똑같은 꼴을 당했다.
  49. 한 때는 마석 - 잠실역 구간을 잇던 최초의 노선이었으나, 1000, 8002 분리신설, M2316번 신설 등으로 많이 감차되고 결국 잉여화 되어 똥럭 7대로 다니더니 2014년 새해가 밝자마자 없어진다.
  50. 폐선직전 배차간격이다. 전성기땐 10~20분 배차로 다녔었다.
  51. 1-5번과 통합 및 강변역으로 단축. 잠실까지 시내버스로 다녔다. 남양주권에서 잠실가는 시내버스는 얘가 유일했었는데 없어진 것이다.
  52. 별내신도시에서 강변역 가는 2번 신설로 폐선되었으나 얼마 못 가 1-2 번으로 부활하였다.
  53. 21번에서 분리 신설됐으나 얼마 못 가 통합.
  54. 2000년에 폐선되었으며 현 35번과는 별개 노선. 이 노선의 폐선으로 1155번이 민락동까지 연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