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전철

(동남권 광역전철에서 넘어옴)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수도권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인천 도시철도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경기도 도시철도
동남권부산 도시철도(동남권 전철)
대구, 경북권대구 도시철도대구권 광역철도
광주권광주 도시철도
대전, 충청권대전 도시철도충청권 광역철도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수도권 전철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하위로 기입한다.

동남권 대중교통
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 글로벌캐쉬 / 센스패스
철도부산 도시철도
버스부산 시내버스부산 마을버스울산 시내/마을버스
창원 시내/마을버스김해 시내버스양산 시내/마을버스
거제 시내버스통영 시내버스함안 농어촌버스
창녕 농어촌버스고성 농어촌버스경주 시내버스
공항김해국제공항울산공항
관련 기업부산교통공사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한국철도공사
틀:동남권 전철 노선

1 개요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동남권에서 운행하는 도시철도형 노선들을 나무위키 임의로[1] 통틀어 이르는 말. 비록 명칭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부산광역시를 넘어 울산광역시경상남도 창원시까지 이어질 동해남부선 광역전철과 경전선 광역전철을 기존에 존재했던 부산 도시철도라는 범주의 일부로 포함시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기 때문에 이 두 노선이 차차 개통되면서 조만간 어떤 용어로든 구분은 지어질 듯 하다.

부산 도시철도 1~4호선, 부산김해경전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부산 도시철도 참고. 향후 운행 예정인 동남권 전철 동해선, 동남권 전철 경전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

2 노선 목록

2.1 개통되어 운행중인 노선

운행중인 동남권 전철 노선
운행계통상 총 노선 개수 : 5개 운행계통
총 노선 길이 : 131.1km
총 역 개수 : 130개
노선색운행계통총 길이세부 노선명기점종점소유자운영자
주황색1호선32.5km부산 도시철도 1호선신평역노포역부산광역시부산교통공사
연두색2호선45.2km부산 도시철도 2호선장산역양산역부산광역시, 양산시부산교통공사
갈색3호선18.1km부산 도시철도 3호선수영역대저역부산광역시부산교통공사
파란색4호선12.7km부산 도시철도 4호선미남역안평역부산광역시부산교통공사
보라색부산김해경전철23.4km부산김해경전철사상역가야대역부산광역시, 김해시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2]
부산김해경전철운영주식회사[3]

2.2 공사 중 또는 공사 예정인 노선

공사 중 또는 공사 예정인 동남권 전철 노선
노선색운행계통총 길이세부 노선명기점종점소유자운영자개통예정
주황색1호선6.3km부산 도시철도 1호선신평역다대포해수욕장역부산광역시부산교통공사2017년 4월
미정 [4]사상하단선[5][6]6.9km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사상역하단역2021년
미정미정12.51km부산 도시철도 양산선노포역북정역부산광역시, 양산시2021년
코레일 블루동해선28km동남권 전철 동해선[7]부전역일광역대한민국 정부코레일[8]1단계 2016년 11월 11일
32.7km일광역태화강역2단계 2019년
미정경전선[9]51.4km동남권 전철 경전선[10]부전역마산역코레일[11]
스마트레일주식회사[12]
2020년

2.3 추가 계획

2.4 폐기된 계획

3 운임

  1. redirect 틀:부산 도시철도 이용 요금

부산 도시철도 1~4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 간 환승은 가능하나 직결되는 환승 통로가 아닌 교통카드로만[18] 환승 처리되는 소프트 환승 방식이다. 환승 시 500원의 추가 요금이 붙는다.

3.1 부산 도시철도 1~4호선

부산 도시철도 1~4호선의 경우 보통 출발역에서 10km(소수점은 반올림)이내의 범위에 있는 역을 1구간, 그 외의 역은 2구간으로 분류한다. 일률적으로 설명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표를 사거나 개찰구를 통과하기 전에 해당 역의 노선도를 미리 봐두는 것이 좋다. 2016년 1월 기준으로 편도 1구간은 1,300원, 편도 2구간은 1,500원이다. 왕복권도 있는데, 할인혜택 없이 부산 도시철도를 2회 이용 할 수 있다.[19] 환승시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이 적용된다.

부산 도시철도의 승차권

파일:Attachment/부산 도시철도/Seungcha.jpg
[20]
부산 도시철도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아직까지도 마그네틱 승차권을 사용하고 있으며, RF 승차권 도입여부는 아직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 외 교통카드하나로카드, 마이비, 캐시비를 정식으로 지원한다.

2009년 1월 10일부터 수도권에서 쓰이는 티머니이비카드(티모아)가 상호 호환 협정 체결로 인해 부산 도시철도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티머니의 구입과 충전은 하나로카드, 마이비, 캐시비 교통카드에 비해 힘든 면이 있다.[21][22] 2014년 말에는 레일플러스한페이가 추가됐다. 이외에 유패스,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센스패스[23], 한꿈이카드[24], K-Cash 등 다른 지역과 기관에서 발매되는 교통카드는 쓸 수 없다. 또한 2008년 4월부터 롯데비씨를 시작으로 2009년 이후부터는 국민, 농협, 삼성, 신한(LG 포함), 씨티, 하나(외환 포함), 현대 후불제 카드도 사용이 가능하다.[25][26] 도입 직전부터 신용카드사에서 엄청나게 광고했다. 2014년 11월 29일부터 티머니가 부산 도시철도 무인충전기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레일플러스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코레일에서 추진 중이다.

3.1.1 정기권

파일:Attachment/부산 도시철도/Jung.jpg
1일권종이승차권으로 판매하고 있는데 단돈 4,500원만 지불하면 개찰한 당일 부산 도시철도 1~4호선을 첫차부터 막차까지 무제한으로 이용 할 수 있다. 4번 이상만 타면 본전은 뽑겠군 구간제한, 횟수제한이 전혀 없는 한반도 유일의 도시철도 패스다.

도시철도 정기승차권이라고 하여 교통카드 형태로 된 정기권의 탈을 쓴 정액권이 있는데 공카드를 2,000원을 주고 교통카드 발매기에서 구매해야 한다. 이후 7일권(20,000원/7일 동안 최대 20회 사용가능)이나 30일권(55,000원/30일 동안 최대 60회 사용가능)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보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7일권의 경우 1구간을 17회 이상 승차해야 본전을 뽑을 수 있고, 이 기간이 지나버리게 되면 횟수가 남아있어도 다음에 보충할 때 이월이 되지 않기 때문에, 만일 이 기간동안 다 타지 못할 것 같다면 그냥 교통카드에 돈 넣고 다니는 것을 추천한다. 뭐 백원이라도 아쉬운 사람이라면 굳이 말리지는 않겠지만...
여담으로 안 쓰더라도 그냥 카드만 2000원 주고 사서 기념품으로 간직해도 좋다. 7일 2만원짜리나 30일 5만5천원 둘 중 하나 충전해서 쓰거나 아예 안쓰고는 자유기 때문. 모든 도시철도 운행 지역에서 판매하는 것이 아닌만큼 의외로 희소성도 있고 하니 관광객(특히 그 중 철덕이라면) 하나 정도는 기념품으로 가지고 있을 만도 하며 나중에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는 오래된 옛 승차권으로서 추억과 역사적 가치를 지닌 승차권이 될 수 있기 때문 한 몇십년 뒤에는 저것도 철도박물관 가서 보면서 "아 그시절 그땐 저런 승차권도 있었지" 할 때가 올 것이다. 아님 철덕들이 소장하고 있던 유물로 남거나

3.1.2 우대권

무임승차(우대권 발급)은 경로우대자(만65세이상), 장애인(1-3급 경우 보호자 1인 포함) 또 국가유공자(1-7급), 독립유공자, 518민주유공자 (1급의 경우 보호자 1인 포함) 을 대상으로 우대권을 발매한다. 하지만 우대권은 2004년 매표소 무인화를 기점으로 버튼만 누르면 개나 소나 뽑아갈 수 있는 물건이었다. 그러나 부정승차 악용으로 인하여 2006년 6월부터는 주민등록증을 스캔하여 발급받는 발권기로 교체하여 아무나 받아갈 수 없게 되었다. 다만 노인들이 주로 많이 이용하는 일부 역에는 우대권 발급기가 2대씩 설치되어 있으며, 기계 앞에서 노인들이 장사진을 이루기도 한다.(인식이 잘 안되는 경우도 있어서 더욱 그렇다.)

2009년 10월 2일부터 대구·수도권에 이어 복지 교통카드가 도입되어 사용 가능해졌다. 2012년 8월 1일부터는 성명, 생년월일, 성별이 기재 되어 발급된다.

3.1.3 다자녀 운임 할인(가족사랑카드)

부산광역시 출산장려정책의 일환으로 2006년 11월부터 시행중에 있었던 제도에# 2008년 1월 10일부터 성인 기준 부산 도시철도 운임 50% 할인이 추가되면서 가족사랑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자에게 이 사항이 적용된다.[27] 가족사랑카드 발급 조건은 해당 링크 참고. 2013년 7월 이전까지는 오로지 승차권에만 할인혜택이 적용되어 항상 역에서 표를 뽑아야 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버스 환승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혜택이 사실상 무용지물이나 다름이 없었다.(교통카드/1구간 편도 기준으로 일반시내버스 -> 부산 도시철도 환승 시 1080원 + 220원 = 1300원이 들지만, 가족사랑카드 소지자가 일반시내버스 -> 부산 도시철도 환승시 버스는 교통카드 사용, 부산 도시철도는 다자녀 승차권을 발급하여 이용하면 1080원 + 600원 = 1680원이 든다.) 2013년 7월 부터는 신한카드와 제휴하여 후불교통카드 기능이 부여된 가족사랑카드를(체크/신용카드) 발급하고 있다. 이 카드에는 다자녀 할인혜택은 물론, 부산 도시철도 <-> 시내버스 간 환승 할인 혜택이 적용되며, 본인의 사진이 부착된다.# (1구간 기준 부산 도시철도 -> 버스 이용시 550원 + 200원 = 750원) 그 외에 세부적인 정보는 이 곳을 클릭.

3.2 부산김해경전철

파일:Attachment/부산 도시철도/11 01 pop02.jpg

부산김해경전철의 승차권
파일:Attachment/부산 도시철도/123.jpg

부산김해경전철사상역~대저역, 평강역~김해대학역, 인제대역~가야대역 세 구간으로 나눈다. 구간 내를 이동하거나 평강역~김해대학역에서 출발하는 경우 1구간 요금이 적용되어 현금 기준 1,300원, 사상~대저↔인제대~가야대를 이동하는 경우 2구간 요금이 적용되어 현금 기준 1,500원이 부과된다.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100원 할인된다.

마그네틱 승차권을 사용하는 1~4호선과 달리 코인형 RF 승차권(토큰)을 사용한다. 토큰을 반납하지 않고 소장하고자 몰래 가져가는 철싸대 짓은 하지 말자.

부산김해경전철은 민자 사업으로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무임의 의무가 없다. 따라서 부산김해경전철은 노인무임은 없는 대신 장애인(1-3급은 보호자 1명 포함) 국가유공자(1급은 보호자 1명 포함) 독립유공자, 5.18민주유공자 는 우대권 발급으로 무임 승차가 가능하다.

3.3 동남권 전철 동해선 (미개통)

2016년 11월 11일에 1차 구간(부전~일광)개통 예정인 동남권 전철 동해선 의 경우 부산김해경전철 과 동일한 토큰형 승차권을 사용한다. 운임의 경우 1구간 1,200원(10km 이내), 2구간 1,400원(10km 이상)으로 결정되었다. 환승은 부산 도시철도의 환승체계와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3.4 동남권 전철 경전선 (미개통)

경전선 성인 요금은 대략 2천원 안팎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부산 도시철도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수도권 전철과 달리 이름도 정식 체계도 정해지지 않았다. 정식 명칭이 확정되면 문서이동 바람.
  2. 사업 시행 및 차량 운영 업무
  3.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4. 노선 구분을 위해 나무위키내에서 사용하는 색
  5. 역번호가 500번대로 지정됨에 따라 사실상 5호선이 아니냐는 말이 있다.
  6. 2016년 6월 15일 사상구 괘법동 사상역광장에서 기공식이 있었다.
  7. 정식 명칭이 아니다.
  8. 부산교통공사가 입찰을 포기하여 코레일이 맡게 되었다.
  9. 복선전철화 이후 부전역~마산역 구간에 광역철도를 운행할 예정이다.
  10. 정식 명칭이 아니다.
  11. 열차 운영 업무
  12.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13. 2011년 3월 30일에 개통한 부산 도시철도 4호선(반송선)과는 전혀 다른 노선이다. 1997년 외환 위기로 백지화되었다. 서울의 3기 지하철 계획이나 부산 도시철도 5호선처럼 같은 시기에 외환위기로 백지화되었던 다른 노선들은 대부분 경전철로 대체되어 재추진중이지만 이 경우 노선의 핵심인 부산 앞바다 인공 해상신도시 계획 자체가 무산되면서 부활의 여지도 없이 완전히 폐기되었다. 또 더 전에는 이게 3호선, 3호선+현 4호선이 4호선이었다.
  14. 역시 1997년 외환 위기로 인해 백지화되었으나 경전철로 규격 변경하여 사상가덕선으로 전 구간 대체될 예정이다. 그 중 사상역 ~ 하단역 구간은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으로 우선 추진된다. 하지만 가덕신공항이 무산되면서 이 계획도 백지화 될 가능성이 크다.
  15. 2010년 사실상 백지화 되었다.
  16. 2014년 전면 백지화 되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17. 2015년에 백지화 되었다. 씨베이파크선으로 대채될 예정이다.큰 문제점은연지동조차 안오는것이다
  18. 애초에 부산 도시철도는 마그네틱, 부산김해경전철은 RF토큰 승차권을 사용하기 때문에 1회용 승차권으로는 부산 도시철도 ↔ 부산김해경전철 간 환승할인이 불가능하다.
  19. 카드 요금은 편도 기준 각각 1,200원/1,400원
  20. 현제 일반 승차권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부산교통공사의 마스코트인 패밀리휴가 그려진 디자인.
  21. 티머니신한은행, 제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우체국 ATM 중 충전 기능이 있는 입출금기와 GS25, CU, 미니스톱 편의점, 그리고 극히 소수의 가판대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다. 캐시비는 수도권 교통카드 업체인 이비카드에서만 발행한 2011년 당시에는 세븐일레븐, 바이더웨이에서만 충전할 수 있었으나, 롯데그룹 산하의 지역 교통카드 업체인 마이비/하나로카드에서도 발행하기 시작한 2012년 4월부터는 부산 도시철도 전 역사와 신한은행, 제주은행, 롯데ATM, 우리은행 ATM 중 충전기능이 있는 입출금기, 그리고 CU, GS25, 미니스톱 편의점롯데슈퍼에서도 보충이 가능해졌다.
  22. 그나마 부산광역시는 남부권의 정식 지역이 아닌 호환 지역 중에서 상대적으로 티머니를 구하기 쉬운 곳이다. 노포터미널에만 와도 GS25 매장만 2개가 터미널에 있고 둘 다 티머니를 팔고 있으며, 서면역에서 부전시장 방향에 있는 한국스마트카드 영남권고객센터에서 티머니의 구입과 충전이 가능하다. GS25 외에도 CU, 미니스톱같은 곳이 깔려 있으니....
  23. 부산 대중교통에서는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에서만 센스패스와 탑티머니의 이용이 가능하다.
  24. 비자캐시 베이스의 구형은 불가. 2011년 2월 15일부터 발행 중인 스마트 티머니 기반의 신형만 부산광역시에서 사용할 수 있다.
  25. 하나로 때문에 후불제 카드의 도입이 늦어졌다.
  26. 반드시 호환이 되는 것인지를 꼭 확인하고 발급받아야 하며, 가급적이면 널리 사용되는 후불카드를 쓰는 것이 좋다.
  27. 가족사랑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았는데 다자녀 승차권을 사용하게 되면 부가운임 대상자이다. 항상 소지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