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지 오브 시리즈 | |||||
분류 | 본편 | 시리즈 확장팩 | |||
엠파이어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 로마의 부흥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 정복자 | 더 포가튼 | 아프리칸 킹덤 | 라이즈 오브 더 라자스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 대전사 | 아시아 왕조 | |||
미쏠로지 |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 티탄의 복수 | 용의 이야기 |
Age of Mythology : Tale of the Dragon
왼쪽부터 중국 신화의 삼황인 신농, 복희, 여와. 본 게임에서 주신들로 등장한다.
목차
1 소개
2016년 1월 28일 스팀을 통해 출시되는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의 두 번째 확장팩.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잊힌 제국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아프리카 왕국 등을 개발한 "Forgotten Empires" 팀에서 개발하였다. 중국 신화를 다룬다.
같은 팀에서 개발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아프리카 왕국의 한국어 번역과 마찬가지로, 한국어 번역의 질이 좋지 않다. 영어(또는 중국어 병음 표기) 철자를 잘못 읽어 오역한 경우가 많다.[1]
한국 스팀 샵에는 발매 당일에서 2일 지나서 등록되었다. 다만 실행하려면 먼저 나온 Age of Mythology: Extended Edition이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게 한국 샵에서는 단독 제공이 되지 않고 있으며, Microsoft RTS Collection[2] 묶음으로만 제공된다. 이 제품의 가격이 108,000원이나 하지만, 용의 이야기 확장팩이 발매되면서 2월 2일까지 상기의 패키지가 본 확장팩을 포함하여 반값 할인중이므로 서둘러 지갑을 열자.어차피 나중에 또 연쇄할인마의 할인사건이 터지겠지만 아니나 다를까 2016년 2월 6일 현재 용의 이야기가 포함된 마이크로소프트 RTS콜렉션이 70%세일 중(...)연쇄할인마의 할인 범죄가 또 시작되었다!!!
다만 현재 스팀 워크샵의 용의 이야기 단품 판매 사이트를 보면, 처음에는 반응이 좋았으나 최근 반응으로 갈수록 평가가 영 좋지 않거나, 좋다고 평해도 문제점을 상당수 거론하고 있다. 전반적인 완성도의 부족[3], 떨어지는 미션의 몰입도, 버그 등이 주로 거론되는 상황. "내 돈 돌려내"라든가 이게 확장팩이냐? 모드지! 하는 소리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미션 수도 9개밖에 안 되고, 미션 중간중간 컷씬 연출도 애니메이션 연출이 살짝 끊어져 나타난다던가 배경음과 대사가 안맞는다거나 하는 등 전체적으로 살짝 조잡힌 티가 역력하다. 특히 마지막 미션에서 반고를 깨우기 위해 티탄 게이트를 열기 시작하면 추가 적들이 나타나는데, 그냥 등장하는 국가들의 신화 유닛들 올러쉬다.(...)중국에 왜 콜로서스랑 아르구스랑 스카라베랑 베헤모스랑 에인헤랴르랑 마운틴 자이언트가 있는 거냐 괜찮아 주작 만나는 미션에선 로크도 나오던데 뭘
버그 모음 영상. 구매자의 깊은 빡침이 느껴진다(...).
유닛 소개 영상
신의 힘 연출도 매우매우 부실하다. 거기다 잘보면 일부 유닛들은 기존유닛들에서 스킨만 바꾼 것이라는걸 알 수 있다 특히 반고나 손오공(...).
2 새로운 문명과 주신
2.1 중국
2.1.1 문명 특성
- 농원에서 은총 생산을 통해 은총을 모음
- 게임 시작 시 정찰 기병 2기 제공
2.1.2 주신
- 복희(伏羲, Fu Xi)
- 보너스 : 건설 중인 건물에 추가 자원을 투입하여 건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 건물 비용에서 목재 저렴, 불사신을 고대 시대부터 8명까지 양성 가능, 유닛 상위 단계 업그레이드 비용 저렴
- 신의 힘 : 염소의 해(Year of the Goat, 식량을 제공하는 가축인 염소 떼를 내려주며, 상위 시대일수록 더 많은 염소를 내려줌)[4]
- 신화 업그레이드 : 사육(Domestication, 소작농의 가축류, 딸기류, 닭, 오리를 통한 식량 채집 속도 향상)
- 선택 가능 하위 신 : 고전 시대-황제/손오공, 영웅 시대-대백공/종규, 신화 시대-오광/중려
- 불가사의 디자인 : 자금성
- 여와(女媧, Nü Wa)
- 신농(神農, Shennong)
2.1.3 고전 시대 하위 신
2.1.4 영웅 시대 하위 신
- 하백(河伯, He Bo)
- 종규(鍾馗, Zhong Kui)
- 신의 힘 : 발근(Uproot, 살아있는 뿌리를 지상으로 뽑아내 적 건물에 대미지를 입히며, 건물이 많을수록 대미지도 강력해짐)
- 신화 유닛 : 강시(Jiangshi, 적 유닛의 영혼(체력)을 빼내는 특수 공격.[9] 모두들 미라와 같은 즉사능력으로 예상했지만 예상을 뒤엎고 노르웨이 트롤과 같은 체력회복 능력이었다. 근데 건물에도 통한다!)
- 신화 업그레이드 : 악령 퇴치자(Demon Slayer, 신화 유닛에 대한 불사신 공격력 향상), 생명 흡수(Life Drain, 강시 공격력 향상), 난폭한 분노(Unbridled Anger, 보병 체력·공격력 향상)
- 대백공(大伯公, Dabo Gong)
2.1.5 신화 시대 하위 신
- 중려(重黎, Chongli)
- 오광(敖光, Ao Kuang)
- 신의 힘 : 대홍수(Great Flood, 홍수를 일으켜 적 유닛을 몰살. 특이하게 마우스 휠로 방향을 지정할 수 있으며, 해당 방향으로 꽤 멀리까지 홍수가 퍼져나간다.)
- 신화 유닛 : 청룡(Azure Dragon, 불을 뿜어 공격하는 수륙양용 유닛.[13] 특수 공격이 그리스 신화 유닛 키메라의 특수공격(약간의 사거리를 가지고 더 위력적인 불뿜기)과 같다(평타는 불뿜기이긴 하지만 사실은 근접 공격)), 현무(Dragon Turtle, 불을 뿜어 공격하는 수상 유닛. 다만 특수공격이 노르웨이 파이어 자이언트의 직선 스플래시 불공격이고 평타는 그냥 근접이다)
- 신화 업그레이드 : 용의 비늘(Dragon Scales, 인간 유닛의 근거리 방어력 향상), 동해(East Sea, 선박의 생산 비용 절감), 나타의 패배(Nezha’s Defeat, 청룡과 현무의 공격력 향상)[14]
- 서왕모(西王母, Xi Wangmu)
- 신의 힘 : 지룡(Earth Dragon, 지정 위치에
딜롱땅에 붙박힌 용을 소환하여 주위의 유닛이나 건물을 공격함) 공격력 30에 약간의 스플래시가 있으며, 지룡인 주제에 불을 내뿜는다.원거리 공격이 가능해진 튼튼한 카르니보라실제로 소환 시 나는 소리도 카르니보라 소리였던 적이 있다(...). 다만 체력이 남아 있어도 생존 시간이 다 되면 죽는다. 중국의 신의 힘들 중 유일하게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다(3번). - 신화 유닛 : 백호(White Tiger, 도약하여 적을 공격하는 유닛)
- 신화 업그레이드 : 황금 복숭아(Golden Peaches, 성 유닛의 체력 향상), 하늘의 궁전(Celestial Palace, 성의 체력과 성 유닛의 생산 속도 향상), 호랑이의 영혼(Tiger Spirit, 백호의 체력과 이동 속도 향상
- 신의 힘 : 지룡(Earth Dragon, 지정 위치에
3 기존 문명의 변화점
기존 문명에 기존 문명들의 단점을 보완할 새로운 유닛들이 하나씩 추가되었다.
- 그리스 - 의사(Physician) : 치료 유닛이 없던[15] 그리스의 단점 보완. 고전 시대부터 마을회관에서 생산하며, 아군 유닛을 치료한다. 영웅유닛이었으나 패치로 일반유닛으로 바뀌었다.
- 이집트 - 코피스[16] 검병(Khopesh Swordsman) : 코피스로 무장한 근접전 보병. 설명에는 주민에게 강하다고 적혀있는데 보너스 데미지같은건 없다. 그냥 평범한 보병.
근데 기본컨셉이 약골물량인 이집트 보병에 굳이 추가할 게 있긴 한가 - 노르웨이 - 복스바이기르(Bogsveigir) : 궁사가 없던 노르웨이에 추가된 보병 궁사. 공중 유닛에 강하다. 사거리가 무려 18이나 된다.
- 아틀란티스 - 아너저 투석기(Onager)[17] : 장거리 공성 무기가 없던 아틀란티스의 단점 보완. 발리스타처럼 대형 활을 이용해 돌을 날리는 아틀란티스 투석기. 다만 파괴력은 파이어 사이펀에 비해 떨어진다. 활을 이용하지만 투석기로 분류되는지 기본 사거리는 28이고 그리스 페트로볼로스처럼 투석기이면서 2개의 돌을 날린다.
4 새로운 건물과 유닛
- 마을 회관(Town Center)
- 집(House)
- 저장소(Storage Pit) : 모든 자원(식량, 목재, 금)을 저장
- 농원(Garden)[18] : 모든 자원(식량, 목재, 금, 은총)을 느리지만 스스로 생산, 최대 10개 건설 가능. 모든 농원에서 한 번에 한 종류의 자원만 생산할 수 있음.
- 농장(Farm)
- 전투 사관학교(War Academy)
- 기병 양성소(Stable)
- 성(Castle) : 다른 문명의 요새들과 같은, 방어 및 고급·공성 유닛 양성 건물
- 항구(Dock)
- 신전(Temple)
- 티탄 게이트(Titan Gate)
- 티탄(Titan) : 반고(盤古, Pangu)
- 시장(Market)
- 무기고(Armory)
- 감시탑(Sentry Tower)
- 나무 성벽(Wooden Wall)
- 불가사의(Wonder)
5 새로운 지도
- 분지(Basin)
- 깊은 밀림(Deep Jungle)
- 옛 아틀란티스(Old Atlantis)
- 노지(Open Fields)
- 국왕 시해(Regicide)[24]
- 비단길(Silk Road)[25]
- 황하(Yellow River)[25]
6 캠페인
티탄의 복수에서 티탄들이 날뛰면서 음양(陰陽)이 분리되어 중국에 혼돈이 왔고 머나먼 서역의 신화와 중국의 신화를 엮었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전설의 성군 요(堯, Yao)의 부하 장군인 '교룡(Jiao-Long)[26]'이 음양을 바로잡기 위한 모험을 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 등장 인물
- 교룡(Jiao-long) : 주인공, 아군 주 영웅.
- 단주(丹朱, Danzhu) : 요의 아들. 교룡과 같은 명령을 받은 아군이지만, 중반부터
뜬금없이[27] 적으로 돌변한다. 에필로그에서 다시 아군으로 돌아오지만 교룡이 '당신의 행적을 요 임금께 보고하겠다'며 경고하는 것으로 끝난다. 실제로 요의 아들임에도 왕재(王材)가 부족해 결국 순에게 임금의 자리를 물려주었다는 '선양(禪讓)'의 고사를 반영한 듯 하다.] - 순(舜, Shun) : 아군 보조 영웅
명색이 요의 후계자가 되는 사람인데 주인공이 아닌 보조 영웅으로 나온다아르칸토스 스킨만 바꾸었다. - 지(智, Zhi) : 아군 수도사 영웅
- 반고(盤古, Pangu)[28] : 중국의 티탄. 다만 유튜브 영상 중에는 게임 상 포트릿은 그리스 켈베로스로 나오는 영상도 있다(...)[29] 등장/공격 모션들은 아틀란티스 티탄과 같다. 마지막 미션에서 주인공 일행에 의해 다시 깨어나 음양의 질서를 바로잡는데, 그냥 기지개 한번 쭉 펴니 빛이 비추면서 적군들이 싹 정리. 디테일이 너무 안습이다(...)
- 요(堯, Yao) : 중국의 임금. 게임 상에서 컨트롤할 수 있는 영웅으로 등장하지는 않고, 프롤로그에서 교룡과 단주에게 명령을 내리는 장면에서 등장한다. 홍수 등 재난이 일어나자 그들에게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라고 명령한다.
- 야마(閻羅, Yama) : 지하 저승세계의 주인. 직접 등장하지는 않고 목소리만 나온다. 지하세계로 온 주인공 일행에게 음양이 분리되어 혼돈이 왔다는 것과, 이를 복구하려면 반고의 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해당 미션에서 먼저 적군과 투닥거려야 하는 것은 잠시 잊자 - 오광(敖光, Ao Kuang) : 용궁(Water Palace)에 거주. 모습은 자신의 신화 유닛인 청룡. 등장하는 7번 미션에서 갇혀 있다.(...) 음양의 분리로 혼돈이 와서 통제력을 상실한 상태로, 그를 구해주면 남쪽으로 가면 반고를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정보를 주며 미션이 끝난다. 여담으로 그의 궁전 의 성벽이나, 마지막 미션 영상 씬에 등장하는 궁전 건물은 죄다 아틀란티스 풍(...)
역시 아틀란티스는 용궁이었어!
7 버그
미션 4를 깨고 나서 컷신에서 멈춰버리고 다음미션으로 넘어가지 못하는 버그가 있다. 껐다가 다시 해보고 미리 저장해서 세이브 파일을 불러와서 깨도 똑같은 증상이 반복된다.(2월 2일)
미션8 이전의 시네마틱에서 교룡 일행이 남쪽나라에 와서 주작을 만났을때, 주작의 대사가 중복으로 나오는 버그가 있다.
2월 6일 패치 이후 캠페인과 밀리 게임과 관계없이 야생동물 몇몇이 죄다 Alfred라는 이름의 산양 같은 동물로 변경되어 나오고 있다. 그것도 주민을 공격하는 맹수까지도 그렇게 나온다. 심지어 유닛 설명도 괴악한 번역체 문장이다.[30]- ↑ 상아(嫦娥, Chang'e)를 '장안'으로 번역했다든가, 심지어 Chang'e를 Change로 봤는지 옥토끼(Jade Rabbit) 업그레이드 설명에서는 변화라고 번역했다(...). 대백공(大伯公, Dabo Gong)의 경우 'Dabo'는 '대백(大伯)'의 병음 표기이므로 '대백'이라 옮겨야 하는데, 그냥 철자대로 읽어 '다보'라고 옮겼다(그래서 '다보공'이라는 정체불명의 이름이 되었다). 또한 하백의 업그레이드 중 하나인 'Rammed Earth'를 '다진 흙'이 아닌 파괴된 지구(...)로 번역하는 등 꽤 많다.
- ↑ Age of Empires II: HD Edition, Age of Empires III: Complete Collection, Age of Mythology EX: Tale of the Dragon, Rise of Nations: Extended Edition로 구성
- ↑ 특히 모델링 문제가 많이 거론되고, 실제로 전반적인 모델링 수준이 좀 안습이다.
- ↑ 원래 아시아 왕조에서 카드로 존재하던 것을 그대로 가져와 신의 힘으로 만들었다.
- ↑ 실제로 이렇게 읽었는지, 옥토끼 업그레이드 설명에서 상아를 '변화'라고 번역했다(...). Chang(嫦)과 e(娥) 사이의 어깨점(')에 유의. 중국어로 '창어'라 읽는다.
- ↑ 초상화가 리오레의 롤 오공과 분위기며 표정이며 매우 흡사하다!
- ↑ 아시아 왕조 때도 일본에 식량으로 왕도롱뇽을 풀어놓더니, 얘네들 도롱뇽 넣는 거에 맛들렸나 보다. 다만 이번엔 중국이니만큼 앞서 나온 왕도롱뇽과 달리, 애완용으로 많이 키우는 마블 살라만다같이 생겼지만 중국장수도롱뇽 이 맞다. 다만 덩치는 쿨라수쿠스급. 참고로 사냥감 왕도마뱀은 따로 있다.
진짜 도마뱀과 도롱뇽에 맛들렸나 보다아닌 게 아니라, 1번 미션부터 끝 미션까지 미션 내내 진짜 잊을 만 하면 기다렸다는 듯이 등장하는 적 신화 유닛이 이 전투 도롱뇽이다.(...)제작진 중에 양서파충류 성애자가 있는 듯 하다 - ↑ 실제로, 고대 중국에서 하백에게 제사지낼 땐 인신공양 의식을 했었다.
- ↑ 이집트의 스콜피온 맨의 특수기술과 비슷하다. 일격사는 아니지만 일격에 큰 데미지를 주는 기술.
- ↑ 지진이나 유성, 심지어 산불도 나무는 태우는데... 대신 상아의 화살 세례가
화살인데!나무를 쓰러뜨린다. - ↑ 피닉스처럼 불을 입에서 뿜는 게 아니라, 공격 시 작은 불회오리가 생겨난다.
- ↑ 대놓고 이집트의 피닉스와 겹친다고 설명하고 있다(그래서인지 초상화의 색상은 청둥오리와 비슷). 참고로, 피닉스와 1대1 하면 주작이 이긴다. 일단 주작은 피닉스와 달리 약간의 사거리(14)도 있다.
- ↑ 지상 유닛이라지만 아르구스처럼 지상을 약간 떠서 다닌다. 그리고 티탄의 특수공격에 맞아 날아갈 때 잠깐이지만 노르웨이 조르문트가 된다.(...)(30분38초)
- ↑ 중국 설화에서 오광의 아들 오병은 나타와 말싸움을 벌이다 맞아 죽었고, 이를 항의했다가 자신 역시 나타에게 두들겨 맞고 나타의 아버지 이정 앞으로 끌려왔다. 나타의 행위는 도를 넘었기에 꾸지람을 들었고, 이후에도 나타가 말썽을 부려 아버지와의 사이는 점점 벌어졌다.
그리고 서유기에서 손오공이라는 새로운 개깡패가 나타나자 나타도 오광도 사이좋게 깨진다 - ↑ 아테네의 신의 힘 '복원', 아폴로의 신화 업그레이드 '치료의 신전'을 통한 신전에서의 치료 기능만 있었기에, 이 두 신을 고르지 않으면 치료 수단이 없었다.
- ↑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에서 널리 쓰인 외날칼.
- ↑ 게임 상에서는 단어의 원래 의미인 '야생 당나귀'로 번역했다(...).
- ↑ 게임 상에서는 이 건물도 '농장'으로 번역해버려서(...) 아래의 농장과 이름이 겹친다.
중복 확인도 안 하고 막 번역했나 - ↑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궐장노병' 혹은 '등자노병'이다.
- ↑ 이 유닛의 경우 사실 기본 영어판 작명부터 잘못된 사례(...) 화창은 창에 근거리용 화약통을 단 무기고, 발사체가 날아가는 건 화전이다.
- ↑ 게임상에서는 '와호(臥虎)'라고 번역했으나, 엄밀히 말하면 오역. 정확한 본명은 '호준포(虎蹲砲)'. 명나라 때 사용한 화포 호준포 외에, 송나라 때 사용한 투석기 중에 호준포라는 게 있었다. 이렇게 생겼다.
- ↑ 의외로 전향 능력이 좋고 앞서 언급한 자동 전향 능력 때문에, 많이 뽑아 놓으면 교전 중 적 대부대가 금방 내 것이 되는 경우가 많다(...). 중국이 아닌 다른 국가들과 싸우면 대규모 이민족 부대를 운용할 수 있다(...).
- ↑ 상나라 때 북쪽 국경이 황하를 크게 지나치지 않았다.
- ↑ 에이지2에 있던 게임 모드. 에이지3 아시아 왕조부터 맵으로 등장.
- ↑ 25.0 25.1 아시아 왕조에서도 나왔던 맵
- ↑ 이름인 '교룡'은 중국 신화에 나오는 용(龍) 중 하나인 '교룡(蛟龍)'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 지의 세력이 아군을 적대하는데, 깨뜨리면 단주의 명령이었다고 한다. 이후 직접 공격해 온다
- ↑ 캠페인 상에서는 환인으로 번역되었다.
중국 신화 배경인 스토리에다 대체 무슨 짓이냐! 번역자가 환빠인가 보다 - ↑ 영상마다 다른 걸로 보아 패치로 수정되었거나 버그라서 제대로 안 나오는 듯.
- ↑ 이는 스팀 도전과제로 '알파카의 시간'이라는 도전과제였다고 한다. 그러나 인게임에서 아무 안내도 없는 이상 유저 입장에서 버그로 여기는 것은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