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명판

1 개요

철도역 승강장 내에서 역 이름이나 주변 역의 이름을 표기하여 이용객들에게 어느 역에 왔는지를 알려주는 시설. 주요 사용 서체는 지하철체, 코레일체, 고딕체 등이다.

2 분류

설치된 위치에 따라 역 바깥에 설치된 역명판과 역 안 승강장에 설치된 역명판으로 나뉜다. 근데 역 바깥에 설치된 역명판은 잘 신경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디자인이 거의 다 비슷비슷해서... 역 안 승강장에 설치된 역명판은 형태에 따라 다시 천장에 매달린 달대식 역명판, 승강장의 벽에 부착된 부착식 역명판, 승강장에 서 있는 지주식 역명판, 승강장 맨 끝에 설치된 입간판식 역명판, 기둥에 설치된 기둥식 역명판 등으로 나뉜다. 아하이고, 뭐가 이렇게 많아... 보통 지하철에는 부착식과 기둥식이 주로 사용되며, 부착식 역명판 위에 환승띠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3 종류

3.1 역 외부

3.1.1 간판형 역명판

역사 외부에 대형 역명판을 설치하는 방식. 주로 패널에 역명이 써진 형태이나, 최근에는 패널 없이 글자만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낮에 보면 파란색으로 보이는데 밤이 되면 어째선지 흰색으로 빛난다. 몰라 뭐야 그거 무서워

파일:MUdkH4D.jpg
광주선 광주역

파일:7ZgaOdV.jpg
경부선 서울역

3.1.2 입구 부착식 역명판

출구 상단에 역명판을 붙이는 방식. 대한민국의 거의 모든 역에서 볼 수 있다.

파일:2MdSqZA.jpg
서울 지하철 5호선 오목교역

파일:73vqawB.jpg
서울 지하철 9호선 샛강역

파일:2hrEzpo.jp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운정역

width=50%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성시장역 들어갈 수만 있는데 Exit라고 적혀 있다.

3.1.3 계단 수직면 부착식 역명판

계단의 수직면에 부착하는 역명판.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서 볼 수 있는 형식의 역명판이다. 계단에 진입해야만 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파일:Seomun Market Station.pn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

3.1.4 난간 부착식 역명판

난간 바깥쪽에 붙이는 역명판.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서 볼 수 있는 형식의 역명판이다. 오로지 측면에서만 볼 수 있다.

파일:Sinnam station.pn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신남역

3.1.5 폴사인

주로 지하역 출구 근처에 기둥 형태로 역명을 표기하는 방식.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출구 지붕 위에 설치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보였으나[1] 요즘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형태에 따라 지붕설치식, 완전 사각기둥식, 부분 사각기둥식, 입간판식으로 나뉜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는 이러한 폴사인이 존재하지 않는다.

파일:Mq3M0Yn.jpg
서울 지하철 4호선 혜화역 지붕설치식 폴사인. 지금은 없어지고 부분 사각기둥식으로 대체되었다.

파일:KNFfA1A.png
서울 지하철 5호선 오목교역 완전사각기둥식(구형/1차개정) 폴사인. 개정되면서 역번호를 아래로 옮기고 부역명을 표기하였으며 글씨를 서울남산체로 바꾸었다. 또한 한자를 간체자로 바꾸고 일본어를 추가하였다. 한글과 외국어 역명 표기를 한 면에 전부 표기한 것도 특징.

파일:O0pzYUI.jpg
서울 지하철 9호선 샛강역 완전사각기둥식(2차개정) 폴사인. 1차개정판에 비해 더 슬림해졌다.

파일:MK2Cdon.png
서울 지하철 6호선 고려대역 부분사각기둥식(구형/신형) 폴사인. 개정되면서 역번호를 아래로 옮기고 부역명을 표기하였으며 글씨를 서울남산체로 바꾸었다. 또한 한자를 간체자로 바꾸고 일본어를 추가하였다.

파일:W326efR.jpg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부분사각기둥식 폴사인.[2] 서울도시철도 디자인과 유사하며 코레일체를 쓴다. 최근에 신설된 역은 글자 크기를 좀 더 키운듯.

파일:Nv4QOMg.jpg
수도권 전철 수인선 소래포구역 입간판식 폴사인. 코레일 운영 지상역 대부분은 입간판식 폴사인을 쓰고 있다.

%EC%A3%BC%EC%95%88%EC%97%AD6.jpg
인천 도시철도 2호선주안역 사각기둥식 폴사인.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다른 디자인에 글자크기가 작아졌으며 서울지하철 9호선과 닮아졌다.

3.2 역 내부

3.2.1 부착식 역명판

벽면에 역명판을 붙이는 방식. 지상의 경우는 승강장 뒤에 벽을 따로 만들지 않는 이상 벽면에 역명판을 붙일 수 없기 때문에 지상철도보다는 지하철에 주로 쓰이는 방식이다. 주로 상대식 승강장에서 많이 볼 수 있으나 섬식 승강장에도 붙어있다. 스크린도어 때문에 안보여서 그렇지 그리고 운영사에 따라 역명판 디자인이 제각각이다보니 역명판 디자인만 보고도 운영사를 한 눈에 구별할 수 있는 사람들도 있다.

3.2.1.1 서울메트로

파일:Cq56SNX.jpg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역명판. 잠실역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던 로마자 개정 이전 역명판이다.[3] 민원이라도 있었는지 2015년 5월에 교체되었는데, p'a 부분을 못봤는지 이 부분은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 교체 전후의 모습을 직접 비교해보자.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역들의 역명판은 대체로 이렇게 생겼다.(틀은 유지하고 글자만 서울남산체로 개정된 역도 있다.)[4]] 단, 디자인서울 정책이 적용된 1호선, 2호선 일부 역, 3호선 가락시장~오금 구간과 4호선 동작역, 9호선 언주~종합운동장 구간은 외형 디자인까지 다르다.

300px
2000년 안내체계 개정 이전 1, 2호선에서는 위와 같은 형태의 크고 아름답고 둥근 역명판이 쓰였다.

350px 혹은 위와 같은 형태 역시 크고 아름답다

파일:G9rKhTz.jpg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대문역 역명판. 서울메트로 역들 중 디자인서울 정책이 적용된 역명판은 대체로 이렇게 생겼다. 배경이 검은색인 버전도 있으며, 서울 지하철 일부 역 중에는 스크린도어 중앙 부착식 역명판이 이런 디자인으로 되어있는 경우도 있다. 도철 역은 죄다 선로쪽에 붙어있다는게 함정

파일:6AAF7vC.jpg
수도권 전철 3호선 화정역 역명판.[5] 이런 형태의 역명판은 상대식 승강장 선로측 기둥에 붙어있는데 스크린도어 설치로 인해 점점 보이지 않게 되고 있다.[6] 스크린도어 부착식 역명판이 이를 대체해 나가고 있는 추세.[7]

3.2.1.2 서울도시철도공사

파일:5Hdjoul.jpg
서울 지하철 6호선 안암역 부착식 역명판.[8]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역들의 역명판은 대체로 이렇게 생겼다. 이러한 역명판은 보통의 상대식 승강장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아무도 신경을 안 쓰겠지만 역명판의 화살표 방향이 열차의 진행방향이다. 아래의 갈매기 역명판도 마찬가지.

파일:QuLQCGX.jpg
서울 지하철 6호선 광흥창역. 이렇듯 갈매기더 날렵한 모양으로 생긴 것은 섬식 승강장, 단선 승강장[9], 양쪽 벽이 막혀있는 상대식 승강장[10]에서 쓰인다.


서울 지하철 5호선 왕십리역 역명판. 서울남산체로 바뀌었으며 새로 생긴 부역명과 일본어가 추가되었다. 승강장 안쪽 역명판은 동대문역의 사각형 역명판과 비슷하게 바뀌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역의 오각형 역명판. 이런 역명판은 서울도시철도 노선중 도봉산역이 유일하다.

파일:Q35LbuN.jpg
디자인서울 정책이 부분 적용된 서울 지하철 7호선 굴포천역 역명판. A4 디자인 어쩌면 그건 네모의 꿈일지 몰라 최근 디자인서울 정책의 영향으로 서울 지하철 역사가 리모델링되는 족족 이러한 형태의 역명판으로 바뀌고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신금호역 사례를 참고할 것. 하지만 서울도시철도는 9호선과 똑같은 경찰병원역, 오금역과는 달리 노선색을 반영했고 LED조명을 이용했으며 특히 7호선 연장구간은 서울남산체가 아닌 고딕체로 가독성을 높였다.

Q54328 Gasan Digital Complex A03
서울 지하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과거 인공암벽이 있던 역[11]에 쓰이던 양식이나, 인공암벽이 사라지면서 비슷한 역명판만 남았다(...). 리모델링 이전 역명판과 형태는 비슷하나 글씨체가 고딕체로 바뀌었다. 여응포구청역 신금호역 마천역도 이럴수있었는데

3.2.1.3 서울 지하철 9호선

파일:UMWPswP.jpg
디자인서울 정책이 적용된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 역명판. 일명 A4(...).

Eonju Station 20150328 141125164
9호선 2단계 역명판. 서디가 역명판보다 가독성이 좋아졌다(...). 앞으로 교체되는 역명판은 이 형식으로 바뀔 듯 하다.

3.2.1.4 코레일

파일:FqDpZye.jpg
분당선선정릉역 역명판. 코레일은 서울메트로의 역명판과 비슷하게 생겼다.[12]

파일:DLX1NmR.jpg
수도권 전철 1호선광명국제공항광명역 역명판. 외 송정역, 동대구역에도 있다. 코레일에서 거의 볼 수 없는 부착식 역명판이다. 코레일에서는 임시 역명판을 만들때만 부착식 역명판을 붇힌다.

3.2.1.5 인천국제공항철도

파일:XHjsghe.jpg
공항철도공항화물청사역 역명판(타원형)

파일:IGGngWF.jpg
공항철도서울역 역명판(사각형)

3.2.1.6 인천교통공사

파일:5iG4Pm5.jpg
인천 도시철도 1호선원인재역 역명판.굴림?

파일:LYBr79G.jpg
인천 도시철도 1호선국제업무지구역 역명판. 신형 역명판이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주안역 역명판. 인천 1호선보다 서울 지하철 9호선 역명판 2단계구간과 닮아졌다.

3.2.1.7 부산교통공사

파일:OiKGHsh.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자갈치역 역명판. 신형이며 구형은 노선마다 양식이 다르다.

118beomnaegol.jpg [13]
1호선 구형.

Jeonpo
2호선 구형.

306geoje.jpg [14]
3호선 구형. 4호선은 신형 역명판 도입과 함께 도입되었으므로, 구형이 없다.

3.2.1.8 대구도시철도공사

파일:J8jAT4c.jpg
대구 도시철도 2호선임당역 역명판. 1호선에도 색깔만 바꿔서 그대로 적용되어 있다. (단 일부 역에는 구형 역명판이 있는 경우도 있음)

3.2.1.9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파일:2xDgxm7.jpg
광주 도시철도 1호선화정역 역명판.

3.2.2 지주식 역명판

직사각형 모양의 역명판을 앞으로 세우는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간이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서울역등 천장이 너무 높아 달대식 역명판을 달 수없는 경우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래저래 전국 곳곳에서 많이 보이는 양식.

파일:5zhdsVv.jpg
경의선 운천역.

파일:HCL4If8.jpg
전라선 춘포역. 위의 역명판의 개조식이다.

파일:YHOkkBK.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

20160730_145936.jpg

특이하게도,일반철도 구간이나 코레일 관할이 아닌 인천교통공사 소속 인천 2호선 이 이 지주식 역명판을 채택하고 있다.위의 역명판은 검단오류역.

3.2.3 입간판식 역명판

지주식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다음역과 이전역이 적혀있지 않다.

파일:BVqa8CT.jpg
경원선 백마고지역.

3.2.4 달대식 역명판

승강장 천장에 매달려 이용객들에게 어느 역인지 알려주는 방식.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지상 구간에 사용되는 방식이다.[15]

파일:Rweo2Td.jp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운정역 ITX-청춘....?[16]

파일:NfvTwyp.jpg
용인 경전철 김량장역

3.2.5 기둥식 역명판

승강장 안에 있는 기둥에 역명판을 부착하는 방식. 주로 열차가 지나다니는 벽면보다는 승강장 안의 기둥에 붙여야 효과적인 지하 섬식 승강장 역에서 사용된다.

3.2.5.1 서울메트로

파일:RKKyr0v.jpg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역명판. 깨알같은 대도서관
서울메트로 일부 역 중에는 스크린도어 중앙 부착식 역명판이 이런 디자인으로 되어있는 경우도 있다. 근데 선로쪽에 붙어있다.

DSCF2993-1.jpg
서울 지하철 4호선 동작역 역명판. 서디가를 먹으면 이렇게 변한다. 그래도 가독성은 나은편. 그리고 이 사진은 합성이다. 다만 이게 현실이길 바랄뿐

3.2.5.2 서울도시철도공사

파일:Apo0TQ8.jpg
서울 지하철 6호선 동묘앞역 역명판.

3.2.5.3 서울 지하철 9호선

파일:JEAjWte.jpg
서울 지하철 9호선 당산역 역명판. A4용지 말아놓은 디자인

3.2.5.4 코레일

파일:822DIgz.jp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공덕역 역명판.

파일:Gow030x.jpg
수도권 전철 경춘선 평내호평역 역명판

3.2.5.5 의정부 경전철

파일:MOujkyx.jpg
의정부 경전철 회룡역 역명판

3.2.5.6 부산교통공사

파일:GdRBySv.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역 역명판

3.2.5.7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파일:ADMT0KV.jpg
대전 도시철도 1호선 판암역 역명판

3.2.6 스크린도어 부착식 역명판

스크린도어 상단이나 중앙에 역명과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식이다.

파일:6vbud8N.jpg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개정 전)/동대문역(개정 후) 스크린도어 상단 역명판. 개정 전에는 지하철체를 썼으나 개정 후 디자인서울 정책을 따라 서울남산체를 쓰고 있다. 또한 한자가 간체자로 바뀌고 일본어가 추가되었다.

파일:O2mczWA.jpg
서울 지하철 6호선 불광역 스크린도어 상단 역명판. 서울도시철도공사의 거의 모든 역들이 이런 디자인을 따르나 5호선7호선 몇몇 역들은 서울메트로 디자인(개정 전. 아래)을 쓰고 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군자역의 스크린도어 상단 역명판. 서울메트로 디자인과 유사하다.

파일:RpvW3bb.jpg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스크린도어 상단 역명판. 9호선 역들은 스크린도어 중앙에 노선도만 있다.

파일:KcjcqJN.jpg
수도권 전철 1호선 회룡역 스크린도어 상단&중앙 역명판.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거의 모든 수도권 전철 승강장에서 같은 도안을 쓴다.
파일:95cUL4o.jpg
용산선(가좌~효창공원앞) 구간과 야당역은 이렇게 생겼다.

파일:AUQnQjV.jpg
의정부 경전철 발곡역 스크린도어 상단 역명판. 의정부 경전철 역들은 스크린도어 중앙에 노선도만 있다.

4 관련 문서

  1. 주로 서울지하철공사(현 서울메트로) 역
  2. 원흥역 개통 전 역번호
  3. 참고로 근처 8호선 환승띠 부분에도 로마자 개정 이전 부분이 남아있다. 이건 2015년 8월 현재까지도 살아있다.
  4. 왕십리역
  5. 원흥역 개통 전 역번호
  6. 잘 보면 보이기는 한다. 볼 일이 없어서 그렇지
  7. 스크린도어 부착식 역명판때문에 선로측 기둥에도 역명판을 붙이지 않게되었다.
  8. 현재는 일본어/중국어 역명도 표기되어 있다.
  9. 6호선 응암순환 구간, 7호선 장암역
  10. 8호선 산성역
  11. 대표적으로 충무로역
  12. 파일:KeEIcwN.jpg 일산선, 과천선, 분당선 일부 구간은 서울메트로 구형 역명판에서 인접역을 표시하는 띠만 위로 올라간 형태다.
  13. by sz1161, CC BY-SA 3.0.
  14. by sz1161, CC BY-SA 3.0.
  15. 일반철도는 지주식 역명판과 함께 혼용된다.
  16. 전세열차로 추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