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 죄악

(칠죄종에서 넘어옴)
7대 죄악
교만시기분노나태인색
(탐욕)
식탐색욕

라틴어: Septem peccata capitales
영어: Seven Deadly Sins, Capital Vices, Cardinal Sins, Seven Arcs[1]

1 개요

악습들은 그와 반대되는 덕에 따라 분류할 수 있고, 또 죄종(罪宗)과 연관시킬 수 있다. 죄종(peccata capitalia)은 요한 카시아누스 성인과 대 그레고리오 성인의 뒤를 이어 그리스도인들의 경험으로 식별되었다. 이 악습들을 죄종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것들이 다른 죄들과 악습들을 낳기 때문이다. 죄종은 교만, 인색, 질투, 분노, 음욕, 탐욕, 나태이다.

Vitia possunt statui secundum virtutes quibus adversantur, vel etiam ad peccata capitalia reduci quae experientia christiana, sanctum Ioannem Cassianum et sanctum Gregorium Magnum secuta, distinxit. Capitalia appellantur quia alia peccata, alia vitia generant. Sunt superbia, avaritia, invidia, ira, luxuria, gula, pigritia seu acedia.
- 가톨릭 교리서 1866항

그 자체가 죄이면서 동시에 ‘사람이 자기 자신의 뜻에 따라 지은 모든 죄’(peccatum proprium)의 근원이 되는 일곱 가지 죄.

- 가톨릭 대사전, <칠죄종> 항목 中

가톨릭에서 규정하는, 죄의 근원이면서 동시에 죄인 일곱 가지 죄.

보통 칠거지악, 7대 죄악, 7죄악 등으로 불리나 가톨릭에서 사용하는 공식 명칭은 칠죄종(七罪宗, 라틴어: septem peccata capitales, 7가지 근원적인 죄)으로, 한국 천주교에서도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칠죄종(굿뉴스, 가톨릭대사전)

이 개념의 창시자는 6세기의 교황 그레고리오 1세와 요한 카시아누스로 알려져있다. 단 그 이전에 4세기에 이미 그와 유사한 개념인 8가지 악한 사상이 있었다한다. 이집트의 수도사 에바그리우스가 정의했다고 하며 이때 당시에는 폭식, 음란, 금전욕, 교만, 고통(혹은 슬픔)[2], 분노, 허영, 나태[3]라고 한다. 이것이 그 제자 요한 카시우스에 의해 번역되어 전파되고 그레고리오 1세에 의해 교만과 허영, 슬픔과 나태가 합쳐져 6가지가 되고 빈 자리에 질투가 들어가 7 죄악이 됬다고 한다.

동양의 칠거지악(七去之惡)과는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의미이다. 이쪽은 이혼사유. 그리고 여기에는 삼불거(三不去)라는 실드가 있다.

2 내용

구분7대 죄악
죄목교만질투분노나태인색
(탐욕)
식탐음욕
영어PrideEnvyWrathSlothGreedGluttonyLust
라틴어SuperbiaInvidiaIraPigritiaAvaritiaGulaLuxuria
독일어der Hochmutder Neidder Zorndie Trägheitder Geizdie Völlereidie Wollust

정확히 말하자면 감정들 그 자체에 죄를 묻는 것은 아니며, 이 감정들로 인해서 일어나는 악한 행동이 칠죄종(7대 죄악)에 해당한다. 즉 질투, 음욕 등을 그 자체로 죄로 판단하기보다는, 질투로 인한 죄, 음욕으로 인한 죄 등 7개의 죄가 다른 죄를 낳는다고 보는게 정확하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아무리 죄에 대한 신학을 발달시킨 가톨릭이라도 유혹들 자체에 윤리적 잣대를 들이대지는 않는다. 참고 이를테면 가톨릭 대사전의 <분노> 항목 중에는 다음 대목이 있다.

그러나 분노가 반드시 불의이고 악이며, 죄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한 개인이나 집단의 분노는 자신의 가치가 상대방에게 침해당했을 경우 이를 회복하려 할 때, 혹은 오류나 악이 고의로 범하여지는 경우 이에 대항하는 양심의 반작용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분노가 개인적이거나 집단적인 이기주의의 발로가 아니고 의로움을 지향하는 한 정당하다. 예컨대 예수 그리스도는 선한 목자이지만 성전을 더럽힌 장사꾼과 환전상들에게는 의로운 분노로 의로운 정화시켰던 것이다(요한 2:12-22). 이러한 분노는 불의를 용서하지 못하는 건전한 마음에서 일어나는 의분에 해당했을 때 정의를 회복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칠죄종에서 하나하나의 죄를 열거하자면 다음과 같다.

  • Superbia(교만): 아담과 하와의 뻘짓도 따지고보면 교만 때문이었으므로, 굉장히 비중있게 다루는 죄이다. 따지고 보면 교만으로 인해 원죄가 발생하였고, 그 원죄로 인해 다른 죄들이 야기되었으므로 가히 모든 일의 원흉의 원흉이라 할 만하다.
  • Invidia(시기): 십계명에 대놓고 남의 재산과 배우자에 대하여 시기하지 말라고 적혀있다.
  • Ira(분노): 폭행, 살인, 전쟁 등의 원인이 된다.
  • Pigritia(나태): 그리스도교는 노동을 굉장히 중시하는 종교라는 점을 참고하자. 라틴말 Acedia로 쓰기도 한다.
  • Avaritia(인색): 영어에선 Greed로 번역된다. 그런데 Greed는 '탐욕'으로도 번역되는 영단어이기 때문에 한자문화권에서는 Gula와 자주 혼동되는 개념이다. Avaritia는 재물을 지나치게 탐하고 아끼며 재물 모으기에 급급하여 지나치게 인색한 태도를 일컫는 말이기에, 단순한 욕심과는 다르다. 영어 중역의 영향으로 사실은 일본만화의 영향으로 Avaritia가 탐욕으로 많이 알려져있으나, 공식 번역은 어디까지나 인색이다. 과거 가톨릭에서는 간린(慳吝)으로 번역하기도 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Greed는 여기서 탐욕이 아니라 인색이다.
  • Gula(탐욕): 본래 라틴어 Gula는 식욕의 의미이지만, 칠죄종에 쓰일때는 음식과 재물에 대한 지나친 욕심을 뜻한다.
  • Luxuria(음욕): 인간이 가진 성적인 욕망 그 자체가 죄인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음욕은, 절제 없이 성적 쾌락에 도취되는 것을 뜻한다.

로마 가톨릭에서는 위와 같은 죄악들을 고해성사 봐야 할 대죄, 중죄에 속한다고 본다.

2.1 7대 마왕

때로는 저 대죄에 악마를 하나씩 대입해서 상징물로 삼는 경우도 있다. 아래의 목록은 7대 죄악이 정의된 한참 후인 16세기의 페터 빈스벨트가 정의한 것이다. 중세에는 악마 대신 동물을 대입하기도 했다.

죄목상징 악마상징 동물
교만루시퍼사자, 공작, 박쥐
질투레비아탄뱀, 개, 고양이
분노사탄드래곤, 유니콘, 늑대
나태벨페고르곰, 당나귀, 소
탐욕마몬, 바르바토스여우, 까마귀, 고슴도치
식탐벨제부브돼지, 호랑이, 파리
음욕아스모데우스, 릴리스전갈, 염소, 토끼

하지만 그 악마들의 짜임은 가끔 달라지기도 한다. 베헤모스가 인색이나 분노의 악마였던 적도 있고 릴리스아스모데우스는 음욕의 악마 자리를 툭하면 바꿔먹는다. 거기에 사탄은 타천사나 혹은 악마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어떤 것이 정석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어차피 여기서 넷은 성경에 나오지도 않는 악마들이라 별 의미 없다 또한 페터 빈스벨트는 이 악마들에 대항할 수 있는 대항자 성인도 정의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2.2 사타니즘에서 7대 죄악

사타니즘에서는 7대 죄악을 인간이라면 당연히 저지르는 것으로 여기며, 따라서 인간이야 말로 죄악의 산물이라고 본다. 사타니즘은 원죄를 저항하는 것은 어차피 불가능하고, 또 그럴 필요도 없으므로 원한다면 기꺼이 저지를 수 있으며, 오히려 생명을 유지시키고 자연계를 순환시키는 원동력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사타니즘에서 7대 죄악은 그 자체로 큰 의미를 가지지 않으며, 그저 자연의 수많은 요소들 중 하나일 뿐이다.

그럼에도 사타니즘에서 7가지 죄를 굳이 언급하는 이유는 그것을 이용하여 사람들을 억압해온 기독교를 고발하기 위해서이다. 현대 사타니즘의 창시자 안톤 라베이는 기독교에서 7가지 원죄가 존재하는 건 그들이 인간의 본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고 사람들에게 죄의식을 느끼게 만들어 자신들의 권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원죄에 대한 사타니즘과 기독교의 시각 차이는 자연 안에서 인간의 위치에 대한 시각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기독교는 인간은 짐승과 구별되는 자유의지가 있고 이를 통하여 본성을 극복할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야 한다고 보는 반면, 사타니즘은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서 근본적으로 짐승이며, 본성을 거스르는 행위는 불가능하며 그렇게 할 필요도 없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2.3 대중문화에서 7대 죄악

각각 맡은 역할은 투컷-나태 타블로-시기 빈지노-탐욕 버벌진트-색욕 미쓰라진-식탐 송민호-분노 BOBBY-교만 이다.

3 관련 작품

4 관련 항목

  1. 단순한 말장난이 아니라, 제작 애니메이션에 대한 악평이 워낙 심각한 탓에 자동적으로 엮이게 된 별명이다.
  2. 필로칼리아라는 저서에 따르면 타인에 행복에 대한 슬픔이라서 질투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3. 필로칼리아에 의하면 이쪽이 실의, 낙담으로 해석되야 한다고한다.
  4. 괭이갈매기 울 적에에서는 연옥의 일곱 자매의 순서를 이 순서에 맞췄다.
  5. 실제로 작가가 이를 반영해 13권의 표지언사에서 7대 죄악이 빙의(?)한 나츠미에 대한 초단편을 썼다. 항목 참조. 성격 탓에 대사 다 못 읊고 각혈하는 오만의 나츠미가 귀엽다
  6. 스폰지밥색욕, 뚱이나태, 징징이분노, 집게사장탐욕, 플랭크톤시기, 다람이교만, 핑핑이는 식탐이라고 한다.
  7. 제아볼로스의 경우 게임 상에서는 분노의 각인이라는 묘사가 없지만 트릴리온 침략전의 이야기를 다룬 일곱 마왕의 권속에서 분노의 마왕이란걸 알수 있다.
  8. 색욕과 교만이 후회와 질투로 바뀌었다. 색욕은 전체이용가에 맞추려고 바뀐 것 같지만, 교만은 왜 바뀌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기존에 있던 아랫마을 NPC 스토리에 교만에 대한 이야기를 끼워넣기가 난감했던 것이라 추측은 할 수 있다.
  9. 혼란, 좌절, 붕괴까지 포함하여 총 10개의 죄를 연구하는 종교 '핑크스미스'의 교인들이 사용하는 기술이다.
  10. 공식 캐릭터북 2에서 언급된 이 초대 에스파다는 각각 7대죄에서 딴 참백도 명칭을 갖고 있다고 한다.
  11. 단, 본편에선 교만색욕에 관련된 간부는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았고, 후반부에 기존에 등장했던 간부들 뒤에 이들로 추정되는 실루엣만이 등장했다.
  12. 색욕은 음란, 폭식은 대식으로 표기된다.
  13. 2명이 1쌍으로 쌍당 1가지
  14. 실제로 7대죄악에 관련된 내용이 언급되기는 한다. 하지만 그것이 흔히들 알고 있는 7가지죄악이 아니라 현대 일본사회에 맞춰서 각색된 것들이다.
  15. 부대원들 사이에서 자조적으로 7사단에 배치되면 전생에 7가지 죄를 지어서 오게 된 거라는 농담이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