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병역의무/용어 및 은어

이 문서는 군용어, 군대 용어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본 항목은 한국군 내에서 쓰이거나 관련된 용어나 은어에 대해서 나열하였다.
아직 완전하지 못하니 추가바람. 군대에 입대를 앞둔 장병이나 아직 군대에서 용어를 모르는 장병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왠지 단어사전 같다. 단어사전 맞잖아

1 목록

글자 순서대로 정렬해주길 바람.

1.1 0~9

1.2

  • 가입소: 군대에 입대한 날로부터 적응을 위해 주어진 기간.
  • 각개메어: 총을 등지는 상태로 멤.
  • 각개전투: (各個戰鬪) 병사 개개인이 총검술 따위로 벌이는 전투. 또는 그렇게 하기 위한 훈련.
  • 간부: (幹部) 장교, 부사관, 준사관을 통틀어 일컬음. 병(兵)의 반대말.
  • 간부우의: (幹部雨衣, ≒공병우의) 간부&공병우의. 노예나 다름없는 병 따위가 입는판초우의와는 다르게 제대로 팔부분이 구분돼있는 일종의 레인코트. 지금은 병사들도 간간히 사용 중이다.간부용은 국방색에 트렌치 코트처럼 원피스 형태이며,공병우의는 저고리 바지로 나뉜 투피스 형식에 대개 얼룩무늬이다.GOP강안경계등의 근무지에서는 비/눈이 내릴 경우 이 우의를 입으라고 공문이 내려오곤 한다. 헌병과 육군훈련소 조교도 간부우의를 입는다.
  • 개구리: <은어> 예비군 마크를 일컬음.
  • 구분동작: (區分動作) 동작의 움직임을 똑바로 익히기 위하여 요소마다 꺾어서 천천히 하는 동작.
  • 구보: (驅步) 뜀걸음.
  • 국외여행허가: 병역을 필하지 않은 일정 연령 이상의 병역의무자가 대한민국의 국경을 넘기 위해 필요한 허가.
  • 군가: (軍歌) 군대에서 부르는 노래.
  • 군기교육대: (軍紀敎育隊) 군기를 어긴 군인을 올바르게 가르치는 곳. 영창과는 다르다.
  • 군대리아: <은어> 군대에서 나오는 햄버거.
  • 군대스리가: <은어> 군대에서 하는 축구분데스리가에 빗대어 일컬음.
  • 군대 요리: 부대 내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와갤요리.
  • 군번: (軍番) 군인 개인마다 주어지는 고유 번호.
  • 군번 꼬이다 : 사수나 맞선임과 입대일 차이가 적은 경우. 이게 누적되어 심하게 꼬일 경우 생활관에 선임인 병장만 5명 있는 기이한 상황도 발생한다. 이 경우 그 유명한 말년에 XX라니!를 시전하게 될 확률이 높아진다. 가장 심하게 군번이 꼬인 것은 입대일 차이가 얼마 안나는 선임들이 엄청 많은 경우로 예를 들면 신병으로 들어왔는데 생활관에 상병장이 없고 일병만 있는 경우..
  • 군번 풀리다 : 사수나 맞선임과 입대일 차이가 많은 경우. 이게 누적되어 심하게 풀릴 경우 생활관에 후임인 이등병만 5명 있는 기이한 상황도 발생한다.
  • 군번줄: 훈련소에서 지급받는 보급품 중 하나로, 군번, 이름, 군별, 혈액형[1]이 적힌 인식표 2개와 긴 줄, 짧은 줄 하나씩으로 구성되어있다. 주 목적은 신분 확인으로,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항상 착용해야할 물품.
  • 군종: (軍宗)
  • 군종병: (軍宗兵) 군종을 맡는 병사
  • 군화: 군인들이 신는 신발. 하지만 군대에서는 목적과 형태에 따라 전투화, 단화, 활동화 등으로 구분하기 때문에 절대 군화로 부르지 않는다.[2] 군대에서는 주로 아래의 고무신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여자친구가 있는 군인을 칭하는 말이다. 유명한 군대 웹툰 꾸나꼬무이야기에서 꾸나꼬무가 군화와 고무신을 변형한 말이다.
  • 고무링: 전투복을 입을 때 발목에 차는 보조용구
  • 고무신: <은어> 입대남자 군인여자친구.
  • 곰신: <은어> 고무신의 줄임말.
  • 공군본부: 공군참모총장이 근무하는 곳. 계룡대에 있다.
  • 관물대: 개인 물품이나 보급품을 보관하는 일종의 개인 사물함. 관물대 정리 정돈과 관물대 검사는 짬찌 시절 군생활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다. 이 관물대를 얼마나 잘 정리하냐에 따라 에이스가 되느냐, 폐급으로 찍히냐에 중요한 갈림길이 되는 셈. 해병대에서는 관품함이라고 한다.
  • 관심병사: 관심이 필요한 병사
  • 관심간부: 관심이 필요한 간부
  • 국방부: 국방부장관이 근무하는 곳.
  • 그린캠프: (Green camp) 관심병사 등 병영생활에 부적응한 병사의 심리를 치료하는 부대. 해군은 블루캠프바다로캠프가 있다.
  • 근무: 흔히 당직근무, 경계근무를 말함. 그 외에도 일과 중에 작업을 한다든지 불침번을 선다든지 하는 것도 근무이다.
  • 근교(勤敎): 근무자 교육
  • 기간병, 기간장병 : 해당 군부대를 구성하는 병사 혹은 장병을 지칭하는 단어로, 주로 학교기관 및 예비군훈련장이나 군병원에서 교육생(예비군 포함) 및 환자와 구분하기 위해 쓰인다.
  • 기상: (起牀) 잠자리에서 일어남.
  • 기상나팔: (起牀喇叭) 병영이나 기숙사 따위에서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라는 신호로 부는 나팔.
  • 기도비닉(企圖秘匿): 은엄폐
  • 깨스 : 공군의 '찐빠'와 비슷한 의미의 단어로, 의경, 의방, 수방사, 육군 군수사 등과 같은 일부 부대에서 쓰인다. 어떤 부대에서는 '실수'를 의미하기도 하고, 어떤 부대에서는 '금지'(PX 이용 금지 등)를 의미하기도 한다.
  • 꼬질대 : 총기 손질을 할 때 쓰는 도구.끝에 수입천을 끼우거나, 끝을 빼고 총강손질솔 등을 끼워 총열 등에 넣어서 탄매를 제거한다.
  • : <은어> 편한 것을 일컬음.(예:너 꿀빨았네? 우린 밖에서 작업하고 왔는데.)

1.3

  • 나라시: 군대에서 자주 쓰이는 삽질 스킬의 일종으로 땅을 고르게 평탄화 하는 것이다. 실력자는 삽을 두어번만 왔다리 갔다리 해도 땅이 일자로 반듯하게 보이는 마술을 만들어낸다. 짬찌때 이 실력이 좋으면 간부선임한테 이쁨을 받는다 카더라.
  • 내무반: 생활관.
  • 노병가: 전투경찰순경들 사이에서 불리는 노래.

1.4

  • 땡보직(=꿀보직): 보직으로 맡은 일이 워낙 한산해 남들 보기에 땡땡이 치고 있는 것 같아 보인다고 해서 땡보라고 한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며, 그 외에도 직의 줄임말이라는 설, 혹은 잡은 직의 줄임말이라는 설이 있다.
  • 두돈반 : 2 1/2톤 군차량 K-511 계열이며 신차량은 뒤에 A1이 붙는다. 두톤반에서 부르기 쉽게 두돈반이 되었다.
  • 닷지 : 1¼톤 군차량 K-311 계열이며 신차량은 뒤에 A1이 붙는다. K-312 야전 AMB를 타게된다면 지옥을 경험하게 될것이다.

1.5

  • 레토나: K-131계열의 짚차. 신형은 뒤에 A1이 붙으며 대장 이상의 지휘관이 근무 시 이동하는 짚차. 장성의 경우 의전행사시 번호를 지우고 각 차량의 전면과 후면에 성판을 달아 운행한다.

1.6

  • 말년: (末年) 전역이 임박한 군인을 일컬음. 사전적인 뜻은 일생의 마지막 무렵. 간부들이 쓰는 명칭은 "전역대기자".
  • 말년병장: 전역이 임박한 병장.
  • 말년간부: 전역이 임박한 장교(간부).
  • 맛다시: 군용 볶음 고추장의 상품명
  • 맛스타: 군 보급 음료수 생생가득의 옛 이름
  • 말차
  • 망(網) : P-96K나 유선 등의 통신네트워크를 가리키는 은어."망 오다","망 날리다","망 상태 확인"[3][4] 식의 용례가 있다.GOP강안경계근무 중이라면 항상 망 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 민수용: 군대를 위해 군대 내에서 만들어진게 아닌 바깥(사회)에서 만들어진 제품. 싸제랑 비슷하지만 좀 더 순화된 표현이다.

1.7

  • 배출: 배변이 아니다 육군훈련소등의 교육 기관에서 교육생들을 다 교육시킨 후 자대보충대 등으로 내보내는 것을 의미.
  • 본청: 사단 이상의 부대의 사령부 건물을 가리키는 말.
  • 분대장: (分隊長) 분대를 지휘ㆍ통제하는 우두머리. 주로 부사관(하사)이 담당하지만 한국군에서는 병력 부족으로 병(병장, 상등병)이 담당하기도 한다.
  • 불침번: (不寢番) 밤에 잠을 자지 아니하고 번을 서는 일. 또는 그런 사람.
  • 비전캠프: (Vision camp) 사고를 일으킬만한 병사의 심리를 치료하는 부대.
  • 빵실, 빵실하다: <은어> 편한 일이나 보직을 두고 하는 말. 주로 강원도 지방 군부대에서 사용.

1.8

  • 사수
    • 1. 총이나 포 따위를 쏘는 사람.
    • 2. 어떤 보직이나 담당하는 일(훈련, 청소, 각종 근무 등)에서 주 책임자. 반대로 일을 배우거나 사수가 부재했을 때 때우거나,사수를 보조하는 사람은 부사수라고 한다.
  • 사자머리: 방독면을 정리하면 사자 머리처럼 보이기 때문.
  • 상근: (常勤) 상근예비역의 줄임말.
  • 상근예비역: (常勤豫備役) 날마다 일정한 시간에 출근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근무하는 예비군.
  • 싸제: <은어> 군대 밖, 또는 군대 밖에서 만들어진 것.
  • 싸지방: 사이버 지식 정보방의 줄임말.
  • 쌀밥: 짬밥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군 생활 기간이 아닌 실제 나이를 뜻하는 말.
  • 선소집자: 추가바람
  • 수하: (誰何) 어두워서 상대편의 정체를 식별하기 어려울 때 경계하는 자세로 상대편의 정체나 아군끼리 약속한 암호를 확인함. 또는 그런 일. 수화가 아니다.
  • 수방사: 수도방위사령부의 줄임말. 부대가 서울시 및 서울 근교에 있어서 수도권 출신 훈련병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는 부대이기도 하다. 수방사에서 면접봐서 뽑으러 오는것과는 의미가 약간 다르다.. 부대 분위기는 자유롭고 편하지만 훈련이 많고 힘들기로 유명하다. 가끔 논산에서 수방사 가고 싶다고 노래를 부르는 훈련병들이 수기사에 떨어지는 일이 발생한다.
  • 수통:
    • (水桶) 물통
    • (首統) 국군수도병원의 줄임말. 옛날에는 수도통합병원이라고 불렸기 때문.
  • 수통피: 수통을 몸에 지고 다니기 위한 가죽.
  • 소등: (消燈) 등불을 끔.
  • 스나프 : 대걸레. 해군에서 주로 사용되는 은어.
  • 수신 양호 : 통신장비로 각종 지시나 상황전파가 왔을 경우 알아들었다는 표시로 쓰는 말."라저"의 한국군 버전이라 보면 된다.줄여서 양호라고 해도 된다. 망 상태, 그러니까 제대로 송수신이 안된다면 솔직하게 망 상태 불량하다는 말을 해야 나중에 갈굼당하지 않는다.
  • 수입: 총포류, 야삽 등을 새로 깨끗이 닦고 정비하는 것.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어원은 영어의 그 sweep이다.
  • 시정하겠습니다!: 상급자에게 미안하다는 뜻을 말하는 옛말. 처 맞고 고치겠다는 뜻인지라 어감이 안 맞아 지금은 "죄송합니다", "고치겠습니다"로 바뀌었다.
  • 시건: 총기 등을 보관할 때 쓰는 말로 총기다이에 총기를 두는 것을 '시건한다'라고 표현한다. 이 외 여러 군대 물품들을 잠그는 장치를 싸그리 시건장치라고 통칭한다.
  • 식청: <은어> 식당청소의 줄임말. 식청이라는 말보다 취청(취사장 청소)이라는 말이 더 많이 쓰인다.
  • 식사집합: 병영식당으로 가기 위해 건제 단위로 집합하는 행위. 여건상 식사집합을 안하는 일부 부대가 있기는 하다(특히 병영식당이 막사 내부에 위치 + 행정부대인 경우).

1.9

  • 아들: <은어> 자기보다 딱 1년 낮으며 월(月)은 똑같은 후임. 2년 낮은 것은 손자라고 한다.
  • 아버지: <은어> 자기보다 딱 1년 높으며 월(月)은 똑같은 선임. 2년 높은 것은 할아버지라고 한다.
  • 아저씨: 자신의 부대 소속이 아닌 다른 부대 병사들.사용 기준은 통상 중대이다. 공식적으로 권장된 말은 "전우님"이다.
  • 악마: 갈굼이 심하고 후임들을 못살게 구는 막장 선임들을 씹는 용어인데 부대에 따라 용어가 다르다. 공군에서는 꼽창이라고 한다.
  • 암구호: 의심이 가는 사람을 같은 편인지 알아내기 위한 일종의 비밀번호.
  • 압존법: (壓尊法) 문장의 주체가 화자보다는 높지만 청자보다는 낮아, 그 주체를 높이지 못하는 어법(語法).
    • 예: 중대장님, OO "상병이" 아직 "안왔"습니다.
    • 잘못: 앞존법, 앞전법
  • 야비군: (野卑軍/野鄙軍) <은어> 예비군을 비꼬아 부르는 말.
  • 연등 : 일반 주둔지 취침시각인 오후 10시보다 늦게 자지 않고 전등을 키고 있는 것.잔업이 많은 행정병이나 공부하는 병사들이 이용한다.통상 1시간~2시간까지 실시한다.
  • 연병장: 군인들이 일과 후나 체력단련 시간에 마음껏 뛰노는 곳이자 점호 혹은 행사를 할 때 집결하는 곳. 일종의 운동장.
  • 영창(營倉): 군인징계를 받아서 유치장 비슷한 곳에서 생활을 하는 곳. 다만 전역 후에는 사회적으로도 어떠한 징계 기록이 남지 않으며, 단지 영창 다녀온 만큼 군생활이 늘어나기만 할 뿐이다. 2015년 이후로는 군생활이 늘어나지도 않게 되었다.
  • 외진: 부대 내부의 의무대나 의무실이 아닌 외부 군병원으로 나가 진료받는 것. 군병원과 부대 내의 거리에 따라 이 날 일과를 그냥 깔 수도 있다.
  • 위장크림: (僞裝cream) 군인들이 훈련,경계근무시에 위장하기 위해 바르는 크림.
  • ~요자: "~요"로 끝나는 어미로 군대에서 사용해서는 안 될 말투. 다만 민간인 상대로는 괜찮고, 간부들은 퇴근 이후 출근 이전의 자유시간에는 ~요자를 사용할 수 있다.
  • 유격: (遊擊)
    • 적지나 전열 밖에서 그때그때 형편에 따라 적을 기습적으로 공격하는 일.
    • 유격 훈련의 줄임말.
    • 유격 훈련때 쓰는 경례구호 또는 유격 코스에서 앞으로 갈때마다 내는 말.
  • 육교(陸矯): 육군 교도소의 줄임말. 범죄자육군, 해군, 공군군인을 수용하는 교도소. 지금은 국직부대인 국군교도소로 개편되었다. 여기는 영창과 다르게 전역하고 나서도 사회적으로도 전과기록이 남는다!
  • 육군본부: 육군참모총장이 근무하는 곳. 계룡대에 있다.
  • 이등별: <은어> 소원수리를 써서 부대에 커다란 바뀜을 일으키는 이등병을 일컬음
  • 인원: 병사를 의미하는 또 다른 용어. 주로 간부들이 사용하는걸 볼 수 있다. ex> 일석점호 끝나고 담배피우는 인원들 꽁초 제대로 처리하라고 전달해라.
  • 일과: 일일과업의 준말. 아침식사 이후부터 저녁식사 이전까지 군인이 자신의 보직에 따라 작업삽질이나 맡은 임무를 하는 시간을 말함. 근무나 자유시간과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
  • 일말상초: 연애 중인 커플이 일병 말기와 상병 초기에 많이 헤어진다는 데서 유래. 커플이 많이 헤어지는 시기.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이말일초가 있다.

1.10

  • 작계: 작전 계획의 준말. 행정병(특히 정보.작전병)들은 군생활 내내 지겹도록 들은 말일 것이다.
  • 작업: 기본 보직 업무, 근무, 훈련 외의 잡일들.
  • 짬때리다: <은어> 일을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다.
  • 짬시키다: <은어> 훈련이나 계획등을 유야무야 넘어가는것.(예: "다음주 유격있다고 하지 않았냐?" "아 그거 짬됐어.") 위의 짬때리다와 동의어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예: 야, 니 짬이 얼마나 됐다고 작업을 애들에게 짬시키고 놀고 자빠졌냐?)
  • 짬밥
  • 짬찌: 군생활이 짧음을 조롱하는 말.어원은 끄레기 혹은 없는 질이로 추정. 말년병장 또는 전역하고 나서 예비군이어도 들을 수도 있다. 짬만찾는 더러운 세상
  • 짬타이거: <은어> 부대 안에서 살고 있는 고양이.
  • 전세규: 전투세부시행규칙의 준말. 역시 작전병이나 정보병은 군생활 내내 귓구녕에 박힐 정도로 들을 용어.
  • 점호: (點呼) 한 사람씩 이름을 불러 인원이 맞는가를 알아봄. 해병대에서는 순검이라고 한다. 언젠가를 기점으로 해병대도 점호로 바뀐것 같다.
  • ~지 말입니다: ~요자를 쓸 수 없는 환경에서 대신하는 어미. 당연히 군에서는 이 말투도 금지한다.
    • 예: OO 병장님, 행보관님께서 부르시지 말입니다.
  • 점프: (Jump) 외출,외박시 위수지역을 이탈하는 행위.
  • 조교: 군사 교육ㆍ훈련을 할 때에, 교관을 도와 교재 관리, 시범 훈련, 피교육자 인솔 따위를 맡아보는 사병.
  • 찐빠: 공군에서 쓰이는 은어로 뭔가 하나 빼먹는 종류의 실수를 하거나 (예: 점호 인원이 맞지 않는다거나 재고 숫자가 맞지 않는 등) 배치가 꼬여서 들어갔어야 하는 근무에 사람이 비는 등의 실수에 사용한다.(예: 근무 찐빠 내지 마라. 아 씨발 인원 찐빠났다.) 해병대에서도 쓰이는데 여기선 그냥 실수 전반을 찐빠라고 칭한다.

1.11

  • 총기다이: 말그대로 총기를 보관하고 잠금장치 해놓는 거치대이다. 군대에서 다이는 어디든지 갖다붙여 쓸 수 있는 말로 뒤에 ~다이를 붙이면 그 물건을 올려놓는 곳이다.
  • 충성: 경례구호. 메이커 사단 등지에서는 고유 경례구호가 있으며, 국방부 직할부대에서 근무하지 않는 공군, 해군, 해병대는 필승이다. 국방부, 합참, 계롱대 등 대본영에서 근무할 경우 군별에 상관없이 충성이다.

1.12

  • 코드 : 공군에서 병사의 기수표를 만들 때 동기생의 이름을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서 위에서부터 코드 1번, 2번, .. 식으로 부르는데 이를 코드라고 한다.
  • 코드원 : 위의 항목에서 유래된 말로, 공군에서 대대(또는 생활관)의 왕고를 의미한다.[5]

1.13

  • 탄띠: 탄입대가 달린 허리띠.
  • 탈영: (脫營) 군인이 자기가 속한 병영에서 무단으로 빠져나와 도망함. 휴가나 외출·외박 등의 지연 복귀도 넓은 의미의 탈영[6]이며, 특히 방탄모나 탄띠, 총기 등을 휴대하고 탈영하는 무장탈영은 심할 경우 즉각 사살도 가능한 중범죄다. 혹시 이 문서를 보는 미필자들은 입대 후 절대 하면 안되는 것 중 하나.
  • 퇴영: 훈련소에서 훈련이 불가능한 인원을 귀가시킴.
  • 투척호: 수류탄 따위를 던지기 위한 참호.

1.14

  • 피돌이: (P--)
    • PX병을 일컬음
    • PX에 지나치게 다니는 사람(간부, 말년병장 등)
  • 피아식별: 아군을 구분함.
  • 피아식별띠: 아군을 구분하기 위한 .육군 보병 기준으로 백색-황색으로 구분한다.여기에 쓰여있는 글자도 다르다.(예:통일,멸공,필승,육군)
  • 풀창: 영창 징계를 최대치인 14박 15일 갔다오는 것. 구타 및 가혹행위, 성추행, 성폭행, 하극상인 경우가 대부분. 만창이라고도 한다.

1.15

1.16 A~Z

  • ATT(대대 전술 훈련 평가): RCT와 개념은 동일하다. 단 연대급이아니라 대대급으로 하는 훈련으로 상대적으로 덜 빡세다. 운이 지지리도 없는 경우엔 ATT와 RCT가 한 달사이에 겹쳐서 거의 2달 가까이 고통받는 수가 있다.
  • CP병: 당번병의 다른 이름. 병의 주업무가 지휘부(Command Post)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CP병이라고 불리지만, 평시에는 결국 지휘관 비서 정도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당번병 항목 참조.
  • BCTP: 전투지휘훈련. 보통 컴퓨터로 모의 시뮬레이션인 워게임을 한다. 정보.작전병이 보통 이 훈련에 파견되는데 개꿀취급 받는다.
  • FTX: Field Training Exercise의 약자. 군단급 정도의 규모로 열리는 야전전술훈련이다.
  • PX: (Post Exchange) 군대 안에서 운영되는 매점. 공군의 경우 BX(Base Exchange)라고 한다.
  • PX병: PX에서 판매 일을 하는 병사.
  • RCT(연대 전술 훈련 평가): 해당 부대에서 받는 거의 모든 훈련들을 합친 훈련. 주로 4일동안 진행되며 그 동안 잠을 못 자고 밤을 새며 훈련한다! 게다가 RCT 연습 기간이라해서 1달동안 1주일에 한번 준비태세가 터져 훈련이 끝나는 날까지 헬게이트가 열린다. 오죽하면 "유격보다 심한 훈련", RCT 훈련 경험자가 유격 훈련을 받을때 "RCT보다 편하네"라 했을 정도. Regiment 장의 진급이 걸린 문제이기 때문에 매우 민감하다.
  • TV 연등:대인배가 당직사관이나 당직사령으로 걸릴 경우 그 당직간부 주관하에 금요일 저녁이나 토요일 저녁 점호가 끝난 후 보통 1~2시간 가량 TV를 더 볼 수 있게 해주는 것. TV 연등이 허가되는 날은 그 당직사령은 모든 병사들의 구세주로 찬양을 받는다. 유격, 혹한기, 야전 훈련등의 빡센 훈련이 끝나고 부대로 복귀하는 금요일 저녁은 TV 연등의 기대로 가득하다.
  • UFG: (Ulchi Freedom Guardian) 을지프리덤가디언 연습. 읔..파견!

2 정리가 필요한 목록

  • 고문관 : 어리버리해서 민폐를 끼치는, 또는 자기 해야 할 일을 제대로 못 하는 병사. 더 진화하면 폐급이 된다. 이쯤 되면 답이 없다. 반대말은 에이스.
  • 방한복 상의 내피(깔깔이): 말년 병장의 상징정식명칭은 방한복 상의 내피. 약칭 방상내피. 바지 버전은 깔바지라고 한다.
  • 관등성명: 계급과 이름. 직속상관대대장, 중대장, 소대장, 분대장이나 간부들이 부르거나 물건을 주고받을때, 악수할 때 계급과 이름을 말하는 것. 원칙상으로는 이러나 지휘권이 없는 선임 병사들에게도 관등성명을 대야 하는 부조리를 가진 부대가 아직까지는 많은 상황.
  • 다나까: 군대의 기본 언어. 말그대로 "~합니다", "~입니다", "~습니다", "~합니까", "입니까?", "~습니까?"로 끝나는 어투.
  • 뜀걸음: 구보의 올바른 말.
  • 막내: 한 부대에서 제일 낮은 위치에 있는 군인.군번이 제대로 꼬이면 상병 달고도 막내가 된다!
  • 반합: (飯盒) 직접 밥을 지을 수 있게 된, 알루미늄으로 만든 밥그릇.훈련때는 그런 거 없고 배식 타오기만 한다
  • 부대증편: 전쟁이 일어나 동원예비군들이 부대에 입소하여 부대 편제가 평시에 비해 커지는 일.
  • 복무신조
  • 복명복창: (復命復唱) 상급자가 내린 명령ㆍ지시를 되풀이하여 말함. 또는 그렇게 하라는 명령. 주로 사관학교, 부사관학교, 훈련소에서 시행되며 자대에서도 포병부대, 공병부대 등 위험한 요소가 많은 부대에서는 이것을 강조한다.
  • 인도인접(정확한 한자 추가바람): 예비군 훈련때 입소하는 예비군들을 안내하고 접수하는 일
  • 입수보행: (入手步行) 주머니에 넣고 걸어 다님. 말년병장의 상징
  • 전투복: 군복. 이를 구분하는 곳은 해군이나 공군 뿐인데, 정복과의 구분을 위해 사용된다.
  • 탄알집: 탄창.
  • 판초우의: 일종의 야전 비옷.돗자리처럼 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용도로 쓰인다.
  • 취식보행: (取食步行) 먹을 것이나 마실 것 따위를 먹거나 마시면서 걸어다님. 물론 간부들이나 헌병에 걸리면 얄짤없이 징계를 받으므로 자신이 예비군이 아닌 이상하지 않는 게 좋다.
  1. 비상시 수혈을 위한 용도. 파일럿들은 아예 조종복에 적혀있다.
  2. 육군사관학교에서 여군 장교 후보생 한 명이 교육 과정에서 전투화를 군화라고 말했다가 그 즉시 훈육장교에게 엄청나게 털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3. 후자의 경우 상급부대에서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물론 바로 응답하지 않으면..이하생략.또한 상호 통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같은 급의 근무자들한테도 사용할 수가 있다.이런 식으로 확인하는 건 근무상태가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써도 상관없다.
  4. 애초에 網 자체가 통신 관련 영어로 Network를 뜻한다. 실제로 한문으로도 Network를 뜻할때 이 한자를 쓰며 중국어로도 간체로 网를 '네트워크'나 '닷컴'이란 뜻으로 쓰고 있다.
  5. 사실 코드원은 군 통수권을 가진 자를 의미하며, 미국, 프랑스, 러시아, 남아공, 한국 등에선 대통령을 뜻하고 중국에선 국가주석을 영국, 사우디 등에선 국왕을 예외적으로 일본에서는 천황이 아닌 총리를 의미하는 코드네임이다.(자위대 항목에도 있지만 일본 덴노는 입헌군주로써의 기본적인 권한도 전혀 갖고 있지 않는 상징적인 존재일 뿐이다.)
  6. 다만 처벌 수위는 고의적 탈영보다는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