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왕사

< 신라

1 개요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992년 동안 56명의 왕이 있었다. 역사시대의 한국사 왕조 중 가장 즉위한 왕이 많은 나라이다.[1] 약 500여년 존속한 조선왕조 27명의 두 배를 넘는다.평균 재위기간은 17년인데, 이는 하대 왕권쟁탈전과 요절 징크스가 심해서 평균을 팍팍 깎아먹기 때문으로 건국부터 중대까지 평균 재위기간은 23년이라 고구려와 별 차이가 없다. 참고로 후대 왕조의 평균재위기간은 고려 14년, 조선 19년 2개월이다. 그 외 태조 성한왕 등 사서에 기록되지 않은 신라 왕의 이름이 몇몇 전해진다.

한국사에서 유일하게 여왕이 존재했다. 그것도 세 명이나.[2] 그리고 특정 가문이 왕위, 왕족을 독점하는 게 상식이었던 동아시아의 주요 왕조 중에서도 특이하게도 박씨, 석씨, 김씨가 번갈아가면서 왕위를 이은 것으로 기록되어있다. 여러모로 동아시아 왕조 중에서는 특이한 부분이 많았던 나라.고대의 신비 세 가문 중 대부분의 기간인 600여년을 경주 김씨 왕조가 통치하였다.

최장 재위한 왕은 혁거세 거서간 61년, 진평왕 54년, 흘해 이사금내물 마립간 47년, 눌지 마립간 41년 순이다. 모두 통일 이전 상대의 왕이다. 통일 이전과 이후의 차이가 커서, 이후의 왕 중에서는 30년 넘게 재위한 왕도 성덕왕 (36년) 딱 한 명, 20년 넘게 재위한 왕도 경덕왕 (23년), 문무왕 (21년) 고작 둘 뿐이다.

반면 최단 재위신무왕 181일, 정강왕 365일(1년), 민애왕소성왕 2년, 희강왕 3년 순이다. 이 쪽은 모두 통일 이후의 왕이다(...) 짧게 재위한 왕이 많은 신라 하대라고는 하지만 의외로 고려의 창왕이나 조선의 단종마냥 어린 나이에 즉위해서 상황 파악도 못 하다가 간 경우는 별로 없는데, 희강왕은 손자까지 있었고 소성왕도 아들이 있었으며 신무왕과 민애왕도 피튀기는 왕위쟁탈전 끝에 즉위했다가 얼마 못 간 경우이다.

2 신라

<신라 상대>
박씨 왕조(221년)[3]
순서묘호왕호재위기간칭호비고
1대박혁거세(赫居世)BCE 57~ CE 4 (61년)혁거세거서간(居西干)최초의 박씨 왕.
2대남해 차차웅(南解)CE 4~24 (21년)차차웅(次次雄)
3대유리 이사금(儒理)24~57 (33년)유리이사금(尼師今)
4대탈해 이사금(脫解)57~80 (24년)탈해"최초의 석씨 왕.
5대파사 이사금(婆娑)80~112 (33년)파사"
6대지마 이사금(祇摩)112~134 (22년)지마"
7대일성 이사금(逸聖)134~154 (21년)일성"
8대아달라 이사금(阿達羅)154~184 (30년)아달라"전기 박씨 왕조 마지막 왕.
석씨 왕조(194년)
9대벌휴 이사금(伐休)184~196 (12년)벌휴"
10대내해 이사금(奈解)196~230 (34년)내해"
11대조분 이사금(助賁)230~247 (17년)조분"
12대첨해 이사금(沾解)247~262 (14년)첨해"
13대미추 이사금(味鄒)262~283 (22년)미추"최초의 김씨 왕.
14대유례 이사금(儒禮)283~298 (12년)유례"
15대기림 이사금(基臨)298~310 (12년)기림"
16대흘해 이사금(訖解)310~356 (47년)흘해"마지막 석씨 왕.[4]
김씨 왕조 : 마립간(147년)[5]
17대내물 마립간(奈勿)356~402 (47년)내물마립간/이사금삼국유사에는 마립간,
삼국사기에는 이사금으로 기록됨.
18대실성 마립간(實聖)402~417 (16년)실성""
19대눌지 마립간(訥祗)417~458 (41년)눌지마립간(麻立干)
20대자비 마립간(慈悲)458~479 (21년)자비"
21대소지 마립간(炤知)479~500 (21년)비치"원 이두는 비처(毗處) 마립간.
소지는 고친 것이다.
김씨 왕조 : 왕(144년)
22대지증왕(智證)
혹은 지증 마립간
500~514 (14년)지대로마립간
23대법흥왕(法興)514~540 (36년)원종금석문에 남겨진 왕호는 다음과 같다. 모즉지매금왕(牟卽智寐錦王)[6] / 무즉지태왕(무卽智太王)[7] / 성법흥대왕(聖法興大王)[8]
24대진흥왕(眞興)540~576 (36년)삼맥종"
25대진지왕(眞智)576~579 (4년)사륜"
26대진평왕(眞平)579~632 (54년)백정"
27대선덕여왕(善德)632~647 (15년)덕만"삼국사기에는 선덕왕으로 기록됨.
28대진덕여왕(眞德)647~654 (8년)승만"삼국사기에는 진덕왕으로 기록됨.
<신라 중대>
통일신라시대 개막
무열왕계(136년)
29대태종무열왕(武烈)654~661 (8년)춘추"삼국사기 기록중 유일하게 묘호가 기록됨.[9]
30대문무왕(文武)661~681 (21년)법민"
31대신문왕(神文)681~692 (12년)정명"
32대효소왕(孝昭)692~702 (10년)이홍"
33대성덕왕(聖德)702~737 (36년)흥광[10]"
34대효성왕(孝成)737~742 (5년)승경"
35대경덕왕(景德)742~765 (23년)헌영"
36대혜공왕(惠恭)765~780 (16년)건운"
<신라 하대>
37대선덕왕(宣德)780~785 (6년)양상"선덕여왕과는 한자가 다름.
내물왕 10대손.[11]
원성왕계(127년[12])
38대원성왕(元聖)785~799 (13년 353일)경신"
39대소성왕(昭聖)799~800 (2년)준옹"
40대애장왕(哀莊)800~809 (10년)중희[13]"
41대헌덕왕(憲德)809~826 (18년)언승"
42대흥덕왕(興德)826~836 (11년)경휘[14]"
43대희강왕(僖康)836~838 (3년)제륭"
44대민애왕(閔哀)838~839 (2년)"
45대신무왕(神武)839 (181일)우징"
46대문성왕(文聖)839~857 (19년)경응"
47대헌안왕(憲安)857~861 (4년)의정"
48대경문왕(景文)861~875 (14년 181일)응렴"
49대헌강왕(憲康)875~886 (11년)"
50대정강왕(定康)886~887 (365)"
51대진성여왕(眞聖)887~897 (10년 154일)"삼국사기에는 진성왕으로 기록됨.
52대효공왕(孝恭)897~912 (15년 11개월)"
후기 박씨 왕조(15년)
53대신덕왕(神德)912~917 (6년)경휘"728년만의 박씨 왕.
54대경명왕(景明)917~924 (8년)승영"
55대경애왕(景哀)924~927 (4년)위응"마지막 박씨 왕.
후기 김씨 왕조(8년)
56대경순왕(敬順)927~935 (9년)"마지막 김씨 왕.

3 계보

1.박혁거세
2.남해 차차웅
3.유리 이사금아효부인4.석탈해
7.일성 이사금8. 아달라 이사금각간 구추
5.파사 이사금9. 벌휴 이사금
6. 지마 이사금골정이매
11. 조분 이사금12.첨해 이사금10.내해 이사금
14.유례 이사금

3.1 추존

시호비고
문흥대왕(文興大王)김용춘태종 무열왕에 의해 추존됨, 태종무열왕의 아버지.
흥무대왕(興武大王)김유신흥덕왕에 의해 추존됨, 신라 왕족이 아님에도 대왕으로 추존된 유일한 케이스.[15]
개성대왕(開聖大王)김효방선덕왕에 의해 추존됨, 선덕왕의 아버지.
현성대왕(玄聖大王)김법선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고조부.
신영대왕(神英大王)김의관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증조부.
흥평대왕(興平大王)김위문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조부.
명덕대왕(明德大王)김효양원성왕에 의해 추존됨, 원성왕의 아버지.
혜충대왕(惠忠大王)김인겸소성왕에 의해 추존됨, 소성왕의 아버지.
익성대왕(翌成大王)김헌정희강왕에 의해 추존됨, 희강왕의 아버지.
선강대왕(宣康大王)김충공민애왕에 의해 추존됨, 민애왕의 아버지.
혜강대왕(惠康大王)김예영신무왕에 의해 추존됨, 신무왕의 조부.
성덕대왕(成德大王)김균정신무왕에 의해 추존됨, 신무왕의 아버지.
의공대왕(懿恭大王)김계명경문왕에 의해 추존됨, 경문왕의 아버지.
혜성대왕(惠成大王)김위홍진성여왕에 의해 추존됨, 진성여왕의 숙부.
선성대왕(宣聖大王)박예겸신덕왕에 의해 추존됨, 신덕왕의 의부.
흥렴대왕(興廉大王)박문원신덕왕에 의해 추존됨, 신덕왕의 생부.
홍의대왕(弘毅大王)김안경순왕에 의해 추존됨, 문성왕의 아들, 경순왕의 고조부.
권흥대왕(眷興大王)김민선경순왕에 의해 추존됨, 경순왕의 종증조부.
의흥대왕(懿興大王)김실홍경순왕에 의해 추존됨, 경순왕의 조부.
신흥대왕(神興大王)김효종경순왕에 의해 추존됨, 경순왕의 생부.

3.2 금석문에서만 등장하는

  • 성한왕 -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전혀 등장하지 않으며 문무대왕비, 흥덕왕릉비 등 신라시대 금석문[16]에서만 등장하는 인물. 1차 사료에 있어 신라에 태조라고 불리는 인물이 있었다는 점은 분명하나, 어떤 인물의 다른 이름인지 정확한 정체는 알기 어려운 상태다. 태조로 기록되어 있어, 태종 김춘추와 함께 조·종으로 끝나는 묘호 기록이 남은 둘밖에 없는 왕이다.[17]
  • 이사지왕 - 신라 시대의 금관총에 있는 큰 칼에서만 기록된 인물.

3.3 신라로 부터 독립을 선포해 으로 즉위한 왕족

신라의 왕족이 신라로부터 독립해 왕이 된 경우가 2명 이상 존재한다.

강릉 김씨의 시조인 아버지 김주원이 왕위쟁탈전에서 밀리자 웅진에서 장안국을 선포했다. 참고로 김주원의 경우엔 도독으로서 명주(하서주/강릉)에서 반독립적 세력을 유지하고 있어서 "명주군왕"이란 이름으로 영지를 세습했다. 다만 명주군왕이란 것이 후대에 생긴 전승에 불과하다는 견해도 있다. #

4 참고항목

  1. 고조선이나 탐라국은 신빙성있는 당대에 작성된 계보가 남아있지 않다.
  2. 한국사의 다른 왕조들은 정 적남이 없으면 머나먼 방계에서 어떻게든 남자를 구해 데려올지언정 여왕 즉위는 없었다는 것을 볼 때 여성의 왕위 등극에 대한 신라인들의 인식이 좀 달랐다고 볼 수 있지만, 당대에도 밖으로는 당태종, 신라 안에서는 비담 등 여왕의 즉위와 통치에 불만을 가진 자들도 많았다.
  3. 어디까지나 삼국사기 기록상이다. 고고학적으로 증명이 되지 않는 삼국사기 초기 기록의 연대가 현대에는 전부 허구까지는 아니라도 다소 부정확하다고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박혁거세의 정확한 즉위년은 무상에 가깝다.
  4. 신라가 멸망할 때까지 주요 가문으로 존속했고 짧게나마 왕조가 부활하기도 한 박씨와 달리 석씨는 사실상 몰락한 것으로 보인다.
  5. 지증왕이 신라라는 국명을 정하고 국왕 칭호를 쓴 503년까지
  6. 봉평신라비
  7. 천전리서석
  8. 천전리서석
  9. 신라시대 금석문에서는 태조 성한왕이 확인 되기에 이를 포함하면 유이하다.
  10. 원래 이름은 융기였으나 우연히 당나라 황제와 이름이 같아 흥광으로 바꾸었다.
  11. 성덕왕의 외손자라서 모계로 무열왕 직계 혈통을 잇고 있다. 애매한 위치에 있는 왕인데 일반적으로 중대와 하대의 과도기에 있는 국왕으로 본다.
  12. 멸망까지는 150년. 선덕왕 포함시 132년.
  13. 원래 이름은 청명이었으나 왕위에 오른후 바꿨다.
  14. 원래 이름은 수종이었으나 후에 경휘로 바꾸었다고 한다.
  15. 원래 금관국 왕족 김해 김씨로, 태종 무열왕과 김유신의 여동생 문희 사이에서 태어난 딸 중 하나와 결혼해 문무왕의 외삼촌이자 사돈 관계가 되기 때문에 넓은 의미에서 신라 왕족에 속한다고 볼 수는 있다.
  16. 金石文. 쇠나 글 따위에 글을 새긴 것.
  17. 고려와 조선은 업적과 중요도를 떠나 연산군 같은 일부 예외 아니면 모든 왕이 묘호를 받았지만, 사실 고대 동아시아에서는 특별한 업적을 남긴 왕만이 묘호를 받았다. 중국도 모든 황제가 묘호를 가지는 건 후기 신라와 동시대에 존재했던 나라인 당나라 때부터고 고려부터 당나라를 따라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