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각총리대신

일본 정부의 인장[1]

200px-Emblem_of_the_Prime_Minister_of_Japan.svg.png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문장)[2]

현직
200px-Abe_Shinzo_2012_02.jpg
이름아베 신조
한자安倍晋三
생년월일1954년 9월 21일
임기2012년 12월 26일-
출생지도쿄도
정당자민당

위의 사진에서 아베 신조 총리의 왼쪽 옷깃에 단 파란 리본은 납북 일본인 문제에 항의하는 의미로 다는 표식이다. 위키백과 항목

1 개관

정식 명칭은 내각총리대신(內閣總理大臣)이며, 수상(首相)이라고도 한다. 일왕이 휘두르는 하얀칼이라고도 불린다. 일본의 헌법에 따르면 내각총리대신은 "행정권이 속하는 내각(행정부)의 수장"으로 정의되어 있다. 일본의 헌법에 국가원수(國家元首)에 관한 규정은 없다. 따라서 내각총리대신은 법률상으론 일본의 국가원수라고 할 수 없지만 전반적인 국정운영을 총괄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국가원수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역대 일본 총리는 모두 남성이다.

또한 내각책임제 이후로 역대 총리 가운데 좌파 계열 인사는 가타야마 데츠, 무라야마 도미이치, 간 나오토 3명에 불과하다. 리버럴로 분류되는 호소카와 모리히로, 하토야마 유키오까지 합쳐도 비보수계열 인사는 단 5명[3]. 총 집권기간을 합쳐도 5년 남짓밖에 안된다. 선진국 가운데서 이렇게 보수 우위의 정치구도가 오랫동안 유지된 국가는 일본 뿐이다. [4]

2 역사

메이지 유신 직후의 일본은 태정관(太政官), 좌대신(左大臣), 우대신(右大臣) 등으로 이루어진 태정관 제도를 살렸다. 그렇지만 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율령제 시절 제도를 나름 근대 국가에 적용하려니 태정관은 엄청 바쁘고 좌우대신은 별로 하는 일이 없는 등의 문제가 많았다. 이토 히로부미의 주도로 근대적인 내각 제도가 도입되면서 1889년 '대일본제국헌법'을 제정하면서 내각 제도와 내각총리대신이 나타난다.

임명은 덴노가 하게 되며, 선출은 법률로 규정되어 있지 않았다. 메이지 초기에서 쇼와 초기까지는 원로(元老)[5]의 추천에 따라서 임명되었으며,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는 중의원에서 제1당수가 추천을 받아 임명되었다. 쇼와 초기에서 일제 패망 까지는 '중신회의'[6]에서 추천되었다.

이 무렵, 총리의 실권은 약간 미묘(?)했는데, 헌법에는 내각이나 내각총리대신에 직접적인 규정이 없으며, 내각총리대신은 다른 국무대신들과 동등한 지위의, 수석장관으로서 덴노를 보필하는 존재이며, 내각은 각 장관의 협의와 의사통일을 위한 조직체 정도로 정의되었다.

하지만 의사통일을 한다고 한들, 총리는 각 대신에 대해서 임명권이 없으며 대신을 파면할 수 없고, 설득이나 사임을 촉구하는 정도의 행동 밖에 할 수 없었다. 실패하면? 내각총사퇴를 할 수 밖에. 게다가 육군대신, 해군대신 등은 '현역 무관'을 임명하도록 제도가 되어 있었으므로 내각의 조성이 군의 뜻에 따라서 제한을 받았다. 예를 들어 육군에서 내각이 마음에 안 들면 육군대신이 사임하고 아무도 내각에 안 들어가면 되고, 그럼 내각이 붕괴해서 다시 군의 말을 들을 수 밖에 없다. 그래도 고집부리면 "암살".

일제의 패망 이후에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된다.

3 지명과 임명

내각총리대신은 국회의원 중에서 국회의 의결에 따라서 '지명'하고, 덴노가 이를 '임명'한다. 물론 덴노에게 임명을 거부할 권리는 없으므로 덴노의 임명은 거의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하다.

내각총리대신은 국회의원 중에서 지명되는데, 일반적으로 총리는 중의원(하원)에서 최대세력을 차지하는 정당의 당수, 혹은 연립 여당 가운데 하나의 당수가 지명된다. 지명시 요건을 "국회의원"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참의원(상원) 의원이 총리에 취임할 수도 있으며 중의원의 수반 지명 선거에서 참의원 의원이 득표를 받은 사례도 다수 존재하지만, 참의원 의원이 총리가 된 사례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내각총리대신과 기타 국무대신은 '문민(군인이 아닌자)'일 것이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

4 임기

일본 헌법에 총리의 임기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헌법에서는 중의원 선거 총선거를 하고 다시 국회의 소집이 있을 때까지는 내각이 총사직 해야 한다고 되어 있으므로, 이론적으로 총리의 임기는 중의원 선거 총 선거 이후 국회의 소집을 할 때까지 최장 4년을 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새로 소집된 국회에서 재선이 금지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재선만 된다면 계속 총리를 할 수 있다. 반대로 정치적 사정상 임기가 지극히 짧은 총리도 나타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정당의 당수 직에 민주주의 관점에서 임기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총리 임기에 제한이 있다. 또한 총리에는 정년이 존재하지 않지만, 소속 정당에 국회의원 정년제가 있다면 사실상 제한이 있다.

5 권한

  • 내각에 불일치가 발생하면, 대신을 파면할 수 있다. 어떤 이유로 대신이 갑자기 사직하면, 그 후임을 임의로 임명할 수 있다.
  • 중의원에 대해서 의회해산의 전권을 가지고 있다. 헌법상으로는 "내각의 조언과 승인에 따라 덴노가 실시한다."라고 되어 있지만 뭐 덴노는 역시나 형식적인 것이고(...) "각의 결정 없이 해산할 수 없다"고 제한이 되어 있기는 한데, 이론적으로는 국무회의에서 해산 서명을 거부하는 대신이 있어도 총리가 파면하고 자신이 겸임한 다음 서명할 수 있으므로 총리에게 전권이 있다고 하는 것이다.
  • 파면과 겸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본의 총리대신은 이론적으로 모든 대신을 파면하고, 자신이 다른 모든 대신의 업무를 겸임하는 일인내각(一人内閣)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실제로 혼자서 노는건 아니고, 임시 대리를 발령시켜서 내각 기능을 조성하며 대개 내각이 아직 조성되지 않은 시기에 며칠 정도만 유지된다.
  • 총리대신의 장성기. 5성이다. 총리는 자위대통수권[7]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제국 시절과 달리 덴노는 국방력에 일절 나타나지 않게 되었다. 이는 덴노가 일본 헌법상 얼마나 잉여(...)인지 알 수 있는 부분인데, 보통 입헌군주국에서는 통수권을 형식상이나마 국왕이 쥐고 있기 때문. 그 나라들도 실질적으로 내각이 통수권을 행사하긴 하지만, 일본은 형식적으로도 덴노가 잉여라는 점이 특징이다. 물론 자위대형식적으로는 군대가 아니긴 하다.

6 기타

일본 총리는 관저와 사무실을 오가며 하루 2번정도의 기자회견을 하게 된다. 이를 부라사가리(ぶらさがり)[8] 회견이라 한다. 총리의 몸상태가 안 좋거나 아직 사안에 대한 공식 답변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아니라면 관례상 기자들의 질의에 응해야 된다.
800px-Soridaijinkantei2.jpg

총리 관저.

자위대의 통수권을 지닌다. 최고지휘감독권(最高指揮監督權)이라고 한다.

250px-Standard_of_the_Prime_Minister_of_Japan.svg.png
자위대 총리 깃발

아래의 각 막료장 깃발과 비교하면 벚꽃 개수가 하나 더 많다.

250px-Flag_of_Chief_of_Staff,_Joint_Staff_(JSDF).svg.pngFlag_of_Chief_of_Staff_of_the_Ground_Self-Defense_Force_%28JGSDF%29.jpg
통합막료장육상막료장
250px-Flag_of_Chief_of_Staff%2C_Maritime_Self_Defense_Force.svg.png250px-Flag_of_Chief_of_Staff_of_the_Air_Self_Defense_Force_%28Japan%29.gif
해상막료장항공막료장

일본 경찰을 통제하고 국무회의를 주재한다. 그리고 다른 대신을 임명하거나 파면할 수 있어 같은 대신이란 이름 달고 있지만 급이 다르다. 주요 위원회 임면권한도 있다.

여담으로 현직 총리가 선거구에서 지거나 비례대표에 탈락하면 자동으로 낙마한다. 하지만 그런 예는 없다. 역대 총리 출신 대학 가운데 가장 많은 곳은 도쿄대학이지만 제국대학이 아닌 도쿄대학 출신은 하토야마 유키오가 유일하다. 전후에 가장 오래 재임한 총리는 사토 에이사쿠(1962-1972, 2798일)이며 다음은 요시다 시게루(1946-1947, 1948-1954, 2616일), 고이즈미 준이치로(2001-2006, 1980일), 나카소네 야스히로(1982-1987, 1806일) 순이다.

800px-Japanese-Airforce-002-02.jpg
일본정부전용기. Japanese Air Force One. 항공자위대에서 관리한다.

800px-%E3%83%88%E3%83%A8%E3%82%BF%E3%83%BB%E3%82%BB%E3%83%B3%E3%83%81%E3%83%A5%E3%83%AA%E3%83%BC%E5%86%85%E9%96%A3%E7%B7%8F%E7%90%86%E5%A4%A7%E8%87%A3%E5%B0%82%E7%94%A8%E8%BB%8A.jpg
총리 전용 차량. 도요타센추리이다.

7 메이지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비고
01대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차)
1885.12.221888.4.302년 130일역대 최연소 총리
(44세/1841년생)
역대 최장 재임 3위[9]
02대구로다 기요타카
黒田清隆
1888.4.301889.10.251년 178일
겸임산조 사네토미
三條實美
1889.10.251889.12.24겸임 총리
03대야마가타 아리토모
山縣有朋
(1차)
1889.12.241891.5.61년 133일육군 출신
04대마쓰카타 마사요시
松方正義
(1차)
1891.5.61892.8.81년 95일
05대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2차)
1892.8.81896.8.314년 23일
임시겸임구로다 기요타카
黒田清隆
(2차[10]
1896. 8.311896.9.18겸임 총리
06대마쓰카타 마사요시
松方正義
(2차)
1896.9.181898.1.121년 116일
07대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3차)
1898.1.121898.6.30169일
08대오쿠마 시게노부
大隈重信
(1차)
1898.6.301898.11.8131일
09대야마가타 아리토모
山縣有朋
(2차)
1898.11.81900.10.191년 345일육군 출신
10대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4차)
1900.10.191901.5.10203일
임시겸임사이온지 긴모치
西園寺公望
(겸임)
1901.5.101901.6.2공작 출신
11대가쓰라 다로
桂太郎
(1차)
1901.6.21906.1.74년 220일육군 출신
역대 최장 재임 총리[11]
12대사이온지 긴모치
西園寺公望
(1차)
1906.1.71908.7.142년 189일공작 출신
13대가쓰라 다로
桂太郎
(2차)
1908.7.141911.8.303년 47일육군 출신
14대사이온지 긴모치
西園寺公望
(2차)
1911.8.301912.12.211년 114일공작 출신

8 다이쇼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비고
15대가쓰라 다로
桂太郎
(3차)
1912.12.211913.2.2061일육군 출신
16대야마모토 곤노효에
山本権兵衛
(1차)
1913.2.201914.4.161년 55일해군 출신
17대오쿠마 시게노부
大隈重信
(2차)
1914.4.161916.10.92년 177일제1차 세계 대전
18대데라우치 마사타케
寺内正毅
1916.10.91918.9.291년 355일육군 출신
초대 조선 총독
19대하라 타카시
原敬
1918.9.291921.11.43년 37일최초의 민간인 총리[12]
암살됨
임시겸임우치다 코사이
内田康哉
1921.11.41921.11.13겸임겸임 총리
20대다카하시 고레키요
高橋是清
1921.11.131922.6.12211일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21대가토 토모사부로
加藤友三郎
1922.6.121923.8.241년 73일해군 출신
임시겸임우치다 코사이
内田康哉
1923.8.251923.9.2겸임겸임 총리
22대야마모토 곤노효에
山本権兵衛
(2차)
1923.9.21924.1.7127일해군 출신
23대기요우라 게이고
清浦奎吾
1924.1.71924.6.11156일2차 호헌운동
24대가토 다카아키
加藤高明
1924.1.281926.1.301년 231일다이쇼 데모크라시
임시겸임와카쓰키 레이지로
若槻禮次郎
(1차)
1926.1.301927.4.20겸임겸임 총리
25대와카쓰키 레이지로
若槻禮次郎
(1차)
1926.1.301927.4.201년 80일장제스의 북벌

9 쇼와

9.1 제2차 세계대전 이전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비고
26대다나카 기이치
田中義一
1927.4.201929.7.22년 74일육군 출신
장작림 폭살사건으로 인한 불명예 사임
27대하마구치 오사치
濱口雄幸
1929.7.21931.4.141년 286일입헌 민정당 정권
암살
28대와카쓰키 레이지로
若槻禮次郎
(2차)
1931.4.141931.12.13243일입헌 민정당 정권
만주사변으로 인한 사임
29대이누카이 츠요시
犬養毅
1931.12.131932.5.16155일입헌 정우회 정권
암살
임시겸임다카하시 고레키요
高橋是清
1932.5.161932.5.26겸임겸임 총리
30대사이토 마코토
齋藤実
1932.5.261934.7.82년 43일해군 출신.
제3, 5대 조선 총독
31대오카다 게이스케
岡田啓介
1934.7.81936.3.91년 245일해군 출신,
2.26 사건
32대히로타 고키
廣田弘毅
1936.3.91937.2.2330일문관 총리
A급 전범으로 사형됨 [13]
33대하야시 센쥬로
林銑十郎
1937.2.21937.6.4122일육군 출신
"먹튀" 내각
34대고노에 후미마로
近衛文麿
(1차)
1937.6.41939.1.51년 215일공작 출신
역대 최연소 총리 2위(46세)
35대히라누마 기이치로
平沼騏一郎
1939.1.51939.8.30237일법관 출신
A급 전범으로 기소
36대아베 노부유키
阿部信行
1939.8.301940.1.15138일육군 출신
제9대 조선 총독
37대요나이 미츠마사
米内光政
1940.1.161940.7.22188일해군 출신
삼국동맹 반대파
38대고노에 후미마로
近江文麿(2차)
1940.7.221941.7.18361일유일하게 자살한 총리
39대고노에 후미마로
近衛文麿(3차)
1941.7.181941.10.1692일
40대도조 히데키
東條英機
1941.10.181944.7.182년 274일육군 출신
A급 전범으로 사형됨
41대고이소 구니아키
小磯國昭
1944.7.221945.4.7259일육군 출신
제9대 조선 총독
42대스즈키 간타로
鈴木貫太郎
1945.4.71945.8.17132일해군 출신
역대 최고령 취임 총리(77세)

9.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비고
43대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14]
東久邇宮稔彦王
1945.8.171945.10.954일왕족 출신 총리[15]
전후 수습 내각

역대 최단 재임 총리

최장수 총리(102년 1개월)
44대시데하라 기주로
幣原喜重郎
1945.10.91946.5.22225일전후 최고령 총리(73세)
45대요시다 시게루
吉田茂
(1차)
1946.5.221947.5.241년 2일전후 최장기 재임 2위[16]
46대가타야마 데츠
片山哲
1947.5.241948.3.10291일일본 사회당 출신
47대아시다 히토시
芦田均
1948.3.101948.10.15219일일본 민주당 출신[17]
48대요시다 시게루
吉田茂
(2차)
1948.10.151949.2.16124일전후 최장기 재임 2위
49대요시다 시게루
吉田茂
(3차)
1949.2.161952.10.303년 257일
50대요시다 시게루
吉田茂
(4차)
1952.10.301953.5.21204일
51대요시다 시게루
吉田茂
(5차)
1953.5.211954.12.101년 203일
52대하토야마 이치로
鳩山一郎
(1차)
1954.12.101955.3.1999일55년 체제
자민당 장기집권 시작[18]
53대하토야마 이치로
鳩山一郎
(2차)
1955.3.191955.12.22248일
54대하토야마 이치로
鳩山一郎
(3차)
1955.12.221956.12.231년 32일
55대이시바시 단잔
石橋湛山
1956.12.231957.2.2565일역대 3번째 최단 재임
56대기시 노부스케
岸信介
(1차)
1957.2.251958.6.121년 107일
57대기시 노부스케
岸信介
(2차)
1958.6.121960.7.192년 38일
58대이케다 하야토
池田勇人
(1차)
1960.6.191960.12.8142일
59대이케다 하야토
池田勇人
(2차)
1960.12.81963.12.93년 1일
60대이케다 하야토
池田勇人
(3차)
1963.12.91964.11.9336일
61대사토 에이사쿠
佐藤栄作
(1차)
1964.11.91967.2.172년 100일전후 최장기 재임
전체 총리 중 재임기간 2위
연속 재임 1위[19]
62대사토 에이사쿠
佐藤栄作
(2차)
1967.2.171970.1.42년 332일
63대사토 에이사쿠
佐藤栄作
(3차)
1970.1.41972.7.72년 178일
64대다나카 가쿠에이
田中角栄
(1차)
1972.7.71972.12.22169일자수성가 신화
하지만 비리총리
65대다나카 가쿠에이
田中角栄
(2차)
1972.12.221974.12.91년 352일
66대미키 다케오
三木武夫
1974.12.91976.12.242년 6일다나카의 저승사자
발칸 총리[20]
67대후쿠다 다케오
福田赳夫
1976.12.241978.12.71년 348일다나카와 각복전쟁
68대오히라 마사요시
大平正芳
(1차)
1978.12.71979.11.9337일임기 중 사망
69대오히라 마사요시
大平正芳
(2차)
1979.11.91980.6.12217일
임시겸임이토 마사요시
伊東正義
1980. 6.121980. 6.12겸임겸임 총리
70대스즈키 젠코
鈴木善幸
1980.7.171982.11.272년 133일
71대나카소네 야스히로
中曽根康弘
(1차)
1982.11.271983.12.271년 30일전후 최장기 재임 4위[21]
미일한 삼각보수 동맹의 한 축.
72대나카소네 야스히로
中曽根康弘
(2차)
1983.12.271986.7.222년 208일
73대나카소네 야스히로
中曽根康弘
(3차)
1986.7.221987.11.61년 107일
74대타케시타 노보루
竹下登
1987.11.61989.6.31년 210일헤이세이 대불황

10 헤이세이

대수이름임기시작임기종료재임기간비고
75대우노 소스케
宇野宗佑
1989.6.31989.8.1069일역대 4번째 최단 재임
76대가이후 토시키
海部俊樹
(1차)
1989.8.101990.2.28202일
77대가이후 토시키
海部俊樹
(2차)
1990.2.281991.11.51년 250일
78대미야자와 기이치
宮澤喜一
1991.11.51993.8.91년 278일자민당 정권 붕괴(1차)
79대호소카와 모리히로
細川護熙
1993.8.91994.4.28262일55년 체제 이후
최초 비자민당 총리
80대하타 쓰토무
羽田孜
1994.4.281994.6.3064일일본신생당 출신
역대 2번째 최단 재임
81대무라야마 도미이치
村山富市
1994.6.301996.1.111년 195일일본사회당 출신
무라야마 담화 [22]
한신 아와지 대지진
82대하시모토 류타로
橋本龍太郎
(1차)
1996.1.111996.11.7301일자민당 정권 복귀
83대하시모토 류타로
橋本龍太郎
(2차)
1996.11.71998.7.301년 265일
84대오부치 게이조
小渕恵三
1998.7.302000.4.51년 250일임기 중 사망
85대모리 요시로
森喜郎
(1차)
2000.4.52000.7.490일각종 실수, 망언으로 유명
86대모리 요시로
森喜郎
(2차)
2000.7.42001.4.26296일
87대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純一郎
(1차)
2001.4.262003.11.192년 207일사임하지 않고
임기를 마친 유일한 케이스
전후 최장기 재임 3위[23]
88대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純一郎
(2차)
2003.11.192005.9.211년 307일
89대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純一郎
(3차)
2005.9.212006.9.261년 5일
90대아베 신조
安倍晋三
(1차)
2006.9.262007.9.261년전후 최연소 총리(51세)
91대후쿠다 야스오
福田康夫
2007.9.262008.9.24365일
92대아소 다로
麻生太郎
2008.9.242009.9.16357일자민당 정권 붕괴(2차)
93대하토야마 유키오
鳩山由紀夫
2009.9.162010.6.8265일첫 민주당 출신 총리[24]
94대간 나오토
菅直人
2010.6.82011.9.21년 86일동일본 대지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25]
95대노다 요시히코
野田佳彦
2011.9.22012.12.25.1년 116일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일왕 사과 발언 외교 갈등
96대아베 신조
安倍晋三
(2차)
2012.12.262014.12.241년 364일자민당 정권복귀(2차)
97대아베 신조
安倍晋三
(3차)
2014.12.24(현직)구마모토 지진[26]

참고:[1]

  1. 오동나무를 형상화한 것으로 전국시대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이 가문 인장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2. 고시치키리몬(五七桐紋, 오칠동문)이라는 오동나무를 형상화한 문장인데, 본래 일본 황실의 상징이었으나 유력 다이묘 등도 차차 쓰게 되었다. 지금의 덴노는 국화 문장만을 쓰고 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문장으로 알려져 분노를 산 적도 있지만, 정확하게 말하면 일본의 유력자들이 하사받았던 문장으로, 히데요시도 그 중 1명으로 하사받았던 것이다.
  3. 그외에 미키 다케오 정도가 예외이려나. 전쟁 전에는 사이온지 긴모치하라 타카시, 이누카이 츠요시 정도가 조금 "온건파"나 "문민(사이온지 제외)"이라고 볼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나마 하라와 이누카이는 제명을 살지 못하고 극우에게 암살되었다는 게 함정이며, 이누카이 츠요시는 민정당이 아닌 보수성이 강한 정우회 출신이다. 노다 요시히코민주당 소속인데, 경제적으로는 좌파에 가깝지만 역사관이나 영토 문제에서는 자민당과 같이 논다. (...)
  4. 헌데, 오랫동안 여당생활을 해온것은 보수 계열인 자민당이 맞지만, 개헌이 가능할 정도로 의원석을 단독으로 확보한 적은 일본 정치사를 통틀어 단 한번도 없다. 게다가 소수지만 일본 공산당이 의석을 확보하고 있는 상태이며 양 세력 간 인구비가 비스무리한데다 극우와 극좌를 달리는 세력이 일본 국회에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좀 애매하다.
  5. 메이지 유신 시기의 유력자들로서, 덴노의 칙령으로 '원로' 지위를 얻은 사람들.
  6. '원로'들이 나이 먹고 죽었지만 보충이 되지 않있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사이온지 긴모치'가 노쇠하면서 그 기능을 대신하는 형태로 나타난 회의. 총리경험자와 추밀원 의장 등으로 구성
  7. 일본에선 최고지휘감독권이라고 한다.
  8. 사전의 뜻은 "매달리는 일"이며 이를 빗대어 수상·장관 등 요인(要人)이 관저나 국회 복도를 걸을 때 이를 기자들이 에워싸고 같이 걷거나 말을 건네면서 취재하는 일. 지진 등의 비상사태시의 내각총리대신의 기자회견도 이런 형식이다.
  9. 재직일수 2720일(7년 6개월(171일). 초대 이래 5대, 7대, 10대 일본 총리이기도 했다. 마지막 01년 5월 물러날 때는 60세였다.
  10. 겸임
  11. 2,886 = 7년 11개월(331일) (11대 4년 7개월, 13대 3년 1개월, 15대 3개월 더)
  12. 이 시기 유독 3년 이상을 재임한 유일한 인물.
  13. 전범이 될만한 근거가 별로 없기에, 희생양의 측면이 있다. 항목 참조.
  14. 황적이탈 후에는 히가시쿠니 나루히코(東久邇稔彦)라고 불렸다.
  15. 굳이 따지면 육군 대학을 나왔다.
  16. 2616일 = 7년 2개월(61일). (전반기 1년, 후반기 6년 2개월(2248일. 역대 연속 재임 2위) 총리 재임 후 70일만에 중의원 해산을 하기도 했다. 이 기록만으로는 최단명 전후 3위.
  17. 오늘날의 민주당(일본)과는 좀 다르다.
  18. 과반을 이루지 못해 총리 지명 후 46일 만에 중의원을 해산해 총선거를 하여 과반을 확보했다. 그 임기의 단명으로는 전후 1위.
  19. 2798일 = 약 7년 8개월(243일)
  20. 하지만 동시에 내각 해산을 하지 않은 유일한 총리.
  21. 1806일 = 약 5년(4년 346일)
  22. 1995년 8월 15일 "종전"(패전) 50주년 기념식에서 일본이 태평양 전쟁 이전이나 전쟁 중에 행했다고 생각되는 ‘침략’이나 ‘식민지 지배’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죄한 담화로, 이후로도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견해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공식적인 견해에 반하는 발언을 하는 정치인이 종종 나오면서 한국과 중국 등의 주변국의 반일감정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23. 1980일 = 5년 5개월(155일). 역대 연속 재임 3위.
  24. 하토야마 이치로 총리의 손자로, 결국 할아버지는 자민당 정권시대를 열었고, 손자는 닫은 격이 되었다. 거기에 스탠퍼드 대학 물리학 박사 출신. 후덜덜...
  25. 나름대로 준전문가를 자처할 만한 도쿄공대 응용물리학과 출신 변리사였다. 공돌이 해수 투입등을 지시했음에도 일이 꼬였으니 운도 더럽게 없는 듯.. 그래도 고이즈미 이래 유일하게 1년 이상 재임한 총리.
  26. 다만 이 지진은 무라야마 도미이치/간 나오토 총리대신과는 달리 흑역사가 아니다. 지진 발생 15분만에 정부차원의 대응을 시작하는 등 재난대응을 꽤 잘했다는 평가가 많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