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티스 르메이

1 프로필

Curtis Emerson LeMay

x350px
공군참모총장 시절의 커티스 르메이 장군안경을 끼고 시가를 꼬나물고 있는 르메이 장군
우린 매캐한 잔해 속에서 숯덩이로 발견된 일본인들을 위해 울지 않습니다.

ㅡ 헨리 '햅' 아놀드 장군의 편지[1]에 대한 답장에서.


I'll tell you what war is about. You've got to kill people and when you kill enough of them, they stop fighting.

"전쟁이란 게 무엇인지 설명을 해주겠소. 사람을 죽여야 하는 일이고, 그들을 충분히 많이 죽이면 그들은 그만 하겠다고 할 것이오."[2]

중성자탄 W70 탄두의 개발자 새뮤얼 코헨에게.


군사적인 행동을 취하겠다는 결정이 내려지면 최대한 빨리, (나중에 모자라게 투입했다는 실수가 벌어지지 않도록)[3] 필요한 것 이상의 군사력을 사용해야 합니다. 군사력을 사용하는 목적은 오로지 전쟁을 한시라도 빨리 끝내겠다는 것이어야 합니다. 오랫동안 전쟁을 끌게 되면 문명화된 세계와 인류 사회에 점진적인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자원을 낭비하는 모양새가 되기 때문입니다. 비효율의 극치이죠.

("...The main thing is to get it over with as quickly as possible....")

...전쟁이 싫다면 해결책은 이기는 것 뿐이라 생각합니다. 이길 것 같지 않다면 치를 생각을 버리는 게 낫습니다. 패배하고 죽는 쪽을 선호하는 게 아니라면 말입니다.
("To me winning is the only solution if you don’t like the war. And if you don’t think you’re going to win, you might as well give up without going, unless you prefer to be dead and defeated.")

...핵전쟁 상황에서 이긴다는 상황의 정의가 정확히 무엇인지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일단 이길 수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기기 위해서 치르는 대가는 제가 감수할 수 있는 것보다도 훨씬 클 것입니다.

ㅡ커티스 르메이, Quest for Peace(1985) 인터뷰에서. (인터뷰 전문 참조.)


We should bomb Vietnam back into the stone age.

"베트남을 폭격해서 석기시대로 돌려놔야 합니다."


There are no innocent civilians.

"무고한 민간인은 없다."

ㅡ 일본본토 공습 항목에 별도로 후술되겠지만,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면 심히 골롬하다.

2 개요

1906년 11월 15일 ~ 1990년 10월 1일

미국 오하이오 출신[4]의 前 미국 육군 항공대 장군이었고 후에 미합중국 공군의 장군이 된 군인. 냉전 시대 미 공군의 기틀을 세운 명장이자, 용장이자 전쟁광[5]이다. 별명은 Iron-ass, Big Cigar[6]. 가난한 이민자 집안의 아들로 태어나서 아무런 연줄 없이 능력만으로 장군까지 올라갔고, 비행기가 처음 하늘을 난 시대에 태어나 신기술 중의 신기술이었던 항공기 기술이 미국 전력의 한 축으로 자리잡는데 큰 공적을 세웠다. 밀덕들에게는 을 잘 키워서 유명한 폭격덕후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3 초창기 커리어

1906년 11월 5일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태어났다. 집안이 가난했던 어릴 적에는 아버지의 이직에 따라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지냈는데, 아버지가 제대로 가장 구실을 못한 탓에 어렸을 때부터 어머니와 함께 돈을 벌면서 가족에 대한 책임감이 강박관념 수준으로 자리잡고 말투도 이후처럼 직설적으로 변했다. 여가를 즐길 시간이 없어 (당시 최신 기술이었던) 게르마늄 라디오를 손수 조립하고 듣는 것이 유일한 낙이었다. 네 살 때 처음 비행기를 목격했을 때부터 비행에 대한 환상을 가진 그는 이후 중학교 때 친구와 돈을 모아 5분간 하늘을 나는 기분을 만끽한 뒤 개인 비행기를 사서 마음껏 날겠다는 꿈을 가진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전역하기 전까지 그에게 순수하게 즐거움을 위해 비행할 기회는 다시 오지 않았다.[7]

고교와 대학은 고향 오하이오 주에서 다녔다.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토목공학을 전공하고 육군 ROTC를 거쳤는데, 육군 소위 임관사령장만 세 번을 받은 희대의 경력이 있다. 처음엔 연방 육군 예비군 포병소위로 임관했다가 주방위군 육군 군적이 있으면 조종사 선발 과정에서 사관생도에 준하는 취급을 받는다는 정보를 얻자마자 곧바로 예비군 그만두고 주방위군 육군 현역 소위가 되었고, 우여곡절 끝에 1928년에 연방 육군의 항공단 조종병과를 지원한다. 그렇게 1930년 소위로 리셋하며 조종장교로 임관했다. 전간기의 미군은 전시가 아니었기 때문에 승진이 연공 서열에 묶여있었던지라 중위는 대학 졸업하고 군생활 시작한 지 7년 후에야 달았고, 1940년에 대위, 1941년에 소령을 달았다.

하지만 그의 진급복은 그때부터 시작이었으니...

4 제2차 세계대전

1945년 8월 13일 타임지[8]

육군항공대 중령으로써 B-17로 구성된 제8공군의 지휘관 중 한 명.

진주만 공습으로 폭격을 맞은 미국은 즉시 일본과 추축국을 상대로 전쟁을 선포하게 된다. 당연히 폭격기를 비롯한 항공 전력이 엄청나게 필요하게 되는데, 이 당시 제 305 폭격항공대(305th Bombardment Group)에 배속된 르메이 중령은 말 그대로 맨 땅에서부터 폭격기 조종사와 승무원을 훈련시키고 장비를 마련하는 생고생을 시작해야 했다. 이 때 과로로 안면신경마비가 일어나 한동안 오른쪽 얼굴이 굳어진 탓에 훗날 괴팍하고 무식한 장군 이미지가 더욱 강해지게 된다.

영국에 도착한 뒤 제8공군이 먼저 수행한 폭격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르메이 중령은 폭격의 피해가 폭격기 추락으로 인한 피해보다 못할 정도로 명중률이 나쁘다는 사실을 알아냈는데, 그 이유가 목표 상공에서 대공포 사격이 시작된 뒤 폭격기들이 10초 안에 폭탄을 떨구고 단체로 회피 기동에 들어갔기 때문임을 깨달았다. 첫번째 출격에서 르메이 중령은 목표에 도달했을 때 폭격이 끝나기 전까지 회피 기동을 포기하고 대형에 맞춰 직선으로 비행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리고 폭격기 승무원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서 B-17을 상대로 한 88mm 대공포의 예상 격추율은 자신이 계산해본 결과[9] 372발당 1대로 비행단이 충분히 견뎌낼 수 있는 수준[10]이라고 설명하고[11], 그 말을 증명하기 위해 앞장서서 선두 기체에 탑승하여 출격했다! 결국 탄착률이 종전의 2배로 늘어나고 목표 상공에서 7분간 직선 비행을 하면서도 대공 사격에 폭격기 한 대도 잃지 않는 대성공을 거뒀다. 이 폭격 전술은 제8공군 전체에 도입되게 된다. 그리고 르메이 중령 고속 승진을 이어가게 된다. 1943년 말에는 준장으로 진급해 장군이 되었고, 44년 3월에는 37세의 나이로 당시 최연소 소장이 되었다.

이때 훗날 미국의 국방장관이 되는 로버트 맥나마라[12]가 르메이 장군의 부하로 있었다. 이때 르메이 장군은 휘하 폭격기들의 높은 임무포기율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는데, 맥나마라는 특유의 분석력으로 임무포기의 원인 대부분이 공포에 있음을 알아챘다. 이러한 보고를 들은 석기시대 매니아는 "돌아가는 놈들은 군사재판에 회부하겠다!"라고 외치며 또 앞장서서 선두 기체에 탑승하여 출격했다![13] 그 즉시 임무포기율은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그러나 이후로 폭격기들은 호위기들이 따라가 보호해줄 수 없는 초장거리 임무에 나서야 했고, 그 덕에 폭격기 손실과 전사자는 미친듯이 뛰어올랐다. 결국 폭격기의 임무 범위는 호위기의 한계거리로 제한되기에 이른다.

정리하자면

  1. 폭격기는 근본적으로 '공중전'용이 아니기 때문에, '공중전'을 위해 태어난 전투기와 싸우면 그저 데꿀멍.
  2. 미군은 호위기가 따라가지 못할 장거리 폭격도 했음.
  3. 호위기 없이 나가니 가다가 죽기도 부지기수, 폭격 성공해도 돌아오는 길에 빡쳐서 뛰쳐나온 루프트바페 요격기들에게 걸려 줄줄이 죽어나감.
  4. 3처럼 줄줄이 죽어 나가니 폭격기 임무에 대한 공포가 퍼져나가고 죽기 싫어 중도 포기가 속출.
  5. 겁먹어서 그렇다는 보고를 받고 빡친 르메이 중령이 현장으로 앞장서고 승무원들은 어쩔수 없이 무모한 행동에 동행.
  6. 3을 계속 반복. 무모한 공격에 더 반복. 물론 주변 비행기가 터져가는 와중에 본인만 멀쩡했다. 뭔 40k야?
  7. 폭격기와 승무원 손실을 못 견디고 호위기의 활동 범위로 폭격임무 제한. 우리의 주적은 간부

제임스 캐럴은 자신의 저서 '전쟁의 집 - House of War'에서 2차대전 당시 르메이 장군이 지휘한 폭격기 편대는 영국군이나 다른 미 육군 폭격기 편대보다 낮게 날았기 때문에 타부대의 2배에 해당하는 탄착을 보여준 한편, 피해도 컸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B-17의 방어대형인 컴뱃 박스(combat box)를 창안하기도 했다. 슈바인푸르트 폭격작전에도 참가하여 비행대대를 직접 지휘하기도 하였으며, 1944년에는 중국 전선으로 전속된다.

4.1 일본 본토 공습

중국 전선에서는 중화민국에서 출발하여 일본 본토를 폭격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이러한 임무는 B-29로서도 너무 멀었기 때문에 별로 효과적이지 못했다. 다만 이번에도 일부러 만주에서 방공망이 가장 밀집된 곳으로 앞장서서 선두 기체에 탑승하여 출격하고[14], 대공포에 적중당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체가 멀쩡하고 요격기는 고고도로 못 쫓아오는 것을 파악하여 일본의 대공 능력이 B-29를 상대로 사실상 유명무실함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적인 일본 육군 항공대충칭 등 중국 도시들에 소이탄으로 효과적인 공격을 하는 것을 보고 이것을 반대로 적용해 일본 도시에 써먹을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생각을 구상하던 1945년 2월 대일 폭격을 책임지는 제21 폭격기 사령관에 취임해 대일 폭격을 총괄한다.

부임 직후 효율이 떨어지는 고공 정밀 폭격에서 좀더 위험하지만 효과적인 저고도 소이탄 폭격으로 전환하였으며, 목제 가옥과 건물이 많은 일본 도시를 대상으로 한 그의 작전은 엄청난 성공과 무자비한 파괴를 가져왔다. 이전까지 미국 폭격기대는 고고도에서 특정 목표를 맞추는 정밀 폭격 작전을 시행했으나 그 효율은 그다지 뛰어나지 못했다. 르메이 장군의 전임 사령관인 육군소장 헤이우드 핸셀 장군이 르메이 장군으로 교체된 것도 이런 작전 결과의 비효율성 때문이었다. 이는 작전 자체의 문제 보다는, 이에 필요한 기술력의 미비였다. 당시로선 최첨단 장비인 B-29와 노든 조준기로도 일본 상공에서 부는 제트기류를 극복하는 것은 불가능했기 때문이었다. 핸셀 장군이 주장한 고고도 정밀 폭격이 그 효율성을 발휘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에야 가능했다. 이 때문에 르메이 장군은 정밀 폭격에 대한 비판을 가하면서도 핸셀 장군 본인에 대한 비난은 꺼내지 않았다.

이때 남긴 말이 상당히 유명한 "무고한 민간인없다(There are no innocent civilians)." 흠좀무. 물론 이는 총력전에서 산업기반시설 같은 민간시설 또한 적의 전투력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그 파괴로 인한 민간인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뜻이지, 진짜 무고한 민간인은 없다는 식으로 민간인을 학살하고 다녀도 된다는 류의 말이 아니다. 만약 그런 논리를 인정하게 된다면 난징 대학살과 같은 온갖 민간인 대상 전쟁범죄가 해당 국가의 전투원을 제거한다는 목적으로써 합당한 것이 되어버린다. 비유니까 절대로 곧이곧대로 듣지 말자. 의도적인 민간인 학살에 대한 계획과 지시는 B급 전범행위이며, 상부의 명령을 불가피하게 따른다 하더라도 C급 전범이다

전문을 옮기자면 다음과 같다.
There are no innocent civilians. It is their government and you are fighting a people, you are not trying to fight an armed force anymore. So it doesn't bother me so much to be killing the so-called innocent bystanders.

무고한 민간인은 없다. 그것은 그쪽 정부와 함께 우리와 싸우는 민중들이고 우리는 무장한 적군하고만 싸우는것이 아니다. 그래서 소위 죄없는 방관자를 죽이는 것을 나는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

사실 이 말은 총력전 개념을 가장 적나라하게 표현한 말 중 하나이다. 총력전 문서에도 있듯 현대적 총력전에서는 전쟁 수행에 참여할 가능성이 전혀 없는 어린아이나 중증 장애인, 또는 죽을 날만 기다릴 만큼 고령화된 노인들을 빼면 무고한 민간인이 없어지고 오로지 전쟁 수행원만 있다고 간주하는데 그걸 이야기한 것이다. 물론 모든 사람이 이런 견해에 동의하는건 아니라서 로버트 맥나마라의 경우에는 이러한 르메이 장군의 관점을 비판하며 인터뷰에서 목표를 달성한다는 명분하에 이루어지는 일방적인 폭격이 정당한 것인지에 의문을 던진 바 있다.

물론 이는 일본의 피해자 행세와는 별개로 생각해 봐야 할 문제이지만 이것 또한 당시의 일본 제국에 대입시켜 보면 참에 가깝다. 당시 일본은 민간인들까지도 극히 일부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전쟁의 명분은 온데간데 없이 이겼느냐, 졌느냐만 관심을 갖고 있었다. 단적으로 군부에서 어째서 패전한 전투를 승리한 전투로 포장해야 했는지만 봐도 알수 있는 문제다. 예를 들어 히로히토 덴노의 옥쇄 명령으로 민간인들의 대규모 자살극이 벌어졌던 1945년 4월에서 6월 사이의 오키나와 전투라든가, 1945년 8월 하순 경, 히로히토가 항복 선언을 하고 난 후에 벌어진 항복 반대 반란들, 이를테면 마츠에 소요 사건 같은 것들. 즉, 대전기의 일본 본토에 한해서는 저 말이 사실에 가깝다는 뜻이다. 이것이 미심쩍다면 현재의 가장 가까운 사례로 북한의 노농적위대, 붉은청년근위대 같은 준군사조직을 들 수 있다.

1945년 3월 10일 거행된 도쿄 대공습에서는 26만 7천 채의 건물이 파괴되고, 도쿄 거주자 8만 9천명이 사망했으며 6만 6천 명이 부상당하는 등 일본에 엄청난 손해를 입혔다. 이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이 만들어낸 피해를 상회하는 기록이다. 또한 대량의 기뢰를 폭격기로 투하하여 일본의 주요 항구를 봉쇄[15], 일본 전역에 기아를 몰고 오기도 했다. 그의 지휘 하에 종전 직전인 1945년 7월 시점에서 일본 주요 도시의 60%가 잿더미로 변했으며, 일본의 공업생산량은 폭격 전 대비 40% 이하로 떨어졌다.

폭격 전과 폭격 후의 도쿄.[16]

이 폭격직전 민간인 공습에 대해 죄책감을 느낀 부하들을 본 르메이 장군은 "사실 저 밑에 스즈키 네는 군용 볼트를, 옆집 하루노보 네는 군용 너트를 만들고 있을 뿐이다."라고 말하며 비웃었다. 르메이 장군의 발언 원문은 다음과 같다.

"In Japan they would be set up like this: they’d have a factory; and then the families, in their homes throughout the area, would manufacture small parts. You might call it a home-folks assembly line deal. The Suzuki clan would manufacture bolt 64; the Harunobo family next door might be making nut 64, 65, or 63, or all the gaskets in between. These would be manufactured right in the same neighborhood. Then Mr. Kitagawa from the factory would scoot around with his cart and pick up the parts in proper order."

"일본의 도시란 이런 모양이다. 공장이 있다. 그 옆에 민간인들이 살고 있고, 그 사람들은 자기네 집에서 조그만 부품들을 만든다. 그걸 가내수공업이라고 할 수 있겠지. 스즈키네는 64호 볼트를 만들고, 옆집 하루노보네는 64호, 65호나 63호 너트나 다른 잡동사니를 만드는 식이다. 그러면 키타가와 씨가 그걸 정리해다가 공장으로 가져가는 거다."

그런데 관동대지진 이후 일본 정부의 주먹구구식 복구 계획 때문에 그의 말은 사실에 가까웠다.

전후에는 이에 대한 비난에 대해 이렇게 대꾸했다.

"군인은 자신이 하는 일에서 도덕성을 찾기 마련이지만, 전쟁은 원래 비도덕적인 것이기 때문에 그런 것을 괴로워한다면 좋은 군인이 되지 못한다. 만일 그 작전에 실패했다면 전쟁범죄자가 되었을 것이다."

중간에 일본의 대규모 카미카제 공격을 예측한 미 해군원수 체스터 니미츠 제독의 요청으로 3월 중순부터 일본군 비행장 폭격을 지휘하기도 하였다.그러나 르메이 장군은 이럴 시간에 차라리 공장이 숨어 있는 시가지를 불바다로 만드는게 더 효과적이라면서 불평을 늘어놓았다. 물론 육군과 해군의 협의에 따라 니미츠 제독에게 르메이의 항공대 병력을 동원할 권한이 있었으므로 별 수 없이 임무를 계속 수행했지만 틈만 나면 이 임무에서 빠져나가려 발버둥을 쳤다.

약 2주정도 폭격을 마친 1945년 4월 1일, 르메이는 "이쯤 폭격했으면 일본 육해군 항공대 비행장들은 충분히 무력화됐다."란 보고와 함께 작전제외를 요청했다. 하지만 태평양함대사령부는 1주일 내에 대규모 카미카제 공격이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기에 "우리가 봤을 때는 아직 멀었음이거 뭐야 더 무서워"이란 반응을 보이며 요청을 씹어버렸다. 이렇게 4월 중순까지 계속 실랑이를 벌이다가 결국 아빠소환 미 육군항공대 사령관 육군원수 헨리 아놀드 장군에게 쪼르르 달려가 "쟤들이 안 빼줘요."라고 징징거렸고, 이에 아놀드 원수가 해군참모총장인 해군원수 어니스트 킹 제독에게 비행장 폭격에만 치중된 폭격기 부대의 임무에 불평을 늘어놓았다. 그러자 킹 제독은 "그럼 우리 해군은 철수할테니깐 육군 혼자 잘들 해봐."라고 답변하여 아놀드 장군을 버로우시켰다.

결국 기대와는 달리 "21폭격기 사령부의 임무는 해군에게 협조하여 일본군 비행장을 폭격하는 것."이란 명령서가 다시 한 번 내려오면서 더 이상 빠져나갈 구석이 없어졌다. 결국 이 임무는 5월 11일까지 계속되었다. 임무가 끝난 직후 니미츠 제독은 궁시렁대면서도 폭격 임무를 완수한 르메이 장군에게 서신을 보내 진심어린 감사를 표했다.

실제 전후 연구에 따르면 미 육군 폭격기가 허구헌날 비행장을 두드려대는 바람에 실제 일본 육해군이 확보했던 항공기에 비해 출격한 항공기의 수가 급감하여 카미카제 작전의 효율까지 덩달아 떨어드린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한마디로 석기시대 매니아님의 불평과는 달리 굉장히 효율적인 작전이었던 셈이다.

비행장을 폭격하는 와중인 4월에는 기아 작전(Operation Starvation)의 일환으로 폭격기의 일부를 떼서 항만지역에 기뢰를 살포하라는 명령도 떨어졌다. 이 역시 직접 폭격이 아니어서 르메이 장군의 입맛에는 안 맞았지만 위에서 시키는 데 별 수 있나. 그 결과 한달간 기뢰가 만 2천여개가 살포되었는데, 약 100만톤에 달하는 일본 수송선단을 격침시키고 본토로 들어가는 원자재 수송량을 80%나 잘라버릴 수 있었다. 또한 현대까지도 연안 해운에 대한 의존이 큰 일본의 국내 교통망도 동시에 마비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전후 분석 보고서는 이 기뢰 살포가 일본 본토 공격 도중 가장 가성비가 뛰어난 작전이었다고 적고 있다.[17]

이 작전으로 일본 전역에서 민간인 30만여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여태까지 미군 장성들 중에서 민간인을 죽인 숫자로는 가장 높은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일본 전역의 공업 기반을 쑥 재배지로 만들어버린 덕분에 몰락 작전을 굳이 벌일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일제의 공업 생산량이 급락해서, 원자폭탄과 함께 수십만명을 죽였지만 결국 수백만명의 목숨을 살린 비정하지만 현실주의적인 결정이었다는 평가가 있다.(Kozak, 2009) 전후 분석 결과로는 해상 수송을 차단한 상태에서 일본의 철도망을 끊어 내부에서부터 굶기는 것이 효율적이었을 것이라 평가하지만[18], 이 때는 일본 본토에 대한 지리 정보가 제한적이었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도쿄 대공습 문서에서 르메이 장군의 전임이었던 핸셀 장군의 정밀 폭격에 대한 집착이 설명되어 있는데, 만약 핸셀 장군이 일본의 철도망의 지리와 역할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있었다면 실행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을 것이다. 철교를 끊는 것이야말로 정밀 폭격에 가장 잘 어울리는 임무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핸셀 식의 고고도 정밀폭격이 교통망을 상대로 어느 정도 위력을 보여주느냐겠지만. 위에서도 언급된 것이지만, 이런 정밀폭격을 당시의 일본 본토에 하려면, 폭격조준기의 정밀도 문제와 제트기류를 극복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5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은근히 역사적인데 덜 알려진 기록을 세우기도 한다. B-29 폭격기를 몰고 일본열도→북미 논스톱 비행을 시도하여 성공한 것이다. 이때 B-29의 역사적인 기록이 이어지는데, 첫째로는 역사상 최대 중량 이륙, 둘째는 역대 최장거리 논스톱 비행, 셋째로는 최초의 일본-시카고 논스톱 비행이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워싱턴 D.C.까지 들어갈 수 있었는데 못갔다는거. 이 당시 폭격기 세대가 기록에 도전하여 각각 육군중장 바니 자일스 장군, 르메이 장군, 육군준장 에멧 오도넬 장군이 조종을 맡았는데 이 중 르메이 장군의 폭격기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연료부족으로 당초 목표인 DC를 못가고 시카고에 착륙하여 급유를 받아야 했다. 하지만 르메이 장군은 끝끝내 워싱턴 DC까지 가려고 들었고, 전쟁부에서는 그런 르메이 장군을 뜯어말리며 날씨가 좋지 않다는 핑계로 시카고로 보냈다고...는 하는데 실은 쓰리스타가 못한걸 투스타가 해내면 꼴이 우스우니까 그랬을 뿐이라는게 정설이다. 어쨌든 셋 다 비행훈장도 받았고 결국은 모두 해피엔딩.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육군 항공대가 공군으로 재편되면서 중장으로 진급했다. 그리고 1949년 전략공군사령관이 되며, 강철의 대원수베를린 봉쇄로 자본주의 진영한테 빅엿을 먹이려고 하자 "전세계의 C-54 조종사들한테 전한다. 지금 즉시 독일로 날아오도록!"만국의 C-54 조종사여 단결하라!을 시전, 동원 가능한 모든 미 해공군 수송기들을 모아 그 유명한 베를린 공수 작전을 시행하여 소련에게 "니들만 쪽수로 밀어붙이는 거 아님" 하면서 역관광을 선사했다.[19] 그리고 1957년에 물러날 때까지 세계대전 이후 당나라 군대가 다 되어있던 전략공군사령부를 죽어라 갈궈서 다시금 최정예로 육성해놨다. 신형 폭격기의 개발과 배치, 공중급유기 개발[20], 각종 전술과 전략연구, 그리고 대륙간 탄도탄순항 유도탄 개발에도 많은 공을 세웠다.

1951년 전략공군사령관 재임기에 대장으로 진급했는데 44세의 나이에 세운 이 기록은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이래 최연소 기록이었다. 57년에 공군참모차장, 61년에는 공군참모총장이 되었으나, 케네디 정권하에서는 '효율'을 내세우는 국방장관이자 자신의 옛 부하였던 로버트 맥나마라, 그리고 밴드 오브 브라더스제101공수사단장 출신으로 유명한 당시 합참의장 육군대장 맥스웰 테일러 장군과 여러 면에서 충돌한다. 특히 맥나마라가 기용한 민간인 계열 인사에 대해서는 매우 신경질적으로 불만을 표했다. 아래 쿠바 미사일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피그만 침공 당시 (원래부터 변수가 너무 많아 성공할만한 작전은 절대 아니라는 점은 차치하더라도)만약 성공을 원한다면 폭격을 비롯한 공중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묵살당했는데, 자신의 예상대로 피그만 침공 자체 실패한 것을 넘어 흑역사가 되자 불신은 더더욱 깊어졌다.

케네디 정부 때 피델 카스트로쿠바에 미사일 기지를 만들자 쿠바에 선제 핵공격을 주장하면서 초강경파로 이름을 날렸다. 케네디와 맥나마라는 의견이 극단적으로 벌어질 것이라는 것을 알고서도 르메이 장군을 공군참모총장에 임명했는데, 이는 만에 하나 핵전쟁이 정말로 벌어질 경우 핵전쟁을 감정에 휘말리지 않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휘관은 르메이 장군밖에 없을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둘 다 르메이 장군을 일종의 필요악으로 간주한 것이었다.

쿠바 미사일 위기 때 르메이 장군(오른쪽 2번째)과 케네디 대통령

1965년 린든 존슨 대통령, 맥나마라 국방장관과의 의견 차이로 인해 공군참모총장 자리에서 사임하였다. 가장 입장 차이가 컸던 분야는 미 공군의 차기 주력 병기가 무엇이 되겠냐는 것이었는데, 르메이 장군은 XB-70 발키리의 도입을, 맥나마라는 XB-70을 취소하고 유도 미사일에 대한 연구투자를 주장하여 서로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다만 소련의 SAM 기술이 초음속 항공기 기술보다 더 빨리 발달하여 XB-70은 실패작이 되고 비슷한 기체 컨셉의 B-1 랜서 역시 장거리 폭격은 물건너가고 CAS만 하는 신세가 되면서 결국 르메이 장군의 판정패가 되고 말았다. 그리고 B-52는 영원한 장수만세, 아니 노인학대...

1968년 미국 민주당 내에서 남부보수파(딕시크랫)를 대변하던 조지 월레스가 리버럴 성향이 뚜렷해진 민주당에 불만을 품고 뛰쳐나와서 '미국독립당' 후보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면서, 커티스 르메이 장군에게 부통령 후보를 제안하자, 이를 받아들인다. 당시 부통령 후보 자리를 승낙하는 연설에서부터 전쟁 이야기와 "필요하다면 핵무기를 써야 한다"고 말했다. 덕분에 월레스의 지지율은 피크 때의 1/3 수준으로 줄어버렸다고 한다. 하여튼 조지-커티스 조합은 13% 정도의 지지만을 받는 데 그쳐 정계진출은 실패로 돌아간다. 월레스가 지독한 인종차별주의자였다는 걸 생각하면 결과적으로 잘 된 것일지도? 하지만 전통적으로 양당제가 굳건한 미국에서 저 정도라면 제3정당 후보로서는 매우 높은 지지율이다. 남부지역에서는 5개 주에서 선거인단을 가져갔을 정도. 덕분에 공화당의 리처드 닉슨이 당선되고 민주당의 휴버트 험프리가 떨어지기에 톡톡한 역할을 했다.

르메이 장군은 M16 시리즈의 미군 채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이기도 하다. M16, 그러니까 AR-15가 처음 나왔을 때 개발사인 아말라이트사는 이 총의 미군 제식 채용을 노렸지만, 미군은 기존에 쓰던 M1 개런드 소총과 비슷하다는 이유로 M14를 고집한 탓에 판매실적이 영 빌빌대던 상황[21]이었는데, 르메이만은 이 총에 주목하여 AR-15가 공군 헌병 경비대용으로 채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 이 때 르메이 장군은 공군이 쓰던 M1 카빈의 대체품을 찾고 있었는데, 마침 장성들이 모인 생일 파티에 있던 AR-15를 수박을 표적으로 시험삼아 쏴보고는 그 성능에 어찌나 감탄했던지 공군참모총장에 올라가자마자 한 일이 AR-15 8만정을 주문한 것이었다. 기지 방어에는 고위력 소총이 아니라 PDW에 가까운 무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던 차에, M1 카빈보다 위력이 좋고 반동도 적절한데다 연사까지 용이한 상위호환 총기가 나타났으니 당연히 좋은 인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이후 터진 베트남 전쟁에서 M14의 '제식 소총에 요구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능력'의 부재가 만천하에 공개되자 미군은 제식총기를 바꿀 필요성을 느꼈으나 그게 금방 결과물이 뚝딱 나올리 없는 관계로 차세대 소총인 SPIW 계획을 발진시켰는데, 그 계획이 완료될 때까지 땜빵으로 공군 헌병이 쓰던 AR-15에 주목하여 잠시 채용했는데 막상 보니 땜빵이 제법 쓸만하여[22] 결국 M16이라는 이름으로 채용되어 50년이 다 되어가도록 미군 부동의 제식 소총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된다. 그리고 M16은 오늘도 끊임없이 군경과 민간 차원에서 끊임없이 개량되고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석기시대 운운하는 무식한 이미지로 알려져있지만 어디까지나 석기시대 얘기는 드립성이 짙을 뿐 항공과 지상을 아울러 군사 병기의 진가를 알아보는 안목은 2차 대전때나 베트남전 때나 변함없이 탁월했음을 보여주는 일화이다.

그러는 한편으로는 일본에서 항공자위대 창설에 기여한 공로로 욱일대수장, 그것도 최고 등급인 훈일등 욱일장을 받았다.

전시상황이 아니라는 이유로 거절되긴 했지만 원수로 추대하자는 의견도 나왔을 정도임을 생각하면 여럿에게 고루 인정받는 명장이었다 할 수 있다.

6 한계

6.1 지나친 강경함

르메이 장군의 전략은 분명 역사상 최악의 총력전이라고 할 수 있는 2차대전 당시에는 충분히 유효한 방법이었다. 특히 르메이 장군이 도쿄 대공습을 비롯한 일본 본토 공습으로 일본제국을 박살낸것, 유럽 전선에서 연합군의 전략폭격은 이런 방법이 그 당시 상황에서는 충분히 유효하다는것을 보여준 사례였다. 문제는 이러한 그의 방식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냉전시기에도 이런 입장을 끝까지 밀고나갔다는 것이다.

덕분에 50년대엔 미군 내 강경파 끝판왕으로 통하던 맥아더 장군보다 더 전쟁에 미친 남자라는 평가가 나돌고 있었고, 쿠바 미사일 위기 때엔 쿠바 폭격, 더 나아가 소련과의 전면적 핵전쟁을 추진하려고 했다. 물론 당시 대통령인 케네디가 3차 세계대전을 일으킬 순 없다고 그를 말려 실제로 소련 핵폭격 계획이 실행되진 않았다.

쿠바 미사일 위기가 있던 1962년 10월 18일 케네디 대통령은 군 장성들을 모아 긴급한 회담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 때 합참의장인 육군대장 맥스웰 테일러 장군과 르메이 장군간의 열띤 공방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시대적 변화를 고려해 소련도 신뢰라는 과정에 발을 맞추게 될 것이며 이를 따라 쿠바를 봉쇄하자는 안을 내세운 테일러 장군에 맞서 르메이 장군은 이번 사태의 유일한 해결책이 소련과의 전쟁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두 사람의 주장을 들어본 케네디는 테일러 장군의 해결책을 따르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지나친 강경함 문제는 위에도 서술된 것과 마찬가지로 '역사상 가장 끔직한 총력전' 이 이미 개전된 상태에서, 일개 전선 지휘관의 입장이었던 2차 대전 당시의 르메이라면 (다소 비판의 여지는 있으나) 납득 가능한 것이었다. 이미 전쟁(그것도 인류 역사상 유래가 없을 정도로 막대한 인력과 자원이 빨려들어가는 지옥같은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라면 어설픈 고려보다는 어떻게든 전쟁 자체를 최대한 빨리 끝내는 것이 효율적인 동시에 인도적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고, 또한 정부와 상위 지휘부의 지휘 아래서 특정 전선만을 담당하는 전선 지휘관의 입장이라면 더 복잡한 판단은 상부에 맞기고 자신은 자기가 담당한 부대의 전술적 승리에 대해서만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런 핑계로 인도적 원칙을 무시하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지만, 상위 지휘부와 정부가 정상적인 판단이 가능한 상태라면 이는 분명히 자기 책임을 다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그리고 2차대전 당시의 미국 정부는 물론 사소한 실수나 문제는 종종 일으켰지만, 독일이나 일본등의 미쳐 날뛰던 국가 및 정부와는 달리 정상적인 상황이었다.

하지만 그의 행적에서 주된 비판을 받는 2차대전 이후 냉전기 및 베트남 전쟁기의 경우 일단 그의 입장 자체가 일개 전선 지휘관이 아닌 세계 최강대국 미국의 전략공군 사령관이나 공군참모총장이었다는 것이 문제였다. 자기 자신이 전략적으로 대국을 결정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 이상 일개 전선 지휘관과는 수준이 다른 전략적 판단력이 필요한데, 르메이의 강경한 태도는 전선 지휘관으로써 보여주던 태도와 크게 다를 것이 없었다는 것. 이는 고위 지휘관으로써는 심각한 문제와 한계였다고 봐야 한다. 물론, 당시 미국이 정상적인 문민통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고 대통령 케네디와 국방장관 맥나마라가 르메이의 호전적인 강경론을 통제할 수 있었다는 점이 이 문제에 대한 안전망이었기는 하다. 즉, 애초부터 르메이는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상황' 을 대비하여 발탁된 인물이고, 그를 발탁한 인물들에게는 그의 강경론을 통제할 자신이 있었으며, 실제로 통제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비상사태를 대비하여 비상사태에 편향된 극단성을 보이는 인물을 발탁한 인사 자체는 충분히 가능할 수 있다. 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국가의 군사문제에 대한 최종 결정권에 관여하는 인물 중 하나가 지나친 극단성을 보이는 것은 결코 좋은 현상이 아니다. 시스템적으로 그런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 인물 자체를 평가할 때에는 애초에 그런 문제가 없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르메이가 요직에서 활동한 시기는 전시가 아니라 평시였음도 생각할 필요가 있다. 르메이 자신의 발언에서도 어느 정도 그런 성향이 드러나지만, 사실 전쟁이란 '인류사상 최대의 악' 중 하나이고, 전시보다는 평시가 좋은 시대라는 것은 너무 당연해서 말할 가치도 없다. 그렇다면, 르메이의 호전성은 전시에는 '전쟁을 빨리 끝내고 전시를 평시로 되돌릴 수 있는' 덕목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평시에는? 다른 대안이 있다면, 당연히 전쟁을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고, 따라서 호전성이란 덕목보다는 악덕이 되기가 훨씬 쉽다. 그리고 이 시기 르메이가 호전론을 주장했던 많은 위기들을 미국은 전쟁이 아닌 다른 대안으로 해결했다. 즉, 르메이는 다른 대안이 있는 상태에서 전쟁을 주장하는 실수를 여러 번 저질렀다는 것.
이 점은 대단히 심각한 문제이다. 특히, 그가 전략공군사령관이나 공참총장으로 활약했던 냉전기가 본질적으로 '공포에 기반한 평화'의 시기였다는 점, 핵 전쟁이 일어나면 모두 다 죽는다는 공포가 서로를 극단적으로 적대하는 양 진영 사이에서 직접적인 충돌이 벌어지는 것을 아슬아슬하게 막고 있던 시대였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르메이는 툭하면 핵폭격을 주장한 것으로 악명높은데, 소련 정치인 중에서도 선제 핵공격을 주장한 이는 거의 없었다.[23] 애초에 서로에 대한 극단적 불신과 적개심이 팽배했던 이 시대에조차 '적들이 우리에게 핵공격을 가할 테니 이에 대해 보복할 핵무장을 갖추어야 한다' 고 주장하고 이를 위하여 상대의 선제 핵공격으로 자국의 지휘부가 붕괴될 경우 무인 시스템을 통해서라도 반드시 적을 파멸시킬 수단을 마련할지언정 '우리가 먼저 핵공격을 가하자' 고 주장하는 이들은 거의 없었던 것. 당장 우발적 핵전쟁 위기의 주요 사례들을 보더라도 대부분의 사례가 적국이 자국에게 선제 핵공격을 가했다고 착각하고 보복하려 한 사례였지, 선제 핵공격을 가하려 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는 점을 참고해 보자. 그런데 르메이는 이런 위험한 시대에 '선제 핵공격' 을 주장한 드문 인물 중 하나였던 것.

이런 르메이의 위험한 무모함은 쿠바 미사일 위기의 사례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물론 르메이 본인도 설마 인류의 파멸을 바라고 그런 극단론을 주장한 것은 아닐테고, 본인으로써는 선제 공격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생각했기에 주장한 것이겠지만... 해당 위기의 전개와 결과를 생각해 보면 르메이가 충분히 협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무모한 강경책을 주장했음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만에 하나 이런 르메이의 강경책이 받아들여졌다면? 케네디-흐루쇼프 행정부 및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미국과 소련의 핵전력에 대한 평가는, 양국 사이에 전면 핵전쟁이 경우 일단 미국이 승리할 수는 있으나 그 피해를 감당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중론이었다. 당시 소련의 핵전력이 미국에 비해 크게 열세였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런 핵전력으로도 최소한 미국의 대도시 몇 개 정도는 확실하게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도시가 네다섯개만 핵공격을 받더라도... 경제적 피해 따위는 논할 가치도 없고, 인명피해만 가볍게 천만 단위에 이를 것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자!

이런 강경책은 기본적으로 '소련이 미국과의 핵전력 격차를 좁혀오는 상황에서, 전면 핵전쟁을 피할 수 없다면 차라리 더 이상 격차가 좁혀지기 이전에 선제 핵공격을 통하여 핵전쟁에서 승리해 버리는 것이 그나마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라는 논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듯, 전면 핵전쟁은 피할 수 있었고, 만에 하나 핵전쟁이 발발했을시의 피해는 최소화하더라도 감당하기 지극히 어려운 것이었다.(르메이 자신도 85년 인터뷰의 내용을 보면 이 점을 결국 깨닳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 문제에서 커티스 르메이는 대책없는 극단주의 강경파라는 오명을 벗기 어렵다.

폭격에 나서기 전에 항상 조종사들과 승무원들에게 국가주의적 냄새 물씬 풍기는 설교를 하곤 했는데, 민간지역 폭격으로 PTSD를 앓게된 장병들이 극도의 자극을 받아 정신적으로 피폐해지곤 했다고 한다. 그래서 당시 육군 항공대의 군무이탈이 꽤나 많았다고 한다. 언론과 대중들은 그를 전쟁 대스타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의 밑에서 일했던 일선 장병들은 그를 좋게 평가하진 못했다고 한다.

정작 르메이의 '소련을 밟아 없애버리자'라는 사상은 소련이 제대로 핵무장도 하지 못하고 나치 독일에 의해 그나마 풍요로웠던 서부가 쑥대밭이 된데다 수천만이 희생당하고 독소전쟁 때문에 군사적 목적의 중공업에 치우쳐 경공업, 군수에서 엄청난 문제가 발생하고[24] 소련 점령지의 정리가 끝나지 않은 1945~1950년이 가장 적기였고 미국에게 유리했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굳이 르메이 장군을 변호해주자면 이런 강경파가 있어야만 협상력이 유리해지는 외교적 문제도 있다. # 굳이 상부에서 자기들과 성격이 전혀 반대인 강경파를 올려준건 이런 요소도 있을듯. 또한 르메이는 툴툴대긴 하지만 자기 생각과 맞지 않더라도 임무 수행은 잘 하는 편이다. 위의 일본 비행장 공습 건을 참고할 것.

6.2 폭격 만능주의

그 당시엔 전략폭격하면 르메이 장군을 떠올릴 정도로, 커티스 르메이 장군은 전략 폭격의 당대 최고 전문가였다. 또한 주변 국가 특히 일본의 방공망은 빠삭하게 알고 있던 그였기 때문에 폭격하면 르메이 장군을 따라올 자가 없었다. 하지만 전장의 양상이 바뀌면서 그의 폭격 만능론은 빛을 잃게 되었다.

미 공군은 그의 이론대로 베트남을 석기시대로 만들겠다고 주장하며(초기계획만 구상하고는 베트남 전쟁이 시작된 65년도에 이미 공군을 나왔다.) 엄청난 양의 폭탄을 베트남에 쏟아부었으나 그 효율성은 극악이었다. 무차별 융단폭격을 해도 사람 한 명 사살하기 어렵게 된 것이다. 베트남 전쟁을 기점으로 이미 폭격은 전략폭격, 융단폭격에서 전술폭격, 정밀타격으로 그 양상이 바뀌게 된 것이다.

또한 그는 핵 폭격기인 XB-70 설계를 진두지휘했으나 이 역시 유도 미사일 개발에 밀려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유도 미사일 개발 계획은 이후 크루즈 미사일이 되어 걸프전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이미 그의 폭격 이론은 정밀성과 가성비를 추구하는 현대전장에서 상당히 케케묵은 생각이 되고 말았던 것이다. 시대에 맞춰 새로운 병법이나 군사 기술을 단련하면 좋았을텐데 오직 폭격과 공군만 밀고 나가다 후반에 빛이 바랜 경우라고 할 수 있겠다.

6.3 실책

히스토리 채널 다큐멘터리에 나오는 내용이다. 냉전이 가장 극에 달해있던 50년대 후반에 소련의 비행장과 방공망의 상황이 너무나 궁금했던 르메이 장군은 도박을 감행한다. 수송기에 전자장비를 부착하고 소련 영공을 넘나들며 공중 정찰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는 이 작전을 대통령 모르게 진행할 것을 지시했고, 작전 이후 수십차례가 넘는 비행에 조종사들과 승무원들은 생사를 왔다갔다 했다. 결국 정찰용으로 개조한 C-130 한 대가 소련 영공에서 격추되어 공군 장병 십여명이 죽고마는 초대형 참사가 터진다.

우리나라로 치자면 대한민국 공군의 비싼 군용기 한대가 공군 지휘관 개인의 군사적 호기심을 충족할 목적(물론 군사적인 필요성도 있기는 했겠지만)으로 북한에 갔다가 격추되어 여러 사람들이 죽었다고 하면 된다. 그런데 대통령도 이 사실을 모르고, 합참의장도 이 사실을 모르고, 이 비행기를 보낸 사람이 누군지 아무도 모른다. 그런데 알고보니 언론에 이름을 날려본 어떤 유명한 공군 사령관이 상부 지시를 무시하고 정찰한다고 비행기 날려 사진찍고 다니다 비행기랑 장병들을 잃어버린 초대형 병크가 터졌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보면 병크지만 그 당시 분위기가 냉전이라 쉬쉬하는 분위기도 있었고, 사진도 쓸만한걸 많이 찍어왔기 때문에 유야무야 덮고 넘어갔다고 한다.

7 석기시대 마니아

We should bomb Vietnam back into the stone age.

"베트남을 폭격해서 석기시대로 돌려놔야 합니다."

석기시대 마니아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명언. 전체 원문은 다음과 같다.

"My solution to the problem would be to tell them frankly that they've got to draw in their horns and stop their aggression or we're going to bomb them into the Stone Age. And we would shove them back into the Stone Age with Air power or Naval power—not with ground forces."

"그 문제에 대한 나의 해결책을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그놈들에게 나팔따위 집어넣고 그만 공격적으로 나오든가 아예 폭격으로 석기시대로 되돌리겠다는 겁니다. 그리고 우린 그놈들을 우리의 지상군이 아닌 우리의 항공력과 해군력으로 석기시대로 몰아넣어 버리겠다 이겁니다."
(LeMay, C. E., Kantor, M., Mission With LeMay: My Story, 1965, p. 565.)

But who was it who'd go far beyond the enemy lines and attempt to destroy not only enemies in the field, not only supplies and fuel dumps and tank concentrations up near the front; but would go deep into the enemy's homeland, and thus try to eliminate his basic potential to wage war?

Bombers, nothing but bombers.
"최전선에 있는 적을 섬멸하는 것, 전선에 걸쳐 있는 물자 및 유류 보급선을 차단하는 것, 모여있는 전차 대열을 파괴하는 것을 넘어서, 과연 어떤 병기가 적의 본토 깊숙히 침투하여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자체를 꺾어버릴 수 있겠는가?
폭격기다. 오직 폭격기 뿐이다.[25]

제2차 세계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서 적을 "폭격기로 (적국을) 석기시대로 만들겠다"는 발언을 자주 하였다. 오죽하면 이런 패러디가 나돌정도...특히나 베트남전 당시에 많이 하였고 이 때가 가장 유명하다. 위의 부통령 후보 출마 때 베트남전을 어떻게 끝낼 것이냐는 질문을 받자 대답이 "베트남을 폭격으로 석기시대로 돌려놓겠습니다!!"였다.공약 이 석기시대 드립은 르메이 장군의 사후에도 이어져서 9.11 테러 이후 눈이 뒤집힌 미국이 파키스탄 대통령에게 영공 열라고 협박할 때 정말로 쓰이기도 했다(...).

또한 쿠바 미사일 위기에서 전면적인 선제 핵공격을 주장, 보다 강경하게 밀어붙이기를 원했고, 지구 전체를 석기 시대로 되돌리고 싶었던 것 같다.[26] 존슨 정부하에서도 베트남에 대해 전투기/전폭기/공격기에 의한 소규모 전술 폭격이 아닌, 대대적인 전략 폭격을 요구했다. 극단적으로 호전적인 성향의 주전론자로, 자신의 전쟁관을 요약해서 말하기를 "충분히 많이 죽이면 더 이상 못 덤빈다. 그게 전쟁에서 승리하는 방법."이라고.

본인은 전쟁 초장에 압도적인 무력을 행사하여 적의 전쟁 수행 능력을 꺾어버리면 결과적으로 전쟁이 일찍 끝나니 아군도 덜 죽고 적군과 적측 민간인도 덜 죽는다는 사고 방식으로 전쟁에 임한다고 여러차례 밝힌 바 있다. 결과적으로 자기 자신을 포함한 전쟁 수행원들이 죽음을 포함한 약간의 불행을 감수함으로써 모두의 불행이 덜해진다는 일종의 공리주의(...)적 사고를 통해 자신의 명령과 행동을 정당화하였다. 그러니까 석기시대에 직접 사는 것보다는 관광객의 입장에서 관람하는 것이 낫다는 입장이다. 재래식 전쟁의 끝판왕이었던 2차대전 때는 이런 사고방식이 너무나도 잘 먹혀들어서 그렇게 고속 승진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 르메이 장군만 그런게 아니라 남북전쟁 당시의 윌리엄 테쿰세 셔먼 장군이나 리처드 조던 개틀링 등 비슷한 주장을 했던 사람들이 있었고, 이들의 바램은 결국 '모두 다 죽을 수 있는' 핵무장의 등장으로 아무도 전쟁을 치룰 엄두를 못내는 상황이 도래함으로서 입증이 되긴 했다(...).

다만 르메이 장군의 전략은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이미 세계대전=핵전쟁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로 상황이 나빠진 이후이기 때문에 극단적인 매파의 전략은 인류 멸망을 불러올 수도 있는 관계로 결국 채택되지 못했다. 누구도 날 막을 수 없어. 카스트로건, 흐루쇼프건, 케네디건, 그 누구도! 쿠바 핵을 없앨 수 없다면 차라리 석기시대로 만들어 버릴테다!

죽을 때까지 자기 주장을 굽히지 않아서, 자신이 죽기 전까지 미국과 소련 사이에 제3차 세계대전이 벌어질 것이라고 예언하기도 하였다. 인류에게는 너무나도 다행스럽게도 냉전은 그가 1990년에 사망한 뒤인 1991년에 소련이 해체되면서 핵전쟁 없이 조용하게 종식되었다. 1989년에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것을 보면서 자신이 C-54 소환을 시전했던 기억이 떠올라 감회가 남달랐을 것이다. 사실 르메이 장군 같은 호전론자가 많았으면 정말 그랬을지도 모른다. 르메이 장군이 시의적절하게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볼 수 있다.

텍사스 주 상원의원인 테드 크루즈(Ted Cruz)는 2014년 8월경 한 집회에서 "ISIS가 현대를 버리고 과거로 되돌아가고 싶다고 한다면, 저희도 도와줄 의향이 있습니다. 폭격해서 석기시대로 되돌려줘야 합니다."("They want to go back and reject modernity. Well, I think we should help them. We ought to bomb them back to the Stone Age.")라고 발언하였다. 그리고 2016년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참여하면서 토론회에서도 ISIS에 융단 폭격(Carpet Bombing)(!)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역시 천조국 답게 타임머신을 자꾸 남용하려든다.

8 의외의 면모

위의 내용만 놓고 보면 좋게 말하면 과격파, 나쁘게는 무차별 폭격으로 사람이고 건물이고 모두 잿가루로 만들자는 소리나 질러대는 잔인한 전쟁광으로 보이고 또 그렇게 그려지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조용하고 과묵한 사람이었다고 한다. 아직 미국 본토에 있던 중령 시절 르메이를 처음 본 신병들이 아무 말 없이 가만히 지켜보기만 하는 모습에 오히려 더 겁을 먹었다거나, 목소리가 너무 조용해서(...) 가까이 귀를 기울여야 했고 곁의 부하들은 말을 듣느라 알아서 조용해졌다는 일화가 많다. 명령 역시 두 문장을 넘어가는 일이 없었고 문장 길이도 짧았다.석기…시대… 문서 맨 위의 인터뷰나 공군전략사령부 10주년 기념 연설 등 생전 동영상을 보면 달변가나 정열적인 연설가의 모습과는 거리가 매우 먼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말을 아낀 덕분에 일단 말이 나왔을 때는 그만큼 더 설득력이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무식해 보이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부하들의 정신 상태는 조지 S. 패튼 장군보다는 잘 챙겨줬다고 한다. 폭격기가 대공포에 격추당하는 것은 승무원의 기량과 전혀 상관 없이 순전히 운에 달려있음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27], 어차피 자기 자신을 포함해서 모두 평등하게 죽은 목숨이니까(...) 죽기 전에 임무는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사기 관리를 해준 것이다. 승무원을 모두 잃고 간신히 살아남은 폭격기 조종사가 승무원이 죽는 건 너무 무섭지만 비행기는 계속 몰고 싶다고 하자 썬더볼트역시 쑥밭 조종사로 보직 변경을 시켜줬다거나, 종교 차별을 하고 삥뜯는 장병을 직접 지상 부대로 쫓아냈다거나, 휘하 장병들이 영국 아가씨들과 사귀는 걸 눈감아준 등의 일화가 있다. 보직 변경을 시켜준 조종사의 예에서 보듯 부하들의 고충이나 공포에 대한 고백도 마다하지 않고 잘 들어주었다.

폭격기 조종사 : "이게 뭔 꼬라집니까. 23,000피트에서 폭격하라고 만들어준 새 폭격기를 5,000피트로 내려보낸 개새끼가 누굽니까? 그 새끼 때문에 윙맨[28]이 죽었단 말입니다!"("God damn it, I'd like to know who the son-of-a-bitch was that took this magnificent airplane, designed to bomb from 23,000 feet, and he took it down to 5,000 feet and I lost my wingman. He was shot and killed.")

르메이 : "우리가 왜 여기 있나? 여기 온 이유가 뭔가? 자네가 윙맨을 잃은것은 나 역시 슬프고 가슴아픈 일이야. 내가 내려보냈어. 나도 그곳에 있어봤어. 무슨 일을 겪었는지는 나도 잘 알아.[29] 하지만 자네가 윙맨 한명을 잃는 동안 우리는 도쿄를 파괴하지 않았나."("Why are we here? Why are we? You lost your wingman, and it hurts me as much as it does you. I sent him there. And I've been there. I know what it is. But you lost one wingman, and we destroyed Tokyo.")
-도쿄 대공습 이후, 로버트 맥나마라의 회상, CNN 인터뷰에서.

결정적으로, 폭격 임무가 끝난 후 디브리프를 할 때는 조종사를 비롯한 승무원들이 자신에게 개새끼라고 욕을 하고 작전 과정에서 벌어진 오류를 비판하는 것을 오히려 권장했다고 한다. 그렇게 욕하면서 하는 비판이야말로 장병들의 입장에서 작전을 진솔하게 바라볼 수 있는 귀중한 간접 경험이라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전쟁이 끝난 후 전략공군사령관이었을 때도 휘하 장교들이 민간 항공사로 이직하면 일할 사람이 없다[30]는 이유를 들어 비슷하게 장병과 군무원 복지에 신경을 많이 써줬다. 이 복지 정책중에서 르메이가 가장 자랑스러워한 것은 스트레스 해소 및 취미 생활 목적으로 쓰도록 기지마다 설치한 공용 작업장이었다고 한다. 본인도 HAM 라디오와 자동차 조립이 취미여서, 장병들과 같이 자동차 조립도 했다. 르메이는 폭격기를 타면서 HAM 라디오를 할 정도였다. 이 과정에서 SSB 방식 무전기를 손수 테스트하여 기존에 B-52에 탑재되던 AM 방식 무전기를 대체하기도 하였다. 르메이의 콜사인은 KØGRL과 W6EZV였다. 그 외에도 50년대 당시에 차별받던 흑인도 백인과 똑같이 훈련을 받으면 똑같이 잘할 수 있다. 안그래도 사람이 모자라는데 일하겠다는 사람을 차버릴 이유는 없다고 역설하면서 흑인 조종사/기술자의 육성 및 현장에서의 인종간 통합을 적극 추진하기도 했다.

400px
HAM 라디오에 열중하고 있는 소년과 함께 찍은 사진.

위에서 북베트남이 항복하지 않으면 석기시대로 되돌아가도록 폭격하겠다는 말은 원래 자신의 전속부관이자 전기 작가였던 칸토어(MacKinlay Kantor)가 약간 과장을 섞어서 넣은 문장이었고, 본인은 그저 미 공군이 그럴 능력이 있다는 취지로만 말했다고 이후 인터뷰에서 직접 부인하기도 했다. 하지만 칸토어가 르메이 장군에게 원고를 주고 최종 확인을 해달라고 했을 때 본인이 귀찮아서 대충대충 읽다가(...) 이 부분을 놓친 것이라 할 말은 없다. 60년대 후반에는 포기하면 편해 대세를 되돌릴 수 없음을 체감하고 자기 변호를 그만두었다. 씁 어쩔 수 없지 오늘날에도 영화나 이런저런 대중매체(밀리터리 장르가 아니어도 심심찮게 나온다!)에서 bomb back into(또는 to) the Stone Age 같은 표현은 거의 관용어구 수준으로 자리잡았다.


211px
믿기 힘들겠지만 그 역시 딸바보였다. 부인이 유산을 수차례 겪다가 겨우 낳은 딸이어서 비행장 구경을 시켜주거나 몸개그(...)까지 부리는 등 매우 각별하게 여겼다고 한다. 르메이 장군의 외동딸 제이니는 2015년 현재도 살아있는데, 워렌 코작이 저술한 아버지의 평전(LeMay: The Life and Wars of General Curtis LeMay)을 읽고 아마존닷컴에다 서평을 남기기도 했다.# 부인과의 금슬도 매우 좋아서, 무뚝뚝한 게 지나쳐 웃거나 스트레스를 풀 줄 모르는 르메이 장군이 그나마 사람답게 즐거움이란 걸 영위할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부인의 덕이었다고 한다.

어떻게 보면 전형적인 고전 영웅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매사에 상과 벌이 엄격하고, 적에게는 무섭도록 잔혹하지만 자기 편에게는 끝없이 자애롭고... 삼국지 장수 중 하나로 태어났어도 이상할 게 없을 수준.

9 대중문화에서

생전에 워낙 강경한 모습을 보여온 탓에 여러 영화에서 전쟁광의 모습으로 패러디 되기도 했다. 예컨대 스탠리 큐브릭의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에서 터짓슨 장군은 르메이 장군의 패러디다. 1983년작 영화 워게임에서는 NORAD 사령관인 미 공군대장 베린저 장군의 행동거지나 생김새가 워낙에 석기시대스러워서 이 영화 처음 보는 밀덕을 뿜게 만든다(...).

post-5143-0-26972800-1411974537.jpg
쿠바 미사일 위기를 다룬 2001년작 영화 <D-13>에서도 주요 배역으로 등장한다. 위 사진의 왼쪽이 극중 모습이다.

스티븐 킹타임슬립 대체역사물 11/22/63에서는 케네디 암살 미수 사건(…)이 끝난 후 월러스 행정부의 당시 부통령으로 하노이 핵폭격을 직접 지시한다. 부통령 주제에(?) 그런 명령을 내릴 수 있던 게 더 대단해보인다? 결국 하노이가 한줌의 먼지로 사라지는 비극이 벌어진다.

영화 The Rock에서는 전직 해병대 테러범 중 하나가 독가스 로켓을 이용한 인질극이 뜻대로 되지 않자 "놈들이 여길 석기시대로 되돌려버릴 거야.(They're going to bomb our ass back to the Stone Age.)"라고 하기도 한다. 일부러 맞춘 것은 아니었겠지만, 영화 막판에 마지막 남은 독가스 로켓을 처리한 것 역시 네이팜탄[31]이었다. 근데 그거 공군이 아니라 해군이 떨어뜨렸다.

일본 가공전기 만화 몽환의 전함 야마토에서는 주적으로 등장. 도쿄 대공습 직전 일본 어린아이 흉내를 내며 부하들의 심금을 울렸다가 바로 일본을 석기시대로 만들 도쿄 대공습을 밀어붙인다. 현대에서 타임슬립한 주인공 쿠루스도 이 분은 막을 방법이 없어서 일본은 개박살이 난다.
나무위키에서는 석기시대가 연상되거나 도시 등이 개발살난 경우에 이 분을 빌어 표현하는 불문율이 있다.
  1. "축하하네, 이번 일로 자네들이 무엇이든지 해낼 용기가 있다는 걸 알게 됐어."
  2. 상호확증파괴가 보편화된 현대에는 미친 소리로 들리겠지만, 사람을 죽이러 휘하 장병들에게 죽으러 가라고 명령하는 자리에 앉은 입장에서 느끼는 책임감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그의 말은 이렇게 하나하나가 돌직구였다고 한다.
  3. 피그만 침공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일 것이다.
  4. 우연인지 그의 선배 격인 쑥 전문 재배업자 윌리엄 테쿰세 셔먼도 오하이오 출신이다. 그리고 미국은 이들의 업적을 기려 미 해군 궁극의 파괴병기 삼지창을 탑재한 SSBN 최신형의 이름을 오하이오급이라 짓는다 카더라
  5. 그러나 커티스 르메이는 단순한 생각없이 호전적이기만 한 전쟁광과는 거리가 좀 있다. 즉 이성과 논리는 나름대로 갖추고 있으며 적시에 무력을 잘 활용한 전쟁광이라 할 수 있겠다.
  6. 굳어버린 오른쪽 얼굴을 가리려고 시가나 파이프 담배를 물어서 붙었다. 아래 타임지 표지와 같은 이미지로 굳어졌다. 위의 시거를 물고 있는 사진 역시 마찬가지.
  7. Kozak, W., LeMay: The Life and Wars of General Curtis LeMay, 2009
  8. 타임지의 표지로까지 나왔다는건 그만큼 2차 세계대전에서 도쿄 대공습의 위상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9. 이 부분이 중요하다. 이후 르메이 장군이 주관한 작전은 전부 수치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한 계산된 행위였다. 이 때 르메이의 부하 장교였던 맥나마라의 회상에 의하면, 이 계산의 목적은 작전의 최적화를 통해 단위 아군 피해당 단위 적 목표 파괴량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것이었다.
  10. 이런 계산에는 아군 피해가 어떻게든 발생할 것이라는 전제조건이 깔리는데, 아군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목적으로 여러번 작전을 나눠서 수행하는 것보다 아군 피해를 감수하고서라도 단 한번의 작전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쪽이 장기적으로 아군의 피해를 줄인다는 것이 르메이 중령의 지론이었다.
  11. 이는 불완전한 정보에 바탕한 분석이라 독일군 측이 분석한 3,000발당 1대보다 과대 평가된 수치이지만, 대략적인 피해를 숫자로 말해주는 것 자체로 어느정도 설득력을 얻을 수 있었다.
  12. 아래의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르메이의 상관이었다. 이 아이러니는 그가 나중에 찍은 회고록 형식의 다큐멘터리 <포그 오브 워>에서도 잠깐 언급된다.
  13. 이 때는 부조종사로 탑승했다. 조종사로 탑승해보니 조종에만 신경쓰느라 폭격기 대형을 조율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14. 직속 상관인 헨리 아놀드 장군이 미친 짓이라고 당연히 반대했지만, 르메이 장군의 부탁(?!)에 딱 한번만 허용해주었다.
  15. 이것은 육군 항공대가 독자적으로 한 것이 아닌 해군 측의 요청이 들어와서 한 것이다. 당연히 르메이 장군은 이런 거 할 시간 있으면 도시에 대한 폭격이나 더 해야 한다고 툴툴댔다. 구레 군항 공습 문서를 참고.
  16. 물론 70년이 지난 지금은 완전복구되었다.
  17.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1946, p. 73
  18.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1946, p.90~92
  19. 이때 소련 방공포병들이 수송기를 건드렸으면 석기시대 마니아답게 동독과 소련을 쑥밭으로 만들 계획이였다.
  20. 유달리 대형기체를 많이 쓰는 미 공군은 미 해군과 달리 빠른 시간에 한 기체를 몰빵으로 급유할 수 있는 붐 방식의 급유기를 쓰는데 이것이 르메이 장군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편대 단위로 여러대가 급유를 받아야 하는 전투기들에게는 짜증날법도 하지만 르메이 장군의 목적은 크고 아름다운 전략폭격기 급유의 신속화였기에 전투기들의 투정 따위는 씹혔다(...). 그래도 전투기들 입장에서도 붐 방식 급유가 살떨리는 조종이 필요한 프로브 방식 급유(해군이 쓰는 방식)보다 편하긴 하다고.
  21. 때문에 라이센스가 콜트사로 넘어간다...
  22. 물론 보수적인 미군 장성들은 계속 M14를 고집했지만 맥나마라가 밀어붙여서 제식 채용이 되었다. 사사건건 싸워댔던 르메이 장군과 맥나마라의 의견이 일치한 몇 안되는 안건이었다. 그리고 맥나마라는 위의 8만정 주문이 무산된 후 M16이 모자라서 현기증을 일으키는 르메이 장군을 달래기 위해 2만정을 공군에 제공하게 된다.
  23. 오히려 태반이 독소전쟁 경험자들이자, 당관료 출신들로 구성된 소련 지도부는 냉전 시대 내내 중요한 고비마다 핵전쟁을 회피하기 위하여 애썼다.
  24. 군수와 경공업 미비 문제는 매우 고질적이고 끈질기게 소련군을 괴롭혀서 소련 해체까지 소련군은 결코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25. 르메이 장군 본인은 전투기 조종사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폭격 훈련을 받아본 뒤 폭격이란 개념에 완전히 뿅 갔다 당시 프롭 전투기가 지니는 근본적인 역할의 한계를 실감하고 폭격기의 중요성을 일찌감치 깨달았다. 거기에 그에게는 너무나 다행스럽게도, 이 당시 미군이 발주한 폭격기가 바로 B-17이었다.
  26. 이 때 존 케네디 대통령의 온건책을 뮌헨 협정과 빗대어 비판하기도 했다. 문제는, 뮌헨 협정은 케네디 본인의 역린이기도 했다는 것. 케네디의 아버지인 조셉 케네디는 뮌헨 협정 당시 영국 주재 대사로 활동하면서 독일에 대한 유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었다.
  27. 대공포의 반응 속도를 예상하고 체계적으로 회피 기동을 할 경우 예측 사격은 저지할 수 있지만, 적이 예측 사격을 포기하고 아예 탄막을 뿌려버릴 경우 완벽한 회피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은 1944년쯤 되면 이미 파악이 된 상태였다.
  28. 편대를 구성하는 호위기의 조종사
  29. 위에서 언급된대로 르메이 장군은 유럽 전선에서 선두 기체의 폭격기 조종사와 부조종사를 몸소 맡은 바 있다.
  30. 중장이었을 때 받는 월급이 당시 민간 조종사의 월급과 똑같았다. 나머지 부하 장교들은 말할 것도 없었다. 사실 이 것은 현재 대한민국 공군에도 비슷하게 적용되는 문제이다. 전투기 조종사들은 소령만 달아도 월급, 진급 문제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전역을 택하고 민간 항공사로 빠진다. 그나마 조종병과면 별 달기가 수월하긴 하지만 단지 타 병과에 비해 쉽다는 정도다. 달지 못달지 보장없는 장군을 노리고 공군에 남기보담은 보다 분위기도 자유롭고 급여도 많은 민항사가 더 선호된다.
  31. 정확히는 테르밋 플라즈마(Thermite Plasma)라는 폭발물이다. 사유는 영화 초반에도 나오지만 험멜 장군 일파가 해군 탄약창에서 훔친 VX가스를 네이팜이 태울 온도가 되지 못한다는 이유로 이걸 사용한 것이다. 테르밋이라는 물질은 실존한다. 문서 참조. 다만 테르밋 플라즈마라는 폭발물 조합은 불확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