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당/캐릭터/평화형

< 악당‎ | 캐릭터

1 개요

악당/캐릭터의 유형. 비록 악한 짓을 했지만 그 목적은 사실 평화나 세상의 질서를 위해서였다는 전제가 깔린다. 보통 이런 악당들은 자신들의 행동에 과도한 정당성을 부여한 나머지 고통받는 자들의 심정은 무시해버린다. 자기가 생각한 평화가 제대로 된 평화가 아닐 경우도 많다. 말이 평화나 질서지, 그 과정이 극단적이고 폭력적이어서 오히려 평화를 파괴하는 경우도 많다. 이들은 대부분 항상 자신들의 행동을 정의라 주장하고 있다. 즉, 스스로를 악당이라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는 피해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평화를 명목으로 내세운 침략자와 다를 게 없는 악당 유형이다. 이쪽 유형 대다수는 위선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또 일부는 안티 히어로에 해당하고, 일부는 안티 빌런[1] 내지는 의도는 좋았다에 해당할 수도 있다.

2 목록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 작품명 - 캐릭터 : 가나다순으로 작성.
  • 개과천선하여 선역이 되어서 악당을 그만 둔 경우는 @ 표시.
  • 이 속성의 주인공은 ♤ 표시, 악인형 주인공 목록도 참고.

3 관련 목록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악당/캐릭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안티 히어로의 반대 개념, 결과적인 악당.
  2. 애매하다. 악당이라고 하기에는 좀 그렇지만, 어그로도 다른 학생들에 비해 심하게 끌기도 하고 거칠고 공격적인 독설을 많이 했어도 악당이라고 보기에는 애로사항이 꽃힌다. 즉. 적인지 아군인지 구별이 안간다. 후반부에서 모노쿠마에게 토가미 재벌이 박살난 이후로 나아졌지만은...
  3. 그의 목표가 무술 대회에서의 우승으로 어머니를 기쁘게 해드리는 것이었다.
  4. 그의 목표 중에 신선들만을 구원하려는 의도가 있다.
  5. 전투광은 오딘, 타락은 오시리스 한정.
  6. 자신의 인종차별적 성향과 막장 행각이 전부 뮤턴트 탓이라고 믿으며, 그들을 멸종시키는 것이 진정으로 세상을 정화시키는 것이라는 사명감까지 느끼고 있다. 유색 인종과 뮤턴트들이 고통받는 걸 당연히 여기고 나아가서는 자신의 인생에 대한 푸념들도 전부 그들의 탓으로 돌려서 가해자 주제에 모든 책임을 피해자들에게 전가하는 인간 쓰레기다. 그러면서도 자신이 엄청 숭고한 일을 하는 거라고 진심으로 믿고 있다.
  7. 왜 그런지는 이 항목 참고. 다만, 검은 마법사 세력의 조작이었을 가능성도 높다.
  8. 애니판 한정으로 나온 악당.
  9. 복수, 탐욕은 캐롤라이나 데이비스 한정. 그 이유는 자신이 아크튜러스 멩스크의 최측근이었기 때문에 황제의 자리에 올라야 한다는 것, 자신의 상관인 아크튜러스 멩스크를 죽게 만들었다고 생각되는 발레리안 멩스크에 대한 원한 때문이다.
  10. 세계의 안정과 질서를 유지하려는 집단이지만, 자신들의 선민사상에만 부합한다면 지구 멸망도 불사하는데다, 작중에서 주로 주인공 측을 맡는 암살단에 대한 주인공 보정으로 심히 부정적인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주인공 보정을 배제하고 냉철하게 보자면 엄연히 암살단도 여기에 해당.
  11. 목적이 화성 이주 계획이다.
  12. 애니판에서 그렇게 이야기한 바 있다. 침략자형에도 해당된다.
  13. 애니판 한정으로 @.
  14. 위대한 업적을 세운 위인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독선을 '정의'라고 믿고 그를 위해선 어떤 과격한 수단도 불사하는 면모를 보여준다.
  15. 참고로 이들의 주 목적은 인류의 재정의 참고로 이들의 수장인 파더도 본래는 세계를 구원할 목적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16. 야가미 라이토, 자마스와 약간 비슷한 경우.
  17.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쓴 사극. 당연하지만 영국인인 작가가 자국의 입장에서 썼기 때문에, 잔 다르크가 왜곡된 모습으로 나왔다.
  18. 해석에 따라서.
  19. 주인공들을 탈을 쓰지 않은 애니매트로닉으로 보고 탈을 씌우려 하는데, 주인공들 입장에선 머리가 터져 죽는 거지만 자기네들 입장에선 그저 수리하는 것이니 나쁜 의도도 아니고 질서 유지에 부합하니 평화형이 맞다. 다만 3편의 스프링트랩은 주인공을 고치려고 접근하는 건 아닌 듯하다. 특히 4편의 애니매트로닉스는 평화적이 아닌 악의적으로 주인공을 노릴 가능성이 크다.
  20. 지능형과 겹친다. 사실 카운터펠트는 우주를 부숴서 엔딩을 봐 공허와 슬픔을 없애고자 했다.
  21. 이 쪽은 사실 아들의 죽음이 원인으로 크게 작용한 것도 있다.
  22. 인류제국에 의해 유린당하고 있는 군소 외계인 집단의 입장에서 보면 침략자에 해당되지만 인류의 관점에서 보면 신민들을 억압한 것이 제노스와 카오스 세력으로부터 나름대로 보호하려고 한 것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평화형 악당에 해당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