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교

1 철도가 지나는 교량

1.1 개요

img_20140610094948_1267262e.jpg
임진강철교. 출처 까치

53ea5a3a52f91acf5e15a407263900dc.jpg
중앙선 금교 - 치악구간에 위치한 길아천철교. 백척교(높이가 100척)라고도 불렸으며, 현재는 안전상의 이유로 이설된 구간. 사진 왼쪽 아래의 교각이 구 길아천철교의 교각이다. 참고로 사진 속 열차가 철교를 통과한 직후 똬리굴에 진입하게 되는 구간이다.

Railway Bridge. 철도가 지나고, 그곳에 열차가 다니는 교량이다보니 원래는 철도교가 맞는 말인데 이것을 철교(鐵橋)라고 줄여쓴다.

1.2 종류

download?fid=64222288b83fe31191dd22b088f53742&name=DSC_0241.jpg
무도상 철교에서나 볼수 있는 레일형태의 구조물. 염상구와 땅벌치킨 게임하던 그곳이라 카더라

  • 무도상 철교 : 교량 위에 어떠한 도상이 없고 나무침목을 교량 위에 올리고 그곳에 레일을 놓은 형태의 철교이다. 이런 철교를 보면 기본적으로 레일 가운데에 다른 레일형태로 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어떤 무도상 철교는 이동통로가 설치된 곳도 있는데, 이것은 철도보수자나 열차가 고장나거나 사고났을때 승객들이 대피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기술이 부족한 과거에는 이런 형태의 철교를 많이 지었는데, 단적인 예로 요 짤방에 나오는 다리는 1930년(!!)에 지어진 서부경전선 벌교천 철교로, 85년째 써먹고 있다.[1] 요즘은 이런 철교를 건설하지 않는다. 나무침목밖에 쓰지못해서(콘크리트 침목을 올리면 무게를 견디지 못한다) 유지관리에 신경쓸일이 많아지고 위와같이 안전문제도 존재하며 소음이 심하기때문이다. 소음이 심한이유는 레일에서 발생한 진동이 그대로 침목을 타고 교량으로 이어지며 퍼지기때문이다. 또 장대형레일을 설치할수없어서 덜컹거림이 심하게발생하게되므로 소음문제는 더 커진다. 경부선 원동역인근의 무도상철교를 새로짓는 이유가 소음과 교각이 촘촘하여 수류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때문인걸보면... 가장 최근에 지어진 무도상철교는 1980년대에 지어진 것이 전부인데, 트러스 형태로 된 철교 중에서 트러스 구간쪽에만 무도상으로 되어있다. 동작대교, 동호대교의 철교구간(각각 서울 지하철 4호선3호선)과 충주댐 건설로 80년대에 이설된 중앙선 단양구간 중에서 트러스 형태로 지어진 철교에만 무도상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상진철교 같은 철교가 그렇다.
  • 도상 철교 : 최근에 지어진 철교는 상단의 열차가 지나가는 사진과 같이 되어 있는데 최근에 건설되거나 개량된 철도는 보통 저렇게 교량상판에 자갈이나 콘크리트도상을 올리고 그 위에 침목과 레일을 올리는 구조로 지어진다. 쉽게 생각하자면 보통 도로용교량을 만들듯이 짓는다고 보면된다.

1.3 목록

1.3.1 수도권

서울 지하철 5호선분당선은 한강을 넘으나 하저터널로 통과하기 때문에 교량을 통과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은 각각 강북, 강남에서만 운행하며 지상 구간에서 하천을 건너지 않으므로 이 역시 교량을 통과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8호선의 경우에도 현재는 그러하나 별내선 연장이 되면 통과 교량이 생길 예정이다.[2]이 문단의 철교들 중 특별히 횡단하는 하천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한강을 횡단하는 교량이다.

1.3.2 강원도

1.3.3 충청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관내의 모든 하천을 하저터널로 통과하므로 교량을 지나지 않는다.

1.3.4 경상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온천천 위를 지나는 동래역~구서역 구간은 고가로 통과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양산천을 철교로 횡단하나 이름이 불분명하다. 추가바람. 부산 도시철도 4호선석대역 이후로 종점인 안평역까지 전 구간이 고가로 통과하므로 서술하지 않는다.

1.3.5 전라도

2 철로 만든 교량

Iron Bridge.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
  1. 다시 지은 적이 있었다고 쳐도, 서부경전선의 특성상 그마저도 최소 30년 이상 되었을 거다.
  2. 하저터널로 건설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