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교량
1 철도가 지나는 교량
1.1 개요
중앙선 금교 - 치악구간에 위치한 길아천철교. 백척교(높이가 100척)라고도 불렸으며, 현재는 안전상의 이유로 이설된 구간. 사진 왼쪽 아래의 교각이 구 길아천철교의 교각이다. 참고로 사진 속 열차가 철교를 통과한 직후 똬리굴에 진입하게 되는 구간이다.
Railway Bridge. 철도가 지나고, 그곳에 열차가 다니는 교량이다보니 원래는 철도교가 맞는 말인데 이것을 철교(鐵橋)라고 줄여쓴다.
1.2 종류
무도상 철교에서나 볼수 있는 레일형태의 구조물. 염상구와 땅벌이 치킨 게임하던 그곳이라 카더라
- 무도상 철교 : 교량 위에 어떠한 도상이 없고 나무침목을 교량 위에 올리고 그곳에 레일을 놓은 형태의 철교이다. 이런 철교를 보면 기본적으로 레일 가운데에 다른 레일형태로 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어떤 무도상 철교는 이동통로가 설치된 곳도 있는데, 이것은 철도보수자나 열차가 고장나거나 사고났을때 승객들이 대피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기술이 부족한 과거에는 이런 형태의 철교를 많이 지었는데, 단적인 예로 요 짤방에 나오는 다리는 1930년(!!)에 지어진 서부경전선 벌교천 철교로, 85년째 써먹고 있다.[1] 요즘은 이런 철교를 건설하지 않는다. 나무침목밖에 쓰지못해서(콘크리트 침목을 올리면 무게를 견디지 못한다) 유지관리에 신경쓸일이 많아지고 위와같이 안전문제도 존재하며 소음이 심하기때문이다. 소음이 심한이유는 레일에서 발생한 진동이 그대로 침목을 타고 교량으로 이어지며 퍼지기때문이다. 또 장대형레일을 설치할수없어서 덜컹거림이 심하게발생하게되므로 소음문제는 더 커진다. 경부선 원동역인근의 무도상철교를 새로짓는 이유가 소음과 교각이 촘촘하여 수류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때문인걸보면... 가장 최근에 지어진 무도상철교는 1980년대에 지어진 것이 전부인데, 트러스 형태로 된 철교 중에서 트러스 구간쪽에만 무도상으로 되어있다. 동작대교, 동호대교의 철교구간(각각 서울 지하철 4호선과 3호선)과 충주댐 건설로 80년대에 이설된 중앙선 단양구간 중에서 트러스 형태로 지어진 철교에만 무도상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상진철교 같은 철교가 그렇다.
- 도상 철교 : 최근에 지어진 철교는 상단의 열차가 지나가는 사진과 같이 되어 있는데 최근에 건설되거나 개량된 철도는 보통 저렇게 교량상판에 자갈이나 콘크리트도상을 올리고 그 위에 침목과 레일을 올리는 구조로 지어진다. 쉽게 생각하자면 보통 도로용교량을 만들듯이 짓는다고 보면된다.
1.3 목록
1.3.1 수도권
서울 지하철 5호선과 분당선은 한강을 넘으나 하저터널로 통과하기 때문에 교량을 통과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은 각각 강북, 강남에서만 운행하며 지상 구간에서 하천을 건너지 않으므로 이 역시 교량을 통과하지 않는다. 서울 지하철 8호선의 경우에도 현재는 그러하나 별내선 연장이 되면 통과 교량이 생길 예정이다.[2]이 문단의 철교들 중 특별히 횡단하는 하천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한강을 횡단하는 교량이다.
- 경부선, 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유
- 한강철교 : 용산역~노량진역 구간을 잇는다. A, B, C, D선으로 이루어진 대한민국 철교의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다리이며 이 중 A, B, C선은 놀랍게도 근대문화유산이다. 한국의 근대화 역사를 잘 보여주는 구조물이라는 점에서 근대문화유산 지정은 타당한 면이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을 참조.
- 안양천철교 : 경인선 구일역 하부에 위치해 있으며 안양천을 횡단하는 철교이다. 아무래도 경인선이 먼저 개통하였기 때문에 철교란 명칭은 경인선이 사용하게된듯 하다. 구일역 문서 참조.
- 안양천교 : 경부선 관악역~안양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현재 철도 철교 교체(!!!) 작업 중이다. 이유는 소음이 너무 심각하다는거다. 공사 전에 이구간을 지나봤다면 알겠지만 한강철교의 몇배로 시끄럽다.
- 한탄강철교 : 초성리역~한탄강역 사이에 있다. 말 그대로 한탄강을 횡단하는 교량이다. 경원선에서 가장 풍경이 좋은 곳으로도 손꼽히나 2019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천역까지 연장되고 직선화되면 한탄강역이 폐역되며 함께 사라질 예정이다.
- 서울 지하철 2호선 경유
- 수도권 전철 3호선 경유
- 수도권 전철 4호선 경유
- 서울 지하철 7호선 경유
- 경의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유
- 신답철교 : 왕십리역~청량리역 사이에 있다. 청계천을 횡단하는 교량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을 참조.
- 왕숙철교 : 구리역~도농역 사이에 있다. 왕숙천을 횡단하는 교량이다.
- 임진강철교 : 임진강역~도라산역 사이에 있다. 임진강을 횡단하는 교량의로 임진각에서 그 모습을 정확하게 볼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을 참조.
- 양수철교 : 운길산역~양수역 사이에 있다. 북한강을 횡단한다. 바로 옆에는 중앙선 복선전철화 이전에 사용되는 구 양수철교가 있으며 이는 4대강 자전거길의 북한강 구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을 참조.
-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유
- 수도권 전철 수인선 경유
-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유
1.3.2 강원도
-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유
- 중앙선 경유
- 태백선 경유
1.3.3 충청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관내의 모든 하천을 하저터널로 통과하므로 교량을 지나지 않는다.
1.3.4 경상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온천천 위를 지나는 동래역~구서역 구간은 고가로 통과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양산천을 철교로 횡단하나 이름이 불분명하다. 추가바람.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석대역 이후로 종점인 안평역까지 전 구간이 고가로 통과하므로 서술하지 않는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경유
- 부산김해경전철 경유
- 경부선 경유
- 경전선 경유
- 동해남부선 경유
1.3.5 전라도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경유
- 장항선 경유
2 철로 만든 교량
Iron Bridge.
자세한 내용은 추가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