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특수한 어미
1 개요
특수한 어미를 사용하는 캐릭터들을 등장 작품 가나다순으로 정리한 문서.
2 ㄱ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케로로 - 인 것입니다.(~であります)
- 골판지 전기 시리즈
- 오타크로스 - ~데요
3 ㄴ~ㄹ
-
디아블로 3-
뒤틀린 어미-
-
4 ㅁ~ㅂ
- 마기
- 아부마드 사르쟈 - ~데시(~でし)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모모에 나기사 - ~인 거에요(~なのです)
- 별나라 요정 코미
- 라바보(핑코) - 보(한국판 : 핑)
- 라바푱(핑퐁) - 푱(한국판 : 퐁)
5 ㅅ
-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 츠루야 - (뇨로にょろ/뇨롱)
- 쓰르라미 울 적에
- 후루데 리카, 하뉴(쓰르라미 울 적에) - ~나노데스(なのです)[21]
- 신비한 별의 쌍둥이 공주 시리즈
-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시리즈
6 ㅇ
- 아마기 브릴리언트 파크
- 모든 요정들 - 나오는 모든 요정들이 서로 다른 자신의 어미로 말을 끝낸다.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 시라이 쿠로코 - ~데스노
- 언리쉬드
- 쥬블레느 - 에요!
- 엘소드
- 퐁고족 - ~퐁
- 이나즈마 일레븐 시리즈
- 인류는 쇠퇴했습니다
- 요정(인류는 쇠퇴했습니다) - ~데스(です)[42]
- 인조곤충 카부토보그 VXV
- 곤잘레스 - 오레
- 더 머미 - 타이
- 무스타파 - 알라딘
- 아마라와 공국
- 와그레르 베레이라 카를로스 9세 - ~다 왕(だオー)
- 게리 장군 - ~다 게리(だケリー)
- 안죨라스 - ~다 라스(だラス)
- 원코인 보그 회사의 사장 - 나는 어찌되든 좋지만(俺はどっちでもいいけど)
- 쟈일 죠니 - 쟈네이로
- 중화 3형제 - 말끝마다 중화요리명을 붙인다탕수육. 이해하기 쉽죠팔보채. 여담으로 제일 많이 쓰인 어미는 호이꿔로우
- 일상 - 박사 - ~일지도
7 ㅈ~ㅊ
- 젤다의 전설 시리즈
- 고론족성인 - ~고론
- 고론족아이 - ~코론
- 조라족 - ~조라
- 지구방위 연구소
- 래빗밤 - ~용
- 지구용사 벡터맨
- 삐리삐리뽀 - 삐리삐리뽀
- 천재 바카본
- 바카본의 아빠 - ~것이다(なのだ)
- 천외마경 풍운 카부키전
- 푸시 후지야마 - ~옵나이다(でごんす)
8 ㅋ~ㅎ
- 켠김에 왕까지의 자막드립.
- 프리큐어 시리즈
- 두 사람은 프리큐어 시리즈
- 멧플 - 메포(한국판 : 뽀이)
- 밋플 - 미포(한국판 : 뽀이)
- 포룬 - 포포
- 루룬 - 루루(한국판 : 루룬)
- 집사 자켄나 A&집사 자켄나 B - 켄나(한국판 : 빌라)
- 두 사람은 프리큐어 Splash Star
- Yes! 프리큐어 5 시리즈
- 하트 캐치 프리큐어!
- 스위트 프리큐어♪
- 스마일 프리큐어!
- 심쿵! 프리큐어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 마법사 프리큐어
- 모후룬 - ~모후
- 두 사람은 프리큐어 시리즈
- 프리티 리듬 시리즈
- 프리티 리듬 레인보우 라이브 - 모리조노 와카나 - ~냐(한국판 : 냥)
- 해리포터 시리즈
- 플뢰르 델라쿠르 - 지역적 특성으로 프랑스어 발음이 섞인 서툰 영어 발음을 구사한다. 그래서 한글 번역본에서도 이 설정을 반영해서 표준어에 맞지 않는 'ㅇ' 받침이 들어간 어색한 말투로 번역되었다. - ex) "이 친구능 경쟁 상대가 안돼용!", "분명히 어떵 사람이 오그와트에게 사과를 두 번 베어먹을 수 있능 기회를 주고 싶었덩 거예용!" (해리포터와 불의 잔에서)
9 그 외
- ↑ 거칠게 생긴 남자애가 '뿅'이라고 하는게 상당히 안어울린다고 생각하는지 대부분 '뵹'으로 번역한다.
- ↑ 괴물군이 일본내에서 영향이 강했던 작품인지라, 위의 깐깐한 중년여성 이미지에 더해져서, 이후 사용되는 작품들에서는 지적인 캐릭터성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 ↑ 위의 드라큘라와 함께 러키☆스타에서 패러디 된다.
- ↑ 또 워낙 일본내에서 괴물군이 영향이 강했던 작품인지라, 이후 작품들에서 강스 라는 어미를 사용하는 경우는 보통 근육돌진바보 계열 캐릭터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 ↑ 로컬라이징으로 살리기 어려운 말투라서 번역시엔 거의 평범한 말투로 바뀐다.
- ↑ 본인은 안 쓰려고 하나 흥분하면 튀어나온다.
- ↑ 토호쿠벤의 일종
- ↑ 말버릇을 직접 설정해 줄 수도 있다.
- ↑ 사투리가 아닌 특정 어미를 강조한 캐릭터의 선구자격인 캐릭터.
- ↑ 주로 소설판.
- ↑ 여자아이의 어투. 굳이 해석하면 ~야, ~인 거야
- ↑ 술취한 하세가와 하루카에게 명령받아 사용했다.
- ↑ 인간 모습일 때는 어미를 붙이지 않는다.
- ↑ 불살모드 한정으로 무사 말투. 국내판에선 그냥 평범한 말투로 번역되었다.
- ↑ 하군요 → 하군용, 가야지 → 가야징 등등. 정말 집요하게 이응이 붙기 때문에 이를 거슬려 하는 사람들도 제법 존재한다.
- ↑ 토쿠시마벤의 일종
- ↑ 히로시마벤 일종
- ↑ 시코쿠사투리의 일종
- ↑ 2ch등지에서 유행한 어미로 주로 오타쿠들이 사용한다. 일단은 귀여워보이는 척하는 어미. 번역하자면 ~능.
오따쿠라능 - ↑ 별다른 뜻은 없지만 말끝의 조동사가 가타카나이다.
- ↑ "~인거에요" 정도로 해석된다
- ↑ 센다이벤
- ↑ 긴키벤. 현대 일본어에서는 사어에 가깝다.
- ↑ 위의 하시다 이타루와 같다. 다만 이쪽은 어미를 이상하게 쓴다기보다 히나다요를 어린애라 발음을 못해서 히나다오 로 변형된것이라 특정한 어미를 쓰는 캐릭은 아니지만... 히나다오 라는 대사가 너무 히트를 쳐서 다오체의 대명사가 되어버렸다(...)
- ↑ 의문형이 아니어도 물음표가 붙는 경우가 많다.
근성체 - ↑ 예를 들면 미사카 동생이 미코토의 아이스크림을 훔쳐먹은뒤에 한말이 "무슨 일이실까요..하고 미사카는 초코 민트의 상쾌한 뒷맛을 느끼며 시치미를 뗍니다" 라고 말한적이 있다.
- ↑ 좀 많이 길어서 이해하기 힘든데, 쉽게 말하면 '나 밥먹어'라고 말하지 않고 '미사카는 밥 먹어라고 미사카는 미사카는 신이나서 말해보고.'라는 식으로 말한다.
- ↑ 번역하면 '~잖아'정도.
- ↑ 하카타벤의 일종
- ↑ 원래 ~스(~ッス)는 ~슴다체에 더 가깝지만 악의 딸 소설 정발판에서는 ~지 말입니다로 번역되었다.
- ↑ 위에 언급된 주리아와 동일하다.
- ↑ 국내 더빙판(오소마츠 군 한정)에서는 홍쌈바로 이름이 바뀐 걸 착안해서 말이 끝난 뒤에 '~쌈바'로 끝난다.
- ↑ 가나다순 정렬이라 꺾기도가 먼저 나열되어 있으나, 이쪽이 훨씬 앞서 사용되었다
- ↑ 사무라이 같은 말투라고 볼 수 있다.
- ↑ 보통 말끝에 붙여서 '~랄까나?' 하는 식으로 쓴다.
- ↑ 어미만 냐가 아니라 나행을 전부 냐행으로 바꿔 말한다.
- ↑ 이 문장이 어미다(...)
- ↑ 가짜 이야기 한정. 이후 가엔 이즈코에게 한 소리 들어서 본인도 흑역사 취급한다.
- ↑ 예이를 문장 앞에 두고, 피스피스로 끝낸다.
- ↑ 사랑 이야기에서 새로 만든 캐릭터. 카이키 데이슈 앞에서는 그걸로 혼난적이 있어서 쓰지 않는다.
그것은 딸이 삐뚤어지지 않길 바라는 아버지의 마음 - ↑ 입버릇이 아니라 '제로자키 키시시키'로서의 캐릭터 만들기의 일환. 국내 정발판에서는 "~한다 안카나.", "~한다카이." 라는 사투리 형태로 번역되었다.
- ↑ 어미 자체는 평범하지만, 데스가 안쓰여야 할 부분도 데스로 끝내는 경우가 많다. 의문형은 데스? 그외 대표적으로는 "왕따를 시킬 때 책상을 던지고서도 네놈의 자리 없어데스"
- ↑ 고어체 어미. 현대어로는 '~だ', '~である'에 해당한다.
- ↑ 본거지가 토호쿠 최북단이다.
- ↑ 하카타벤. 국내 정발본에서는 동남 방언으로 번역.
- ↑ です의 발음을 Death라고 한다. 국내에서 더빙 방영된 1기의 경우 흡사 중국인을 연상시키는 말투로 번역되었다. 단, 처음 등장할 때 뒷모습으로 나왔을 때는 일본판 음성이 그대로 사용되었다.
- ↑ 가장 대표적인 일본어 어미인 그 데스(~です)의 끝이 전부 さ로 끝난다.
- ↑ 이름과 어울려서 니코동등지에서 쟝이 등장하면 무조건 효과음으로 쟝! 이라는 효과음을 주며 말끝마다 쟝을 붙이는 MAD가 너무 유행해서, 담당성우인 타니야마 키쇼가 이벤트때 "등장할때 쟝 키르슈타인 역 타니야마 키쇼 쟝! 이라고 해야 될거 같다" 라고 회고할 정도(...).
- ↑ 각각 '오징어 다리'와 '오징어' 를 뜻한다. 국내에서 더빙 방영된 방영분도 동일.
- ↑ 번역판에는 누구에게나 존댓말을 쓰는 것으로 변경.
- ↑ 국내 팬들은 대개 "~인 거다" "~인 것이다"로 해석하고 있다.
- ↑ 더빙판에선 한다구요 체제의 말투를 자주 한다.
- ↑ 어미 자체는 평범한데, 굳이 붙이지 않아도 될 상황까지 붙인다. 타마유라 애니메이션의 각 제목은 후우의 말버릇을 따와서 모두 ~なので로 끝난다.
- ↑ 도사벤.
- ↑ 단순한 존댓말 캐릭터가 아니라 끝을 무조건 です로 끝낸다.
- ↑ 각각 자신의 이름의 유래가 된(Right,Left,Center) 단어를 어미로 사용하는데, 더빙판에선 그게 무시되었다.
- ↑ 한국판에서는 평범한 말투.
- ↑ 토사 사투리
- ↑ 전에는 프릿이었지만 요즘은 프리로 고정된 듯 하다.
- ↑ 특수한 어미라면 질색을 하는 시쿄인 히비키도 나노는 괜찮다고 한다.
- ↑ 사실 게임 안에서는 모든 대사에 나노데스!를 붙이지는 않는다. 다만 이나즈마의 아이덴티티로 굳혀져서 2차 창작에서는 거의 모든 대사에 나노데스가 붙는다.
- ↑ 더빙판에선 "~라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