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믹월드/참가방법

이 문서는 코믹월드에 참가 또는 관람하게 될 코스프레 참가자, 동아리 참가자, 일반 관람객을 위한 문서임을 밝혀둔다.

1 코스프레

코믹월드/코스프레 등록 문서도 참고.

코믹월드에서 코스프레는 누구나 자유로운 참가가 가능한 편으로 이전에는 등록제 없이 자유롭게 실행되었으나, 일부 민폐스러운 코스프레 참가자들의 말썽과 사고 그리고 주민들의 민원문제로 인해서 2009년 11월에 열렸던 서울 코믹월드와 2010년 3월에 부산 코믹월드에서부터 코스프레 등록제를 시행하게 되었고 2012년 107회 서코와 73회 부코에서부터 1인당 코스프레 등록비 1,000원을 지불하도록 유료화로 변경되었다.

코스프레 활동시간은 행사시간인 오전 10시 ~ 오후 5시 30분까지이며[1] 코스프레 활동은 오전 10시부터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고 오후 5시 및 5시 30분까지는 코스프레 활동을 종료하고 귀가를 해야 한다.

코스프레 참가자는 행사장 안에 있는 코스프레 전용 매표소를 통해서 입장권을 살 수 있으며 입장료는 일반입장료와 동일하다. 단, 2012년부터 1일 활동시 1,000원을 별도로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추가금이 부가된다.

매표소에 오게 되면 코스프레 의상과 소품 등을 보여줘야 입장 및 구입이 가능하다. 다만 일반매표소와는 달리 제한시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매표업무 이후에는 일반매표소로 가서 일반인들과 마찬가지로 입장권을 구입할 수 있다.

코스프레 참가자는 매표소를 거쳐서 코스프레 전용입구로 들어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일반 입구와는 달리 제한적인 상황이라 이후에는 일반 입구로 들어가야 한다. 전용입구에서는 코스프레 전용 매표소에서 구입한 입장권과 코스프레 등록 추가비를 지불해야하며 코스프레 의상 및 소품을 보여줘야 한다.

입장 및 절차를 마쳤을 경우 남녀 탈의실로 입장하여서 일상복 및 평상복에서 코스프레 복장 및 소품을 갈아입거나 착용할 수 있으며 메이크업실에 들어가서 화장 및 정비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코스프레 전용 물품보관소에 가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2]

1.1 의상 및 소품 제한규정

코믹월드 코스프레에서는 코스프레 의상 및 소품에 대한 제한규정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 코스프레 의상
    • 노출이 심하거나 수영복 차림 등의 코스프레는 할 수 없다.[3]
      • 특히 교토 애니메이션 Free! 코스프레의 경우 수영복 및 노출씬이 있는데다가 여성 참가자가 남자 주인공들의 수영복씬을 그대로 따라하여 코스프레를 할 경우 신체부위(특히 흉부)가 그대로 노출된다는 점 때문에 금지를 하고 있다. 물론 남성 참가자라도 수영복 코스프레가 금지사항이기 때문에 당연히 할 수 없다.
      • 진격의 거인은 조사병단을 제외하고 나체로 나오는 거인 코스프레는 전면적으로 할 수 없다.
      • 원피스 나미 2년 후 코스프레는 상체가 비키니라 노출이 있는 편이나 하체가 청바지를 입고있고 원작에서도 나미가 청바지를 입었던 편이라 별다른 제한없이 코스프레가 허용되고 있다. 코스어의 상태에 따라 나미의 오렌지색 가발을 쓰고 청바지를 입은 채로 사복 셔츠나 점퍼 등으로 비키니 상체를 가리는 경우가 있으나 나미의 오렌지색 머리와 청바지를 입은 모습만 봐도 나미 2년 후 코스프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나미의 가발과 청바지를 입은 채 사복 셔츠 등을 걸치면 비키니 상체를 가릴 수 있기 때문에 이동할 경우에는 셔츠나 점퍼를 상체에 걸쳐도 없고 촬영시 일시적으로 셔츠나 점퍼만 벗고 나미 가발과 비키니 그리고 청바지를 입은 상태에서 비키니씬을 재현해도 상관없다.
      • 최강의 군단 제리 코스프레는 야구배트 한정으로 사용이 금지된 편으로 특히 중량이 나가는 철제 야구배트는 반입 및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또한 제리 자체도 배꼽 노출이 있는 편이라 주의가 요망되는 편.
    • 레오타드치파오같이 가슴 혹은 옆구리가 드러나는 의상은 안에 불투명한 속의상을 입어야 한다.
    • 상의 또는 하의 어느 것 하나 입지 않은 상태로는 활동 할 수 없다.[4]
    • 현역 한국군, 미군, 현역 경찰복이나 교도소 죄수복(가슴에 번호 달린 복장)[5], 병원 환자복 차림으로는 활동 할 수 없다.[6][7]
    • 그 외 주변인들에게 혐오감을 주거나 흉한 분위기를 내는 복장도 금기사항이다.
  • 코스프레 소품
    • 철제(쇠붙이)로 만든 소품은 반입이 금지되어 있으며 반입이 확인된 경우 압수 명령이 내려진다. 쇠파이프, 쇠방망이, 쇠붙이로 만든 진검(眞劍), 쇠사슬, 총기류, 가스류 등.
    • 쇠파이프 외에 소지품도 위험을 주거나 위협대상이라고 판단될 경우에도 압수 명령이 내려진다. 경량이 아닌 중량의 무게를 가지고 있거나 끝이 뾰족한 칼날 등.
    • 라이터, 폭죽, 과도(果刀), 식도(食刀) 등도 반입금지 대상이다.
    • 공지나 규정에는 없지만 변신벨트 등의 완구도 걸릴때가 있다. 코스프레의 경우에는 띠 보여주고 그냥 일반 참가의 경우에는 적당히 타협(...)하거나 벗자.
    • 소품류의 길이의 경우 융통성을 위해 본인의 키보다 10~15cm정도까지 긴 것은 허가하고 있으나 그래도 170cm을 넘어갈시에는 허가가 되지않으니 참고하면 좋을듯 하다.(ex. 150cm의 코스어가 160~165cm의 소품은 허가가 되지만 그 길이를 초과시에는 불가. 180cm의 코스어가 창,봉,지팡이 등 길이가 긴 소품을 사용할 시에는 최대 170cm의 소품을 사용할 수 있다.)
  • 기타
    • 코스프레 복장 차림으로 행사장 권장구역을 나갈 수 없으며 행사장으로 왔을 때도 코스프레 복장 차림으로 오게 된 경우 입장 및 등록이 거절된다.
    • 행사장 탈의실 이외에 전시장 및 지하철, 공원 화장실 등에서는 탈의를 할 수 없으며 이 경우 퇴장 명령이 내려진다.
    • 북한 김씨 일가 인물 및 북한군 코스프레, 인공기 소지를 통한 코스프레는 코믹월드와는 관계없이 국가보안법에 적용되어 엄벌에 처하게 됨으로 엄금한다. 절대해서는 안 될 필수조건이다내래 인민의 덕을 보여주갓어!!
    • 일본군 복장 코스프레나 욱일기 소지 역시 사회적 금기사항이므로 역시 엄금한다. 이것 역시 절대해서는 안 될 필수조건이다. 만약 하게 된다면... 또한 현 일본 자위대 코스프레도 해서는 안 될 조건인데 이것 역시 국민정서를 자극시킬 수 있다.
    • 나치 코스프레도 당연히 금기대상이다. 나치에 대해서는 한국 사회에서 금기시될 여지는 적으나, 외국인들, 특히 영국이나 프랑스 등 나치 피해국가 출신의 외국인들이 보게 되면 논란의 소지가 있으므로 가급적 자제하길 바란다. 특히 일제와 전범(戰犯) 동맹이니만큼 더욱 그렇다.

1.2 탈의실과 메이크업실

탈의실이란 코스프레 참가자들이 코믹월드 행사장으로 와서 일상복 및 평상복에서 코스프레 복장으로 갈아입는 곳을 말한다. 코믹월드 코스프레 행사 초기부터 존재해 있었으며 2009년 11월 코스프레 등록제 시행에 따라 비중이 높아지게 되었다.

탈의실은 남자 탈의실과 여자 탈의실로 나뉘어 있으며 전시장 구조나 상황에 따라 다소 다를 수도 있는 편이다. 감독 도우미들도 남녀로 나뉘어서 감독하는 편으로 남자 탈의실은 남자 도우미들이, 여자 탈의실은 여자 도우미들이 감독하고 있다.

보통 탈의가 의무화되어있는 목욕탕이나 수영장과 비교하자면 옷을 벗거나 장식류를 떼어내는 것까지는 같은 편인데 옷을 다 벗고 남녀 모두 알몸이 되어 들어가는 목욕탕이나 남녀 모두 수영복으로 갈아입고 수영도구를 장착하는 수영장과는 달리 코믹월드 탈의실은 남녀 모두 이색적인 코스프레 복장으로 갈아입는다는 특이한 점이 있다.

탈의실은 행사시간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코믹월드 등록절차를 거친 코스프레 참가자만 들어갈 수 있다.

메이크업실은 코스프레 참가자들이 화장과 치장 등을 하는 곳으로서 참가자들은 자신의 스타일에 따라 화장 및 치장을 할 수 있다. 다만 탈의는 할 수 없으며 메이크업 수주 행위는 금지되어 있다.

1.3 코스프레 등록대상

1.3.1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가상 캐릭터 복장

코스프레 활동에 등록되는 대상은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 나오는 가상 캐릭터들이 입는 복장 전체이며 이들 복장은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복장이니만큼 현실복장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당연히 등록대상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 코스프레 복장으로 활동할 경우에는 반드시 코스프레 등록절차를 거쳐야 한다. 슈퍼스타 미츠루는?[8]

1.3.2 코스프레 복장 + 일상 복장

위에 나온 복장 외에도 이 복장과 일상복 일부(바지(특히 청바지), 치마, 신발 등)를 혼용하여 활동하는 경우에도 등록절차를 거쳐야 한다. 특히 일상복이나 신발 등의 경우 몸에 착용한 것보다는 남은 여벌옷이나 여벌분으로 가져오는 것을 추천한다.[9]

특히 청바지의 경우 코스프레를 하지도 않은 일반인들도 입고오기도 하고 평소에도 자주 입는 옷인데 굳이 코스프레 등록을 해야겠냐는 말들이 있는데 코믹월드 공식 답신으로는 일상에서 입는 청바지라고 해도 사복이 아닌 만화 캐릭터들이 입는 의상을 입었거나 코스프레 의상을 상의로 입었거나 어느 정도 분장한 흔적이 있으면 코스프레 등록이 필요하다는 공문이 있었다. 만화 캐릭터들 중에서도 청바지를 입고있는 캐릭터들도 있기 때문에 만화 캐릭터 코스프레 목적이거나 가발을 쓰거나 상의가 만화 코스프레 의상이면 등록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1.3.3 코스프레 복장 + 가발/가면/부직포 및 인형 코스프레

위에 나온 복장에 단순하게 가발 및 가면 중심으로 코스프레를 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등록절차를 거쳐야하며 가발 및 가면 탈착도 탈의실에 가서 해야한다. 가발 및 가면 코스프레도 일종의 코스프레 용품으로 규정되기 때문에 사실상 등록대상이다. 또한 온 몸을 부직포 등으로 코스프레를 연출하는 부직포 코스프레나 인형 코스프레의 경우에도 등록대상이며 마찬가지로 탈의실에 가서 갈아입어야 한다.

1.3.4 밀리터리 코스프레

밀리터리 코스프레는 별도의 규항들이 있으므로 따로 언급한다.

우선, 대한민국 국군과 미군이 사용 중인 위장복왠지 미군 코스프레가 보이는건 착각이 아니다, NYPD SWAT 등에서 사용중인 검정색 BDU는 착용할 수 없다. 국군이 사용 중인 신형 전투복을 착용하고 행사에 참여할 경우 서울 코믹월드의 규정이 아닌 군인 사칭 문제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할 것. 대한민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우드랜드 BDU 일명 개구리 군복 는 2015년 2월 부로 착용이 허가되었으며, 현용 마크를 달지만 않으면 행사장 내에서 입고 다닐 수 있다.

신형 전투복은 국방부와 경찰서의 고지에 따라 행사장 등의 특별한 장소에서 '사전 착용 허가' 신청 후 착용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나왔으나, 코믹월드 측에서 확실하게 규제했으므로 꿈도 꾸지 말 것. 휴가 및 외박 중 행사장에 들른 군복 차림의 현역 군인은 도우미의 요청이 있을 경우 소속부대에서 발급한 휴가증 또는 외박증을 제시해야 한다. 휴가증과 외박증은 소속부대 부대장 직인[10]이 있으므로 인정된다.

밀리터리 코스프레에서 소품으로 사용하는 의 경우 도우미 개개에 따라 다른 주관적인 무게 규정 때문에 어느 정도면 가능하다, 고 확실하게 말할 수 없지만, 무게 문제에서 비교적 여유로운 에어 소프트 건 제품은 옵션을 달지 않았을 경우 분명하게 사용 가능하다고 한다. 가스건과 전동건은 각각 가스와 배터리를 제거하면 사용 가능하다지만, 내장된 기어박스 등으로 인해 무게가 나가 사용 허가가 비교적 덜 나는 편. 같은 이유로 경기관총과 저격소총류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 날 가져간 경기관총이 사용 허가를 받았다면 그건 그냥 운이 좋았거나 도우미가 규제 적용에 여유를 준 것 뿐이다. 저격 소총은 경기관총에 비해 사용 허가가 잘 나지만, 조준경을 달았다면 조준경을 압수 당할 여지가 있다.

총을 소품으로 사용하는 애니메이션 코스프레도 마찬가지지만, 모든 총기류는 칼라파트를 착용하고 있어야 한다. 사정 설명을 하면 저격 소총의 황동색 바렐 등도 칼라파트로 인정받을 수 있지만 역시 안전한 건 소염기 부분의 주황색 칼라파트다.

다만, 총기 소품이라고 인정되는 폭이 넓어서 팀포트리스2의 메디건까지 총기로 규정되어 검사를 받아야한다. 또한 잘 없지만 포(RPG7같은 것)도 총기와 동일한 절차를 거쳐야한다. 금지된 재료(쇠파이프, 끝이 뾰족한 물체)를 사용하지 않고 자신이 직접 만들시에는 컬러파츠를 부착하지 않아도 통과되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 총기를 모방해서 만든 경우에는 컬러파츠를 사서 장착하거나 총구를 주황색으로 도색하는게 안전하다. 글옵의 아시모프 스킨처럼 실제 총기로 인식되지 않을 정도면 컬러파츠가 없어도 된다. 아시모프 수준이면 자체가 컬러파츠니까...

2 동아리 및 동인 참가자

동아리 및 동인 참가자는 코믹월드 홈페이지를 통해서 동아리 신청접수를 할 수 있다.[11] 다만 신청 1주일 전에 조기신청을 권장하고 있으니 참고할 것. 중복접수는 불가.

동아리 및 동인 참가자는 참가비를 지불할 수 있으나 대기자의 경우 참가가 확정될 때까지는 결제승인이 되지 않고 대신 코믹월드측에서 별도의 승인 메일을 보내게 된다.

행사장에서는 동아리입구를 통해서 들어갈 수 있으며 부스는 해당 동인지에서 본딴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1,2일간 전시를 할 수 있고 물건을 자유롭게 전시판매할 수 있다.

2.1 제한규정

  • 19금 동인지를 판매할 경우 반드시 신분증 제시를 요구해야하며 미성년자는 19금 동인지 전시 및 판매를 금한다.[12]
  • 저작권을 침해하였거나, 동인 작품이 아닌 다른 사람의 오리지널 만화 작품은 참가가 불가능하며 현장에서 적발될시 퇴장 및 차회 행사 참가가 제한된다.
  • 정치적, 사회적 성향이 있는 작품은 전시판매를 할 수 없다.
  • 매국노민족반역자 등으로 낙인된 인간들(특히 이완용 등)을 희화화하거나 찬양 등을 하는 내용은 금기대상이다.[13]
  • 팬시의 경우 식음료를 위주로 한 것은 금지이며 시중에서 흔히 판매되는 오리지널 팬시물품도 전시판매를 금한다.
  • 무기류, 도검류, 총기류를 전시판매할 수 없다.
  • 14세 미만 참가자는 부모님의 동의서를 제출해야만 참가가 가능하다.
  • 캐릭터식 디자인이 가해지지 않은 보통의 동물 및 사물의 굿즈등은 판매가 제재될수 있다.

3 일반 참가자

일반 참가자는 코믹월드 일반 매표소에서 입장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일반입구를 통해서 입장할 수 있다. 코스프레 촬영 및 동아리 물품 구매가 가능하다.

3.1 주의사항

  • 코스프레 참가자 및 동인지 부스를 촬영할 때는 당사자의 동의 및 양해를 얻어야 한다.
  • 부스 입구에 있는 견본품은 가져갈 수 없으며 회지의 경우 1분 이내 열람이 가능하다.
  • 코스프레 참가자 사진을 영리목적 및 상업목적 등으로 사용할 수 없다.
  •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실 수 없다.
  • 행사장 안에서 냄새나는 음식(떡볶이, 튀김 등)은 반입금지이며 애완동물을 데리고 들어갈 수 없다.

4 입장절차

일반인은 물론 코스프레나 동인 참가자는 입구에서부터 재입장 도장을 날인(捺印)하게 되는데 토,일요일에 열리는 특성에 따라 도장 색깔이 다르다. 토요일 행사는 파란색 도장이, 일요일 행사는 빨간색 도장이 날인된다. 이 도장이 찍혀져 있는 경우 행사시간동안 재입장이 가능하며 코스프레 참가자의 경우 바깥과 안을 자주 왕래하여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재입장 날인을 받아야 한다.

일요일 행사의 경우 토요일 행사 때 해당하는 파란색 도장만 날인되어 있는 경우 무효처리되어서 재입장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일요일 행사 때 해당되는 빨간색 도장을 새로 날인받아야 한다.

날인된 도장이 지워졌거나 옅게 날인된 경우에는 스태프에게 재날인 요청을 하면 날인을 받을 수 있다. 다만 행사장 안에 있는 경우에 해당되며 바깥에서 지워진 경우 이 때는 재입장이 불가하기 때문에 추가로 기본 입장료를 지불하고 다시 입장해서 재날인을 받아야한다.

5 입장권 및 예매권

cw_ticket.jpg
무료입장권과 예매권. 무료입장권과 당일 입장권은 도장이 앞쪽에 있으며, 예매권은 뒤쪽에 있다. 덧붙여서 예매권에는 도장과 더불어 ‘환불불가’라는 크고 아름다운 도장이 추가로 찍혀 있다.

입장권은 코믹월드 행사장에 있는 표사는 곳에서 직접 살 수 있으며 토,일요일 행사에 따라 입장권 표지가 다르다. 토요일 행사 입장권은 행사 카탈로그 표지와 같은 모습이며 일요일 행사 입장권은 그와는 다른 표지로 나오는 입장권이다.[14]

입장권은 행사 당일에만 1회 사용할 수 있으며 일요일 행사 때 토요일 행사 입장권으로 입장할 경우 무효처리되기 때문에 입장할 수 없다. 따라서 일요일 행사 때는 일요일 당일행사 때 일요일 행사 입장권을 따로 사야 한다.

예매권은 코믹월드 사무실에서 판매하고 있다. 행사 한 달 전에 홈페이지에 공시되며 개최 전날까지만 판매하고 있고 행사 당일에는 예매권이 아니라 행사장 매표소로 가서 입장권을 발권해야 한다. 예매권은 토,일요일 공용이기 때문에 행사기간동안 입장이 가능하다. 다만 환불은 불가하므로 신중히 결정할 것을 권장한다. 인터넷 예매는 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사무실까지 찾아와서 사야 한다.

바리에이션으로 무료입장권이라는 것도 있는데, 각종 이벤트에 참여 혹은 응모하여 입상하거나 선정된 사람에게 주최측에서 증정하는 티켓이다. 물론 아무때나 쓸 수 있는 건 아니고 사용가능한 행사의 회차가 도장 옆에 스탬프로 찍혀 있다. 간혹 사무실에 예매권을 사러 갔는데 예매권 재고가 없을 시 이 무료입장권으로 대신 주기도 한다.

6 재입장 도장(토, 일요일)

코믹월드 행사장에 입장하였던 사람에 한하여 첫 입장 때 도우미가 팔목에 도장을 찍어주게 되는데 토요일에는 푸른색, 일요일에는 붉은색 도장으로 구분되어 찍혀진다.

토요일에는 토요일을 상징하는 푸른색 도장이 찍혀지며 일요일에는 일요일을 상징하는 붉은색 도장이 찍혀지게 되는데 특히 푸른색 도장은 토요일 행사 때에만 재입장 효력이 있기 때문에 일요일 입장 때 푸른색 도장만 찍혀있는 경우 입장 및 코스프레 활동을 할 수 없고 경우에 따라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일요일 행사 때는 붉은색 도장을 따로 찍어야 하며 푸른색과 붉은색 도장이 같이 찍혀있어도 일요일 행사 때 입장 및 코스프레 활동이 가능하다.

푸른색 도장은 토요일 행사기간동안 재입장 및 코스프레 활동이 가능하며 행사종료 후에는 무효처리가 되므로 일요일 행사 방문시에는 반드시 일요일에 찍어주는 붉은색 도장을 새로 받아야한다. 일요일 행사 방문 때 푸른색 도장을 통한 재입장은 불가하므로 반드시 입장권이나 예매권을 사고나서 붉은색 도장을 새로 받아야 한다.

붉은색 도장은 일요일 행사기간동안 재입장 및 코스프레 활동이 가능하며 일요일 행사종료 때까지 재입장이 가능하다. 토요일 때 찍은 푸른색 도장과 붉은색 도장이 같이 찍혀있는 경우에도 일요일 재입장이 인정된다.

7 코스프레 등록띠

코스프레 참가자에게만 발급되는 등록띠로서 코믹월드 코스프레 참가자들은 재입장 도장 날인 외에도 반드시 이 등록띠를 착용한 경우에만 코스프레 활동을 할 수 있으며 등록띠가 없거나 파손한 경우 코스프레 활동을 할 수 없다.

행사종료 이전에 등록띠를 반납할 경우 물품보관소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특혜가 주어진다.

8 관람 및 활동시간

코믹월드의 관람 및 코스프레와 동인 활동시간은 일반참가자 입장이 시작되는 10시(일요일) 혹은 11시(토요일)에 시작되며[15] 무대공연이 종료되는 18시(일찍 끝나면 그 이전)에 끝난다.

행사종료 이후에는 코스프레 활동과 동인 판매전도 종료되기 때문에 해당자들은 모두 귀가 및 철수준비를 해야하며 도우미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행사 외의 시간(저녁 및 밤)에는 코스프레 활동이 금지되어 있다.

8.1 관람 및 활동범위

현재 전시장 대관상황 기준으로 서울 코믹월드는 SETECaT센터 두 곳에서 바뀌어서 열리는 편이고 부산 코믹월드는 BEXCO에서 열리는 편이기 때문에 관람 및 활동범위가 임의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SETEC 행사 때는 SETEC 앞에 있는 주차장 광장 및 앞마당 그리고 전시장 뒷편 공간까지만 활동을 권장하고 있고 뒷편에 있는 양재천과 주변 공원에서의 활동은 주최측에서 자제를 요구하고 있지만 대부분 코스프레 참가자들이나 일반 참가자들은 그 곳에서도 코스프레 활동이나 관람 또는 촬영 활동을 하고 있다.

aT센터 행사 때는 aT센터 광장과 전시장 뒷편 공간까지만 활동을 권장하고 있고 뒷편 다리 건너 양재시민의 숲이나 주변 공원에서의 활동은 주최측에서 자제를 요구하고 있지만 이 곳 역시 대부분 코스프레 참가자나 일반 참가자들은 다리 건너서 그 곳에서도 코스프레 활동이나 관람 또는 촬영 활동을 하고 있다.

BEXCO 행사(부산) 때는 BEXCO 광장에서만 활동을 권장하고 있는데 이 곳은 전시장 광장 면적이 넓어보이는 편이고 일부는 전시장 안에서도 활동하거나 촬영도 하기 때문에 서울에서 열리는 행사와는 다소 차이가 있기도 한다. 부산 거주자나 참가자로 있던 분이 있으시면 수정 또는 추가바람.

9 도우미

행사 당일동안 일반관람자, 코스프레 및 동인 참가자들의 신변을 보호하고 행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정직원과 도우미장의 지휘 하에 행동하는 사람을 뜻한다.

코믹월드 도우미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인 자에 한정하여서 코믹월드 행사에 지원을 할 수 있으며 초중고등학생 및 10대 미성년자는 남녀 모두 지원이 불가하다. 도우미로 지원한 자는 행사 당일에 노란색의 코믹월드가 써진 조끼와 명찰을 착용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노랭이라고도 부른다.

도우미들은 행사 당일 코스프레 참가자과 동인 참가자들을 행사기간 2일동안 감독관리하게 되며 일반 관람자들에 대한 신변안전과 행사진행의 원활한 진행을 책임지게 되며 각자 분담별로 진행하고 있는 편이다. 또한 코스프레 참가자의 탈의실 감독과 동인 참가자의 전시판매 감독도 하고 있는 편으로 부정행위 등으로 도우미에게 적발될 경우 강제퇴장 권한에 따라 퇴장을 당할 수 있다.

일부 도우미는 경우에 따라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에 대한 내용이나 캐릭터까지 모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간혹 이와 같은 도우미를 만나게 되면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에 박식한 사람이 자세히 설명해 주면 되겠다(…).

도우미 모집은 행사 이전에 코믹월드 홈페이지에서 별도로 모집공고를 내게 되며 서울 행사와 부산 행사별로 나뉘어서 모집한다. 서울 행사의 경우 서울, 인천, 경기 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부산 행사의 경우 부산, 울산, 경남 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모집하는 편이다.[16]

도우미에 지원하여 합격하였다면 신청자 게시판에 필독사항이 게시되는데, 반드시 숙지하자. 만일 꼭 지켜야 할 사항을 안 지켜서 정직원이나 도우미장에게 갈굼먹거나 참가자와 마찰을 일으키면 자기만 손해다(보기).

9.1 도우미의 업무

생각보다 인원도 많고 담당하는 일도 많은 편이다.

  • 공통
    • 행사장 시설의 설치와 철거(코믹월드 개최 1일전과 행사 종료후에 선행과 후행으로 작업을 하게 된다. 개최 1일전에는 코믹월드 정직원 일부와 도우미가 전시장에 먼저 파견되어 행사장 시설 설치를 맡고 행사종료 다음날까지 철거를 한다.)
    • 쓰레기 수거
  • 입구와 출구
    • 검표 및 등록인장과 코스프레 등록필증(띠)의 검사
    • 참가자 이외의 외부인 통제와 안내
  • 본부석(정직원과 도우미장이 이곳에 배치되며 도우미를 총지휘한다)
    • 델리터 만화용품(스크린톤,원고용지,마커,목각인형 등)의 판매
    • 코스프레 등록 접수(오전에는 접수창구가 따로 분리된다)
    • 분실물 접수와 보관
    • 각종 경품의 당첨자 확인과 증정
    • 저작권 침해 동아리와 일반참가자 신고 접수와 조치
    • 의무실 운영(간호사가 배치되어 있으며 흰 가운을 착용한다)
    • 동아리 참가자의 버스 탑승 접수(부산)
  • 일러스트 콘테스트 전시벽면
    • 그림의 접수와 벽면게시
    • 투표 결과 집계
  • 아나운서석(아나운서가 여기에 배치된다)
    • 만화노래자랑, 코스프레 수상자, 무대공연 참가자의 안내와 통제
    • 각종 시상과 경품 증정의 보조진행
    • 무대행사 촬영
  • 기동순찰
    • 동아리 참가자의 부스 설치·판매 감독
    • 코스프레 참가자 감독(행사 종료 1시간 전에는 행사장 외부에 팻말을 들고 탈의를 권고하기도 한다)
    • 탈의실 감독(남자 탈의실은 남자 도우미가, 여자 탈의실은 여자 도우미가 따로 들어가 감독한다.)
    • 각종 부정행위 발견시 시정·퇴장 명령
  • 기타
    • 물품보관소와 코스프레 탈의실의 운영

여기에서 특이한 점이 있다면 다른 행사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주차 가이드 업무주차 유도에 대한 직책은 없는 편이었는데 행사 특성상 중고생 청소년들이 주로 많이 찾아오는 편에다가 성인층의 경우 극히 일부에 불과할 뿐이라(사실상으로 봐도 중고생 청소년들이 성인층보다 가장 많이 찾아온다) 자동차로 행사장을 찾아오는 경우가 극히 드문 편이기도 하여서 주차에 관한 업무는 두지않는 편이다.

다른 행사에서는 항상 빠지지 않는 비중있는 직책이었지만 유독 이 행사만큼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많이 찾아온다는 특성 때문에 주차에 관련된 직책은 사실상 없는 편이다. 실제 코믹월드에 가봐도 인파 입장줄 조정역할을 하는 모습을 볼 수는 있었지만 자동차 가이드나 유도를 하는 모습은 보기 어려운 편이기도. 자가용 기름값은 물론이요, 시외의 경우에는 고속도로 통행료까지 내야 하는 데다가, 주차비도 내야 하기에 더더욱 그렇다. 엑스코가 주차비가 상당히 저렴하니까 차량 이용객은 참고바람.

10 전시장 현황

현재는 서울 SETECaT센터 그리고 부산 BEXCO에서 개최되고 있기 때문에 전시장 구조를 잘 파악하고 입장하는 것도 좋다.

10.1 SETEC

건물 구조상 단층건물이지만 주차장과 광장 그리고 뒷편 양재천 공원 등이 있고 지하철역과도 인접해있는 영향과 넓어보이는 바깥 면적 때문에 코믹월드 참가자 대부분이 최고로 선호하고 있는 전시장이다. aT센터와는 달리 이통사가 KT인 이용자에 한해서 와이파이도 터진다 오오!!

단점상 단층건물이기 때문이라 에스컬레이터나 엘레베이터가 없기 때문에 특히 짐이 많은 동아리 참가자들은 경우에 따라 힘들어지기도 하는 편이며 지하철역이 인접하지만 구조상 지하층이 없는데다가 지하철 역과도 지하로 연결통로가 없다는 점이 있다. 게다가 전시장이 영동대로와 남부순환로 사이에 있는 점 때문에 시내버스의 경우 일부 노선이 운행중이긴 하지만 이 전시장 앞으로 정차하는 버스가 사실상 없기 때문에 영동대로변이나 남부순환로변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승차를 해야한다. 편의시설이 편의점과 구내식당 밖에 없다는 단점도 있다[17].

전시관은 현재 1,2,3관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방학시즌 같은 성수기에는 전관을 모두 대관하는 편이지만 그 이외에는 다른 전시회와 겹쳐서 열리기 때문에 두 관만 대관하여 열리는 경우도 있다.

동아리 판매전은 주로 전시관 면적이 넓어보이는 1관과 3관에서 진행하는 편이고 전시관 면적이 다소 적어보이는 2관은 이벤트 행사와 코스프레 탈의실로 사용하고 있다.

처음 입장하는 경우에는 SETEC 정문에서 입장할 수 있으며 재입장시에는 SETEC 전시관에 있는 비상문 및 후문에서 입장할 수 있다.

뒷편에 양재천 공원이 있어서 일명 굴다리라 불리우는 거대한 다리 밑에서[18] 코스프레 참가자들이 촬영을 하는 편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곳에는 사이클로드(자전거 도로)가 있기 때문에 안전위험이 있기도 한 편이지만 현재는 코믹월드 스태프들이 조정하고 있는 편이다.

10.1.1 교통편

  • 팁차원으로 알려주도록하겠다 자고로 이건 모르고있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다.
서코행사후 귀가시에는 이팁이 뜨면 아마 엄청난 효과를 낼것으로 기대하면서 쓴다.
지하철이 학여울역 대모산입구역 두개가 나오는데 귀가할땐 성남,수원 평택등경기도남부지방, 천안,아산 사람들에겐 대모산입구역이 엄청난 이득을 준다는사실을 명심하자.
학여울역의경우 서코행사후 보통 귀가시간되면 1회용 교통카드를 끊거나 충전할려면 줄이 어마어마하게 길고 보통 30~40분은 기다려야하며 엄청 길경우 한시간을 넘길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있을뿐더러 기본적으로 전철안이 헬이된다. 하지만 세택 3번 전시장 뒷 주차장에 나가는 길이 있는데 주차장 입구로 나가면 옆에 굴다리 위로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그위로 올라가면 흔히말하는 굴다리의 위를 건너는데 건너자마자 좀만걸으면 대모산입구역이있다.
  • 대모산입구역의 장점
멀것 같지만 걸어서 10분이고 서코 3전시장 뒷주차장으로 가는거라 정작 다녀보면 은근히 빠르다고 느끼게된다.
학여울역 교통카드 충전기는 2개이다. 그러나 대모산입구역의 카드충전기는 4개이다.
그리고 성남, 용인, 수원, 평택, 천안, 아산계열 거주민은 순수 충전하는줄만 빼도 15~20분가량 시간 절약이된다.
지하철앱 검색결과 학여울역에서 평택역으로 갈경우 2시간 15분이 걸린다고 표시되었지만, 대모산입구 승차시 1시간 55분이 걸린다고 표시되었다.
즉 분당선타고 수원가서 1호선을 또 타야하는 사람들은 사실상 이게 가장 시간절약하는 방법이다.
교통카드 충전기줄 대기시간까지 고려하면 학여울 - 평택 2시간 45분~2시간 55분이 걸리는 반면, 대모산입구역을 통해서 가면 충전줄이 없으니 그냥 바로 1시간 55분이다(..)
기차 주요역의경우 둘모두 용산역, 서울역은 40분컷으로 비슷하다 .
물론 터미널이나 기차역으로 갈경우 최고의방법은 미리 충전해놓는것이다.
하지만 전철타고 귀가를한다면 성남, 용인, 수원, 평택, 천안, 아산계열 사람들은 충분히 시간절약을 할수있다는사실을 명심하자.
물론 이팁이 많이 알려지면 대모산입구역도 헬이될수있다(...)
10.1.1.1 도시철도
10.1.1.2 버스
남부순환로 - 학여울역 정류장
SETEC건너(양재역 방향)SETEC앞(석촌역 방향)
3012 (서울)이촌동 방면3012 (서울)위례신도시 방면
남부순환로 - 대치동미도아파트 정류장
대치역4번출입구(양재역 방향)대치역5번출입구(석촌역 방향)
333 (서울)몽촌토성역 방면333 (서울)복정역 방면
402 (서울)광화문 방면402 (서울)장지동 방면
3012 (서울)이촌동 방면3012 (서울)위례신도시 방면
4319 (서울)사당역 방면4319 (서울)잠실역 방면
4412 (서울)압구정동 방면4412 (서울)대청역 방면
11-3 (경기)안양일번가 방면11-3 (경기)잠실운동장 방면
917 (경기)군포 수리산역 방면917 (경기)잠실운동방 방면
영동대로 - 대치동은마아파트,쌍용아파트 정류장
대치동은마아파트(일원동 방향)쌍용아파트(COEX 방향)
401 (서울)장지동 방면401 (서울)광화문 방면
4319 (서울)사당역 방면4319 (서울)잠실역 방면
4419 (서울)성남 산성역 방면4419 (서울)압구정동 방면
강남01 (서울)일원역 방면강남01 (서울)COEX 방면
강남06 (서울)세곡동 방면강남06 (서울)COEX 방면
11-3 (경기)안양일번가 방면11-3 (경기)잠실운동장 방면
917 (경기)군포 수리산역 방면917 (경기)잠실운동장 방면
6900 (경기)용인 수지구 방면
9407 (경기)분당 오리역 방면9407 (경기)압구정동 방면
9507 (경기)분당 운중동 방면9507 (경기)압구정동 방면
9607 (경기)분당 오리역 방면9607 (경기)청담역 방면
영동대로 - 개원중학교,대치아파트 정류장
개원중학교(일원동 방향)대치아파트(COEX 방향)
333 (서울)복정역 방면333 (서울)몽촌토성역 방면
401 (서울)장지동 방면401 (서울)광화문 방면
402 (서울)장지동 방면402 (서울)광화문 방면
4412 (서울)압구정동 방면
4419 (서울)성남 산성역 방면4419 (서울)압구정동 방면
강남01 (서울)COEX 방면
강남06 (서울)세곡동 방면강남06 (서울)COEX 방면
9407 (경기)분당 오리역 방면9407 (경기)압구정동 방면
9507 (경기)분당 운중동 방면9507 (경기)압구정동 방면
9607 (경기)분당 오리역 방면9607 (경기)청담역 방면

10.2 aT센터

건물 구조상 SETEC과는 달리 초대형 컨벤션센터라는 점 때문에 로비에서부터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모기업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본사 건물까지 포함하면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전시관은 1층과 2층 사이로 1관과 2관으로 나뉘어있으며 엘레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있기 때문에 이 전시관에서 코믹월드가 열리게 되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다니는 코스프레 참가자들의 행렬을 볼 수 있다. 지하층에 대형 아케이드가 있어서 편의점, 식당, 약국 등 각종 편의시설이 있다.

예전에는 지하철역이 없었던 점 때문에 교통편으로는 주로 버스를 타고 갈 수 밖에 없었으며 그 때문에 지하철로 주로 오는 SETEC 행사와는 달리 시내버스들이 aT센터 앞에서 바로 정차하기 때문에 버스에서 내리는 코믹월드 참가자들을 볼 수 있다. 2012년 10월 신분당선이 개통됨에 따라 현재는 버스와 지하철 이용객들이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며 aT센터 지하층에 지하철역으로 갈 수 있는 연결통로가 있다는 장점이 생겼다[19]. 전시장 뒷편에 공원 및 시민의 숲 등이 있어서 코스프레 참가자들이 공원으로 가는 다리를 건너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단점상 지하철역이 그 동안 없었던 점이 있었지만 신분당선 개통으로 이 단점은 사라졌으나 SETEC에 비해서 aT센터 광장이 좁아보인다는 점과 뒷편에 있는 시민의 숲 및 공원도 좁아보인다는 단점이 있는데 특히 이 공원에 대한항공 버마 폭파 위령비삼풍백화점 희생자 위령비, 백마고지 전투기림비 등을 비롯하여 그 주변에 윤봉길 의사 기념관이 끼어있고 aT센터 바로 옆에 양재화훼공판장양재꽃시장 등이 끼어있다는 점 때문에 코스프레 활동이나 사진 촬영 등에 어느 정도 제약이 있다. 또 SETEC과는 달리 aT센터가 강남대로변에 위치해 있고 광장 역시 일반인들이 지나가는 도보 사이에 있다는 점 때문에 가끔 이 문제에서 일반인과 코스프레 참가자 사이에 미묘한 신경전과 문제거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처음 입장하는 경우에는 aT센터 정문에서 입장할 수 있으며 재입장 때도 정문에 입장할 수 있는 편이다.

10.2.1 교통편

10.2.1.1 도시철도
10.2.1.2 버스
강남대로 - aT센터,양재2동주민센터양재꽃시장 정류장
aT센터(내곡동 방향)양재2동주민센터(양재역 방향)
140 (서울)내곡동 방면140 (서울)종로3가 방면
400 (서울)염곡동 방면400 (서울)서울역 방면
405 (서울)염곡동 방면405 (서울)종각역 방면
407 (서울)성남 산성역 방면407 (서울)동대문 방면
421 (서울)염곡동 방면421 (서울)서울역 방면
440 (서울)위례신도시 방면440 (서울)압구정동 방면
441 (서울)의왕 고천동 방면441 (서울)신사역 방면
462 (서울)성남 산성역 방면462 (서울)영등포역 방면
470 (서울)내곡동 방면470 (서울)종각역 방면
471 (서울)세곡리엔파크 방면471 (서울)종각역 방면
4432 (서울)청계산입구 방면4432 (서울)개포주공 방면
6 (경기)과천시청 방면6 (경기)양재역 방면
11-3 (경기)안양일번가 방면11-3 (경기)잠실운동장 방면
11-7 (경기)과천 선바위역 방면11-7 (경기)양재역 방면
500-5 (경기)광주버스터미널 방면500-5 (경기)강남역 방면
917 (경기)군포 수리산역 방면917(경기)잠실운동장 방면
강남대로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정류장
시민의숲앞(내곡동 방향)시민의숲건너(양재역 방향)
9404 (서울)분당 오리역 방면9404 (서울)신사역 방면
9408 (서울)분당 오리역 방면9408 (서울)영등포역 방면
9711A (서울)종점(하차만 가능)9711A (서울)일산 탄현동 방면
9711B (서울)종점(하차만 가능)9711B (서울)고양 서오릉 방면
500-2 (경기)광주 동원대학교 방면500-2 (경기)교대역 방면
1005 (경기)용인 한국외국어대학교 방면
1005-1 (경기)분당 오리역 방면1005-1 (경기)서울역 방면
1151 (경기)용인 오산리 방면
1251 (경기)기흥구청 방면
1311 (경기)오산 누읍동 방면
1550-1 (경기)수원 망포역 방면
1550-3 (경기)화성 동탄신도시 방면
1551 (경기)화성 병점역 방면
1560 (경기)기흥 삼성반도체 방면
1570 (경기)수지 상현동 방면
3000 (경기)수원역 방면
3002 (경기)수원버스터미널 방면3002 (경기)강남역 방면
3003 (경기)수원 권선구청 방면
3007 (경기)수원버스터미널 방면3007 (경기)강남역 방면
3030 (경기)군포 부곡동 방면3030 (경기)신사역 방면
3100 (경기)안산 신안산대학교 방면
3101 (경기)안산 신안산대학교 방면
3200 (경기)시흥 능곡동 방면
3900 (경기)수원 매탄권선역 방면
5001 (경기)용인 명지대학교 방면
5001-1 (경기)용인 명지대학교 방면
5002 (경기)용인 명지대학교 방면
5003 (경기)용인 명지대학교 방면
5006 (경기)수원 원천주공 방면
5100 (경기)수원 경희대학교 방면
5300 (경기)오산 갈곶동 방면
6501 (경기)군포 부곡동 방면
6800 (경기)수원 광교신도시 방면6800 (경기)압구정동 방면
8101 (경기)수지 단국대학교 방면
8201 (경기)수지 풍덕천동 방면
9004 (경기)분당 운중동 방면
9100 (인천)인천 제물포역 방면
9200 (인천)인천 송도유원지 방면
9201 (인천)인천 연수구청 방면
9300 (인천)인천 청라국제도시 방면
9301 (인천)인천 작전동 방면
9500 (인천)종점(하차만 가능)9500 (인천)인천터미널 방면
9501 (인천)종점(하차만 가능)9501 (인천)인천 검단, 김포 방면
9802 (인천)종점(하차만 가능)9802 (인천)인천 검단 방면
M4403 (광급)화성 동탄신도시 방면
M5414 (광급)수원 광교신도시 방면
M5422 (광급)수원 영통구청 방면
M6405 (광급)인천 송도국제도시 방면
M6410 (광급)인천 논현지구 방면
700 (시외)시흥 정왕동 방면
매헌로 - 양재시민의숲매헌역입구 정류장
매헌역5번출구건너(내곡동 방향)매헌역5번출구앞(양재역 방향)
서초20 (서울)신원동 방면서초20 (서울)양재역 방면

10.3 BEXCO(부산)

3회 부코부터 지금까지 줄곧 이곳에서 열렸기 때문에 영남지역 오덕들에게는 상당히 익숙한 장소이다. 행사가 열리는 곳은 본관(제1전시장)의 전시동이며 82회까지는 줄곧 거기서 했다. 다만 전시동의 어느 부분을 대관하는지는 그때그때 다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센텀시티역에서 행사장까지 발품을 꽤 많이 팔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3A 혹은 3B홀이 행사장인 경우가 그렇다.

간혹 1홀에서 열리는 경우가 있는데, 2~3홀과는 달리 칸막이로 구분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곳에서 행사를 한다면 본부석, 동인지 판매부스, 아나운서석, 무대, 관람석, 탈의실을 제외한 나머지가 공터로 방치되는(…)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진다. 더군다나 이 공터가 절반이 좀 넘는다. 이런 경우라면 차라리 유동인구를 감안해서 동인지 판매부스의 간격을 좀 넓히는 것이 좋지 않을까(…).

부산지역 대부분의 전시/행사는 대부분 BEXCO에서 하기 때문에 코믹월드 행사 당일에도 2~3개씩 다른 행사가 진행된다. 겨울에는 투니버스 스튜디오가 같이 열리며(이쪽은 겨울 내내 한다) 유명 가수의 콘서트나 슈퍼스타K 공개 오디션이 열리기라도 하면 BEXCO는 그야말로 지옥문이 열린다(…). 또한 결혼식도 부설 예식장에서 하기 때문에 나이 지긋한 사람들이 컬처쇼크를 겪는 일도 심심찮게 있다(물론 아이 데리고 코스어랑 같이 사진찍는 부모들도 있다).

행사관을 나오고 건물안에는 편의점과 스타벅스 등 카페가 있고 지하에는 맥도날드등의 음식점이 있다.

2013년 11월 9~10일에 열렸던 83회 행사는 제1전시장 전체가 G-STAR의 행사장으로 쓰였기 때문에 제2전시장(신관) 4A~B홀에서 열렸다. 아 어쩐지 그날오후 겁나게 사람많더라 이후 2014년 11월 15~16일에 열렸던 89회 행사도 제2전시장에서 했기 때문에 G-STAR 준비하는 기간에 제2전시장을 쓸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2015년 5월 16~17일에 열릴 예정인 92회 행사도 제2전시장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 때문에 참가자들은 멘붕. 특히 코스어들이 제2전시장을 무지하게 싫어하는데, 이는 센텀시티역과 버스정류장과 거리가 멀고[21] 광장이 무지하게 좁기 때문에 옆에 있는 올림픽공원까지 넘어가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도우미들의 기동순찰에 걸려서 쫓겨나곤 하지만.

10.3.1 교통편

경부선으로 오시는 분들이라면 구포역 하행선으로 거제역에서 환승해서 벡스코역에서 내리거나 수영역에서 환승해서 센텀시티역이나 시립미술관역으로 가시는 것을 추천한다. 향후 경부선 종점이 부전역이 된다면 동남권 전철 동해선간의 환승이 더 편리해 질 전망이다.

10.3.1.1 도시철도
10.3.1.2 버스
센텀남대로 - 센텀시티역벡스코 정류장
벡스코건너벡스코앞
5-1 (부산)남포동비프광장 방면5-1 (부산)반여1동 방면
39 (부산)용호동 방면39 (부산)기장읍 방면
40 (부산)구덕운동장 방면40 (부산)송정동 방면
63 (부산)범일역 방면63 (부산)송정동 방면
107 (부산)종점(하차만 가능)107 (부산)정관신도시 방면
115 (부산)연산9동 방면115 (부산)반여1동 방면
141 (부산)당감4동 방면141 (부산)송정동 방면
155 (부산)용당동 방면155 (부산)서동 방면
181 (부산)센텀파크 방면181 (부산)기장읍 방면
1001 (부산)동아대학교 방면1001 (부산)송정동 방면
1002 (부산)센텀파크 방면1002 (부산)양산 삼호동 방면
해운대3-1 (부산)재송2동 동부지청 방면해운대3-1 (부산)종점(하차만 가능)
해운대3-2 (부산)센텀파크 방면해운대3-2 (부산)종점(하차만 가능)
센텀3로 - 벡스코 정류장
벡스코주차장건너벡스코주차장앞
139 (부산)기장읍 방면
307 (부산)해운대구청 방면307 (부산)김해공항 방면
해운대로 - 벡스코 정류장
벡스코건너벡스코앞
31 (부산)모라주공 방면31 (부산)해운대시장 방면
100 (부산)부산대학교 방면100 (부산)롯데몰동부산 방면
100-1 (부산)부산대학교 방면100-1 (부산)송정동 방면
115-1 (부산)반송2동 방면115-1 (부산)해운대신시가지 방면
181 (부산)기장읍 방면
200 (부산)신라대학교 방면200 (부산)송정동 방면
창원 (시외)창원버스터미널 방면창원 (시외)(하차만 가능)
김해 (시외)김해버스터미널 방면김해 (시외)(하차만 가능)
해운대로 - 올림픽교차로 정류장[22]
우이약국, 시립미술관역 5번출구 (광안대교방면)동부올림픽타운아파트
1011 (부산)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방면1011 (부산)송정동 방면
남마산 (시외)남마산버스터미널 방면 (시립미술관역 5번출구에서 승차)남마산 (시외)(하차만 가능)

10.4 대구 EXCO

2001년 1회 대구 코믹월드가 열렸다가 2002년 6회를 끝으로 폐지되었으나 2016년 10월 대구 EXCO에서 14년만에 7회 대구 코믹월드가 개최될 예정이다. 상세한 교통편 정보는 EXCO 문서 참고.
EXCO를 지나는 도시철도 노선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대구 도시철도 엑스코선 개통을 기대해보자

10.4.1 버스

유통단지로 - 엑스코앞 정류장
엑스코앞엑스코건너
  300 (대구)북구청역, 앞산공원 방면
304 (대구)대구역, 가창면 방면304 (대구)유통단지 방면
306 (대구)칠성시장역, 대곡지구 방면306 (대구)유통단지 방면
323 (대구)아양교역, 국채보상로 방면323 (대구)유통단지 방면
323-1 (대구)북구청역, 국채보상로 방면323-1 (대구)유통단지 방면
413 (대구)동대구역, 가창면 방면413 (대구)유통단지 방면
503 (대구)대구역, 계명대역 방면503 (대구)서변동 방면
653 (대구)검단동 방면653 (대구)대구역, 화원읍 방면
937 (대구)동대구역, 욱수동 방면937 (대구)칠곡운암역, 관음동 방면
유통단지로8길 - 한국패션센터, 검단119안전센터 정류장
한국패션센터검단119안전센터(엑스코)
순환2 (대구)동대구역, 명덕역 방면순환2 (대구)검단동 방면
순환2-1 (대구)원대역, 명덕역 방면순환2-1 (대구)검단동 방면

11 과거에 코믹월드가 열렸던 곳

11.1 거평프레야(現 현대시티아울렛 동대문점)

1999년 5월에 열렸던 1회 서울 코믹월드가 개최되었던 곳이자 첫 개최지이기도 하였다. 서울 중앙 도심지역에서 열렸던 최초이자 유일한 서코였지만 1회 이후로는 열리지 않았다. 현재는 케레스타로 바뀌어졌다가 이후 현대백화점이 인수하여 현대시티아울렛 동대문점으로 변경되었다.

11.2 서울 강남 섬유센터

1999년 3회 서울 코믹월드 때부터 23회 서코까지 열렸던 곳으로 지리적으로 COEX가 있는 강남 삼성동에 있는 곳이다. 원래는 전시장 역할을 했던 곳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웨딩홀로 사용되고 있다.

11.3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전시장(굼벵이관)(現 IFC몰)

1999년에 열렸던 2회 서울 코믹월드에서부터 2003년 12월 서코까지 열렸던 곳으로 일명 굼벵이관이라 불렸던 곳이었다. 지하철 5호선 라인에 포함된 곳이지만[23] 지하철역과 떨어져 있는 곳이라[24] 역에서 나와서 걸어갔던 곳이었기 때문에 코믹월드가 열렸던 날이면 여의도 거리에 코스프레 참가자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게다가 금융가와 투자지역이 많은 여의도라는 특성 때문에 여의도 직장인들과 조화를 이루는게 아닌가 싶지만 주말과 휴일에는 정기휴장하는 증권가의 특성 때문에 코스프레와 조화를 이룬 사례는 없었다. 또 그 주변에 증권거래소(現 한국거래소)와 현재는 상암 DMC로 본사가 이전한 MBC 여의도 옛 사옥이 있다.

2003년에 전시장 철거가 결정되어서 2003년 12월 서코를 끝으로 더 이상 코믹월드를 볼 수 없게 되었으며 이후에는 새누리당의 천막당사를 거쳐서 IFC몰이 들어서 있다.

11.4 KBS 스포츠월드(舊 KBS 88체육관)

현재 서울 강남에 있는 SETEC과 aT센터에 익숙한 코스프레 참가자들에게는 의외의 일이지만 서울 강서구에 있는 KBS 스포츠월드(당시 KBS 88체육관)에서도 코믹월드가 열렸던 적이 있었다. 서울 최서단에서 열렸기 때문에 서울 강서구와 양천구 그리고 경기도 김포, 부천과 인천 및 강화도에서 물건너온 오덕들과 코스어들이 많이 찾았던 적이 있었다.

지금은 KBS 스포츠월드로 이름을 바꾼 후 존재하고 있지만 이후로는 코믹월드가 이 곳에서 더 이상 열리지 않고있다.

11.5 KINTEX

의외로 2007년 8월에 열렸던 69회 서울 코믹월드가 유일하게 열렸던 장소로 서울 코믹월드가 시작하게 된 이래 처음으로 서울특별시 이외 지역에서 열리게 되었다. 킨텍스의 소재지가 경기도 고양시였기 때문에 이 당시에는 서울 코믹월드가 아닌 경기 코믹월드라고도 불렸으며 일부 오덕과 코스어들이 반발과 항의를 하기도 하였다. 게다가 지방에서 올라온 코스어와 오덕들은 서울에 비해서 경기도 고양까지 북쪽으로 더 올라와서 가게 된 입장이라 반발과 항의가 심했던 편.

킨텍스 전시장은 현재도 존재하여 제2전시장까지 확장하였지만 69회 서코 이후로는 코믹월드가 더 이상 열리지 않고있다.

최근 일부에서 기존에 대관하였던 전시장의 규모와 사고 등으로 인해서 이 곳에서 다시 열려야한다는 주장이 있다.
  1. 행사상황 및 계절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2. 일반 관람객과 동아리 참가자는 이용불가
  3. 이 경우 스태프의 판단에 따라 강제로 갈아입히게 되거나 퇴장 명령이 내려진다.
  4. 맨발의 경우 원작의 고증 또는 인증에 따라 결정
  5. 죄수복의 느낌은 나지만 현행 대한민국 교도소 죄수복과 현저히 다른 복장(ex: 오나미다 미치루)은 허용되는지 추가바람
  6. 다만 휴가중인 현역 군인이나 근무중인 경찰의 경우 스태프의 요청이 있으면 부대에서 발급한 휴가증이나 외박증 그리고 경찰증 등을 제시할 수 있다.
  7. 특히 옛 일본군이나 현 일본 자위대 복장 그리고 현 북한군 복장 등은 국가적,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거나 국가보안법에 적용될 수 있으니 절대 하지말자. 그리고 나치 복장 역시 물의를 일으킬 수 있으니 자제바람.
  8. 공식 석상에 계속 입고 나온 특이한 복장 자체는 존재하지만, 이쪽은 실존인물이다. 이런 경우 어떻게 되는지는 추가바람
  9. 사실상 이들 복장도 코스프레 복장의 일부로 규정될 수 있기 때문에 등록대상에 오르기 때문이다.
  10. 부대에 따라 연대급 인사과장(주로 영관급 장교) 직인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11. 2013년부터 온라인 접수로 전환되었다.
  12. 2016년 8월 29일자로 19금 회지 전원 판매 금지 조치.
  13. 설령 멋도 모르고 이완용이나 송병준 그리고 을사오적 같은 민족반역자 개쓰레기들을 찬양하는 놈들이 있을 것 같아서 부득이 적어둔다. 물론 코스프레도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조건. 게다가 온라인에서 기승하는 철없는 일빠들도 한몫하고 있다.
  14. 입장권 오른쪽에 날인되어 있는 도장이 없는 경우에는 무효표로 처리되므로 반드시 확인할 것.
  15. 동아리 및 코스프레 참가자는 별도의 등록 절차를 거치며 따로 마련된 출입구를 통해 들어간다. 물론 이 출입구에 일반참가자는 들어갈 수 없다.
  16. 20세 이상 성인 남녀에 한정하며 초중고등학생 및 10대 미성년자는 남녀 모두 지원불가.
  17. 이전까지는 편의점도 없었던 탓에 굉장히 불편한 점이 있었다.
  18. 정식명칭은 영동 6교로 대치동과 수서 지역 사이로 영동대로에서 통과하는 차량들이 다니고 있는 다리이다.
  19. 단, 코믹월드에 처음 입장시에는 이용할 수 없고 그대로 지하철역 출입구를 통해서 가야한다.
  20. 엄밀히 말해 신분당선은 도시철도가 아니라 광역철도이다. 덧붙여서 민자사업자가 운영하기 때문에 타 노선에서 환승할 때 추가요금 900원을 물어야 한다. 그러므로 추가요금을 부담하기 싫다면 양재역에서 걸어내려오거나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코스어들에겐 절대비추 판교, 정자 쪽에서 올라온다면 신분당선이 빠르고 편리하다.
  21. 센텀3로에 있는 벡스코 정류장(139·307 정차)은 제2전시장과 가깝다. 하지만 그것뿐이라는거……
  22. 이 정류장에 서는 노선은 많으나 나머지 노선들은 벡스코 정류장에서 탈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광안대교 진입으로 인해 벡스코 정류장에서는 탈 수 없는 것만 기재한다. 올림픽교차로에서 벡스코까지 전시장 위치에 따라 300m~1km 정도 걸어가야한다.
  23. 그 당시 9호선은 없었던 시절이었다.
  24. 현재 IFC몰은 여의도역과 지하로 연결되어 있지만 이 전시장은 지하철역과 지하로 연결된 적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