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이름의 로마자 표기

이 문서에는 집단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틀이 달린 문서에는 독자연구를 담을 수 있습니다. 모든 의견들은 다른 이용자의 정당한 반론에 의해 수정될 수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하기 전에 문서 내 검색을 통해 중복된 내용인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집단연구 문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韓國人 이름(姓名)의 로마字 表記

이 문서에서 '한국인'은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한국어 이름(고유어 또는 한자)을 가진 사람에 한한다.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나 이름의 어원이 한국어가 아닌 경우는 이 문서에서 다루는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1 개요

한국인의 이름을 로마자로 표기한 것.

주의할 것은 이것은 '영어 표기', '영문 표기'가 아니라 '로마자 표기'라는 것이다.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것뿐이지 영어 음운 체계에 맞춰서 표기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영어 화자가 어떻게 받아들일까'를 굳이 신경 쓸 필요는 없다. 만약 영어를 쓰는 사람이 잘못 읽는다고 해도 그건 그 사람이 잘못한 거지 절대 표기법이 잘못된 게 아니다. 표기법이 문제면 전 세계 언어를 그냥 발음 기호로 표시하면 된다. 만약 그런 경우가 생긴다면 발음을 차근차근히 알려주면 된다. 그래서 매우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tjdnf라고 쓰고 [서울]이라고 발음해 달라고 하는 것도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서울'을 tjdnf도 적는 방식도 결과물이 로마자로 적혀 있으니 로마자 표기법은 맞고, 어떤 로마자 표기법이든 읽는 방법은 배워야 하는 건 마찬가지이므로 t를 [s]로 읽는 걸 배워야 한다는 식의 주장도 문제없다. 실제로 키리바시어에서는 ti라고 쓰고 [s]로 발음한다.

또한 표기, 즉 글을 쓰는 것은 언어가 아니라 문자에 관한 것이고, 따라서 "이름을 로마자로 어떻게 써요?"라는 질문은 말이 되지만 "이름을 영어로 어떻게 써요?"라는 질문은 맞지 않는 질문이 된다. 이름을 로마자로 쓴다 한들 한국어 이름이 영어 이름이 되진 않는다는 얘기. 쉽게 말해 Cheolsu로 쓴다 해서 철수찰스가 되진 않는다는 것

2 성씨의 표기

  • '기타 통용 표기'는 2011년 외교부 여권 자료를 참고했다. 해당 자료는 여기서 볼 수 있다.[1]
  • 각 성씨마다 표기법(M-R, 개정 표기법 모두)에 따른 표기 외에 가장 많이 쓰이는 표기들 중 최대 다섯 개까지를 빈도순으로 넣었다. 그러므로 아래의 빈도 순 리스트를 임의로 수정해서는 안 된다.
  • 굵은 글씨는 해당 성씨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표기를 나타낸다.
    • 굵은 글씨로 된 표기가 두 개 있을 경우(군, 뇌, 어금) 두 개가 공동 1위임을 나타내며, 굵은 글씨가 없을 경우(개, 누, 소봉, 십, 장곡) 여권 표기 자료가 없음을 뜻한다.
  • 표기법에 따른 표기도 아니고 많이 쓰이는 다섯 개의 표기도 아니지만 유명인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된 표기는 / 기호 뒤에 각주와 함께 따로 추가했다.
    • 유명인이 사용하는 표기 중 표기법에 따른 표기에도 가장 많이 쓰이는 다섯 표기에도 해당되지 않는 표기가 있다면 '박'의 Bahk, '엄'의 Ohm, '정'의 Jong, '최'의 Chey와 같이 / 기호 뒤에 해당 표기를 추가하고 누가 사용하는지 각주로 설명할 것.
  • 일부 성씨의 경우 귀화인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증, 흥 등.)
성씨M-R[2]개정 표기법기타 통용 표기 (빈도순)
KaGaKah, Kha, Gha
KanGanKhan, Kahn, Kann
KalGalGar, Karl
KamGamKahm, Kang, Gahm
KangGangKhang, Kahng, Kwang, Ghang, Kaing
강전KangjŏnGangjeonKangjun
KaeGae
KyŏnGyeonKyun, Kyeon, Kyoun, Gyun, Kyon
KyŏngGyeongKyung, Kyoung, Geong, Guong, Gyeng
KyeGyeKae, Kay, Keh, Key, Gae
KoGoKoh, Goh, Kho, Gho, Koo
KokGokKoock
KongGongKohng, Ghong, Con, Gohng, Goung
KwakGwakKwag, Kwack, Gwag, Koak, Koag
KyoGyo
KuGuKoo[3], Goo, Kuh, Kou, Khu
KukGukKook, Gook, Kug, Cook, Koog
KunGun
KungGungKoong, Goong, Koung
KwŏkGwokKwok, Kweok, Kwoc
KwŏnGwonKwon, Kweon, Kwun, Gweon, Kwan
KŭnGeunKeun, Gun
KŭmGeumKeum, Kum, Gum, Kuem, Guem
KiGiKee, Key, Kie, Kih, Gee
KilGilGill, Gihl, Khil, Keel, Kill
KimGimGhim, Kym, Kin
NaRa, La, Nah, Rha, Rah
NanAn
NamNahm, Nham, Nan, Lam, Narm
남궁NamgungNamkung, Namkoong, Namgoong, Namgoung, Namkoung
NangLang
Nae
NoNoh, Roh[4], Ro, Rho, Nho
NoeNoi, Lei
Nu
TanDanDahn, Dhan
TamDamTan
TangDangDhang
TaeDaeDai, Dea
ToDoDoh[5], Dho, Doe, Toh, Doo
독고TokkoDokgoDokko, Dockko, Dogko, Dockgo, Dohkgoh
TonDon
TongDongDhong, Doung
동방TongbangDongbang
TuDuDoo, Do, Dou, Dow
RaNa, La, Rha, Rah, Nah
RanLan
RangNang
RyangLyang
RyŏRyeo
RyŏmRyeom
RoLo
RoeLoi
RuLu, Lou, Roo, Ryu
RyuYoo, Ryoo, Yu, You, Lyu
Ryuk
RimLim, Im, Reem
MaMah, Mar, Mach, Mha
ManMahn, Mhan
망절MangjŏlMangjeolMangjul
MaeMai, Mea, Mei
MaengMeang, Mang, Maing, Meng, Meing
MyŏngMyeongMyung, Myoung, Myong, Moung, Myoeng
MoMoh, Mho, Moo, Moe, Meo
MokMock, Mog, Mook, Mork, Mouk
Myo
MukMook, Mok, Moog
MunMoon[6], Mon, Moun, Muhn, Moom
MiMee
MinMinn, Mihn, Meen, Mheen, Mean
PakBakPark, Bark[7], Pack, Pag, Baak / Bahk[8]
PanBanBahn, Van, Bhan, Barn, Pahn
PangBangBhang, Bahng, Barng, Baang, Fang
PaeBaeBea, Bai, Pai, Be, Bay
PaekBaekBack, Baik, Paik[9], Beak, Baeg
PŏmBeomBum, Buhm, Beum, Bom, Burm
PyŏnByeonByun, Byon, Byoun, Pyun, Byen
PokBokBog, Bock, Pock, Boc, Bouk
PongBongVong
PuBuBoo, Poo, Vu, Booh, Buh
PiBiVy, Vi, Bie, Bee
PinBinBeen, Bhin, Bean, Vin, Bihn
PingBing
SaSha, Sah, Sar
사공SagongSakong, Shakong, Sagoung, Sagung
Sam
SangShang, Sahng, Sarng
SeoSuh[10], Su, Sur, So, Sea
서문SŏmunSeomunSeomoon, Suhmoon, Seamoon, Sumoon, Semun
SŏkSeokSuk, Seog, Sok, Suck[11], Seuk
SŏnSeonSun[12], Son, Shun, Sen, Suhn
선우SŏnuSeonuSunwoo, Seonwoo, Sonu, Sunoo, Sunu
SŏlSeolSul, Seul, Sol, Sel, Seal
SŏpSeopSeoub, Sub, Sup
SŏngSeongSung, Soung, Seoung, Seung, Song
SoSoh, Sho, Soo, Seo, Sou
소봉Sobong
SonSohn, Shon, Sun, Soun, Soon
SongSoung, Shong, Sohng, Sung, Seung
Su
SunSoon
SŭngSeungSung, Seoung, Seong, Sheung, Soeung
SiShi, See, Sea, Se
SinShin[13], Sheen, Sihn, Shinn, Synn
SimShim, Sym, Seem, Sem, Sihm
Sip
AAh[14]
AnAhn[15], Ann, Anh, Ane, Aun
AeAi
YaYha
YangRyang, Yaung, Young, Yahng, Yhang
ŎEoUh, Eoh, Auh, Eu, Au
어금ŎgŭmEogeumEokum, Eokeum, Akeum, Uhkum
ŎmEomUm, Eum, Uhm[16], Aum, Om / Ohm[17]
YeoYuh, Yo, Yu, Yea, Yeu
YŏnYeonYoun, Yun, Yon, Yeun[18], Yeoun
YŏmYeomYum, Youm, Yeum, Yom, Yeoum
YŏpYeopYub, Yup, Yop, Youb, Yeb
YŏngYeong
YeYea, Yae, Yeh, Yee, Yei
OOh[19], Ou, Ohe, Oe, Olh
OkOck, Og, Ohk, Oak, Ouk
OnOhn, Eon, Onn, Own, Yon
OngOhng, Ohong, Ung
WangWhang, Woang, Ywang, Yang, Whyang
Yo
YongYoung, Lyong, Yung, Ryong, Yeong
UWoo, Wu[20], Wo, Ou, Uh
UnWoon
WŏnWonWeon, Woon, One, Wone, Woun
WiWee, We, Wie, Wei, Wui
YuYoo, You, Ryu, Ryoo, Lyu
YukYook, Youk, Yug, Yuck, Ryuk
YunYoon, Youn, Yune[21] , Yeun, Yon
ŬnEunUn, En, Een, Uhan, Eyn
ŬmEumUm, Em, Yum, Ehum, Ng
ILee[22][23], Yi[24], Rhee[25], YeeYee?, Rhie[26]
InIhn, Yin, Inn, Leen, Lin[27]
ImLim[28], Yim, Rim, Leem, Rhim
ChaJa
ChangJangJhang, Zhang, Jahng, Zang, Jaung
장곡ChanggokJanggok
ChŏJeoCho, Ji, Chu, Jo
ChŏnJeonJun[29], Chun[30], Chon, Jeun, Cheon
ChŏmJeomJum
ChŏngJeongJung[31], Chung[32], Joung, Chong[33], Cheong / Jong[34]
CheJeJae, Jea, Jeh, Jye, Jee
제갈ChegalJegalJekal, Jaegal, Jaekal, Jeagal, Jeakal
ChoJoJoe, Joh, Jho, Jou, Zo
ChongJong
ChwaJwaJoa, Choa, Chua, Jua, Chaw
ChuJuJoo, Choo[35], Jou[36], Zoo, Zhu
ChunJunJune
ChŭpJeupChup
ChŭngJeungZeng, Tsang, Duong, Tseng, Cheng
ChiJiJee, Gi, Gee, Chee, Jie
ChinJinJhin, Jean, Gin, Chen, Jeen
Ch'aChaChar, Tcha, Tchah, Chah, Tscha
Ch'angChang
Ch'aeChaeChai, Che, Chea, Cha, Choi
Ch'ŏnCheonChun, Chon, Chen, Choun, Cheun
Ch'oChoTcho
Ch'oeChoeChoi[37], Choy, Che, Chai, Chae / Chey[38]
Ch'uChuChoo, Chou, Cho, Chue, Chew
Ch'unChun
T'akTakTark, Tag, Tack, Tahk, Thak
T'anTanThan, Tahn, Tran
T'aeTaeTai, Tea, Te, Thae
P'anPan
P'aengPaengPaing, Peang, Pang, Peng, Phang
P'yŏnPyeonPyun, Pyon, Pyoun, Pyen, Pyeun
P'yŏngPyeongPyung, Pyoung, Pyong, Pyeoung
P'oPo
P'yoPyoPhyo, Poy, Peo, Pho, Pou
P'ungPungPoong, Poung
P'iPiPee, Phee, Phi, Pe, Phie
P'ilPilPhil, Fil, Peel
HaHah, Har, Hwa, Haa, Hagh
Hak
HanHahn, Hann, Haan, Khan, Hwan
HamHahm, Harm, Hamm, Haam, Hwam
Hae
HeoHur[39], Huh[40], Her, Hu, Ho
HyŏnHyeonHyun, Hyon, Hyoun, Hyen, Hyeun
HyŏngHyeongHyung, Hyoung, Hyong, Hung, Houng
HoHoh
HongHoung, Heung, Heong, Whong, Hohng
HwaWha, Hoa, Hua
Hwan
HwangWhang, Hoang, Huang, Hang, Hawng
황보HwangboWhangbo, Hoangbo, Hwangpo, Whoangbo, Howangbo
HuHou, Hoo, Hong, Who, Huu
HŭngHeungHong, Huynh, Khuong

표를 보면 알겠지만 한국인의 5대 성씨(인구 순위)인 김, 이, 박, 최, 정 중 가장 많이 쓰이는 표기(Kim, Lee, Park, Choi, Jung)와 개정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Gim, I, Bak, Choe, Jeong)가 일치하는 경우가 하나도 없다는 사실이 역설적인 실정이다. 특히 이 씨를 Lee로, 박 씨를 Park으로, 최 씨를 Choi로 표기하는 것은 (개정 전후 관계없이) 일반적인 표준 표기법에 어긋나지만 표기법을 따르는 경우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현실에 비추어 국어학자들 사이에 성씨 표기법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 열띤 토론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개정된 로마자 표기법에 의하면 성과 이름은 독자적으로 표기를 정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통용 표기는 사실상 공인된 상태다. 이런 예외 조항을 둔 자체가 한국 인구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5개 거대 성씨 집단이 표준 표기법을 따르지 않는 데서 비롯된 궁여지책일 것이다. (단 매큔-라이샤워 방식을 준용했던 개정 전의 표기법에는 Kim이라는 표기가 부합된다.) 그냥 매큔-라이샤워를 밀었어야 했어.

국립국어원은 2002년과 2009년에 성씨 로마자 표기 통일안을 내놓았다(국립국어원이 2009년 발표한 주요 성씨 로마자 2차 시안). 다만 성씨 로마자 표기 통일안 제정은 국립국어원의 뻘짓에 가깝다. 이미 개인이 여권, 명함 등에 나름대로의 로마자 표기를 사용하고 있고 이를 강제로 바꿀 수 없는 한(특히 여권의 표기는 잘 바꿔 주지 않는다) 성씨 로마자 표기 표준안은 전혀 현실적이지 않다. 실제로 네이버 뉴스 기사 댓글과 다음 뉴스 기사 댓글을 보면 성씨 로마자 표기 통일안을 정하는 것 자체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다만 '로마자 = 영어'로 잘못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으므로 걸러 가면서 봐야 한다.

가족 중에 미성년자 자녀가 있는 상태에서 출국하는 경우[41] 또는 가족 전체가 '한 가족으로서' 외국 이민을 가는 경우, 한 가족 내의 성씨 표기는 같게 하는 것이 좋다. 가족 구성원 모두가 성인인 경우 또는 가족 구성원 모두가 성인이면서 가족 전체가 '한 가족으로서' 외국 이민을 가는 경우가 아니라면, 한 가족 내의 성씨 표기가 꼭 같아야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실제로 모든 문화권에서 한 가족 내의 성씨가 언제나 같은 것도 아니므로(러시아, 아이슬란드 등), 가족 내 성씨 표기 일치는 의무 사항도 아니다.
가족 내 성씨 표기 일치 문제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여권 문서의 '성씨의 표기' 부분을 참고하자.

추가로 여권에는 성씨를 한 글자로 표기할 수 없기 때문에(성씨가 라틴 문자 한 글자로 표현되는 경우가 생기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시피 하다) 아, 이, 오, 우 씨의 경우 여권에 A, I, O, U로 표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거기다가 일부 외국 웹사이트 회원 가입 시 성을 A, I, O, U로 표기하면 '성이 너무 짧다'며 가입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외에 외교부 2011년 여권 자료에는 번, 별, 보, 봄, 악, 죄, 척 씨도 나타난다고 한다. 다만 이 성씨들은 2000년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나타나지 않은 성씨들이므로 귀화인일 가능성이 높다.

성씨M-R개정 표기법
PŏnBeon
PyŏlByeol
PoBo
PomBom
Ak
ChoeJoe
Ch'ŏkCheok

3 이름의 표기

이름은 사례가 너무 많으므로 일일이 예를 들기는 힘들고 전체적인 성향을 한 마디로 콕 집어 말한다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철저히 무시당하고 있다.[42] 그 나름대로 '통용' 표기를 염두에 두고 2000년에 새로 마련된 표기법도 거의 지켜지지 않는다. 이를테면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 참가한 한국 선수들의 이름 표기를 살펴보면 유일하게 차두리(Cha Du-ri)만이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 부합한다.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경향이 한국 인명의 표기에서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 영어의 철자법을 염두에 둔 표기
    • ㅜ 모음을 자주 oo/woo로 표기한다.
    • ㅣ 모음을 간혹 ee로 표기한다. 특히 '희'는 hee로 쓸 확률이 99% 이상이다.
    • 폐음절(종성으로 끝나는 음절)의 ㅓ를 자주 u로 표기한다.
      • 예: 박지 → Park Ji-sung, → Ryu Hyun-jin, 김유 → You Hyun Kim
      • 이건 u가 영어에서 [ʌ] 또는 [ə] 등의 발음을 가지는 데서 온 것이지만, 영어 이외의 언어에선 대부분 u는 그냥 ㅜ 아니면 ㅟ다.[43] 오히려 이렇기 때문에, 영어 화자들은 생소한 단어의 u를 보면 ㅜ로 읽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쌤쑹(Samsung)'이라든지 '유나 킴(Yuna Kim)' 발음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물론 그러다 보니 삼성에서는 아예 해외에서 쌤쑹을 인정하고 그렇게 부른다. (삼성은 일본 법인 명칭이 아예 サムン이다. 과거에 썼던 サムン이 아니라.)
    • a 다음에 h나 r을 집어넣는 등 ㅏ 발음을 유도하기 위한 혼신의 노력.
      • 그런데 영어에 ah나 ar로 시작해도 ㅏ 소리가 나지 않는 단어가 있다. ahead, arrest, area, similar 등.
    • 영어 단어 중에 비슷한 발음으로 들리는 것이 있으면 그 표기를 그대로 쓴다.
예: 문 → moon, 영 → young, 선 → sun, 순 → soon
  • 영어에서 부정적인 단어를 회피한다.
  • ㄱ만은 유독 위치에 상관없이 k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다.
예: 김영광 Kim Young-kwang
  • 이건 영어에서 g를 [d͡ʒ](≒ ㅈ)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영어에서 i나 e 앞의 g가 언제 [d͡ʒ] 발음이 나고 [ɡ] 발음이 나는지, 아예 기준조차 없는 혼돈의 카오스이기 때문에 아예 [ɡ]와 비슷한 [k]로 표기하는 것.
  • 최종 보스인 모음 표기는 개정 전후의 o, eo 외에도 u, ou, eou 등 그야말로 중구난방. 80년대에 행한 조사에서도 무려 10가지가 넘는다고 한다.
  • 무성음유성음의 자유로운(…) 교체가 일어난다.
  • 예: Park Ji-sung, Ban Ki-moon
  • 이건 무슨 소리인고 하니,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이 그런 것처럼 한국어의 ㄱ, ㄷ, ㅂ, ㅈ이 어두에서 무성음으로 발음되는 음운 현상을 반영한다면 마땅히 (모음과 받침은 일단 무시함) Park Chi-sung, Pan Ki-moon과 같이 표기해야 하고, 개정 로마자 표기법이 그런 것처럼 한국어 화자들이 그러한 음운 현상을 자각하지 못하고 ㄱ, ㄷ, ㅂ, ㅈ을 일률적으로 유성 자음 g, d, b, j에 대응시키는 현실을 반영한다면, 마땅히 Bark Ji-sung, Ban Gi-moon과 같이 표기해야 하는데, 그러한 일관성 없이 아무렇게나 유성음·무성음을 배치한다는 얘기다.
  • 이런 경우는 성씨의 표기는 물려받고 이름의 표기만 자신이 정한 경우라면 흔히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름이 '조진수'인 사람이 성씨 '조'의 표기는 물려받아서 Cho이고 이름 '진수'의 표기는 자신이 정한 Jinsu를 쓴다면 full name은 Cho Jinsu가 된다.
  •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음운을 하나의 로마자 철자로 표기한다. u를 ㅓ에도 쓰고 ㅜ에도 쓰는 현상이 일반적이다.
  • 예: 정명훈 Myung-whun Chung (일관성을 두고 읽는다면 '뮹훈중'이나 '명헌정' 같은 식이 될 것이다.)
  • 하나의 음운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로마자 철자로 표기한다.
  • 예: 서경덕 Kyoungduk Seo (ㅓ를 각각 eo, u, ou로 3가지 다른 방식으로 표기하고 있다.)

영어를 의식하는 표기 방식은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렵다. 영어는 로마자를 사용하는 여러 언어 중 하나일 뿐 '로마자 표기 ≠ 영문 표기'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영어가 국제 공용어로서 위상이 강하다고는 한들, 영어 화자가 아닌 이상 e를 [i]로, u를 [ʌ]나 [ə]로 읽을 가능성보다는 각각 [e], [u]에 가까운 발음으로 읽을 가능성이 높으며, a, o 다음에 굳이 h이나 r를 안 넣는다고 해도 [a], [o]와 영 동떨어진 소리를 낼 일은 어지간해선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 화자의 경우일지라도 저러한 '발음 유도'가 필요한지는 굉장히 의문스러운 것이다. 예컨대 미국 현지인들이 Barack Hussein Obama라는 유명한 인명을 어떻게 읽는지를 떠올려 보라. 해당 인명 표기에서 a 뒤에 r이 있다고 해서 '바'라고 읽지도 않고 반대로 a, o 뒤에 h, r를 첨가 안 해도 잘만 ㅏ, ㅗ에 가까운 모음으로 각 음절을 읽는다. Hussein을 후세인(/huːˈseɪn/)으로 읽는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u], [ɪ] 모음을 이끌어내기 위해선 u, i를 쓰면 그만일 뿐 지저분하게 o, e를 겹칠 필요도 없는 것이다. 한국인 특유의 '영어를 의식한' 방식으로 '버락 후세인 오바마'를 쓸 경우 Burrahk Hoo-seh-in Ohbahmah와 같이 될 텐데 이는 비영어권은 물론이요 영어권 사람들에게도 그다지 유용하지 않은 표기인 것이다.

단 후술하는 것처럼 발음이 아닌 의미를 염두에 둔 '영어 의식'이라면 아주 삽질은 아닐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도, 에밀 졸라(Émile Zola)를 보고 '이 새끼는 이름이 에밀 졸라가 뭐냐 ㅋㅋㅋ 패륜아 새끼'라고 비웃는 사람이 있다고 해도 그건 그 사람이 덜떨어진 것이지 에밀 졸라의 이름이 잘못된 것이 아니지 않느냐, 마찬가지로 Sin Hyena(신혜나)를 보고 '죄 많은 하이에나'라고 놀린다고 해도 신혜나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그렇게 놀리는 사람이 수준이 떨어지는 것이니 그럴 필요가 없다는 반론이 존재한다.

2010년대 들어서 여권을 처음 발급받는 사람들이 이름 부분에서 그나마 로마자 표기법을 지키는 것 같다. 이는 시청/도청/군청/구청 직원이 로마자 표기법을 따를 것을 권고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성은 부모에게 물려받아서 어쩔 수 없는 면이 있고(부모님이 여권을 발급받은 적이 없는 경우에는 성까지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기도 한다). 특히 그 사람이 10대 청소년이라면.

서강대학교의 안선재(Brother Anthony) 명예교수는 개인이 선호하는 표기를 존중하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를 괄호 안에 병기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 예: Moon Chung-hee (Mun Chŏnghŭi / Mun Jeonghui)

참고로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조선족의 경우, 여권 이름이 무조건 해당 한자의 표준중국어 음가의 한어병음 표기(성조 부호는 생략)를 따르게 된다. 그래서 金(김)은 JIN, 李(이)는 LI, 朴(박)은 PIAO 또는 PU, 崔(최)는 CUI, 郑(鄭, 정)은 ZHENG이 된다. 그래서 白青刚(백청강)의 여권 이름은 BAI, QINGGANG이고, 만약 이름이 李明博(이명박)인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의 조선족이 있다면 여권 이름은 LI, MINGBO가 된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여권을 발급할 때는 예외 없이 한자의 표준 중국어 음가의 한어 병음 표기를 따른다(다만 홍콩과 마카오는 여권이 따로 나오기 때문에 제외).

3.1 유명인들의 표기

유명인이 사용하는 표기를 추가할 때는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른다.

  • 반드시 '본인이 직접 공식적으로 이렇게 적는다'를 확인할 수 있는 출처를 제시할 것.
    • 출처의 예: 신분증(여권 등), 공식 웹사이트, 공식 SNS, 직접 작성한 논문, 본인 명의로 낸 작품, 해외 경기 출전 기록, 언론 보도, 본인 명의로 한 법적 요청 등
  • Hong Gildong과 같이 '성 이름' 순서로 기재하고, 성과 이름의 첫 번째 글자만 대문자로 한다. 붙임표(-) 뒤도 Gil-dong과 같이 소문자로 한다.
  • 음절 구분 문자의 유무는 본인 표기를 그대로 따라간다. 즉 Gildong이면 Gildong 그대로 쓰고 Gil-dong이면 Gil-dong 그대로 쓴다. 다만 공백은 붙임표로 바꾼다(Gil Dong → Gil-dong). 로마자 표기법(M-R, 개정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표기법 원칙에 따라서만 적는다.
  • 가나다순으로 추가 바람.
한글본인 표기출처M-R개정 표기법
기성용Ki Sung-yueng소속 팀 공식 웹사이트Ki SŏngyongGi Seongyong
김다래(디(라니아))Kim Darae여권Kim TaraeGim Darae
김연아Kim Yuna이름 관련 기사Kim YŏnaGim Yeona
김예림Kim Yae-lim여권Kim YerimGim Yerim
김재중Kim Jae-jung여권Kim ChaejungGim Jaejung
김준수(JYJ)Kim Jun-soo여권Kim ChunsuGim Junsu
김태원(음악인)Kim Tae-won여권Kim T'aewŏnGim Taewon
김희철(희철)Kim Heechel여권Kim Hŭich'ŏlGim Huicheol
도대윤Do Dae-yoon여권To TaeyunDo Daeyun
박명수Park Myung-soo여권Pak MyŏngsuBak Myeongsu
박유천Park Yuchun여권Pak Yuch'ŏnBak Yucheon
박효진
(나르샤(브라운 아이드 걸스))
Park Hyojin여권[48]Pak HyojinBak Hyojin
박휘순Park Hwisoon여권Pak HwisunBak Hwisun
배경록(청동(인물))Bae Kyung-rokDMCA takedown 요청,
구글 투명성 리포트
Pae KyŏngnokBae Gyeongrok
서경덕(교수)Seo Kyoungduk본인 Facebook 이름[49]Sŏ KyŏngdŏkSeo Gyeongdeok
손석희Sohn Sukhee이름 관련 보도Son SŏkhŭiSon Seokhui
송은이Song Eun-i여권Song ŬniSong Euni
신봉선Shin Bongseon여권Sin PongsŏnSin Bongseon
심창민(최강창민)Shim Chang-min여권Sim Ch'angminSim Changmin
안희연(하니(EXID))Ahn Heeyeon여권(데이터 주의)An HŭiyŏnAn Huiyeon
이기광Lee Kikwang여권I KigwangI Gigwang
이승연Lee Seoung-yeon여권I SŭngyŏnI Seungyeon
임윤아(윤아(소녀시대))Lim Yoona여권Im YunaIm Yuna
장재인Jang Jaein여권Chang ChaeinJang Jaein
정경훈(Puzzlet Chung)Chung Kyung-hown본인 GitHub 페이지Chŏng KyŏnghunJeong Gyeonghun
정기석(사이먼 도미닉)Jung Ki-suck여권Chŏng KisŏkJeong Giseok
정명훈(지휘자)Chung Myung-whunCD 표지Chŏng MyŏnghunJeong Myeonghun
정몽준Chung Mong-joon논문Chŏng MongjunJeong Mongjun
정윤호(유노윤호)Chung Yun-ho여권Chŏng YunhoJeong Yunho
진중권Chin Jungkwon공식 트위터Chin ChunggwŏnJin Junggwon
최시원(시원(슈퍼주니어))Choi Siwon여권Ch'oe SiwŏnChoe Siwon
한선화Han Seonhwa여권Han SŏnhwaHan Seonhwa

3.1.1 대한민국 대통령 이름의 표기

대한민국 대통령들의 이름 표기는 다음과 같다. 보면 알겠지만 박근혜[50] 대통령과 김대중[51] 전 대통령을 제외하고는 역대 대통령의 공식적인 로마자 이름 표기는 단 하나도 당시 표기법에 부합하는 게 없다.

한글본인 표기M-R개정 표기법
이승만Rhee, Syngman[52]I SŭngmanI Seungman
윤보선Yun PosunYun PosŏnYun Boseon
박정희Park Chung-heePak ChŏnghŭiBak Jeonghui
최규하Choi Kyu-hahCh'oe KyuhaChoe Gyuha
전두환Chun Doo-hwanChŏn TuhwanJeon Duhwan
노태우Roh Tae-wooNo T'aeuNo Taeu
김영삼Kim Young-samKim YŏngsamGim Yeongsam
김대중Kim Dae-jungKim TaejungGim Daejung
노무현Roh Moo-hyunNo MuhyŏnNo Muhyeon
이명박Lee Myung-bakI MyŏngbakI Myeongbak
박근혜Park Geun-hyePak KŭnhyeBak Geunhye

4 법인명의 로마자 표기

인명의 연장선으로 법인의 이름도 로마자 표기를 살펴볼 수 있는데, 정확한 표기를 우선해야 할 한국의 법인 이름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마저도 혼파망이다(...). 아래는 표준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지 않는 법인의 목록이다.

4.1 기업

'그룹', '은행', '증권' 등에 해당되는 말은 제외한다. 가나다순으로 추가 바람.

이름기업 표기M-R개정 표기법
TBCTaeguTaeguDaegu
경남기업KeangnamKyŏngnamGyeongnam
경남은행KyongnamKyŏngnamGyeongnam
광주은행KwangjuGwangju
교보생명KyoboGyobo
국민은행KookminKungminGungmin
귀뚜라미그룹KituramiKwitturamiGwitturami
금호아시아나그룹KumhoKŭmhoGeumho
농심그룹NongshimNongsim
농협NonghyupNonghyŏpNonghyeop
대교그룹DaekyoTaegyoDaegyo
대림산업DaelimTaerimDaerim
대성그룹DaesungTaesŏngDaeseong
대신증권DaishinTaesinDaesin
대우그룹DaewooTaeuDaeu
동서그룹DongsuhTongsŏDongseo
동양그룹TongyangDongyang
두산그룹DoosanTusanDusan
번창운수BunchangPŏnch'angBeonchang
부영그룹BooyoungPuyŏngBuyeong
삼성그룹SamsungSamsŏngSamseong
수협SuhyupSuhyŏpSuhyeop
신세계그룹ShinsegaeSinsegye
신영증권ShinyoungSinyŏngSinyeong
신한금융지주회사ShinhanSinhan
애경그룹AekyungAegyŏngAegyeong
오뚜기Ottogi[53]OttugiOttugi
우리은행WooriUri
종근당Chong Kun DangChonggŭndangJonggeundang
코오롱그룹[54]KolonK'oorongKoorong
하이트진로JinroChilloJillo
한화그룹HanwhaHanhwa
현대그룹HyundaiHyŏndaeHyeondae
효성그룹HyosungHyosŏngHyoseong
후성그룹FoosungHusŏngHuseong

4.2 교육 기관

National, Women's/Womans, University 등 한국어를 로마자로 옮긴 것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은 제외한다. 가나다순으로 추가 바람.

이름교육 기관 표기M-R개정 표기법
가야대학교KayaGaya
가천대학교GachonKach'ŏnGacheon
강원대학교KangwonKangwŏnGangwon
건국대학교KonkukKŏn'gukGeonguk
건양대학교KonyangKŏnyangGeonyang
경기대학교KyonggiKyŏnggiGyeonggi
경남대학교KyungnamKyŏngnamGyeongnam
경동대학교KyungdongKyŏngdongGyeongdong
경민대학교KyungminKyŏngminGyeongmin
경복대학교KyungbokKyŏngbokGyeongbok
경북대학교KyungpookKyŏngbukGyeongbuk
경성대학교KyungsungKyŏngsŏngGyeongseong
경운대학교KyungwoonKyŏngunGyeongun
경일대학교KyungilKyŏngilGyeongil
경희대학교Kyung HeeKyŏnghŭiGyeonghui
계명대학교KeimyungKyemyŏngGyemyeong
고구려대학교KoguryeoKoguryŏGoguryeo
고신대학교KosinGosin
공주대학교KongjuGongju
국민대학교KookminKungminGungmin
군산대학교KunsanGunsan
군장대학교KunjangKunjangGunjang
금오공과대학교KumohKŭmoGeumo
김포대학교KimpoKimp'oGimpo
꽃동네대학교KkottongnaeKkottongneKkotdongne
농협대학교NonghyupNonghyŏpNonghyeop
단국대학교DankookTan'gukDanguk
대경대학교DaekyeungTaegyŏngDaegyeong
대구한의대학교Daegu HaanyTaegu HanŭiDaegu Hanui
대덕대학교DaedukTaedŏkDaedeok
대림대학교DaelimTaerimDaerim
대신대학교DaeshinTaesinDaesin
덕성여자대학교DuksungTŏksŏngDeokseong
동덕여자대학교DongdukTongdŏkDongdeok
동명대학교TongmyongTongmyŏngDongmyeong
동신대학교DongshinTongsinDongsin
동원대학교TongwonTongwŏnDongwon
두원공과대학교DoowonTuwŏnDuwon
명지대학교
명지전문대학
MyongjiMyŏngjiMyeongji
배재대학교Pai ChaiPaejaeBaejae
백제예술대학교PaekcheBaekje
부경대학교PukyongPugyŏngBugyeong
부산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PusanBusan
삼육대학교
삼육보건대학교
SahmyookSamyuk
상명대학교SangmyungSangmyŏngSangmyeong
서강대학교SogangSŏgangSeogang
서경대학교SeokyeongSŏgyŏngSeogyeong
서울대학교Seoul[55]SŏulSeoul
서해대학교SohaeSŏhaeSeohae
선린대학교SunlinSŏllinSeollin
선문대학교Sun Moon[56]SŏnmunSeonmun
성결대학교SungkyulSŏnggyŏlSeonggyeol
성덕대학교SungdukSŏngdŏkSeongdeok
성균관대학교SungkyunkwanSŏnggyun'gwanSeonggyungwan
성신여자대학교SungshinSŏngsinSeongsin
세경대학교SaekyungSegyŏngSegyeong
세명대학교SemyungSemyŏngSemyeong
숙명여자대학교SookmyungSungmyŏngSungmyeong
순천대학교SunchonSunch'ŏnSuncheon
순천향대학교Soon Chun HyangSunch'ŏnhyangSuncheonhyang
숭실대학교SoongsilSungsilSungsil
숭의여자대학교SoongeuiSungŭiSungui
신경대학교ShingyeongSin'gyŏngSingyeong
신한대학교ShinhanSinhan
연성대학교YeonsungYŏnsŏngYeonseong
연세대학교Yonsei[57]YŏnseYeonse
연암공업대학YonamYŏnamYeonam
영남대학교YeungnamYŏngnamYeongnam
영산대학교YoungsanYŏngsanYeongsan
우석대학교WoosukUsŏkUseok
우송대학교
우송정보대학
WoosongUsong
웅지세무대학교WoongjiUngji
원광대학교WonkwangWŏn'gwangWongwang
위덕대학교UidukWidŏkWideok
이화여자대학교EwhaIhwa
인덕대학교IndukIndŏkIndeok
전남대학교ChonnamChŏnnamJeonnam
전북대학교ChonbukChŏnbukJeonbuk
조선대학교ChosunChosŏnJoseon
중부대학교JoongbuChungbuJungbu
중앙대학교Chung-AngChungangJungang
중앙승가대학교Joong-Ang SanghaChungang SŭnggaJungang Seungga
창신대학교ChangshinCh'angsinChangsin
청강문화산업대학교ChungkangCh'ŏnggangCheonggang
청운대학교ChungwoonCh'ŏngunCheongun
총신대학교ChongshinCh'ongsinChongsin
한경대학교HankyongHan'gyŏngHangyeong
한국외국어대학교HankukHan'gukHanguk
한림대학교HallymHallimHallim
한성대학교HansungHansŏngHanseong
한세대학교HanseiHanseHanse
한신대학교HanshinHansin
한영신학대학교HanyoungHanyŏngHanyeong
협성대학교HyupsungHyŏpsŏngHyeopseong

4.3 언론사

'뉴스', '신문', '일보' 등에 해당되는 말은 제외한다. 가나다순으로 추가 바람.

한글언론사 표기M-R개정 표기법
경향신문KyunghyangKyŏnghyangGyeonghyang
국민일보KukminKungminGungmin
연합뉴스YonhapYŏnhapYeonhap
조선일보ChosunChosŏnJoseon
중앙일보JoongAngChungangJungang
한겨레HankyorehHan'gyŏreHangyeore
한국일보HankookHan'gukHanguk

5 여담

5.1 다른 언어권의 비슷한 사례

중국어권의 경우, 본토 중국의 경우는 한어병음이 잘 지켜지지만, 정작 동남아 등으로 이주한 화교들은 잘 안 지키는 경향이 강하다. 사실 이 사람들 입장에서는 지킬 이유가 없는 것이, 한어병음은 중국 본토의 언어(특히 표준중국어) 표기용이기 때문이다. 아래 나오는 광동어나 민남어는 표준 중국어와는 아예 어음(語音) 체계가 완전히 다르다. 싱가포르 총리인 리셴룽한어병음 규칙에 따르면 Lǐ Xiǎnlóng으로 써야 하나, 리셴룽 본인은 자신의 이름을 Lee Hsien Loong이라고 쓴다. 이는 광동성 등 중국 남부 출신 화교들의 공통적인 현상으로, 한어병음 이전에 영국령 홍콩에서 나름대로 통용되던 광동어 기반 알파벳 표기(영국식 영어에 기반한)가 홍콩 및 화교 사회에 널리 정착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들은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자도 아니니 굳이 바꿀 필요도 없다. 주윤발도 자기 이름을 Zhōu Rùnfā가 아니라 Chow Yun-fat으로 표기하는데 이 역시 광동어 기반 표기이다.[58] 물론 광동어만 그렇게 표기하는 게 아니라 민남어(陈庆炎 → Tan Keng Yam[59] 등) 같은 다른 방언도 마찬가지이고, 리셴룽의 경우 표준 중국어 이름을 병음이 아니라 웨이드-자일스 + 영어식으로 쓴 경우.

홍콩과 마카오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지만, 여권이 중화인민공화국과는 따로 나온다(무비자로 갈 수 있는 나라의 수도 다르다). 그래서 홍콩 여권이나 마카오 여권의 이름 표기는 한어병음을 의무적으로 따를 필요가 없으며, 실제로 광동어 발음에 기반한 표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반면 중화인민공화국은 여권 이름 표기에 일괄적으로 한어병음을 적용한다). 물론 광동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통일되어 있지 않으므로 표기 실태가 좀 중구난방이긴 하다.

대만 역시 마잉주를 "Ma Ying-jeou"라고 쓰는 등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한어병음 표기는 Mǎ Yīngjiǔ). 대만에서도 한어병음이 2009년에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지정되었으나 사용되는 예를 거의 찾아보기 힘들고, 보통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맞춰 쓰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불규칙한 표기 역시 매우 많다.

아랍어권 인명의 로마자 표기 또한 중구난방인데, 아랍어의 경우 국가·지역마다 발음이 다른 데다가(아랍어 방언 참고) 통일된 로마자 표기법도 없기 때문이다. 특히 무아마르 알 카다피와 같이 개인이 자신의 이름을 어떻게 로마자로 적어 달라고 공인한 적이 없는 경우는 한 사람의 이름 로마자 표기가 수십 개에 이르기도 한다. 가장 흔한 아랍어 이름 무함마드/무하마드/마호메트/모하메드(محمد)만 해도 Muhammad, Moohammad, Moohamad, Mohammad, Mohamad, Muhamad, Mohamed, Mohammed, Mohemmed, Muhemmed, Muhamed, Muhammed, Moohammed, Mouhammed 등으로 표기될 수 있고, 마지막의 d를 t로 쓰기도 하기 때문에 가능한 철자 수는 배로 늘어난다.

5.2 이름(first name)의 띄어쓰기/하이픈 문제

이름(first name, 성을 제외한 부분)은 붙여 쓰는 것이 좋다. 홍길동이면 Gildong Hong이나 Hong, Gildong이라고 쓰는 것이 가장 좋고 안전하다.

로마자를 쓰는 많은 국가에는 middle name이라는 게 있는데(예: Barack Hussein Obama에서 Hussein), '홍길동'을 Gil Dong Hong이라고 쓰면 Gil이 first name이고 Dong이 middle name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이름이 Gil D. Hong이 되거나 Gil Hong이 되는 경우가 많고, 이는 수많은 동명이인을 양산하게 된다. 돌림자가 앞쪽에 있는 형제자매라면 이름이 같아져서 누가 누군지 구분이 되지 않고, 이름이 Gil D. Hong이나 Gil Hong이 되면 다른 Gil (D.) Hong과 은행 금융거래 기록이나 범죄 기록 등이 꼬여서 엉뚱한 사람(당신이 될 수도 있다)이 피해를 볼 수 있다. 예전에는 대한민국 여권을 발급할 때 한국인의 이름을 대부분 GIL DONG과 같이 띄어 써서 DONG이 middle name으로 잘못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현재는 외교부에서 이를 인지하여 지금은 이름을 GILDONG과 같이 공백 없이 붙여 쓴다.

한 예로 차범근은 이름의 로마자 표기를 Bum Kun Cha로 사용했다. 독일 사람들도 Cha가 성씨인 것은 이해했지만, Bum Kun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고 Kun을 middle name으로 생각해 버렸다. 자연스럽게 middle name이 빠지면서 Cha Bum이라 불리게 되었다. 결국 이것이 굳어져 그 유명한 '차붐'이 되었다. 게다가 다행스럽게도 독일에서는 bum은 영어 boom의 의미로 받아들여져서 좋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었다(반면 영어로 bum은 엉덩이, 부랑자를 뜻하는 속어이다). 차부우우움!!!

Gil Dong처럼 first name에 공백이 있더라도 Gil Dong 전체를 first name으로 넣어 달라고 요청하면 되지 않느냐고 할 수도 있는데, 해외 살아 보면 저런 소리 못 한다. 대부분의 시스템은 first name에 공백을 받아들이지 않도록(공백을 넣으면 자동으로 middle name으로 넘겨 버리도록) 만들어져 있고,[60] 따라서 Gil Dong 전체를 first name으로 넣어 달라고 요청하더라도 그렇게 처리가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여전히 Gil이 first name, Dong이 middle name으로 들어가게 된다).[61] 시스템의 문제 아니냐고 할 수도 있는데, 단지 몇 명만을 위해서 시스템을 바꿔 주지 않는다. 만약 미국에서 운전 면허증을 발급받는 상황이라면, 차량국(DMV) 직원이 '너님 면허증 받을래 말래?'라고 하면 할 말 없다. 즉 first name에 공백이 있으면 자기만 손해일 뿐이다.

또한 성을 제외한 이름을 Gildong과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무엇이 성이고 무엇이 이름인지 판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한국인들이 성명을 로마자로 쓸 때 Gildong Hong처럼 서양식으로 성을 뒤에 쓰는 경우도 많고 Hong Gildong처럼 동양식으로 성을 앞에 쓰는 경우도 많은데, 이러다 보니 Ha Na Min과 같이 각 음절별로 띄어 쓰면 성이 Ha인지 Min인지 한국인들조차 알 수 없다. 반면에 Hana Min으로 쓰면 적어도 한국인들은 Min이 성인 것을 분명히 알 수 있고 Ha Namin으로 쓰면 적어도 한국인들은 Ha가 성인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하이픈(-) 사용은 금지된 것은 아니지만 권장되지도 않는다. 하이픈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ntoine-Laurent de Lavoisier의 Antoine-Laurent는 Antoine과 Laurent 두 개가 별개의 이름이다. 그래서 Antoine Lavoisier라고 짧게 부르기도 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어 이름 '길동'은 두 개의 다른 이름이 합쳐진 것이 아니라 애초부터 하나의 이름이다. Gil-Dong Hong이라고 쓰고서 'Gil-Dong이 하나의 이름이에요.' 라고 주장해도, 서구권 사람들 입장에서는 쉽게 납득이 가지 않을 것이다. 더구나 남유럽에서는 부모의 성을 합쳐 자식의 성을 지어줄 때, (아버지의 성)-(어머니의 성)으로 쓸 때가 있다. 이름에 하이픈을 쓰는 것은 이런 오해를 부르며, 현지인들에게 '길씨 아버지 동씨 어머니의 아들인 홍'이라고 생각하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전산망에서는 하이픈조차 입력이 안 되는데, 이 경우 하이픈을 없애는 경우도 있고 공백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Gil-Dong Hong, Gildong Hong, Gil Dong Hong 등으로 표기가 갈라질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Gil Dong이나 Gil-dong이 아니라 꼭 Gildong으로 쓰자. 여권을 재발급받을 때 공백만 없애는 것(GIL DONG → GILDONG)은 언제나 가능하다(오히려 현재는 한국 외교부도 공백 없이 붙여 쓰는 것을 권장한다).

더 자세한 사항은 여권 문서의 '이름' 문단을 참고할 것.

참고로 중국어의 한어 병음도 성명을 쓸 때 성씨를 제외한 이름은 붙여 쓰고, 일본인들도 성명을 로마자로 쓸 때 음절 단위나 한자 단위로 띄어 쓰지 않는다. 그냥 성씨와 이름(first name) 사이만 분리하고 나머지는 붙여 쓴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여권과 일본 여권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예: XI, JINPINGABE, SHINZO). 그리고 이렇게 하는 것이 외국에서 성씨를 제외한 이름이 반으로 잘리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다만, 외신은 한국인의 성명을 표기할 때 (개인의 요청이 없는 한) Park Geun-hye와 같이 이름(first name)에 하이픈을 넣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김연아의 경우 하이픈 없이 Yuna Kim으로 표기해 달라는 요청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는 하이픈을 넣지 않는다. 반면 북한 사람의 이름은 (이것도 아마 개인의 요청이 없는 한) Kim Jong Un과 같이 하이픈도 안 넣고 각 음절을 다 띄어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근데 요청할 수가 없다. 그래서 북한 출신 '김민수'가 탈북해서 남한 사람이 되면 외신이 사용하는 로마자 표기가 Kim Min Su에서 Kim Min-su로 바뀌게 된다.

5.2.1 대문자 표기 문제

원칙적으로 고유명사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적고 나머지는 소문자로 적는다. 즉, 홍길동의 경우는 Gildong Hong이나 Hong, Gildong은 맞는 표현이고 GilDong Hong과 같은 표현은 옳지 않다. 영어를 비롯한 로마자 계열 언어 중에서 단어 중간에 대문자가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어디까지나 특별한 경우에 한정돼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음절의 첫 글자가 i인 경우, 이 i를 대문자로 적으면 소문자 L로 잘못 인식될 수도 있다. 대문자 i와 소문자 L이 외관상으로 거의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영어권에서 많이 쓰는 Arial 글꼴부터가 둘을 외관상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Haein을 HaeIn으로 적으면 HAELN으로 잘못 인식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Haein과 같이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적는 것이 좋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음절 단위로 띄어쓰기를 해버리고, 각각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어서 Gil Dong Hong으로 적으면 Dong을 middle name으로 착각할 가능성은 더욱 더 높아진다.

다만, 여권의 경우는 모두 다 대문자로 적는다. 즉 HONG, GILDONG이라고 적는다. 이는 여권 관련 국제 규격(ICAO Doc 9303)에서 성명(full name)의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적을 것을 권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용카드 같은 경우에도 모두 대문자로 출력된다. 그리고 로마자 언어권에서 발행하는 각종 신분증도 성명을 대문자로만 적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올림픽 등 국제 경기의 TV 중계 자막에는 편의상 성씨는 모두 대문자로, 이름(first name)은 일반적인 대소문자 표기로 쓰는 경우가 많다(예: HONG Gildong / Gildong HONG).

5.3 이름 성 vs 성 이름

이름 성(Gildong Hong)으로 쓰는 것이 더 좋다. 성 이름(Hong Gildong)으로 쓰는 것은 서구권에서는 오해의 여지가 크다.

서양에서는 동아시아 문화에 대해 별 관심이 없기 때문에(동아시아 문화는 서양에서 상당히 마이너하다), 서양인들 대부분은 동아시아에서 성씨를 먼저 쓴다는 것을 모른다. 따라서 성 이름(Hong Gildong)으로 쓰면 십중팔구는 Gildong을 성씨로 인식한다. 같은 서구권의 헝가리 사람들의 이름이라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국립국어원 등은 '동아시아에서는 성씨를 먼저 쓴다는 것을 아는 서양인들도 많다.'라고 말하는데, 실제로 서양인들 중 동아시아에서 성씨를 먼저 쓴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어디까지나 동아시아 문화를 접해 본(속된 말로 '동아시아 물을 먹어 본') 극소수에 불과하다. 정보 전달에 있어서 성명(full name)에서 무엇이 이름(first name)이고 무엇이 성씨인지가 정확히 식별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동아시아에서 성씨를 먼저 쓴다는 지식이 없는 대부분의 서양인들이 무엇이 이름이고 무엇이 성씨인지 정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이름 성(Gildong Hong)으로 쓰는 것이 훨씬 더 유리할 것이다.

실제로 영어권 국가 등 성씨를 뒤에 쓰는 문화권에서 살게 되면 알아서 '이름 성' 순서(Western order)로 Gildong Hong으로 쓸 수밖에 없게 된다. 동아시아 출신이 아니라면 대부분 동아시아에서 성씨가 먼저 온다는 것을 모르고, 따라서 '성 이름' 순서(Eastern order[62])로 Hong Gildong이라고 쓰면 성명(full name)을 쓸 때마다 Gildong이 성씨인 것으로 오해를 받게 된다. 즉 '성 이름' 순서를 고수하면 오히려 자기만 불편할 뿐이다. 그러므로 이름 성(Gildong Hong)으로 쓰는 것이 결국에는 더 편리하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그리고 성씨에 Hong, 이름(first name)에 Gildong이라고 적어 내면 대부분의 시스템은 자동으로 Gildong Hong과 같이 '이름 성' 순서로 출력한다. 동아시아 출신이라고 성씨 먼저 써 주는 그런 배려 없으며, 만에 하나 그런 배려를 해서 어떤 경우는 이름(first name)이 앞에 오고 어떤 경우는 성씨가 앞에 오면 오히려 사람들만 헷갈릴 뿐이다. 간혹 성씨를 먼저 쓰는 경우도 있기는 한데, 이런 경우는 어디까지나 일괄적으로 성씨를 먼저 쓰는 경우이며, 서양식 이름과 동아시아식 이름을 따로 구분하지도 않는다(예: Smith, John 및 Hong, Gildong).

성씨를 뒤에 쓰는 문화권에 사는 중국인들이나 다른 동아시아인들도 '이름 성' 순서로 쓴다. 굳이 '성 이름' 순서를 고수해서 불편을 일으킬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성씨를 먼저 쓸 때는 Hong, Gildong과 같이 성씨 바로 다음에 comma(,)를 넣는 것이 좋다. 다만 comma를 넣은 이 형태는 어디까지나 성명(full name)을 단독으로 쓸 때 또는 여러 인명을 나열한 목록 등에서나 쓰이는 형태이며, 문장 중에는 쓸 수 없다.[63]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이하 '중국')을 예로 들어보면, 세계 각지의 중국 대사관은 중국 비자에 신청인의 성명(full name)을 적을 때 무조건 '이름 성' 순서로만 적는다. 출신 국가를 기준으로 어떤 경우에 성씨를 먼저 적는지 이름(first name)을 먼저 적는지를 결정하게 만들면 시스템도 더 복잡해지고, 비자를 확인하는 중국의 입국 심사관들이나 관공서 직원들도 어떤 것이 성씨이고 어떤 것이 이름(first name)인지 헷갈려서 실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니까 세계에서 더 보편적이고 더 잘 알려진 '이름 성' 순서로만 통일해서 적는 것이다.

5.4 자의가 아닌 표기 오류

체크카드신용카드를 신청하면, 신청서에 적은 대로 영문 이름을 각인하지 않는 경우가 매우 많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성씨 표기 바꾸기가 있다. 예를 들어 Gim으로 신청했는데 Kim으로 각인하는 경우. 실제로 Yi로 적어 냈는데 은행에서 Lee로 발급해 준 사례가 있다. 참고로 이런 일은 영어권 국가에서는 절대로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영어권 국가에서 은행 계좌를 만들면 무조건 여권 표기대로 적어 주며(물론 신용카드나 직불카드(debit card)를 신청할 때도 마찬가지다), 은행 직원이 자기 마음대로 다른 표기를 쓸 수 없다. 즉 고객의 이름을 자기 마음대로 바꾸는 한국의 은행 직원들이 쓰레기 같은 짓을 하고 있는 것이다. 혹시 은행 직원들이 카드의 이름을 마음대로 각인했다면, '내 친구, 지인 중에 외국 사는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 말에 따르면 외국에서는 무조건 여권의 이름을 그대로 적어 준다고 한다. 그런데 왜 한국에서는 여권 이름을 존중하지 않고 직원들이 마음대로 바꿔서 발급함? 외국 나가서 카드 못 쓰면 당신들이 책임질 거임?' 하고 따지고 카드를 정정된 이름으로 재발급받자. 여권 얘기가 나온 시점에서 이미 충분한 재발급 사유가 된다.

은행 직원이 "이 정도는 봐줘요."라고 하더라도 당당하게 재발급 받자. "외국에서 신분증 검사해서 철자 틀리다고 못 쓰게 하면 책임질 거냐."라고 하면 군말 없이 해준다. 실제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여권의 이름과 금융카드의 이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카드 사용이 거절될 수 있으므로 꼭 제대로 표기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한국어와 그 표기법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이 보기에는 Kim과 Gim, Park과 Bak 등은 다른 이름으로 간주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이름자 사이를 붙여서 쓰는 사람의 경우에는 이를 띄어 놓는 경우가 있다. 신용카드 정도는 그나마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여권 신청 시에는 확실하게 표시하지 않으면 멋대로 띄어서 표기되는 경우가 흔했지만 지금은 붙여 쓰는 것이 원칙이다(여권 문서 참고). 한국에서 실시되는 TOEIC의 경우 주최 측에서 아예 시험 안내 방송 시 근거도 없이 띄어 써야 한다는 엄포를 놓기도 했다. 바보 인증. 지금은 붙여 써도 상관없다.
해외 거주 시 한인 상담원을 통해서 어떤 서비스에 가입할 때도 이런 일이 생길 수 있다. 한인들의 이름이 띄어져 있는 경우가 아직은 더 많다 보니, 따로 말을 하지 않으면 띄어 쓴다고 생각하고 상담원이 자기 마음대로 중간에 공백을 넣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붙여 쓴다고 말하면 간혹 GilDong처럼 중간에 대문자를 쓰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한다. 즉 자신이 현지 언어가 어느 정도 되고 서비스 가입 시 이름이 올바르게 적히기를 원한다면 한인 상담원을 피하는 것이 좋다. 만약 꼭 한인 상담원을 통해야 하는 경우라면 "first name에 띄어쓰기 안 합니다. 공백 넣지 마시고 반드시 한 단어로 붙여서 적어 주세요. 그리고 first name의 첫 글자와 last name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적고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Gildong Hong) 적거나, 아니면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GILDONG HONG) 적어 주세요." 같은 식으로 확실히 말해야 한다.

그리고 오타가 의외로 많다. G가 연속 두 번 나와야 하는데 한 번만 표기한다던가... -ngg-이 -ng-으로!

흔한 일은 아니나, 심지어 여권에도 KIM이 KTM으로, PARK이 RARK으로 잘못 적히는 문제가 생긴 적이 있다. 비슷한 모양의 글자로 잘못 적힌 것으로 보아, 외교부나 조폐공사에서 여권 신청서를 OCR로 판독해서 이름을 집어넣는 것으로 보인다(사람이 직접 입력한다면, 바보가 아니고서야 KIM을 KTM으로 입력하거나 PARK을 RARK으로 입력할 리가 없다). OCR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글자가 잘못 인식되기도 하는데, 이때 직원이 잘못 인식된 것을 발견하고 정정하면 다행이지만, 미처 발견하지 못하면 잘못된 철자가 여권에 그대로 적히게 된다. 이런 경우는 명백히 발급 기관(외교부 또는 조폐공사)의 실수이므로 당당하게 여권을 무료로 재발급받도록 하자.

장난이 아니다. 꼭 확실히 제대로 표기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5.5 외국어에서 부정적으로 쓰이는 단어

대부분 영어에서 부정적으로 쓰이는 단어와 겹치는 경우이다. 신경 쓰인다면 이 목록을 잘 참고해 보자. 자신이 외국에 자주 나가는 경우라면 신경 쓰는 것도 좋다. 다만 이 경우 영어만 아니라 스페인어, 프랑스어 등 로마자로 쓰는 다른 언어들에서 부정적으로 쓰는 단어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바꾼다면 당연히 여권이나 신용·체크카드의 로마자 표기를 변경해 주는 것을 잊지 말자.

  • '강'은 gang으로 쓰면 (범죄 조직, 폭력단)이 된다. gahng이나 kang, kahng로 대체할 수 있다. 성씨 '강'은 절대 다수가 Kang으로 쓴다.
  • '건'이나 '군'은 gun으로 적으면 이 된다. g 대신 k를 쓸 수 있다. '군'의 경우 g를 유지한다면 goon으로 적을 수도 있겠으나, 이는 지나치게 영어식이라는 단점이 있다.
  • '고'는 ko로 적으면 Knock Out의 약자 KO와 같아진다. go, koh, goh로 적을 수 있다.
  • '곡'은 kok으로 적으면 cock과 발음이 같아져서 심히 곤란할 수 있다. gok, goke, koke으로 대체할 수 있다.
  • '국'은 동양인 비하 표현에서도 상급인 국(gook)과 유사하게 들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guk이라고 표기했을 시 '걱'이라고도 읽을 수 있는 걸 방지하려고 gook이라고 표기하고 싶을 수 있으나, 본의 아니게 비하적 표현이 자신의 이름에 섞이게 되니 권하지 않는다. kook으로 대체할 수 있다.
  • '군': 위의 '건' 항목 참고.
  • '길'은 kil으로 적으면 kill과 발음이 같아져서 심히 곤란할 수 있다. gil로 쓸 수 있다.
  • '노'도 no라고 표기 시 '아니오'라는 뜻이 있다 보니... noh, ro, roh로 대체되는 편이다. 참고로 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노태우 전 대통령 모두 Roh를 사용하였다.
  • '당'은 보통 dang으로 표기하는데, 영어에서 dang은 속어 damn의 변형이다. dahng, tang, tahng 정도로 쓸 수 있다.
  • '동'은 보통 dong으로 표기하는데, 북미에서는 이게 보통 음경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지역에 따라서는 dung, 즉 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므로 아주 곤란한 이름이다. o를 oh로 늘려 dohng라고 쓰거나,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응용하여 tong, tohng으로 쓰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 '반'은 ban이라고 쓰면 '차단하다'라는 의미가 된다. 실제로 반기문(Ban Ki-moon) UN 사무총장은 취임사에서 이걸 개그 소재로 써먹었다. bahn, pan, pahn 정도로 쓸 수 있다.
  • '방'은 bang이라고 쓰면 총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가 된다. 실제로 이것 때문에 조롱거리가 된 어떤 방 씨도 있다. bahng, pang, pahng 정도로 쓸 수 있다.
  • '범'은 위에 차범근의 경우에서도 보는 것처럼 '엉덩이'라는 뜻을 가진 bum과 겹친다. 표기야 어쨌든 발음이 bum이어서 곤란하다. beom으로 쓰는 것이 가장 좋은 표기이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응용해서 b 대신 p를 써 pum, peom으로 쓰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 '빈'은 보통 bin으로 표기하는데, bin은 미국 영어에서는 커다란 용기(통, 그릇) 정도의 뜻이지만 영국 영어에서는 쓰레기통이라는 뜻이다. 미국인과 소통을 하거나 미국에서 생활할 때는 별 문제가 없겠지만, 영국인과 소통을 하거나 영국에서 생활할 때는 놀림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vin은? i를 ee로 늘려 been으로 쓰거나,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응용해서 pin, peen으로 쓰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 '빛'의 경우 ㅊ 받침을 그냥 ch로 옮겨서 bich로 표기하는 사례가 있는데(성씨 '최'를 Choi로 표기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을지도?), bich가 영어의 어떤 욕설을 연상케 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영어에서 rich의 ch와 pitch의 tch, 어떤 욕설의 tch는 똑같이 /tʃ/ 발음이다). '빛'(발음 /빋/)은 음절 끝소리 규칙(ㅊ → /ㄷ/)을 적용해 bit, pit 등으로 적는 것이 무난하다. '빛나'(발음 /빈나/)처럼 자음동화가 일어나는 경우 t 대신 n을 사용하는 것(Binna, Pinna 등)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실제로 이름이 '빛나'인 사람이 여권을 BICH NA로 발급받고 미국에서 고생하는 사례가 있다. 특히 저 경우처럼 중간에 공백이 있다면 first name이 그냥 Bich가 되고 만다! 한국 외교부는 욕설 또는 부정적인 뜻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철자는 바꿔 주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사전에 욕설 또는 부정적인 뜻으로 실려 있는 단어와 철자가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서다. 저 경우는 철자상으로 T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비록 음가상으로는 그 비속어와 똑같이 발음되지만) 철자 변경 허용 대상에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는 여권을 처음 신청할 때 잘하는 수밖에 없다. 여권을 처음 신청하는 사람은 '빛'을 절대로 BICH로 적지 않도록 하자.
  • '석'이나 '호'가 들어간 이름도 사용이 심히 곤란한데, 표기야 어쨌든 발음이 suck과 ho/hoe[64]이므로 각각 '빨다, 허접하다', '창녀'란 뜻으로 쓰이므로 곤란하다. 문제는 위의 것들이 조합된 이름인 '동석'마동석씨?이나 '석호' 등은 한국에서 그리 드문 이름이 아니라는 것. 석호필? 그 때문에 '동석'이나 '석호' 등의 이름을 가진 사람이 북미에서 장기간 거주할 예정이라면, 웃고 넘어갈 수 있을 No나 Shin과는 달리 매우 곤란한 상황과 자주 맞닥뜨릴 수 있다. Arirang TV 전(前) 사장의 이름 '방석호'는 세 음절 다 영어권에서는 안 좋게 받아들여진다. Bang, Suck Ho!
    • '석'의 경우 '속'과의 구분을 포기하고 sok으로 표기하는 방법도 있으나(이는 매큔-라이샤워 표기 sŏk에서 반달표(breve, ˘)만 생략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는 sock과 발음이 같아지거나 비슷해진다. 문제는 (suck보다는 낫겠지만) sock도 그다지 뜻이 좋지 않은 건 마찬가지다.
  • '숙'은 suk으로 쓰면 suck을 연상시켜서 좋지 않다. sook이나 souk 정도로 쓸 수 있으나 이는 지나치게 영어식이라는 단점이 있다.
  • '신'은 sin으로 쓰면 영단어로 sin이 (종교, 도덕상의) 죄악이라는 뜻이 있는지라 이 경우는 shin을 많이 쓴다. 근데 영어권에서 사인(sine) 함수는 sin으로 잘만 쓴다. 그리고 그 sin을 보고 딱히 이상하게 생각하지도 않는다. 또한 한국의 주민등록번호에 해당되는 캐나다의 사회 보험 번호도 SIN이다 또한 (영어를 기준으로 했을 때) 음성적으로도 shin이 sin보다 '신'에 더 가깝기도 하다. '죄악'보다는 낫지만 shin도 정강이라는 뜻이라서 약간은 난감한 경우가 생긴다.
    • 스페인어에서는 sin이 영어의 without에 해당되는 단어인데, 그래서 스페인어권에서는 sin이 약간 어이없는 웃긴 이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고 한다.
  • '안'은 an과 ahn으로 나뉘는데 an은 영어에서 관사로 쓰이기에 영어권에서는 약간 어이없는 웃긴 이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고 한다. 언 철수 이 경우는 나쁜 의미까지는 아니지만.
  • '육'은 yuk으로 쓰면 '우웩' 정도의 의성어가 된다. yook이나 youk 정도로 쓸 수 있으나, 이는 지나치게 영어식이라는 단점이 있다.
  • '주'는 Jew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단어 뜻 자체가 유대인이라는 뜻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대인 비하로 인식될 수도 있다.
  • '함'은 그냥 ham으로 쓰면 이 되고, harm으로 쓸 경우 더 안 좋다('해치다' 정도의 의미가 된다). hahm 정도로 쓸 쑤 있다.
  • '호': 위의 '석' 항목 참고.
  • '회'는 hoe로 적으면 영어 whore의 속어 hoe와 똑같아진다. 현실적으로 '회'와 '훼'의 발음이 사실상 같아졌다는 점을 이용해서 hwe(h)로 적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최 씨가 Choi를 주로 쓴다는 것을 응용해서 hoi로 적을 수도 있겠지만, hoi는 '호이'로 발음되기 십상이라는 단점이 있다.
  • '희'는 현행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면 hui가 되는데, hui를 키릴 문자로 옮긴 хуй는 러시아어에서 음경을 뜻한다. '희'는 /히/로만 발음되므로 그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hee로 적거나, hee가 지나치게 영어식이라서 싫다면 hi로 적는 것이 그나마 낫다.

5.5.1 이름으로 조합된 경우

  • '가' 뒤에 y가 오는 경우(예: 가영, 가윤 등) Gay-로 시작하는 이름이 만들어져서 곤란할 수 있다. 이 경우 G 대신 K를 쓰는 것이 좋을 것이다. Gay에서 Gah-y로 쓰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 '모란'은 moron으로 들릴 위험이 있다.
  • '세아'는 그냥 Sea로 적으면 '바다'가 된다. Seah 정도가 좋을 것이다. 물론 Sea 자체에 나쁜 뜻이 있는 건 아니지만, 누군가가 '씨'라고 부르면 자신을 부르는지도 모를 수 있으므로 Seah로 적어서 '세아'와 비슷한 발음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소민'의 경우 그냥 Somin이라고 쓰는 것이 좋다. Someen이나 Somean이라고 쓰면 영어에서 so mean(아주 못된)과 똑같이 발음되어 놀림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Somin으로 쓸 경우 (음가를 영어화해서 발음할 때) ㅣ 발음이 장음이 될 일이 없으므로(정확히는 모음 길이뿐만 아니라 모음 자체가 다르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o mean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Somin과 so mean의 발음 차이는 쉽게 말해서 rich와 reach, pick과 peak의 차이라고 보면 된다.
  • '시몬'(영어의 Simon 발음은 '사이먼'에 가깝다)은 semen과 발음이 유사하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 '유림'은 urine으로 들릴 위험이 있다. 다만 Yurim 대신 (원음과 약간 멀어지는 것을 감수하고) Yulim으로 적으면 이 문제를 피할 수 있다.
  • '제일'은 어떻게 적든 발음이 영어 jail(감옥)을 연상시킨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응용해 ㅈ을 Ch로 적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기업 CJ제일제당도 Cheil을 쓴다.
  • '혜나'라는 이름을 가진 여성이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혜(hye), 나(na)를 붙여서 Hyena라고 표기하면, 이는 영어로 하이에나가 된다. 하이픈을 붙여서 Hye-na라고 쓰는 경우도 있는데 전술했듯이 이 경우 전산 처리의 문제가 생기거나, Hye와 Na가 별개의 이름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혜'는 실제로 /헤/로 발음되는 경우가 더 많으므로(표준 발음법도 '혜'를 /헤/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한다) 현실 발음을 반영하여 Hena로 해도 괜찮을 것이다.
    • 꼭 '혜나'가 아니더라도, 영어 화자들은 자음 + ye를 보면 십중팔구 자음 + /aɪ/로 발음하므로(즉 Hyejin 같은 이름도 '하이진'[65]처럼 발음해 버린다. 영어에서 bye, dye, rye가 어떻게 발음되는지 생각해 보자) 만약 영어 화자들이 한번에 읽는 것을 신경 쓰는 사람이라면 '혜'를 hye로 적는 것은 좋은 생각은 아니다.
  1. 다만 이 자료에서 김, 이, 박 씨는 제외되어 있다. 대신 김, 이, 박 씨의 경우 1999년 외교부 여권 자료와 2007년 외교부 여권 자료를 참고했다.
  2. 남한에서 1984년부터 2000년까지 쓰였던 약간 수정된 표기법을 따를 경우, 궉, 권, 시, 신, 심, 십, 원 씨는 각각 Kwok, Kwon, Shi, Shin, Shim, Ship, Won이 된다. 나머지는 같다.
  3. 축구 선수 구자철DJ KOO가 이렇게 표기한다.
  4. 노태우, 노무현 대통령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했다.
  5. 영어권에선 Do라고 쓰면 '두'라고 읽는데, 이 영향인 듯.
  6. 농구 선수 문경은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더불어 통일교의 교주 문선명의 표기이기 때문에 영어권에서 통일교도들은 Moonies라고 불리고 있다. 달빠?
  7. 아무래도 Pak, Bak는 영어권에서 '팩', '백'이라고 읽을 듯하며 Bark은 의미가 좀 거시기하니(bark: 개가 멍멍 짖는다는 의미) Park를 많이 쓰는 듯하다. 참고로 박찬호박세리가 동시에 활동하던 1990년대 말, 미국에서 박찬호는 Park을, 박세리는 Pak을 사용했었다. 세리팩 가방? 김형곤이 말하기를 박찬호는 R이 있고 박세리는 없어서 그렇다고 카더라.
  8. 이명박 정부 시절 기획재정부노동부 장관을 지낸 박재완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9. 백남준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했다. 백종원의 경우에도 이쪽을 쓰는듯. 그의 프렌차이즈 카페인 "빽다방"의 영어 표기를 "PAIK'S COFFEE"라고 쓴다.
  10. 설치미술가 서도호가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11. suck은 영어에서 나쁜 의미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사실 '석'은 철자가 아니라 발음이 문제라서 어떤 철자를 사용해도 나쁜 뜻으로 인식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12. 야구 감독 선동열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13. Sin은 '죄'라는 영문 의미가 있어 잘 사용하지 않는다.
  14. 표기법을 그대로 따르면 성씨가 알파벳 한 글자이기 때문에(…) Ah로 쓸 수밖에 없다.
  15. 안철수, 안정환, 빅토르 안 등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16. 엄정화가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17. 엄기영 등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18. 스티븐 연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19. 표기법을 그대로 따르면 성씨가 알파벳 한 글자이기 때문에(…) Oh로 쓸 수밖에 없다.
  20. 표기법을 그대로 따르면 성씨가 알파벳 한 글자이기 때문에(…) Woo나 Wu로 쓸 수밖에 없다.
  21. 자니 윤, 한국계 미국인 영화배우 릭 윤과 그의 동생 칼 윤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22. 다만 Lee라는 표기는 한국어 음운을 깡그리 무시한 표기이다. 일단 라면 ㄹ 발음이 나는 표기를 할 이유가 전혀 없으며 라고 해도 일단 한국어 발음은 L 발음보다는 R 발음에 더 가깝다(Rhee가 오히려 말 된다). 반면에 중국어에는 R 발음이 없으며 대부분 L 발음이다. 李 씨를 Lee라고 표기하는 것은 19세기 영국령 홍콩에서 광둥어 발음으로 현지인들이 표기하는 것에서 온 것이다(광둥어가 아닌 보통화 사용자들은 Li라고 표기한다. Jet Li 등). 따라서 한국에서 李 씨를 Lee라고 표기하는 것은 어떤 관점에서 보던 잘못된 표현이나, 워낙 많이 써서 굳어진 표현이라서 이제 와서 바꾸는 것도 어려운 실정이다. 물론 李 씨는 (중국, 한국 따지지 말고) 같은 기원의 성씨이므로 국제적으로 많이 쓰는 Lee를 쓴다면 말이 되긴 한다. 물론 중국계로 오해받을 위험성도 각오하고. 씨가 Ryu, Ryoo 등 R을 사용하는 것과 아주 대조적이다.
  23. 참고로 Lee라는 성씨는 서양권에도 많다. 아일랜드 계열이라 하며, 유명인으로 로버트 리가 있다.
  24. 이순신 장군, 이성계 등을 비롯하여 이씨 성의 역사 인물은 대부분 Yi 로 표기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이 표기를 거의 쓰지 않는데 이는 이씨 조선(Yi Dynasty)의 표기에 쓰이기 때문이다.
  25. 이승만 전 대통령이 자신의 성을 Rhee라고 표기했다. 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 리그에서 뛰었던 야구 선수 이대은도 이것을 사용한다.
  26. 먼나라 이웃나라의 저자인 이원복 씨는 Rhie라는 필명을 사용한다.
  27. 이 씨나 임 씨와는 달리 인 씨는 한자 본음이 '린'인 경우가 없는데도 Leen, Lin 등의 표기가 출현한다.
  28. 위의 씨 항목 참고. 하기야 林 씨는 한중일 다 있다. 중국에서는 Lin, 일본에서는 Hayashi.
  29. 배우 전지현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30. 전두환 전 대통령과 OGN 게임 캐스터 전용준이 이렇게 표기한다.
  31. 이쪽은 독일인이나 오스트리아인, 스위스인(…)으로 오해받을 가능성도 있다. 독일어 Jung은 영어 young에 해당하며, 성씨로도 쓰이는 단어다.
  32. 정주영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했다. 물론 정몽준도 똑같이 표기한다. 정명화, 정경화, 정명훈도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33. 야구선수 정대현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34. 야구선수 정현욱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국노.
  35. '추' 씨 성들이 보통 쓰지만 '주' 씨 성들도 제법 쓴다.
  36. 2008년 서울 교육감 선거에 나온 적 있는 주경복 교수가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주 교수는 프랑스에서 공부를 했는데, 프랑스어로는 ou가 ㅜ 발음이 난다.
  37. 대체적으로 많이 쓰이는 최씨 표기. 야구선수 최희섭이 이렇게 표기한다. 그래서 미국에서 활약할 때의 별명이 빅 초이.
  38. SK그룹 전(前) 회장 최태원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39. 농구 감독 허재가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40. 축구 감독 허정무와 가수 허각이 자신의 성을 이렇게 표기한다.
  41. 사실 가족 중에 미성년자 자녀가 있는 경우도 영문 주민등록등본을 챙겨 가서 외국 입국 시에 보여 주면 성씨가 다르더라도 가족임을 입증할 수 있다. 그래서 이 경우도 꼭 성씨가 같아야 하는 경우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42. 사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또한 그다지 지켜지지는 않는다. 이쪽은 활용하기가 더 어렵기도 하고.
  43. 굳이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지 않겠다면 차라리 o를 쓰는 게 더 낫다. ㅓ와 ㅗ의 구별이 없어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외국인들은 ㅓ를 ㅗ로 알아듣기 때문에 이게 더 맞을 수도 있다.
  44. 갱단, 갱스터의 그 이다.
  45. 기독교에서 '원죄'를 나타내는 단어.
  46. 이쪽도 단어 뜻이 '정강이'라서 그리 좋은 단어는 아니지만 원죄의 포스에 미치지 못한다. 사실 한국어의 '시'는 si보다 shi에 가깝기에 발음으로도 더 낫다.
  47. 단, 성으로 쓸 경우 두음 법칙을 고려하여 저 앞에도 나왔듯 Noh 대신 Roh라고 쓰기도 한다.
  48. 성을 제외한 이름이 일부 가려져 있는데, 위쪽과 아래쪽을 함께 보면 HYOJIN임을 알 수 있다.
  49. Facebook 언어를 영어로 설정하면 확인할 수 있다.
  50. Park Geun-hye. 성을 제외한 이름의 표기가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 부합한다.
  51. Kim Dae-jung. 박근혜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성을 제외한 이름의 표기가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 부합한다. 김대중의 임기(1998~2003)에 문광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나왔다.
  52. 본인은 서양 순서대로 Syngman Rhee로 적었지만, 여기서는 다른 이름들과의 일관성을 위해 성씨를 앞에 두고 comma를 찍는다.
  53. 오뚝이의 옛날 표기인 오똑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54. 이 케이스는 애매하다. 어떤 언어인가에 대한 표지가 없기 때문.
  55. 사실 원래는 로마자 표기가 아니라 영어지만, 현재의 로마자 표기법과 우연히 일치하기 때문에 로마자 표기로 봐도 무방하다. 즉, 중의성을 띠고 있으므로 포함시킴.
  56. 이 때문인지 학교 마스코트가 태양과 달을 합쳐 놓은 형태다(...).
  57. SKY(대학교) 중에서 유일하게 로마자 표기를 따르지 않는다. 서울대학교는 로마자 표기에 맞고(Seoul National University), 고려대학교는 로마자 표기가 아닌 영어를 썼다(Korea University).
  58. 광동어가 국어인 홍콩에서는 당연하다. 주윤발 입장에서는 저우룬파가 아니라 짜우연팟이 자신의 실제 이름인 셈. 홍콩 출신 배우 이름까지 본래 이름이 아닌 표준 중국어 병음으로 표기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59. 싱가포르 현 대통령. 보통은 토니 탄(Tony Tan)이라고 자주 쓴다.
  60. first name에 공백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아예 없는 건 아닌데,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받아들이는 경우보다 훨씬 더 많다. 한 학교 내에서도 공백을 받아들이는 시스템과 안 받아들이는 시스템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금융권은 대부분 공백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관공서 시스템 중에도 공백을 안 받아들이는 것들이 상당히 많다. 기타 시스템들도 공백을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한국 밖에서 장기간 체류할 예정이라면 first name을 여권을 비롯한 모든 경우에 공백 없이 쓰는 게 훨씬 더 낫고 정신 건강에 이롭다. 여권은 모든 신분증의 기준이 되어 상속되는 객체이므로, 한국을 떠나기 전에 여권을 공백 없는 이름으로 발급받는 것이 가장 좋다.
  61. 그리고 여권 이름이 GIL DONG인데 GILDONG으로 입력해 달라고 하는 경우, 직원이 '여권에 GIL DONG으로 적혀 있으니 그렇게 해 줄 수 없다'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으로 한국 밖에서의 모든 신분 증명은 여권을 따르기 때문에 직원이 저렇게 말하며 거절해도 할 말 없다.
  62. 사용 지역: 헝가리, 동아시아 국가, 중국계 말레이시아·싱가포르 사람, 베트남, 남부·동북부 인도 등. 출처
  63. 그리고 Hong, Gildong은 '원래 Gildong Hong인데 여기서는 (편의상) 순서가 뒤집힌 것임'이라는 뜻이므로, 만약 한국에서는 원래 성씨를 앞에 쓴다는 것을 보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라면 저렇게 쓰지 않는 것이 좋다.
  64. hoe는 원래 괭이를 가리키는 말인데, 속어로는 whore와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65. 위생을 뜻하는 hygiene과 비슷한 발음이 되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