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China에서 넘어옴)

타이완 일대를 실효 지배 중인 국가에 대해서는 중화민국 문서를, 일본의 지방에 대해서는 주고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틀:여행경보/설명문서}}

[1]

{{틀:여행경보/설명문서}}

[2]
[3]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50px-Flag_of_South_Korea.svg.png
대한민국
50px-Flag_of_North_Korea.svg.png
북한
50px-Flag_of_Mongolia.svg.png
몽골
50px-Flag_of_Japan.svg.png
일본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중국

중화민국
50px-Flag_of_Hong_Kong.svg.png
홍콩
(중국)
50px-Flag_of_Macau.svg.png
마카오
(중국)
G20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대한민국

프랑스

독일
?width=45
이탈리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터키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width=45
유럽 연합
APEC 가입국/지역
?width=45
대한민국
?width=45
뉴질랜드
?width=45
말레이시아
?width=45
미국
?width=45
브루나이
?width=45
싱가포르
?width=45
호주
?width=45
인도네시아
?width=45
일본
?width=45
캐나다
?width=45
태국
?width=45
필리핀
?width=45
중화 타이베이*
?width=45
중국
?width=45
홍콩
?width=45
멕시코
?width=45
파푸아뉴기니
?width=45
러시아
?width=45
베트남
?width=45
페루
?width=45
칠레
---
*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의 압박으로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참여함.
상하이 협력기구 (SCO)
?width=50
중국
?width=50
인도
?width=50
카자흐스탄
?width=50
키르기스스탄
?width=50
타지키스탄
?width=50
우즈베키스탄
?width=50
파키스탄
?width=50
러시아
UN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상임이사국
?width=45
미국
?width=45
영국
?width=45
프랑스
?width=45
러시아
?width=45
중국
비상임이사국 (2016년 ~ 2017년)
세네갈이집트일본우루과이우크라이나
비상임이사국 (2017년 ~ 2018년)
에티오피아카자흐스탄볼리비아이탈리아스웨덴
6자회담 당사국
?width=45
대한민국
?width=45
북한
?width=45
미국
?width=45
러시아
?width=45
중국
?width=45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국기
국장
국호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건국1949년 10월 1일[4]
수도베이징
상징국가의용군 진행곡
국화없음[5]
국조두루미
국가 코드CHN[6], PRC[7]
자연환경면적(영토)9,640,821km2
인문환경인구1,384,292,270명 (2016년)#
인구 밀도1km2당 143.4명
공용 언어중국어 [8]
공용 문자한자[9]
국교없음(명목상 정교분리, 사실상 무신론[10])
정치정치체제인민공화제, 일당제,
단원제, 공산주의 체제
주석시진핑
총리리커창
행정 구역성급,지급,현급,향급,촌급행정구
경제명목 GDP(전체 GDP) 12조 9828억$# (2015년 /IMF)
GDP(PPP)(전체 GDP) 18조 9,759억$ (2015년 /IMF)[11]
외환보유액3조 9,400억$ (2014년 6월)[12]
공식 화폐위안 (¥)
ccTLD.cn .中国 .中國[13]
단위법정 연호서력기원[14][15]
시간대UTC +8
도량형SI 단위
대한수교현황남북한 동시수교 (남한 1992년, 북한 1949년)
국제연합(UN) 가입1971년 [16]
언어별 명칭
한국어[17]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 중국(中國)
중국어정체: 中華人民共和國, 中國
간화: 中华人民共和国, 中国
표준중국어 발음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 Zhōngguó
광둥어 발음Jūngwàh Yàhnmàhn Guhngwòhgwok / Jūnggwok
대만어 발음Tiong-hôa jîn-bîn kiōng-hô-kok / Tiong-kok
하카어 발음Chûng-fà Ngìn-mìn Khiung-fò-koet / Chûng-koet
일본어中華人民共和国 / 中国
영어People's Republic of China / China
좡어Cunghvaz Yinzminz Gunghozgoz / Cunghgoz
위구르어جۇڭخۇا خەلق جۇمھۇرىيىتى / خىتاي
티베트어ཀྲུང་ཧྭ་མི་དམངས་སྤྱི་མཐུན་རྒྱལ་ཁབ། / རྒྱ་ནག
몽골어ᠪᠦᠭᠦᠳᠡ ᠨᠠᠶᠢᠷᠠᠮᠳᠠᠬᠤ ᠳᠤᠮᠳᠠᠳᠤ ᠠᠷᠠᠳ ᠤᠯᠤᠰ
ᠳᠤᠮᠳᠠᠳᠤ[18]
Бүгд Найрамдах Хятад Ард Улс
Хятад[19]
힌디어जनवादी गणराज्य चीन / चीन
베트남어Cộng hòa Nhân dân Trung Hoa / Trung Quốc
프랑스어République populaire de Chine / Chine
스페인어República Popular China / China
러시아어Китай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 / Китай
그리스어Λαϊκή Δημοκρατία της Κίνας / Κίνα
에스페란토Ĉina Popola Respubliko / Ĉinio

1 개요

아시아에 위치한 나라로 UN 상임이사국이고 상하이 협력기구G20의 회원국이다. 브릭스(BRICs) 멤버이기도 하다(C=CHINA). 일반적으로 동아시아의 국가로 간주되지만 영토가 넓어 중앙아시아동남아시아에도 영토가 걸쳐 있다고도 볼 수 있다[20]. 공식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 People's Republic of China)'이며 수도는 베이징. 한자로는 北京(북경)이라고 쓴다. 인구는 약 14억 명이다 (1,401,586,609명 2015년 통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졌고 표준중국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며 풍부한 인력과 자원을 바탕으로 하여 경제대국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가 면적 크기도 4위(미국보다 크다는 주장도있어서 3위로 보는경우도있다)로 대륙이라고할만큼 광대하다.(유럽연합 전체 면적보다 중국 면적이 더 크다) 경제면에서 PPP 경제력(구매력 기준 GDP)은 미국을 능가하였고(1위) GDP 경제력(명목 GDP)은 미국의 3분의 2인(2위) 경제대국이다. 동시에 무역규모에서는 세계 1위이다. 외환보유고 1위의 국가이며 위안화는 2015년부터 IMF에 의해서 세계 5번째 기축통화(특별인출권)에 편입되었다. 미국 달러 , 유로화에 이은 3번째 비율을 차지하고 일본 엔화 , 영국 파운드를 밀어냈다. 군사면에서는 병력수(230만)로는 세계최대 규모이며 국방비는 미국에 이은 세계 2위로 미국의 3분의 1 정도이다. GFP에서는 군사력 3위로 평가되고있다.

5분사탐-세계지리 - 14강 중국 _#001
The People's Republic of Capitalism Part 1

2 지리

China_pol01.jpg

2.1 행정구역

2.2 자연지리

2.3 관광지

3 시간대

중국의 모든 지역은 베이징 인근을 통과하는 동경 120도선을 자오선으로 하는 단일 시간대[21]로 통합되어 전 국토가 같은 표준시를 쓴다. 즉 베이징에서 오전 7시면 머나먼 티벳 지역에서도 오전 7시(...) 동부 지역이라면 문제없는데 서부로 갈수록 표준시와 일출몰 시각과의 '시차'로 애로사항이 꽃핀다. 같은 시각이라도 베이징에는 날이 샜는데 티벳은 아직 꼭두새벽인 등. 비슷한 크기의 미국이 (알래스카하와이와 이외 속령의 시간대를 제외하더라도!) 4개의 시간대를 가지고 있는 것과는 대조된다. 이렇게 시간대가 다른 지역은 출퇴근시간을 현지시간에 맞게 조정한다. 가령 위구르 자치주에서는 11시가 공식 출근시간이다. 이런 식으로 시간대가 실제와 다르기에 중국 최서단 지점에서는 오차가 3.1시간이나 난다.

중국이 여러 시간대를 쓸 수도 있지만 그러지 않는 배경 중 하나는 인구밀도와 지역간 경제력 차이가 넘사벽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인구가 동북부의 베이징상해 근방에 몰려있고, 서북부의 인구 밀도는 희박하기 때문이다.

이러다보니 러시아와 같은 경도에 해당하는 세계 협정시와 비교해서 시간을 계산해야한다. 중화민국 시절만해도 정상적인 시간대를 쓴 나라다.
원래대로는 내몽골 자치구는 몽골의 시간대를 써야하며 만주의 3개 성인 헤이룽장 성, 랴오닝 성, 지린 성평양시간과 동일한 UTC+8:30이며. 베이징, 허베이 성, 산시(山西) 성, 상하이, 산둥 성, 장쑤 성, 안후이 성, 저장 성, 장시 성, 허난 성, 후난 성, 광둥 성, 푸젠 성, 하이난 성, 마카오, 홍콩, 광시 좡족 자치구UTC+8지역이다.
충칭을 필두로 구이저우 성, 윈난 성, 쓰촨 성, 칭하이 성, 간쑤 성, 산시(陕西) 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UTC+7지역이다. 그리고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시짱 자치구)는 UTC+6지역이다.
금융시장 개방을 하면 바뀔 지도 모르지만, 애초에 경제 중심지가 베이징 시, 상하이, 홍콩, 선전원래 UTC+8인 지역에 몰려있다. 그러므로 다시 춘추전국시대 시즌 2를 찍지 않는 한 변경될 확률은 희박하다.

4 역사

중국의 역사
중화민국(국민정부)중화민국(타이완 천도 후) / 중화인민공화국(대륙 점령) ~ 현재
중국의 역사
中國史
기원전 1600 ~ 기원전 206기원전 206 ~ 907년
907년 ~ 1644년1616년 ~ 현재
중국의 역사 1616년 ~ 현재
1616
~
1912
후금(後金)
다이칭 구룬/대청(大淸)
,태평천국(太平天國),
1912
~
1949
중화민국(中華民國)
중화제국(中華帝國)
중화소비에트공화국(中華蘇維埃共和國)
중화민국(中華民國)
왕징웨이 정권(汪精衛政權)
1949
~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중화민국(中華民國)

5 정치

6 사법

사법제도는 2심인데, 1심에서 사실판단을 하고 2심은 주로 법리해석과 양형의 적절성만 확인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사법 판결상 매우 중대한 오류가 있지 않다면 양형이 바뀌는 일은 있어도 유무죄가 갈리는 일은 없다고 봐도 된다. 단 사형일 경우 최고인민법원에서 다시 확인하여 결정하는데 기각할 경우 다시 재판을 하게 되고, 파기환송심에서 사형 집행유예 이하의 처벌이 내려지면 그대로 확정된다.

공산 국가들이 그렇듯이 중범죄자는 사형에 처하고 나머지는 가볍게 처리하는 편. 형량은 사형, 사형 집행유예, 무기징역, 징역으로 나뉘며 징역형의 상한은 20년으로 러시아보다는 적고 북한보다는 많은 편이다. 무기징역의 경우도 가석방은 20년 정도 뒤에 가능하며[22] 유기징역도 가석방이 쉽게 되는 편이다. 미성년자의 경우는 징역 15년이 상한이다.

대신 어지간한 중범죄만 저질러도 사형이 일반적이어서 단순 살인을 저지르고 사형 집행유예를 받으면 매우 관대한 처분이 내려졌다고 할 정도. 남편 살해를 저지른 여성이 가정 폭력에 시달린 것이 참작되어 사형을 겨우 면한 것이 뉴스로 보도되었을 정도니 말 다했다. 당연히 2인 이상의 다수를 살해했거나 계획살인으로 판명나면 정상참작 사유가 있어도 사형이다.[23] 물론 마약[24]은 더더욱 자비가 없어서 필로폰, 헤로인은 50g만 판매 목적으로 소지가 명확한 경우에는 무조건 사형을 받는다. 외국인도 얄짤 없어서 2014년에는 한국인만 네 명이 사형을 당했는데 전원 마약사범이었다. 중국은 온 인민이 마약에 찌들어 나라가 반쯤 망해버린 역사가 있어서 마약에 관해서는 거의 피해의식 수준으로 대응한다.

참고로 중국에 갔을 때 함부로 모르는 사람의 짐을 들어 주지 말자. 그 짐 안에 마약이 들어 있을 수도 있다. 정말 운 없으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질 수도 있고, 어찌어찌 해명하더라도 절대 편하게 귀국할 수 없다. 순진해 보이는 외국인들에게 의외로 자주 써먹는 방법이라고 하니 애초에 접근하지 않는 게 답.

물론 성범죄도 상습범에 피해자가 아동이면 사형, 뇌물을 많이 받아도 저우융캉이나 보시라이처럼 확실한 뒷배경이 없으면 사형이다. 특정 사건으로 인한 사회적 분노가 심하면 일단 엄벌에 처하고 보는 경향도 있어서, 2015년 6월에 와서는 유괴 문제가 심각해지자 유괴범은 일괄 사형을 원칙으로 하는 법안이 제출되었을 정도.

교도소 환경은 개도국이 흔히 그렇듯이 굉장히 좋지 않은 편. 다만 교도 당국이 감시를 상당히 철저하게 하기 때문에 재소자들 간의 범죄는 별로 흔치 않고, 오히려 문제가 되는 건 교도소 측의 착취나 가혹행위. 오전에는 채석장에서, 오후에는 게임머니 작업장에서 노역을 했다는 기사도 나왔을 정도다. WOW가 대표적

과거에는 라오가이라 하여 경범죄자를 임의로 가두고 3년까지 강제노역을 시키는 제도도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폐지되었다.

7 외교

  • 중국/외교 항목 참조. 한국과의 외교도 함께 있음.

8 사회

8.1 인구

2015년 기준으로 13억 이상의 인구대국인 세계 인구 최다국. 다만 개발도상국이 인구가 많다고 좋은 게 아니라서 계획생육정책이라는 인류사 미증유의 초강경 산아정책을 통해 인구폭발을 제어해 나가고 있으며 현재 출산율을 볼때(1.2명[25]) 인도에게 근 미래에 따라잡히리라는 예상이다. 그리고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인구가 감소세로 접어들 걸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2013년 11월 15일에 30년간 고수해온 이 산아정책을 다소 완화시키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1가구 1자녀'에서 '1가구 2자녀') 2015년 10월 29일에는 중국 정부에서 모든 부부에게 두 자녀를 허용하기로 결정을 내리면서 전면적인 1가구 2자녀 정책이 시작되었다.# 중국은 신경안쓰면 인구 늘더라 유럽 전체 인구가 7억명쯤인데 그 2배가량 되는거다.
중국 인구 > 아프리카 전체 인구 11억쯤 // 아메리카 전체 인구 10억쯤 // 동남아 전체 인구 6억쯤 // 서아시아 전체 인구 3억쯤 // 중앙아시아 전체 인구 7천만쯤 // 인도 제외남아시아 전체 인구 5억쯤


이 수치가 하방 조작됐다는 주장도 있는데 그 어떤 근거도 없다. 중국이 1가구 1자녀 정책을 실행한 다음부터 호적에 올라가지 못한 '검은 아이(黑孩子)'의 수가 최소 1300만 명 정도될 것이라는 추측을 근거로 삼는다거나, 현지인이 20억 가량 있을꺼라고 그랬다는 것을 근거로 삼아 중국의 인구가 20억은 된다라고 주장하지만, 중국의 식량생산량이나 소비량을 고려하면 14억 근처의 수치가 거의 맞아 떨어진다. 그리고 중국은 호적조사를 철저히 할 수 있을 정도로 행정력이 높은 국가고 그렇기에 통계의 인구와 실제 인구 사이에 큰 괴리가 나오기는 어렵다.

정말, 인구가 무진장 많다. 웬만한 도시들 같은 경우엔 인구가 700만은 가뿐한(…) 곳도 있을 정도.

중국 인구의 위엄. 각 지방의 인구를 가진 국가이름을 써 놓았다.

표기(번체)표기(병음)독음(중국어)독음(한국식)인구(명)소속
重庆重慶Chongqing충칭중경28,846,170[26]직할시
上海上海Shanghai상하이상해23,019,148직할시
北京北京Beijing베이징북경19,612,368직할시
成都成都Chengdu청두성도14,047,625쓰촨 성
天津天津Tianjin톈진천진12,937,954직할시
广州廣州Guangzhou광저우광주12,700,800광둥 성
保定保定Baoding바오딩보정11,194,379허베이 성
哈尔滨哈爾濱Harbin하얼빈(하르빈)합이빈10,635,971헤이룽장 성
苏州蘇州Suzhou쑤저우소주10,465,994장쑤 성
深圳深圳Shenzhen선전심천10,357,938광둥 성
南阳南陽Nanyang난양남양10,263,006허난 성
石家庄石家莊Shijiazhuang스자좡석가장10,163,788허베이 성
临沂臨沂Linyi린이임기10,039,400산둥 성
武汉武漢Wuhan우한무한9,785,392후베이 성
邯郸邯鄲Handan한단한단9,174,679허베이 성
温州溫州Wenzhou원저우온주9,122,100저장 성
潍坊濰坊Weifang웨이팡유방9,086,200산둥 성
周口周口Zhoukou저우커우주구8,953,172허난 성
青岛青島Qingdao칭다오청도8,715,100산둥 성
杭州杭州Hangzhou항저우항주8,700,400저장 성
郑州鄭州Zhengzhou정저우정주8,626,505허난 성
徐州徐州Xuzhou쉬저우서주8,580,500장쑤 성
西安西安Xi'an시안서안8,467,837산시 성(섬서성)
菏泽菏澤Heze허쩌하택8,287,800산둥 성
东莞東莞Dongguan둥관동완8,220,937광둥 성
泉州泉州Quanzhou촨저우천주8,128,530푸젠 성
沈阳瀋陽Shenyang선양심양8,106,171랴오닝 성
诸城諸城Zhucheng주청제성8,081,900산둥 성
济宁濟寧Jining지닝제녕8,081,900산둥 성
南京南京Nanjing난징남경8,004,680장쑤 성
长春長春Changchun창춘장춘7,677,089지린 성
宁波寧波Ningbo닝보영파7,605,700저장 성
阜阳阜陽Fuyang푸양부양7,599,918안후이 성
唐山唐山Tangshan탕산당산7,577,284허베이 성
南通南通Nantong난퉁남통7,282,835장쑤 성
衡阳衡陽Hengyang헝양형양7,141,462후난 성
沧州滄州Cangzhou창저우창주7,134,053허베이 성
福州福州Fuzhou푸저우복주7,115,370푸젠 성
邢台邢台Xingtai싱타이형태7,104,114허베이 성
邵阳邵陽Shaoyang사오양소양7,071,741후난 성
香港香港Hong Kong, Xianggang샹강(홍콩)향항7,055,071홍콩 특별행정구[27]
长沙長沙Changsha창사장사7,044,118후난 성
烟台煙台Yantai옌타이연태6,968,200산둥 성
济南濟南Jinan지난제남6,813,800산둥 성
大连大連Dalian다롄대련6,690,432랴오닝 성
南宁南寧Nanning난닝남녕6,661,600광시좡족자치구
洛阳洛陽Luoyang뤄양낙양6,549,486허난 성
昆明昆明Kunming쿤밍곤명6,432,212윈난 성
无锡無錫Wuxi우시무석6,372,624장쑤 성
南充南充Nanchong난충남충6,278,622쓰촨 성
遵义遵義Zunyi준이준의6,127,009구이저우 성
信阳信陽Xinyang신양신양6,108,683허난 성
台州台州Taizhou타이저우태주5,968,800저장 성
曲靖曲靖Qujing취징곡정5,855,055윈난 성
茂名茂名Maoming마오밍무명5,817,753광둥 성
聊城聊城Liaocheng랴오청요성5,789,900산둥 성
常德常德Changde창더상덕5,717,218후난 성
新乡新鄉Xinxiang신샹신향5,707,801허난 성
合肥合肥Hefei허페이합비5,702,466안후이 성
荆州荊州Jingzhou징저우형주5,691,707후베이 성
大同大同Datong다퉁대동5,612,000안후이 성
六安六安Lu'an루안육안5,612,000안후이 성
齐齐哈尔齊齊哈爾Qiqihar치치하얼(치치하르)제제합이5,611,000헤이룽장 성
德州德州Dezhou더저우덕주5,568,200산둥 성
襄阳襄陽Xiangyang샹양양양5,500,307후베이 성
泰安泰安Tai'an타이안태안5,494,200산둥 성
岳阳岳陽Yueyang위에양악양5,477,911후난 성
绥化綏化Suihua쑤이화수화5,416,339헤이룽장 성
汕头汕頭Shantou산터우산두5,391,028광둥 성
金华金華Jinhua진화금화5,361,600저장 성
宿州宿州Suzhou쑤저우숙주5,352,924안후이 성
安庆安慶Anqing안칭안경5,311,000안후이 성
安阳安陽Anyang안양안양5,172,834허난 성
咸阳咸陽Xianyang셴양함양5,096,006산시 성(섬서성)
南昌南昌Nanchang난창남창5,042,565장시 성
绍兴紹興Shaoxing샤오싱소흥4,912,200저장 성
平顶山平頂山Pingdingshan핑딩산평정산4,904,367허난 성
亳州亳州Bozhou보저우박주4,851,000안후이 성
漳州漳州Zhangzhou장저우장주4,809,983푸젠 성
淮安淮安Huai'an화이안회안4,799,899장쑤 성
桂林桂林Guilin구이린계림4,748,000광시좡족자치구
九江九江Jiujiang주장구강4,728,764장시 성
宿迁宿遷Suqian쑤첸숙천4,715,553장쑤 성
开封開封Kaifeng카이펑개봉4,676,159허난 성
泰州泰州Taizhou타이저우태주4,618,558장쑤 성
绵阳綿陽Mianyang몐양면양4,613,862쓰촨 성
惠州惠州Huizhou후이저우혜주4,597,002광둥 성
常州常州Changzhou창저우상주4,591,972장쑤 성
淄博淄博Zibo쯔보치박4,530,600산둥 성
嘉兴嘉興Jiaxing자싱가흥4,501,600저장 성
宜宾宜賓Yibin이빈의빈4,472,001쓰촨 성
扬州揚州Yangzhou양저우양주4,459,760장쑤 성
江门江門Jiangmen장먼강문4,448,871광둥 성
吉林吉林Jilin City지린길림4,414,681지린 성
连云港連雲港Lianyungang롄윈강연운항4,393,914장쑤 성
廊坊廊坊Langfang랑팡랑방4,358,839허베이 성
赤峰赤峰Chifeng치펑적봉4,341,245네이멍구(내몽골) 자치구
贵阳貴陽Guiyang구이양귀양4,324,561구이저우 성
临汾臨汾Linfen린펀림분4,316,612산시 성(산서성)
许昌許昌Xuchang쉬창허창4,307,199허난 성
太原太原Taiyuan타이위안태원4,201,591산시 성(산서성)
贵港貴港Guigang구이강귀항4,118,808광시좡족자치구
宜昌宜昌Yichang이창의창4,059,686후베이 성
喀什喀什Kashgar카스(카슈가르)객십3,979,321신장 웨이우얼(위구르) 자치구
滁州滁州Chuzhou추저우처주3,937,868안후이 성
肇庆肇慶Zhaoqing자오칭조경3,918,085광둥 성
株洲株洲Zhuzhou주저우주주3,855,609후난 성
柳州柳州Liuzhou류저우류주3,758,704광시좡족자치구
滨州濱州Binzhou빈저우빈주3,748,500산둥 성
枣庄棗莊Zaozhuang자오좡조장3,729,300산둥 성
宝鸡寶雞Baoji바오지보계3,716,731산시 성(섬서성)
内江內江Neijiang네이장내강3,702,847쓰촨 성
鞍山鞍山Anshan안산안산3,645,884랴오닝 성
兰州蘭州Lanzhou란저우란주3,616,163간쑤 성
濮阳濮陽Puyang푸양복양3,598,494허난 성
芜湖蕪湖Wuhu우후무호3,545,067허난 성
焦作焦作Jiaozuo자오쭤초작3,539,860허난 성
厦门廈門Xiamen샤먼하문3,531,147푸젠 성
玉林玉林Yulin위린옥림3,351,437광시좡족자치구
大同大同Datong다퉁대동3,318,057산시 성(산서성)
巴中巴中Bazhong바중파중3,283,771쓰촨 성
天水天水Tianshui톈수이천수3,262,548간쑤 성
蚌埠蚌埠Bengbu벙부방부3,164,467안후이 성
锦州錦州Jinzhou진저우금주3,126,463라오닝 성
镇江鎮江Zhenjiang전장진강3,113,384장쑤 성
乌鲁木齐烏魯木齊Ürümqi우루무치(위륌치)오로목제3,110,280신장 웨이우얼(위구르) 자치구
秦皇岛秦皇島Qinhuangdao친황다오진황도2,987,605허베이 성
大庆大慶Daqing다칭대경2,904,532헤이룽장 성
呼和浩特呼和浩特Hohhot후허하오터(호흐호트)호화호특2,866,615네이멍구(내몽골) 자치구
威海威海Weihai웨이하이위해2,804,800산둥 성
日照日照Rizhao르자오일조2,801,100산둥 성
牡丹江牡丹江Mudanjiang무단장모단강2,798,723헤이룽장 성
莆田莆田Putian푸톈보전2,778,508저장 성
湘潭湘潭Xiangtan샹탄상담2,748,552후난 성
铁岭鐵嶺Tieling톄링철령2,717,732랴오닝 성
自贡自貢Zigong쯔궁자공2,678,898쓰촨 성
潮州潮州Chaozhou차오저우조주2,669,844광둥 성
包头包頭Baotou바오터우포두2,650,364네이멍구(내몽골) 자치구
南平南平Nanping난핑남평2,645,549푸젠 성
葫芦岛葫蘆島Huludao후루다오호로도2,623,541랴오닝 성
佳木斯佳木斯Jiamusi자무쓰가목사2,552,097헤이룽장 성
丹东丹東Dandong단둥단동2,444,697랴오닝 성
黄石黃石Huangshi황스황석2,429,318후베이 성
营口營口Yingkou잉커우영구2,428,534랴오닝 성
阳江陽江Yangjiang양장양강2,421,812광둥 성
阿克苏阿克蘇Aksu아커쑤(아크수)아극소2,370,887신장 웨이우얼(위구르) 자치구
淮南淮南Huainan화이난회남2,334,000안후이 성
芜湖蕪湖Wuhu우후무호2,263,123안후이 성
西宁西寧Xining시닝서녕2,208,708칭하이 성
抚顺撫順Fushun푸순무순2,138,090랴오닝 성
丽水麗水Lishui리수이여수2,117,000저장 성
淮北淮北Huaibei화이베이회북2,114,276안후이 성
海口海口Haikou하이커우해구2,046,189하이난 성
东营東營Dongying둥잉동영2,035,300산둥 성
银川銀川Yinchuan인촨은천1,993,088닝샤 후이족 자치구
贺州賀州Hezhou허저우하주1,954,100광시좡족자치구
辽阳遼陽Liaoyang랴오양요양1,859,768랴오닝 성
阜新阜新Fuxin푸신부신1,819,339랴오닝 성
武威武威Wuwei우웨이무위1,815,054간쑤 성
本溪本溪Benxi번시본계1,709,538랴오닝 성
珠海珠海Zhuhai주하이주해1,560,229광둥 성
北海北海Beihai베이하이북해1,539,300광시좡족자치구
湛江湛江Zhanjiang잔장담강1,392,493광둥 성
盘锦盤錦Panjin판진반금1,392,493랴오닝 성
马鞍山馬鞍山Ma'anshan마안산마안산1,366,302안후이 성
莱芜萊蕪Laiwu라이우내천1,298,500산둥 성
丽江麗江Lijiang리장여강1,244,769윈난 성
舟山舟山Zhoushan저우산주산1,121,300저장 성
鹤岗鶴崗Hegang허강학강1,058,665헤이룽장 성
鄂州鄂州Ezhou어저우악주1,048,672후베이 성

홍콩마카오는 특별행정구에 자치국가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구통계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다.
타이완의 경우는 법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라고하나 실효 지배는 중화민국이므로 제외.

인구 1천만이 넘는 크고 아름다운 도시가 13나 포진해 있고, 인구 100만이 넘는 도시는 170개에 달한다.
전세계에서 인구 천만이 넘는 도시는 중국의 도시들을 제외하면 전세계에 8군데(카라치, 킨샤사, 뭄바이, 델리, 도쿄, 이스탄불, 모스크바, 상파울루)밖에 없다.[28] 중국 vs 세계 = 13 vs 8

다만 이 목록에 나와 있는 도시들은 그 면적이 한국의 도 혹은 그 이상인 지급행정구를 기준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단순히 말하기는 힘들다. 충칭 참조. 즉 함정 도시화된 지역만을 대상으로 집계하면 그 수가 다소 줄어들기는 하지만, 인구에 걸맞게 대도시의 수도 대단히 많은 것은 사실이다. 세계 도시권 인구 순위2위가 충칭(2800만)이 아니라 서울(2500만)인 이유도 충칭이 도시권이라 불리기에는 너무 큰 행정구역이기 때문이다. 충칭만한 행정구역을 한국에 만들면 인구4900만의(강원ᆞ제주 제외) 도시를 만들 수 있다! 물론 행정구역의 크기를 감안해도 많긴많다.

8.1.1 역사적 인구

중국은 일부 시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기동안 세계 인구의 15~25% 정도를 유지해왔다 기원전 2000년 경에 세계 인구는 2,700만으로 추정하는데 중국은 당시에 400만으로 추정한다. 기원전 700년 즉 춘추전국시대 직전에 중국의 인구는 1,200만을 넘었고 진시황이 사망한 기원전 210년에는 2,200만 수준으로 추정한다. 그 후 중국 사료를 바탕으로 한 추정은 [1] 여기서 알 수 있다.

8.2 민족

일반적인 중국인은 중국인 항목 참조.
소수 민족은 중국/민족 참조.

8.3 기념일

8.3.1 공휴일

중국/공휴일 참조.

8.3.2 기타 기념일 (무휴)

  • 3월 8일: 국제여성절
  • 3월 12일: 식수절 (식목일)
  • 5월 4일: 청년절
  • 6월 1일: 아동절 (어린이날) 뭐?
  • 7월 1일: 건당절 (중국공산당 창당기념일)
  • 8월 1일 : 건군절 (인민해방군 창건기념일)
  • 9월 10일 : 교사절 (스승의 날)
  • 음력 9월 9일 : 중양절

8.3.3 비공식적인 기념일

무휴지만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날.

  • 2월 14일: 발렌타인 데이
  • 12월 25일: 성탄절
  • 11월 11일: 싱글데이 (光棍节:광군제) -싱글 혹은 독신자의 날. 이런 사람들의 쇼핑을 권장하며, 빼빼로 데이와 마찬가지로 상업적으로 이용된다.
  • 음력 7월 7일 : 칠석 - 연인들끼리 기념한다.

8.4 언어

중국어가 공용어이며 표준어는 베이징 방언을 기초로 한 보통화이다. 문자는 간체자를 사용한다. 다만 홍콩이나 마카오 등 광동지역의 일부분은 번체자를 쓰기도 한다. 중국의 소수 민족들은 중국어와 자신들의 언어를 구사하는 경우도 많지만 일부는 중국어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주요 외국어는 영어, 러시아어, 일본어, 한국어[30]다.

대도시권은 그래도 낫지만 조금만 후미진 곳으로 들어가면 영어가 전혀 안통하는 경우가 많다. 정말정말 아주 간단한 영어단어조차[31] 안통하는 경우가 많으니 중국으로 여행을 갈 계획이 있다면 유의하는 것이 좋다.

그래도 최근에는 중국도 비교적 개방적으로 변했고 젊은층에서 학구열도 높아 어느정도는 통하는 지역이 많아지고 있다.

8.4.1 중국어

9 경제

10 교통

10.1 이외의 담론들

거대한 시장을 이용하여 외국기업의 자본과 기술을 유치한 후, 이를 가지고 국내적 기술의 전반적인 향상을 이용하고 있다. 물론 이 작업이 항상 순조로운 것은 아니라서 이런저런 짝퉁에 관한 안습한 이야기도 많지만, 이런 과정을 통해 중국의 기술이 점점 발전하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핸드폰만 보더라도 2010년까지만 해도 중국제는 조잡한 안습이었으나, 이제는 꽤 괜찮은 제품들을 내놓고 있다. 좁쌀들 클래스를 봐라 솔직히 샤오미 대용량 배터리 다 샀자나? 근데 그거 한국제/일제 배터리 사용한건데?? Made in China

중국 고속철도 사업을 보면 거대한 시장규모를 이용한 중국의 기술도입의 전형이 나타나는데, 중국은 구간을 나눠 TGV, 봄바르디어, ICE, 신칸센 모두와 합작사업을 벌였고, 이들 모두의 기술을 적극 섭취했다. 그러니까 한국이 TGV를 구매하면서 받은 기술이전을 중국은 4개 업체 모두에게 다 받았다는 것. 기술 섭취가 미진했다는 주장도 있으나, 어쨌든 중국은 단번에 이들 선진 4개 업체의 기술을 접할 수 있었다. 그래서 초기의 몇몇 사고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국은 갑자기 고속철도계의 강자가 되어 여러 사업에서 원조 회사들과 경쟁하고 있다. 선진국 업체들이야 급전이 필요해서 그랬다지만, 부메랑을 던진격.

중국이 핵심기술을 강제로 공개한다는 법을 만들었다는 IT제품 기밀 공개 명령제는 보안에 관련된 기술을 공개하라는 것으로서 중국국가안보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요구한 것이며, 무리한 것 같지만 나름 이유가 있다. 중국은 이미 윈도우나 iOS과 같은 비공개 소스코드 제품에 미국의 치트키가 숨겨져 있다는 것을 감지해왔고, 1990년대 말부터 이런 제품을 정부에서 쓰는 것을 금지해왔다. 이는 2013년 스노우든의 폭로로 근거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세한 것은 프리즘 폭로 사건을 참고.


부동산 시장, 통신 시장 같은 경우는 정부가 독점하고 있다. 토지의 영구 소유권은 인정되지 않고 토지의 소유권은 전부 중앙정부가 가지고 있다. 다만, 중국에서 땅은 국유지임은 사실이나, 건물은 사유재산이 맞다. 물론 명시적인 법률 상으로는, 실질적으로 보면 좀 웃긴 상황인데, 70년(최장 70년이고 다른 기한도 존재한다)이 끝나면, 토지의 임대 년한을 연장해준다고 정부에서 입법공표는 해 놓은 상황이라고 한다. 하지만, 얼마나 연장해줄지 아님 그 임대료는 얼마나 받을지 아무도 모른다. 아마 국가주석도 모를 것이다. 아직 70년이 돌아오려면 한 35년 넘게 남았기 때문에 세부세칙은 공표 안해 놨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에 문제는 존재하는데, 임대료를 만약 경제주체가 용납할 수 있는 범위 밖에서 설정하면? 건물은 당연히 포기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그렇지만, 70년이 넘은 건물은 거의 없다. 이런 경우는 있다. 아버지가 대지와 건물을 아들한테 넘겨주면, 아들은 오래된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 건물을 짓는 경우는 있다. 중국은 이런 경우는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2040년~2050년 전후로 한번 대규모 건설경기는 부양될 것 같다.(물론 초대형 도시 중심으로) 아직 멀디먼 이야기이다. 글 읽고 있는 위키러가 퇴직하거나 퇴직 준비할 떄쯤이다.

빈부격차가 심각하여 사회 불만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대로 방치할 경우 조만간 큰 사회 문제가 될 것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도 이의 해결을 고심하고 있으나 쉽지 않을 듯.

경제성장률을 높이고 계속된 성장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당한 무리수를 쓰고 있는 부분도 있다. 심지어 작은 도시 하나를 통째로 이주시키기 위해서 도시 옆에 같은 규모의 도시를 건설하고 전의 도시는 버리는 방식의 개발을 하기도 한다. 특별한 재난이나 대형 사고 때문이 아니라 건설 쪽 일거리를 만들기 위해서. 중국 정부는 사회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경제성장률을 8%로 상정한다고 한다. 그 이하로 내려가면 문제가 커진다는 이야기.

2012년 현재 1인당 GDP는 5,898달러이며 2011년 기준 구매력 평가기준 GDP는 11,299.98달러이다. 중국 경제(여기서는 총 GDP를 말한다)는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구매력 평가기준으로는 2015년 명목 기준으로는 2025년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규모가 커진다고 해서 미국을 능가하는 패권국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목소리가 커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결국 2014년 구매력 평가기준 GDP는 미국을 추월했으며 2016년 현재 명목 GDP는 미국의 3분의 2에 달한다.

11 과학기술

메이드 인 차이나의 악명때문에 중국의 과학기술이 삼류라고 평가받곤 하지만, 적어도 우주항공기술이나 국방과학기술, 기초과학기술 등의 기술분야들에 있어서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강국 중 하나이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의 첨단과학기술이 매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32]

이미 1950년대에는 소련으로부터 각종 무기들을 라이센스 생산해왔는데다가 소련과의 제휴가 끊긴 1960년대 초반에 핵무기와 중거리유도탄, 문화대혁명으로 난장판이 되어 있을때인 1970년대 초반에는 우주선 발사에 성공하고 ICBM을 개발하는 기염을 토했을 정도이다. 이는 미국 뿐만 아니라 소련과도 사이가 나빠지면서 기술 도입선이 막혀버렸고, 스스로 모든 무기를 개발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랬기 때문에 중국은 국방과학기술에 엄청난 투자를 했고, 국방중 항공, 우주분야에 한해서 한국에 비해 4.2년 정도 앞서있다는 평가가 있다.[33]# 하지만 한국이 겨우(...) 4.2년 뒤쳐져있는건 그냥 점수로 매긴 지표상 나타난 것이고, 우주항공 산업의 현재 결과로만 보면 중국은 이미 한국이 넘기에는 넘사벽. 중국은 1970년 인공위성을 자력으로 발사하고, 현재는 우주 정거장을 만들고 있는데, 한국은 인공위성의 자력발사도 아직 달성하지 못한 상태이다. 나로호의 1단은 러시아제 앙가라 로켓이고, 한국이 순수 자력으로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것은 2020년 이후로 되어 있다. 원래 계획은 KSR-III로켓을 여러발 묶어(북한의 은하3로켓 처럼) 1단을 제작하는 것이었으나 이후 결함이 발견되어 실현되지 못했다.

사실 조선업만 보더라도 벌크선이나 중소형 화물선 같은 저부가가치 선박은 중국 점유율이 높다지만 대형 화물선이나 유조선 탱커, LNG선, 시추선, FPSO, 드릴십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은 중국 조선업체가 발도 못 내밀게 격차를 벌려놨다. 더군다나 선주들 사이에서 중국 업체에 선박을 발주하는 건 업계에서 엄청나게 쪽팔린 걸로 통하는데다 중국 조선업의 저가경쟁 요소였던 낮은 임금도 중국 정부의 임금 인상 정책으로 인해 2015년 현재로서는 옛날 이야기이기 때문에 한국 조선업계가 또다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게다가 반도체 같은 경우에는 이미 삼성과 하이닉스가 전세계 반도체 시장의 반을 장악한 지 오래라... 중국 정부에서 두 회사의 중국 공장이나 연구소를 국유화하는 막장짓을 하지 않는 이상 이쪽 또한 쉽사리 중국에게 주도권이 넘어가진 않을 듯.

경제대국으로 떠오른 중국과 일본에 이웃한 한국이 그 틈바구니에 끼어 발전이 정체한다는 ‘샌드위치론’이 등장하였다. 한·중·일 기술수준을 비교하면 이에 대한 우려가 큰 것이 현실이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17일 발표한 ‘2013년 주요국별 산업기술 수준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은 일본과의 격차를 일정부분 좁힌것은 맞으나(1년의 격차) 중국이 격차를 좁혀오는 속도가 좀더 빠른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중장기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KEIT는 산업기술 연구·개발(R&D) 28개 분야의 592개 세부기술에 대해 산업계와 학계, 연구기관 전문가, 재미 한인 공학인 등 5034명을 설문조사해 전 세계 주요국의 산업기술 수준을 진단했다.#산업기술수준조사보고서

KEIT의 2011년 조사와 비교하면 디스플레이, 반도체, IT(정보기술) 융합 등 분야에서 한국은 일본을 추격하는 속도보다 중국에 따라잡히는 속도가 더욱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디스플레이는 2011년만 해도 중국과 26.9년의 격차였지만 지난해 조사에서는 19.3년으로 좁혀졌다. 같은 기간 반도체는 17.3년에서 13.1년으로, IT 융합은 14.9년에서 11.7년으로 추격당했다. 10년 내로 격차가 좁혀진 분야도 나타났다. 발광다이오드(LED)는 9.6년에 불과했고, 나노기술 역시 9.1년에 그쳤다. 지식정보보안은 7.2년까지 좁혀졌고, 바이오는 6.9년으로 가장 근접했다. 참 기준이 제멋대로시다. 우주기술 격차는 지표상 나타난 점수고 다른 기술은 앞으로 중국이 맘먹으면 훼까닥 뒤집어 지나보다.

지난 2년 사이 일본과의 격차는 오히려 벌어졌다. 최대 기술국인 미국의 수준을 100%로 가정했을 때 2011년 일본과 한국은 각각 95.1%와 84.7%를 기록했다. 2013년 들어 일본은 94.9%, 한국은 83.9%로 경쟁력 하락폭이 더 컸다. 미국은 바이오·의료기기·로봇·이동통신 등 대분류 18개 분야에서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 일본은 섬유·의류, 금속재료, 화학공정, 생산기반, 디스플레이 등 6개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을 가진 국가로 평가받았고 유럽은 자동차·조선 등 4개 분야에서 1등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며, 한국은 디지털TV/방송,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을 가진 국가와 근접한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다 평가받고 있으나 1위분야의 기술은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다. 일본을 100%로 전제한 디스플레이 기술 수준은 2011년 95%에서 2013년 91%로 오히려 퇴보했다.

한·일 간 기술격차는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도 있어 우려를 키우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과 일본의 수출 경합도는 0.501을 기록,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세부분야-중분류에서 미국은 87분야, 일본은 33개, 유럽은 21개, 한국은 미래조선생산분야 1개, 중국은 0개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세부분야-소분류에서 미국은 358개, 일본은 130개, 유럽은 86개, 한국은 20개, 중국은 0개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것으로 평가 되어, 아직까지는 기술적으로 한국이 중국을 앞선 상태이나 장기적인 추세를 보았을때 역시 주의를 해야할 부분이다.

이미 2012년에 중국의 R&D 투자액은 중국 GDP의 2%에 달하여 총 2968억 달러의 규모로 세계 2위의 규모이다. 이는 12년만에 1100%이상이 급증한 액수이다. 또 중국은 R&D 연평균 증가율(14.7% ·2004~2011년 기간)에서도 세계 2위 이다. 2014년부터 중국은 유럽연합을 제치고 R&D 투자액 규모에서 세계 2위를 확고히 유지해가고 있으며 2015년 기준 중국의 R&D 투자액은 4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같은 기간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의 세계 R&D 비중이 0.6~1.7%포인트로 3년간 줄어들은 것에 비하여 중국은 2.2% 늘어났다.

일본이 이러니 저러니해도 아직까지 기술력이 강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고 그와 더불어서 한국이 일본의 기술을 추격하는 속도보다 중국이 한국의 기술을 추격하는 속도가 좀더 빨라, 무섭게 쫓아오고 있다는 것이며 이것은 곧 위기일수 있다는것을 의미한다. 원천기술, 삼극특허와 SCI급 논문 피인용지수등으로 살펴보았을 때#, 응용과학기술력에서 중국이 아직까지는 한국에 비해 뒤쳐져 있는것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언제 따라잡힐지는 모르는 일이니 우리로서는 주의해야만 하는 것이다. 한국의 첨단기술은 기업들의 적극적이고 과감했던 투자와 공대붐이 일었던 80년대에 배출됐던 인재풀로 만들어 낸 것인데, 그것이 현대에 와서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위의 서술도 그렇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처럼 신뢰성이 높은 통계 자료를 기준으로 보면 한국 사람들이 멍청이가 아닌 이상 디스플레이, 반도체, IT(정보기술) 같은 주류 분야는 추격 속도가 매우 빠르면 10년 적당히 빨라도 20년은 걸릴 격차다. 2015년을 기준으로 봐도 아직 차이가 많이 나는 편이라 수치상으로 중국이 20년 안에 따라잡을 수 있을 가능성은 낮다. 실제로 중국도 2050년에 선진국에 해당하는 과학기술 수준을 갖추는 것[34]을 목표로 잡고 있다. 사실 후발 주자에게 메리트가 있는 것처럼 선두 주자에게도 메리트가 있어서 잡히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그래도 한국도 살아남으려면 앞으로 미래 연구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더 해야 한다. 특히 잔기술이 아니라 고급기술이나 기초과학 분야에서 석박사급의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데 국가적인 차원의 투자를 해야한다. 그러나 한국의 우등생은 무조건 의대, 중국의 우등생은 무조건 공대 기사 이와중에 국방부는 전문연구요원을 폐지한다고 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12 교육

대한민국, 중화민국일본과 더불어 교육열이 상당히 높은 국가다. 특히 상하이나 베이징등 주요 대도시 지역의 교육열은 동쪽에 있는 이웃나라인 대한민국일본보다도 훨씬 교육열이 높으며, 유치원생 때부터 부모님과 떨어져 지내야 한다. 이유는 대한민국 · · 학생들이 서울대학교에 가려고 열심히 공부하듯 중국에서도 베이징대학에 가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 중학교는 대한민국보다 더 늦게 마친다. 그리고 여긴 경쟁자가 훠~~~~월씬 많다 이러니 가오카오에서 컨닝이 난무하지......
중국의 학제는 우리나라와 같은 6-3-3이지만 명칭은 소학교, 초급 중학교, 고급 중학교이다. 초급 중학교까지의 9년이 의무교육이다. 역사 교육이 굉장히 강조되어 있어 12년 동안 매년 역사를 배운다.

대한민국중화민국일본의 고등학생처럼 입시위주 교육의 최대 피해자들. 다들 중국 최고의 대학교인 베이징대학칭화대는?에 가려고 열심히 공부해야만 한다.
또한 야간자율학습 실시 국가 중 한 나라만큼 일반 대학 입학 전국 통일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밤늦게까지 공부하는 학생, 아니 기계가 되어 버렸다.

중국은 대학 입시에 지역 할당제를 적용한다.

13 국방

14 치안

15 문화

16 인권 문제

17 환경 문제

18 중국의 잠재력

수천년간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을 이끌고 군림하였던 국가

나폴레옹 1세 : 중국은 잠자는 사자다. 잠에서 깨어나면 세계를 진동시킬것 [2]

중국이 역사적으로 끼쳐온 지대한 문화적 영향은 무시할 수 없으며 3백 년만 거슬러 가도 단연 독보적인 초강대국이였고, 아편전쟁 등으로 열강에게 탈탈 털리던 시대 마저도 '적어도 경제적인 덩치에서는' 여전히 세계적 규모의 대국이었다. 나폴레옹이 괜히 "잠자는 사자를 깨우지 말라"고 한 게 아니다. 농담조로 하는 이야기 중에 '세계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이집트가 세계 최강대국이던 시기와 중국이 세계 최강대국이던 시기'라는 말도 있을 정도.

그리고 이미 중국은 강대국이다. 인구 세계 1위, 무역 규모 세계 1위다. 외환보유고세계 1위로 3조 8200억 달러. 2위인 일본부터 대한민국,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인도까지 다 합쳐야 중국의 외환보유고를 넘어선다. 경제규모 또한 미국 다음으로 세계 2위이며 실질적인 영향력은 일본을 이미 능가했다. 2010년 상반기에 GDP 규모가 일본을 추월했다고 추산이 나왔다. 그런데 경제학자들의 추산에서 중국이 일본을 추월하는 시점이 2011년이었다(...). 북한 문제가 걸려 있는 한국 입장에서는 더욱 중국의 강한 영향을 받고있다. 세계금융위기 후의 중국의 행보 역시 더욱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말도 많고 탈도 많던 언론 통제 역시 아주 조금 완화되는 모습을 보인적도 있다. 싼 가격을 이용한 군수물자 수출도 활발하다(ex: 99식 전차). 관점에 따라 중국의 무기가 싼게 비지떡이라고 보는 경우도 일부 있으나, 군사과학면에 있어서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과 2012년 기술수준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한국을 수년 가량 더 앞선 기술대국이다. 어차피 메이드인 차이나의 악명은 민간이 싼 가격으로 조잡하게 만드는 상품를 조소하는 것이지, 국가가 정책적으로 마음먹고 만드는 무기들은 중국도 엄청난 역량을 자랑한다.

우주항공 분야에서도 중국은 명실상부한 세계 3위의 강대국이다. 최초의 인공위성스푸트니크 1호가 쏘아올려진 다음해인 1958년부터 모 주석위성발사를 제창했고[36], 1960년 최초의 발사체 둥펑東風 미사일[37]을 쏘았고, 1970년 둥팡홍東方紅[38] 1호로 드디어 빛을 발했다. 문화대혁명이라는 전국구급 병크를 겪은 와중에도 우주 항공 기술을 이정도까지 개발 성공했다는 게 호러.

사실 2000년 이전까지만 해도 중국의 우주기술은 미러는 물론 일본이나 유럽에 뒤진다고 평가되었다. 사실 인공위성 발사로 스페이스클럽에 들어간건 세계 5번째라서 아무리 못해도 세계 5위는 되었다. 장쩌민시절인 1990년대 921공정이라는 계획을 세운 이후, 30년안에 독자 우주정거장을 건설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우고 밀어붙였다. 결국 20년동안 실험용 우주정거장까지 건설하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중국의 우주항공 기술력이 세계 3위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본격적으로 증명한 것은 2003년 10월 선저우 계획으로 첫 유인우주선 선저우 5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을 때. (공군 중교(중령 격) 양리웨이 탑승.) 당시 중국과학기술 부장(장관격) 쉬관화(徐冠华,서관화)은 “양탄일성"급의 사건이라고 말했다. 말하자면 원자폭탄(1964년 성공)과 수소폭탄(1967년 성공)을 성공시킨 기쁨에 둥팡홍을 쏘아올린 기쁨을 더한 정도라는 것이다. 경사났다는 거다 고작 2년 8개월밖에 걸리지 않은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개발과정은 중국의 핵개발 항목 참조. 2007년에는 중거리 탄도미사일로 스스로 노후기상위성을 파괴하기도 했다. 물론 아직 미국에겐 넘사벽이지만. 이 위성파괴건은 마냥 자랑만 할 거리는 아닌 게, 미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우려를 표시했으나, 중국은 그냥 무시하고 파괴시켰다. 그 결과 대량의 우주쓰레기 양산. 발사체를 이용한 위성파괴는 우주쓰레기를 심각하게 발생시켰는데, 미국과 소련이 이런 종류의 무기를 80년대 여러번 실험했다가 우주쓰레기를 발생시켰는데, 중국도 여기에 나쁜쪽으로 한몫하게 된 것이다. 보통 미국과 소련의 경우를 반면교사 삼아 안하지 않나? 미국, 소련이 쓰레기를 만들어? 그럼 나도 만들어!(응?) 참고로 영화 그래비티는 중국의 위성파괴 때문에 문제가 빚어졌다는 식으로 전개하려고 했으나 중국시장을 고려해서 러시아가 파괴하는 것으로 시나리오를 바꾸었다고 한다.역시 시장이 깡패중국 정부도 이에 화답하여 그래비티의 개봉날자를 당겨줘 미국과 중국은 거의 동시개봉하게 되었다.

중국은 이제는 2011년 9월 부로 우주 정거장도 쏘아 올리는 나라다. 그 이름도 위엄찬 톈궁, 그러니까 천궁天宫이다! 무인 우주선 선저우 8호로 이미 도킹은 성공했고, 9개월 뒤에 아예 2012년 6월 18일에는 첫 여성우주인 류양을 태운 유인우주선 선저우 9호가 지난 18일 지구궤도에서 우주 정거장인 톈궁 1호와 도킹에 성공하였다. 2013년 12월에는 세계 3번째로 최초의 무인 달 탐사 차량인 옥토끼(玉兎·위투)를 탑재한 창어3호를 달에 착륙시켰다. 2015년 7월 25일에는 쓰촨성 시창 위성발사센터에서 제18 · 19호 차세대 베이더우 항법위성을 탑재한 창청(長征)3호을(乙)과 위안정(遠征) 1호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2015년 9월 20일에는 20기의 소형위성을 장착한 로켓인 창정 6호를 발사 성공하였다. 또한 2004년부터 11년째 이어지고 있는 중국의 달 탐사 공정을 통해 중국은 이미 달 궤도 선회 및 달 표면 착륙과 같은 임무를 성공한 상태다. 2016년 8월 16일에는 세계 최초로 양자통신 상용화를 위한 실험위성 발사에 성공하였다.

중국의 우주기술이 대단하다는 것은 수치로도 증명되는데, 중국은 모든 종류의 인공위성 (통신, 기상, 군사, 과학...)을 독자제조할 수 있으며, 위성 발사기지는 5곳 (주취안, 시창, 원창, 타이위안, 603기지), 우주개발에 종사하는 인원수는 40만여명에 달한다. 뿐만 아니라 현재 궤도상의 인공위성 수와 지금껏 발사한 위성의 수도 중국은 러시아-미국에 이어 세계 3위다. 중국의 공식 우주예산은 1년에 50억달러 정도지만, 중국의 국방비와 마찬가지로 누구도 진짜 중국이 이정도밖에 안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일단 돈을 퍼부으면 기술력은 성장하기 마련이고, 기술력이 성장하면 성과는 당연히 나오기 마련인데, 유인우주선 성공과 우주유영 성공, 그리고 실험적 우주정거장인 톈궁을 건설하는 것으로 이미 중국은 자신의 기술력을 보여준 것이다.

한국으로서는 중국의 대두는 국가전략에 참으로 힘든 과제를 안겨주었다. 한국의 대중국 무역 의존도는 20%로, 대일 의존도 10%, 대미 의존도의 9%의 두배며, 일본과 미국의 무역 의존도를 합해야 대중국 무역 의존도와 비슷할 정도지만, 중국에 대한 무역 의존도는 계속 높아지고 있는 반면 미국이나 일본에 대한 무역 의존도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한국이 IMF 체제를 비교적 쉽게 극복할 수 있었던 원인 중의 하나가 바로 중국이라는 성장엔진이 옆에 있었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한국으로서는 현명한 대외정책이 절실하다.# #중국 경제의 영향력 증가 최근에는 미국 증시보다도 상관계수가 높아졌다. 관련기사

다만 확실한 것은 중국은 14억의 인구라는 거대한 규모를 기반으로 한 크고 아름다운 경제성장을 하면서도, 그로 인한 상상을 초월한 환경 오염 등의 부작용도 함께 몰고 다니고 있다. 잘되면야 새로운 초강대국으로 등극할지도 모르지만,잘 안되면 세계의 시한폭탄이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국제 사회는 중국의 행보에 커다란 영향을 받으며 변화해 나갈 것이다. 일부 학자들은 언젠가 미국이 1위의 자리에서 내려오게 된다면 그 1위는 중국이 차지할 것이라고 한다. 일부 중까나 중국회의론자들은 일본도 한때는 그런 립서비스를 받았다기 때문에 중국도 비슷하게 몰락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자원이나 국토 면적 측면에서 중국은 일본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유리한 것은 확실하다.

다만, 인구 수의 경우 잘 풀리면 역량이지만 잘못 풀리면 위협 요소이고, 장기적으로 볼 때 지나치게 큰 국가와 인구의 규모가 사회적 불안의 요인이 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서민들은 당연히 경제성장의 열매를 자신들도 맛보기를 원하지만, 13~15억에 달하는 인구 전체가 맛볼만한 열매를 마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니까.

당장, 자원 펑펑 쓰기로 유명한 미국인들의 생활행태에 빗대어 '중국인들이 미국인들만큼 자원을 쓰려고 들면 지구가 10개라도 모자라다' 고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성장의 결과가 재분배되지 않으면 대중들은 당연히 화를 낼 텐데, 중국 인구가 한꺼번에 들고 일어나면 그 뒷감당이... 역사적 맥락과 그로 인한 사회적 분위기 문제는 쉽게 따지기 힘든 문제이므로 생략한다. 이 문제에서 한가지 생각해 볼 만한 것이, 중국의 경제 성장을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이 '서북부 내륙의 발전상은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동남부 해안지방은 어지간한 중진국 수준의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한다는 점이다. 문제는 현재 중국의 국제적 위상은 어지간한 중진국이 문제가 아니라 신흥 초강대국으로써 입지를 다져가고 있는 수준이라는 것. 국력과 국민 생활수준의 차이가 어느정도 날 수는 있지만 이 정도까지 격심한 차이가 나는 것은 20세기 후반~21세기 초반의 기준으로는 납득하기 좀 힘든 면이 있다.

이래서 실질 소비시장으로서의 중국도 좀 과대평가 된 감이 있다. 현 가치로 따졌을 시 중국의 가계소비는 약 3.424조 달러, 양적완화와 일본 엔저의 영향을 안 받은 2005년 기준달러로는 약 1.6조달러이다. 인구가 1/14인 일본의 경우 가계소비가 약 3조 달러, 2005년 기준달러로는 2.863조 달러임을 감안하면 일본보다도 못한 내수시장을 갖고 있는 셈이다. 물론 일본도 경제대국이며 인구가 1억이 넘어가는 인구대국이긴 하지만 그래도 중국의 14억 인구를 생각하면 중국의 구매력이 좀 과대평가되는 감이 없잖아 있는것이다. 또 중국은 동부해안지대와 나머지 일부를 제외한 지역의 차이가 매우 극심해서 아직도 1달러~2달러로 사는 절대빈곤층이 8,200만명 이며 그 위로 빈곤층이 수억명 존재한다.도농격차가 매우 심각해 지금도 중국 농촌에서 수많은 농민공들이 중국 동부로 올라오는데 이래서 점점 동부와 나머지 지역간의 지역격차, 도농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19 대륙의 기상

중화 문명 5천 년의 신비로 각종 이상한 일이 다 일어나는, 세계에 마지막 남은 유일한 판타지 국가.
하지만 인도가 출동하면? 아대륙의 기상

20 중국위협론

중국이 장차 이웃국가 및 다른 세계 나라들에게 위협이 될 것이라는 이론.

21 중국붕괴론

중국의 경제성장의 이면에는 문제점이 산재하고 있으며 곧 정치/경제적으로 붕괴할 것이라는 이론.

22 국기국가(國歌)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136조 (2004년 추가조항): 중국의 국기는 오성홍기다. 중국의 국가는 의용군 행진곡이다.

1978년 마오쩌둥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잠시 가사가 바뀌었으나, 그 후 1982년 인민대회에서 다시 원래 가사로 바꾸었으며, 2004년 정식으로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136조에 '중국의 국가는 의용군 행진곡이다.'라는 조항이 추가, 공식적으로 중국의 국가가 되었다.

23 관련 문서

23.1 국제정세 관련 문서

23.2 은어 관련 문서

23.3 문화 관련 문서

  1. 단둥 시, 관전만족자치현, 집안 시, 백산 시, 임강 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안도 현, 화룡 시, 용정 시, 도문 시, 훈춘 시, 랴오닝 성.(북한 접경지역으로 북한의 공작원에 의해 한국인이 대상인 범죄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
  2.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3. #
  4. 건국은 1949년이지만, 중국의 유엔 가입년도는 1945년이다. 1949년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을 1912년 건국되어 1945년 유엔 창설멤버였던 중화민국의 후계국가로 규정하고 있다. 실제로 1971년 통과된 UN총회 결의안 2758호는 중화인민공화국을 '1949년 소멸한' 중화민국의 후계국가로, 대만으로 천도한 중화민국 정부를 장제스의 대표들(Representatives of Chiang Kai-Shek)로 정의했다. 이 말은 당연히 장제스가 중화인민공화국 영토 일부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뜻으로 작성된 것이다. 중화인민공화국으로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을 탐하여 이를 주장한 영국 같은 몇몇 선진국, 공산주의 진영국에서 중화민국을 매장했는 게 맞지만.
  5. 실질적으로는 지정되어 있지 않음 / 마오쩌둥은 중화민국의 국화인 매화를 국화로 정하기를 바랬으나, 워낙 큰 대륙이다 보니 국화로 지정되기 바라는 꽃도 많고 그중 수로는 매화나 모란이 가장 많지만 모란이 좀 더 우세라고 한다.
  6. 중화민국으로부터 승계받은 코드다.
  7. People's Republic of China의 약자. 메이드 인 차이나의 부정적인 시각도 있고 해서 요즘 CHN보다 PRC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8. 각 자치구마다 자신들의 언어를 쓰지만 공용어는 중국어이며, 표준어는 베이징 방언을 기초로 한 보통화이다.
  9. 대부분의 중국인은 간화자를 쓰지만 홍콩, 마카오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정체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10. 중국은 명목상으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거의 모든 종교 활동이 중국 공산당의 감시 하에 이루어지며, 그 공산당은 무신론자만이 입당 가능하다. 괜히 바티칸이 중화인민공화국이 아닌 중화민국과 수교한 것이 아니다. 중국의 가톨릭은 말만 가톨릭이지 교구 총괄 주체가 바티칸이 아니라 공산당이며 바티칸 측 개입은 철저히 거부하는 짝퉁 가톨릭이기 때문
  11. 미국을 추월했다.
  12. 출처 여기 이게 얼마나 되는지 감이 안 잡힌다면 대한민국 코스피, 코스닥 양대 주식시장몽땅 싹쓸이 해버리고도 2조 달러가 남는다고 알면 된다. rkfkfjdkhekw참고
  13. .中国과 .中國은 국제화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마카오는 별도로 도메인이 있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영토로 주장하는 중화민국 또한 도메인이 있다.
  14. 중국어로는 공력(公曆·公历)
  15. 서력기원 외에도 공자탄생을 기원으로 하는 공자기년(서기+551)과 중국의 시조 공손헌원이 왕위에 오른 황제기년(서기+2698)을 두고 몇년전부터 저울질을 하고 있다. 서기 2016년은 공자기년 2567년, 황제기년 4714년이다.
  16. 원래 1945년에 먼저 가입한 중화민국이 탈퇴하면서 가입하였다.
  17. 중공中共, 1992년 한중수교 이전 지칭
  18. 몽골 문자
  19. 키릴 문자
  20. 수도와 주요도시가 동아시아 쪽에 모여있으니 동아시아가 맞다
  21. UTC+8이다
  22. 실제 의무 복역기간에 대해서는 추가바람. 일반적으로 15~20년 내에 가석방이 되며, 사형 집행유예도 원래는 이런 식으로 갔다가 구카이라이 사건이 터지고 나서 25년으로 전격 상향 조정되었다고 한다.
  23. 물론 왕량처럼 예외가 있긴 하지만 이 경우는 왕량 본인은 강도 범행 제안만 했고 처음부터 강도가 목적이었는데 웨이웨이와 양닝이 살해까지 저질렀다고 강조한 데다 중국 공안 당국 수사에 최대한 협력한 점이 참작되어 가능한 일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국이 아니라 일본에서 저질러진 사건이기에 중국 정부가 자국 여론을 크게 신경쓰지 않을 수 있었다는 점도 작용했다.
  24. 중국도 본인이 소장 후 흡연 목적이 명백하고 판매 목적이 아닌 경우는 단기 징역(성룡의 아들 방조명이 가진동과 대마초를 흡연을 했고, 징역 6개월과 한국돈 35만원 정도 가량의 벌금이 부과되었다.)과 일정액의 벌금이 부과되며, 흡연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국영 마약 전담 중독 치료센터에서 무상 치료를 받는다.
  25. 2010년 중국의 공식통계에 의하면 중국의 출산율은 1.181명에 불과했으며, 특히 베이징(0.706명)이나 상하이(0.736명) 같은 대도시나 랴오닝(0.740명), 헤이룽장(0.751명) 등 동북 3성 일대에서는 출산율이 0.7명대까지 떨어졌다.#
  26. 다만 충칭은 하나의 도시라기에는 지나치게 크다. 충칭직할시 면적은 82,368㎢인데 남한 전체 면적이 99,538㎢. 일반적인 도시지역의 인구만 계산하면 500여만 명 정도로 그리 많지는 않다. 물론 중국 치고 안 많은 거고 우리나라에 오면 부산보다 큰 도시...
  27. 국방 및 외교를 제외한 많은 분야에서 본토와 별개로 돌아가기 때문에 인구통계 등 각종 통계에서 중국과 별개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28. 서울은 2016년에 인구 천만 선이 깨져 2016년 8월 현재 990만 명이다.
  29. 대만에서는 중화민국 건국기념일인 '쌍십절'로 지켜지며 공휴일이다.
  30. 이중에서 한국어는 연변 자치주의 공용어로 지정되어있다. 다만 연변의 한국어(중국 조선어)는 남한 표준어의 영향을 상당히 받기는 했지만 기본적인 정서법은 문화어에 좀 더 가깝다.
  31. 버스, 택시 이런것도 전혀 못알아듣는다.(...)
  32. 단적으로 진출하고 나서 어마어마한 성장 속도를 보이는 슈퍼컴퓨터 분야가 있다.
  3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년 기술수준평가 본보고서 pg.161
  34. 중국의 국가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 계획과 중국 현대화 보고서에 의하면 그렇다.
  35. 중국 정부는 타이완중화민국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중화민국군대만군(台军)이라고 부르며 정규군이라기보다는 지역군, 일종의 준군사조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하여 대만이 독립을 선언하면, 중국은 이를 내란으로 규정하고 타국의 개입을 막기 위해 인민해방군 정규군이 아니라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가 선봉에 설 것이라고 한다. 중국군과 대만군은 현재 적대관계이지만, 현재 양안관계는 수백만명이 상호 방문할 정도로 양호하기 때문에, 1950년대와 같은 무장충돌은 벌어지지 않고 있다.
  36. 이때 중국 최고의 과학자라는 첸쉐썬(錢學森, 전학삼)과의 일화는 중국/경제 항목 참조. 다만 해당 글에서 15년의 계획은 조금 앞당겨진 감은 있다. 스푸트니크 발사는 1957년이기 때문. 이러이러한 틀이 잡혀 있었다는 것 정도로 보면 된다.
  37. 그 유명한 동풍 드립의 동풍 맞다. 중국 항공모함의 킬러 미사일도 둥펑이다.
  38. 동방홍, 마오쩌둥 찬가의 이름이기도 하다. 황화 협주곡을 마개조시켰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