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연구간

(사구간에서 넘어옴)

絶緣區間 / Dead Section

1 개요

딩동댕, 여기서부터는 절연구간입니다.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절연구간 통과 시[1][2]

(멜로디)[3] 잠시 후 전력공급 방식 변경으로 객실 안 일부 전등이 소등되며, 냉 난방 장치가 잠시 정지되오니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 절연구간 통과 안내방송

전기철도(지하철 포함)에서 직류와 교류가 바뀌거나, 전기주파수가 바뀌거나, 관할 변전소가 바뀌는 등의 사유로 잠시 전력 공급이 끊어지는 구간. 원래는 데드섹션의 직역어인 사구간(死區間)이라는 표현을 썼으나, 국립국어원에서 언어순화의 결과 절연구간이라는 표현을 쓰게 되었고, 철도사업법도시철도법에서 용어도 절연구간으로 통일되었다. 일본에서는 아직 데드섹션이라고 부르며 지적확인시에는 '섹션'이라고 환호응답한다.

이 구간 내에서는 견인전동기 전력 공급이 불가하므로 제동을 사용하지 않고 관성주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기관사는 절연구간 진입 직전 역에서부터는 하구배나 커브가 없는 한 최대한 가속을 해서 절연구간을 통과할 만한 속도로 올려두어야 한다. 그리고 전동차 내부의 형광등이나 안내장치(LCD 및 LED 전광판) 등의 시설도 꺼졌다가 통과 시 다시 들어온다. 다만 311000호대의 311x95편성부터는 에어컨만 작동 정지되고 형광등은 들어온다. [4] 따라서 이 구간 내에서는 기관사는 차량을 정차시켜서는 안 되며, 비상제동 체결 등으로 인해 차량이 정차한 경우 적절히 취급한 다음 빠져나온다. 사실 이것도 차량 중 어느 부분이 절연구간에 빠졌냐에 따라 달라진다. 팬터그래프 중 한 개라도 절연구간 밖에 있다면 후속 열차들을 대기시킨 다음 적절히 역행을 해서 빠져나오게 되지만 여기서 잘못 조치하면 다른 차량으로부터 구원운행을 받거나 유니목이라는 장비라고 쓰고 다목적 트럭이라고 읽는(...) 차를 이용해서 어떻게든 절연구간 밖으로 열차를 견인하게 된다.[5] 물론 견인을 받기 위해서 구원기가 될 열차를 현장에 보내고 승객들에게 제공될 대체 열차를 끌어오는 등 최소 수십분 이상을 기다리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직류에서 교류로 바뀌는 구간은 교직 절연구간이라고 부르며 말 그대로 직류 ↔ 교류로 전기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구간으로 운전취급이 가장 까다로운 구간이며 운전이론 및 도시철도 시스템에서는 66m로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교-교 절연구간은 각 변전소간의 교류 위상차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조정해 주거나 다른 사정으로 교류구간에서 전기를 공급하기 어려운 구간에 설치하는데 일반적으로 22m로 되어있어 매우 짧기 때문에 일반 승객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안산선대야미역수리산역 사이. 이 구간은 35km/h 이상으로만 통과해도 주차단기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절연 구간을 느낄 수가 없다. 단,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에서 운행되는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전동차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는 절연 구간에서 객실 LED가 리셋되며, 객실등이 잠깐 소등되는 현상을 보인다. 코레일 소속 차량에서는 웬만해서는 보이지 않는 현상.

직류 ↔ 직류 절연 구간은 국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직류 전류는 파형을 그리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위상차가 존재하지 않아 절연 구간이 불필요하다. 물론 사용 전압이 다른 노선끼리 직통 운행을 한다면 그 땐 필요할 수도 있으나, 아직까지 그런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가선 급전 방식 노선은 전부 직류 1500V로 통일되어 있기 때문.

통신사 Wi-Fi가 전동차에 구축될 당시에는 절연구간에 들어서면 열차에 설치된 Wi-Fi AP의 전원도 차단되어 작동하지 않았다. 절연구간에 들어서자마자 Wi-Fi가 끊어지기 때문에 불편해하는 승객들이 많은 편았지만 이후 AP에 UPS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끊김 문제가 개선되었다. 예로 수도권 전철 1호선남영역 ~ 서울역 사이, 지하 청량리역 ~ 회기역 사이 등의 절연구간에서는 Wi-Fi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니셜D의 패러디 동인지 "전차로 D"의 D가 데드섹션의 D라는 소리가 있다(....).

참고로 교류-교류 절연구간 부근인지 쉽게 알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선로 주변에 변압시설이 있는지의 여부와 현수애자가 두 개(┌┬┐형태)이거나 마디마다 절연체가 붙어있는지의 여부이다. 수도권 전철이나 일반 열차의 전철화구간이나 모든 지상구간에는 일정 간격으로 승압 및 변전시설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 부근에서 전차선이 들어오고 갈라지는데 그 사이에 있는 전차선에는 절연체가 덕지덕지 붙어있는 구간이 바로 절연구간인 셈. 좀 더 눈썰미가 좋다면 신호기 아래에 붙어있는 절연구간 표지를 보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절연구간의 데드섹션의 종류에는 이중오버랩, PTEF, FRP가 있다.

2 주요 사례

  • 수도권 전철 4호선과천선의 서울메트로 남태령역과 코레일 선바위역 사이. 이 곳은 꽈배기굴을 만들어 놔서 열차의 진행 방향이 엇갈리면서 생기는 커브 때문에 특히 위험한 구간이다.
  • 개통 초창기에는 기관사의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하여 절연구간에 빠지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였다. 특히, 직류장치로 교류 25,000V가 그대로 흘러가 직류장치를 모두 태워먹는 경우도 있었다. 최근에 들어서는 제2종 전기철도차량면허 시험 구간이기도 하고, 숙련도가 올라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 위 모두 서울메트로 측은 직류를 사용하고, 코레일 측은 교류를 사용한다. 특히 위 3개 구간에서는 절연구간 안내방송이 나온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산역이촌역 사이
    • 양쪽이 다 코레일 구간으로 교류를 사용하는데도 전류가 꺼지는 절연구간이다. 철도 위를 지나가는 한강대교와 전차선의 높이 차이가 30cm 미만에 불과해, 전차선을 정상적으로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생겨났다. 게다가 이 구간에는 90도에 가까운 커브와 용산삼각선 합류지점까지 존재해, 일반적으로 교-교 절연구간의 길이는 22m인데도 불과하고 이곳은 120m나 되며 교-직 절연구간처럼 객실등이 꺼진다. 그래서 이 구간에서 열차가 멈춰서면 오도가도 못하게 되는 사고가 생긴다. 열차를 빨리 움직일 수 없어 경의중앙선의 표정속도를 깎아먹는 주범 중 하나.
    • 한강대교가 철로 만든 구조인지라 한강대교 밑으로 지나는 전차선에 전력을 넣어버리면 바로 위에 있는 한강대교에 전기가 흐르는 대참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되었다고 한다. 다만 이것이 사실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 평창올림픽 지원 기존선 고속화 사업에는 이 구간의 절연구간을 이촌-서빙고 구간으로 이설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현재 한강대교 아래의 전차선은 '일반용 가선 브래킷'을 사용하는데, 이를 '터널용 가선 브래킷'으로 교체하면 급전이 가능하다고 한다.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참고.

3 절연구간 표지

절연구간이 있는 구간은 기관사에게 절연구간임을 알리는 표지가 있다. 아래의 사진들은 대한민국 철도의 전차선 관계표지 사진들이다.


가선절연구간 예고표지. 선로속도 200km/h 초과 구간에서는 타행표지로부터 1,100m 전방에, 그 이하인 경우 400m 전방에 설치한다.


타행표지. 전기차는 표지 설치구간을 역행운전하지 못한다. 또한 교직겸용 전기차 이외의 전기차는 전원이 다른 구간에 거쳐서 역행운전할 수 없다.
이 표지를 지나면 운전실에 절연구간 안내방송이 나온다.


가선절연구간표지 교류용. 이곳을 지날 때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산역-이촌역 구간처럼 교-교 절연구간이 긴 구간을 제외하면 전기장치가 꺼지지 않는다.


가선절연구간표지 교직류용. 이곳을 지날 때 교직절환스위치(ADS)를 조작하게 된다.


역행표지 전기기관차용. 전기기관차는 이 표지를 지난 시점부터 역행운전을 할 수 있다.


역행표지 전기동차용. 위쪽 표지이다. (아래는 '속도제한해제표지'이다.)
전동차는 이 표지를 지난 시점부터 역행운전을 할 수 있다.

위 사진 외에도 고속기관차용 역행표지도 있다. 마름모꼴에 가운데 '고' 자가 새겨져있다.

4 대한민국 철도의 절연 구간

SS는 변전소, SP는 급전구분소, SSP는 보조급전구분소이다.

노선명설비명선로구간위치[6]통과제한속도비고
경부고속선소하SP하행금천구청 ~ 광명18.971 ~ 18.993120교류-교류
상행금천구청 ~ 광명18.975 ~ 18.997120교류-교류
안산SS하행광명 ~ 천안아산34.675 ~ 34.926-교류-교류
상행광명 ~ 천안아산34.675 ~ 34.939-교류-교류
향남SP하행광명 ~ 천안아산53.952 ~ 54.191-교류-교류
상행광명 ~ 천안아산53.957 ~ 54.195-교류-교류
평택SS하행광명 ~ 천안아산76.147 ~ 76.390-교류-교류
상행광명 ~ 천안아산76.159 ~ 76.395-교류-교류
용정SP상하행천안아산 ~ 오송기지101.625 ~ 101.786-교류-교류
신청주SS상하행오송기지 ~ 신탄진130.207 ~ 130.373-교류-교류
회덕SP상하행신탄진 ~ 대전북연결선150.186 ~ 150.348-교류-교류
옥천SS상하행대전 ~ 대구183.267 ~ 183.479-교류-교류
상촌SP상하행대전 ~ 대구207.661 ~ 207.889-교류-교류
김천SS하행대전 ~ 대구233.622 ~ 233.860-교류-교류
상행대전 ~ 대구233.662 ~ 233.860-교류-교류
신동SP상하행대전 ~ 대구260.762 ~ 261.032-교류-교류
대구SS하행동대구 ~ 신경주290.513 ~ 290.612-교류-교류
상행동대구 ~ 신경주290.522 ~ 290.621-교류-교류
당리SP하행동대구 ~ 신경주321.650 ~ 321.749-교류-교류
상행동대구 ~ 신경주321.660 ~ 321.758-교류-교류
울산SS하행신경주 ~ 울산347.973 ~ 348.105-교류-교류
상행신경주 ~ 울산347.982 ~ 348.114-교류-교류
보은SP하행신경주 ~ 울산370.606 ~ 370.705-교류-교류
상행울산 ~ 부산370.615 ~ 370.714-교류-교류
부산SS하행울산 ~ 부산390.309 ~ 393.408-교류-교류
상행울산 ~ 부산393.318 ~ 393.417-교류-교류
경부선[7]지하서울역 입구상행2선남영 ~ 지하서울역0.575 ~ 0.641120교류→직류
하행2선지하서울역 ~ 남영0.772 ~ 0.838120직류→교류
구로SS상행2선구로 ~ 가산디지털단지13.446 ~ 13.468120교류-교류
하행2,3선구로 ~ 가산디지털단지13.050 ~ 13.072120교류-교류
상행1선,하행1선구로 ~ 가산디지털단지13.446 ~ 13.468120교류-교류
안양SP상행1,2선관악 ~ 안양22.600 ~ 22.622120교류-교류
하행1,2선관악 ~ 안양22.600 ~ 22.622120교류-교류
군포SS상행2선당정 ~ 의왕31.642 ~ 31.664120교류-교류
하행2선당정 ~ 의왕31.639 ~ 31.661120교류-교류
상행1선당정 ~ 의왕31.630 ~ 31.652120교류-교류
하행1선당정 ~ 의왕31.623 ~ 31.645120교류-교류
수원SP상하행1선수원 ~ 세류43.168 ~ 43.190120교류-교류
상하행2선수원 ~ 세류43.168 ~ 43.190120교류-교류
평택SS상행2선서정리 ~ 지제70.776 ~ 70.798120교류-교류
하행2선서정리 ~ 지제70.843 ~ 70.865120교류-교류
상행1선서정리 ~ 지제70.771 ~ 70.841200교류-교류
하행1선서정리 ~ 지제70.805 ~ 70.865200교류-교류
천안SP상행천안 ~ 소정리98.194 ~ 98.205200교류-교류
하행천안 ~ 소정리98.165 ~ 98.184200교류-교류
조치원SS상행서창 ~ 조치원128.381 ~ 128.392200교류-교류
하행서창 ~ 조치원128.346 ~ 128.357200교류-교류
신탄진SP상행신탄진 ~ 회덕153.700 ~ 153.712200교류-교류
하행신탄진 ~ 회덕153.650 ~ 153.712200교류-교류
옥천SS상하행옥천 ~ 이원185.059 ~ 185.134-교류-교류
영동SP상하행영동 ~ 황간214.160 ~ 214.235-교류-교류
직지사SS상행추풍령 ~ 직지사245.308 ~ 245.401-교류-교류
하행추풍령 ~ 직지사245.310 ~ 245.411-교류-교류
대신SP상하행대신 ~ 아포265.891 ~ 265.966-교류-교류
사곡SS상행사곡 ~ 약목284.717 ~ 284.812-교류-교류
하행사곡 ~ 약목284.737 ~ 284.777-교류-교류
지천SP상하행지천 ~ 대구313.048 ~ 313.123-교류-교류
경산SS상행가천 ~ 경산334.997 ~ 335.263-교류-교류
하행가천 ~ 경산335.026 ~ 335.246-교류-교류
청도SP상하행청도 ~ 상동364.419 ~ 364.626-교류-교류
밀양SS상하행밀양 ~ 삼랑진387.424 ~ 387.612-교류-교류
물금SP상행물금 ~ 화명416.216 ~ 416.384-교류-교류
하행물금 ~ 화명416.216 ~ 416.384-교류-교류
가야SS상하행사상 ~ 부산진437.830 ~ 438.080-교류-교류
호남선조차장SP상하행대전조차장 ~ 서대전2.788 ~ 2.967200교류-교류
계룡SS상하행계룡 ~ 신도26.719 ~ 26.729200교류-교류
채운SP상하행채운 ~ 강경58.832 ~ 58.842200교류-교류
익산SS상행익산 ~ 부용89.181 ~ 89.190200교류-교류
하행익산 ~ 부용89.140 ~ 89.149200교류-교류
신태인SP상행신태인 ~ 정읍119.909 ~ 119.949200교류-교류
하행신태인 ~ 정읍119.887 ~ 119.927200교류-교류
백양사SS상하행노령 ~ 백양사146.170 ~ 146.180200교류-교류
임곡SP상하행임곡 ~ 하남176.651 ~ 176.660200교류-교류
노안SS상하행광주송정 ~ 노안190.587 ~ 190.597200교류-교류
함평SP상하행고막원 ~ 함평216.575 ~ 216.585200교류-교류
일로SS상행몽탄 ~ 일로234.658 ~ 234.706200교류-교류
하행몽탄 ~ 일로234.639 ~ 234.686200교류-교류
대불선용포리SSP단선일로 ~ 대불1.180 ~ 1.280180교류-교류
중앙선회기SP상하행회기 ~ 중랑2.226 ~ 2.248120교류-교류
구리SS상하행구리 ~ 도농10.233 ~ 10.255120교류-교류
국수SP상하행신원 ~ 국수36.853 ~ 36.875120교류-교류
매곡SS상하행석불 ~ 일신71.587 ~ 71.609120교류-교류
서원주SP단선서원주 ~ 동화89.827 ~ 89.867120교류-교류
원주SS단선만종 ~ 원주106.500 ~ 106.540120교류-교류
치악SP단선금교 ~ 치악126.686 ~ 126.694120교류-교류
봉양SS단선구학 ~ 봉양146.455 ~ 146.463120교류-교류
고명SP단선제천 ~ 고명156.540 ~ 156.550-교류-교류
단양SS단선단양 ~ 단성181.983 ~ 181.991120교류-교류
안정SP단선안정 ~ 영주212.391 ~ 212.399120교류-교류
태백선고명SP상행제천 ~ 입석리1.789 ~ 1.799-교류-교류
하행제천 ~ 입석리1.704 ~ 1.714-교류-교류
쌍용SP단선쌍룡 ~ 연당18.650 ~ 18.658120교류-교류
석항SS단선연하 ~ 석항47.514 ~ 47.522120교류-교류
민둥산SP단선민둥산 ~ 사북70.252 ~ 70.260120교류-교류
동백산SS단선동백산역 구내103.800 ~ 103.808120교류-교류
영동선문단SP단선영주 ~ 문단8.101 ~ 8.109120교류-교류
춘양SS단선춘양 ~ 녹동40.226 ~ 40.234120교류-교류
동점SP단선석포 ~ 동점81.143 ~ 81.151120교류-교류
동백산SS단선동백산역 구내92.700 ~ 92.708120교류-교류
고사리SS단선고사리 ~ 마차리118.187 ~ 118.227120교류-교류
동해SS단선도경리 ~ 동해146.515 ~ 146.523120교류-교류
경원선지하청량리 입구상행청량리역 구내8.499 ~ 8.565120직류→교류
하행청량리역 구내8.565 ~ 8.631120교류→직류
용산SP상하행용산 ~ 이촌0.866 ~ 0.976120교류-교류
의정부SS상하행회룡 ~ 의정부30.966 ~ 30.988120교류-교류
용산삼각선용산SP단선노량진 ~ 이촌0.866 ~ 0.976120교류-교류
분당선왕십리SP상하행왕십리 ~ 서울숲1.547 ~ 1.569120교류-교류
모란SS상하행모란 ~ 야탑20.567 ~ 20.579120교류-교류
신분당선매헌SS상하행양재 ~ 양재시민의숲2.765 ~ 2.787-교류-교류
정자SSP상하행(신분당선) 정자 ~ (분당선)미금0.571 ~ 0.593-교류-교류
경춘선갈매SP상하행신내 ~ 갈매1.547 ~ 1.569120교류-교류
마석SS상하행마석 ~ 대성리27.802 ~ 27.824120교류-교류
가평SP상하행가평 ~ 굴봉산53.019 ~ 53.041120교류-교류
남춘천SS상하행김유정 ~ 남춘천77.739 ~ 77.761120교류-교류
대전선대전선단선대전 ~ 서대전2.489 ~ 2.550180교류-교류
전라선금강SP상하행동익산 ~ 삼례7.185 ~ 7.435-교류-교류
전주SS상하행전주 ~ 신리27.890 ~ 28.140-교류-교류
관촌SP상하행관촌 ~ 임실51.109 ~ 51.369-교류-교류
남원SS상하행산성 ~ 남원76.759 ~ 77.050-교류-교류
죽곡SP상하행압록 ~ 구례구110.288 ~ 110.538-교류-교류
순천SS상하행괴목 ~ 개운132.882 ~ 133.127-교류-교류
율촌SP상하행성산 ~ 율촌154.358 ~ 154.603-교류-교류
덕양SS상하행덕양 ~ 여천167.192 ~ 167.485-교류-교류
가야선가야SS상하행범일 ~ 가야1.089 ~ 1.264-교류-교류
상행사상 ~ 가야433.900 ~ 434.067-교류-교류
하행사상 ~ 가야434.610 ~ 434.618120교류-교류
동해남부선가야SS단선범일 ~ 부전1.089 ~ 1.264-교류-교류
경전선낙동강SP상하행낙동강 ~ 한림정5.368 ~ 5.556-교류-교류
진례SS상하행진례 ~ 창원중앙23.117 ~ 23.351-교류-교류
창원SP상하행창원 ~ 마산39.740 ~ 39.770-교류-교류
군북SS상하행함안 ~ 군북60.409 ~ 60.624-교류-교류
오송선오송SP상행서창 ~ 오송2.647 ~ 2.655120교류-교류
하행서창 ~ 오송2.632 ~ 2.640120교류-교류
충북선오송SP단선조치원 ~ 오송2.371 ~ 2.379120교류-교류
증평SS상하행증평 ~ 도안41.625 ~ 41.633120교류-교류
음성SP상하행음성 ~ 소이61.829 ~ 61.827120교류-교류
충주SS상행충주 ~ 목행85.695 ~ 85.703120교류-교류
하행충주 ~ 목행85.685 ~ 85.693120교류-교류
봉양SP상행공전 ~ 봉양112.488 ~ 112.496120교류-교류
하행공전 ~ 봉양112.500 ~ 112.508120교류-교류
과천선선바위SP상행선바위 ~ 남태령13.410 ~ 13.476120교류→직류
하행남태령 ~ 선바위13.180 ~ 13.246120직류→교류
안산선금정SP상하행수리산 ~ 대야미3.962 ~ 3.984120교류-교류
경인선[8]구로SS상행1선구로 ~ 구일1.110 ~ 1.132120교류-교류
하행1선구일 ~ 개봉1.766 ~ 1.788120교류-교류
상행2선구로 ~ 구일0.868 ~ 0.890120교류-교류
하행2선구일 ~ 개봉1.710 ~ 1.732120교류-교류
부개SP상행1,2선송내 ~ 부개12.776 ~ 12.798120교류-교류
하행1,2선송내 ~ 부개12.829 ~ 12.851120교류-교류
주안SS상행1,2선도화 ~ 제물포22.089 ~ 22.111120교류-교류
하행1,2선도화 ~ 제물포22.089 ~ 22.111120교류-교류
경의선[9]고양SS상하행1선화전 ~ 강매13.477 ~ 13.499120교류-교류
상하행2선화전 ~ 강매14.004 ~ 14.026120교류-교류
서울SP상하행서울 ~ 신촌1.962 ~ 1.984120교류-교류
수인선시흥SP상하행오이도 ~ 달월0.928 ~ 0.950120교류-교류
연수SSP상하행연수 ~ 송도··교류-교류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직결선상하행경의선 수색 ~ 김포공항··교류-교류
9호선 연결선상하행김포공항(9) ~ 김포공항(공항)··직류→교류
계양SS상하행김포공항 ~ 계양··교류-교류
청라SSP상하행청라국제도시 ~ 영종··교류-교류
영종SSP상하행영종 ~ 운서··교류-교류
용유SS상하행인천국제공항 ~ 용유기지··교류-교류
  1. 전동차마다 다르겠지만 맨 앞칸 운전실 방향에 서있다보면 운전실에서 딩동댕 형태로 나오는 멜로디나 실로폰 소리가 나온 다음 "열차가 사구간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부터는 사구간입니다" 또는 "여기서부터는 절연구간입니다" 라는 안내목소리가 희미하게 들릴 때도 있다. 이것은 전동차를 운전중인 기관사에게 절연구간임을 알리는 안내음으로 연식이 오래된(특히 4호선) 열차에서는 사구간이라고 나온다. "열차가 사구간에 진입하고 있습니다"라는 안내목소리는 과천선 개통초기에 나온 과천선 문제 관련뉴스를 통해 방송으로도 나왔다. 실제 과천선 문제 관련뉴스 영상 중 하나로 영상 중에서 1분 0초-1분 12초 사이에서 사구간이라고 나오는 절연구간 안내목소리가 나온다.
  2. 요즘은 코레일차는 "여기서부터는 절연구간입니다", 서울메트로차는 "여기서부터는 사구간입니다"로 통일되었다.
  3. 여담으로 이때 흐르는 멜로디는 부산 지하철에서 문이 닫힐 때 나는 멜로디이기도 하다.
  4. 전부 차단되지는 않는다. 형광등 중 축전지 전기를 사용하는 일부 직류 형광등은 절연구간에서도 켜진다. 인버터 전동차의 경우 보조전원장치(SIV)에 30초 내외의 짧은 시간동안 출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부스팅 기능이 있어서, 교-교 절연구간의 경우 절연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보조전원 장치가 출력을 보내지 못하는 보조전원 장치의 몫까지 출력을 보내므로 보통은 교-교 사구간에서 에어컨이나 히터같은 교류전원이 완전히 차단되지는 않으나 일부 반감된다. 해외 철도 차량의 경우에는 보조전원장치 보강을 통해 아예 형광등 등을 끄지 않고 직-교 절연구간을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 8200호대 전기기관차의 경우 교-교 절연구간 통과시 회생제동을 조금씩 사용하여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객차에 전원을 공급한다. (단, 8200호대 전기기관차 견인이더라도 발전차가 가동될 시 제외된다.) 만일 교-교 절연구간 통과를 승객이 느낄 수 있었다면 기관사의 운전취급 실수나 선로 상황상 제 속도를 가지고 절연구간을 통과할 수 없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아니면 차량 고장이거나.
  5. 그렇다. 그냥 무식하게 줄에 묶어서 끌어버리거나 밀어버리는 그 방식이 맞다.(...)
  6. 기점에서의 거리(km)
  7. 1선 : 여객열차 선로, 2선 : 전동차 선로, 3선 : 가산디지털단지 ~ 용산간 급행 열차 선로
  8. 1선 : 급행열차 선로(내선), 2선 : 일반열차 선로(외선)
  9. 1선 : KTX 및 서울역행 선로, 2선 : 전동열차 및 용산행 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