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목록
정관신도시의 버스 노선 | |
급행버스 | 1008 ・ 1010 |
마을버스 | 기장8 ・ 기장12 |
일반버스 | 37 ・ 73 ・ 107 ・ 182 ・ 184 ・ 188 ・ 302 |
세차 좀 합시다 요즘도 저러고 다닙니다 측면만 깨끗하네 언제까지 그럴거예요??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73번 | |||||
기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정관차고지) | 종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2동(동부산대학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00 | 막차 | 23:00 | ||
배차간격 | 60분 | ||||
운수사명 | 세진여객 | 인가대수 | 3대 | ||
노선 | 정관차고지 ─ 정관신도시↔곰내터널입구↔곰내고개↔웅천리↔백길.석길↔와여리↔철마면사무소↔구림마을↔이곡마을↔점현.구칠↔상신리↔갈치고개↔안평↔고촌휴먼시아 ─ 반송(동부산대학역)(↔반송우체국↔반여농산물시장역↔서동역↔충렬사역↔동래시장↔동래역ㅡ롯데백화점동래점)[1] |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오전 동래지선은 79.5km이며, 정규 노선은 57.0km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노선과 회사가 자주 바뀌면서 참 우여곡절을 많이 겪은 노선이다. 이 노선의 시초는 시외완행노선으로 철마 - 안평 - 반송 - 석대 - 금사동 - 명장동 - 동래시장 - 구.동부터미널이었고 회사는 동부여객이 운행하였으나, 1995년 도농통합제로 기장군이 부산시로 편입되고, 철마~동래간 노선도 시내버스로 전환되어야했기에 부산시는 184번 번호를 부여해 동부여객에 시내버스 전환요청을 내렸으나, 동부여객은 이를 무시한체 계속 시외완행으로 운행했다. 이에 부산시는 동부여객의 운행을 가처분시키고, 73-2번으로 시내버스 인가되어 대진버스가 운행하게되었다. [2] 차종은 구도색 에어로타운 3대였다.[3]
- 1998년에 정관면사무소로 연장되었다. 번호를 73번으로 변경한다.
- 2001~2002년경에 구.동성여객 소속으로 바뀌었다.
- 2004년경에 세진여객으로 바뀌면서 글로벌900을 투입하게 되었다.
- 2006년경에 좌광천 공사로 인해 구연동으로 단축되었다.
- 2007년 1월 17일 예림마을로 연장되었다.
-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도입 때 반송종점으로 단축되었다.
- 2007년 8월 14일 삼화여객이 운행을 맡게 되었다.
- 2007년 9월 1일 반여1동으로 연장되었다.
- 2009년 4월부터 정관신도시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정관쪽의 약간의 노선변경이 있었다. 차량도 7대로 증차하여 35분 간격으로 다니게 된다.
- 같은해 8월 25일부로 서동시대도 막을 내리고 회사가 다시 삼성여객으로 바뀌면서 노선도 연산9동 - 연산터널 - 연산교차로 - 거제지하철역 - 교대앞 - 동래 - 안락교차로 - 반송 - 안평 - 철마 - 정관으로 바뀌었다. 차량수도 7대에서 5대로 감소되었지만 노선은 오히려 더 길어지고 말았다. 동래역을 지나면 거의 공기수송만 하는 실정이었으나 고분로를 경유하는 노선이었는지라 54번의 보조역할을 해주기도 했다. 이때 당시에 운행거리가 86km로 2010년 12월 14일 126-1번이 신설 전까지 가장 길었다. [6]
- 하지만 2011년 4월에 부산 도시철도 4호선때문에 73번은 다시 아랫반송으로 단축크리를 먹고 말았다. 세진여객으로 업체가 바뀌고 운행댓수도 총 3대로 감편되어 결국 에어로타운 운행시절로 돌아 가고 말았다
그래도 3대 모두 대형차량인점은 다행스럽다.
- 2012년 3월 1일에 정관신도시내에 노선이 변경이 되고, 기.종점이 서로 뒤바뀌게 되었다. 그리고 오전에만 3번 롯데백화점(동래점)까지 연장운행하게 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 2012년 7월 1일 가동마을 주민의 건의로 차고지 근처에 가동마을 정류소가 신설 되었으며, 기점이 정관면 사무소에서 신설된 가동마을로 변경 되었다.
- 2012년 11월 17일 개편으로 고촌 아파트단지를 추가로 지나가도록 노선이 살짝 바뀌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때문에 안평역 바로 옆에 서지 않고 50m 정도 걸어가야 한다.
- 2015년 4월 18일 개편으로 오전에 3회 운행하던 동래지선이 폐선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긴 장거리 운행거리와 승객 수요가 거의 없는 관계로 폐선시킨 듯. 동시에 '정관 - 동래' 간 입석버스는 모두 사라졌다. 이로 인해 184번이 철마면, 회동동, 금사역 경유 노선으로 크게 변경하며 대체했었다.
- 2015년 8월 22일 개편으로 동래지선이 부활하였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부산시에서 다른 수단을 통해 대체했지만 철마면 주민들은 시내로 나가는 버스가 없어졌다며 계속해서 항의하였다.[7]
3.1 과거 존재했던 73번의 역사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이 노선의 전신인 노선으로 반송-금사입구-연산교차로-양정-서면-범일동-초량-부산역-민주공원으로 가는 노선으로 시작했다가 1988년 1호선 개통후 진시장까지 단축하였으며, 1995년 기장군이 부산시에 편입된 이후 일광해수욕장~연산교차로로 변경되었으나 1996년에 폐선되었다.
4 특징
마을버스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기장군을 절대로 벗어나지 않는 노선.[8]
기장군 철마면 일대를 싹쓸이 투어하기에 철마면 연선 마을주민들이 주된 수요이다. 허나 이 곳의 인구가 거의 노년층들이고 이용객이 많지 않아 탑승객들 역시 많지 않은 편이고,또한 184번[9]이 철마면 일부(철마면사무소, 웅천, 백길리, 대곡마을)를 경유하기 때문에 철마면 일대 중 이곡, 마지, 갈치고개, 구칠리 등이 유일한 수요다. 주말에는 개좌산을 찾는 등산객 수요도 있다.
정관신도시 내에선 반송방향으로 입석버스 수요가 적기도 하고, 철마면 관광으로 승객들이 많이 이용하지 않으며 1시간에 1대 꼴로 잉여 노선으로 다니고 있다. 한마디로 철마면 일대에서 승부보는 노선.
하지만 운송수익금과 상관없이 폐선은 되지 않을 것이다. 철마면 연선을 경유하는 거의 유일한 버스노선[10][11]이기 때문에 단독구간이 상당히 많을 뿐더러 극히 적지만 이 곳의 고정수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잘 운행할 것 같다. 어차피 교통오지 주민 편의 증진을 위한 정책노선이니까. 이와 비슷한 성격의 노선으로 125번, 187번, 520번 등이 존재하며 이 노선들도 정책노선이다.
동래지선이 재운행하게 되며, 188번을 제치고 부산시 입석노선 중 운행거리가 가장 긴 노선이 되었다가, 2015년 12월 개편으로 520번이 가덕도 대항마을까지 정규 연장하며 520번이 최장거리 노선 타이틀을 차지했다.
4.1 배차간격
- 부산시내버스 중에서 배차간격이 가장 긴 노선이다.[12]
- 보통은 1시간에 1대 꼴로 다니며 양방향 같은 곳을 경유하는 이곡마을 구간에는 정관방향 차와 반송방향 차가 동시에 만나기도 한다.
4.2 시간표
2015년 8월 22일 기준이다. #
5 연계 철도역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안평역, 고촌역, 동부산대학역, 영산대역
- ↑ 오전 3회만 경유
- ↑ 이 당시의 73번은 대진여객과 공동배차했던 일광~반송~연산교차로간 노선이었다.
- ↑ 면허는 부산70자 1801, 1891, 1896호이며 2004년도에 글로벌900으로 대차되었다가 삼화여객에서 삼성여객으로 운행권이 넘어간 이후로 경기도로 차량들을 매각하면서 3대의 면허도 동시에 말소되었다.
- ↑ 철마면주민들이 한 국회의원을 포섭해 노선연장을 시도했다고 한다.
- ↑ 그러나 1대만 증차 투입을 했었다.
- ↑ 전설의 48번 보다도 4km정도 길었다.
- ↑ 연구, 이곡, 구칠리 쪽 주민들은 동래시장에 농작물들을 내다파는 것으로 생계를 유지하다보니 짐들을 실어나를 수단이 없었던 게 문제. 시에서는 마을 내 승용차를 카풀로 이용하거나 택시요금을 할인하는 등 여러 대체수단을 내놨지만 잘 실행되지 못했던 모양.
- ↑ 다만 종점인 반송(동부산대학역)은 해운대구이지만 기장군 경계에서 얼마 안떨어져 있다,
- ↑ 2014년 12월 27일 신설되었다. 2015년 4월 개편으로 웅천, 백길을 73번과 공동으로 경유하게 되었다.
- ↑ 동래역까지 운행하는 1008번이 철마면사무소를 경유하고 있지만 요금이 비싼데다 철마면을 겉핥기식으로만 경유하기 때문에 여전히 73번에 의존하는 철마면 주민이 많다.
- ↑ 동래시장 상인들중 철마면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꽤 존재한다. 이때문에 동래 지선이 레고식으로 없어졌다가 다시 생겼다가를 반복했다(...).
- ↑ 이 노선과 동일한 인가대수의 노선으로 125번, 180번과 184번, 185번, 187번,301번 333번이 있는데 180번, 184번, 187번은 배차간격이 45~50분이고 125번,185번,301번은 30분이다. 333번은 단거리 순환노선이라 15~20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