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10



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125-167891011151617202223
242627293031333637383940414243
4446495051525455575858-259616263
666768707173778081828383-1858687
8888-1909696-199100100-1101103107108110110-1111
113115115-1121123124125126127128-1129-1131133134138
138-1139141144148148-1155160161167168169169-1179180
181182183184185186187188189189-1190200210301302
307333338506508520555*583
† : 환승대기시간 60분 적용노선, * : 출퇴근 시간 전용노선
파일:부산 버스 110.jpg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10번
기점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대도운수 본사)종점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1동(온천장)
종점행첫차04:55기점행첫차05:40
막차22:50막차23:40
평일배차9~10분주말배차10~12분
운수사명대도운수인가대수15대
노선학장동 ─ 감전안동네↔새벽시장↔서부터미널모덕역구포역덕천교차로↔신만덕↔미남교차로↔온천초등학교 ─ 온천장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9.6km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실시와 함께 110-1번[1]에서 온천장~럭키상가~신만덕~북구청~서부터미널~감전동 구간을 가지고 분리되어 나온 노선이다. 분리이후 차량댓수는 15대, 배차간격은 10분내외로 운행중이다.
  • 2009년도에 종점(감전동)이 학장동으로 이전함에 따라 감전동에서 학장동[2]으로 연장되었다.

3.1 과거의 동일 번호 노선

주의. 폐지된 버스노선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버스노선은 현재 폐지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노선 역시 대도운수에서 처음 운행했던 노선이다. 당연한거지만 현재의 110-1번보다 더 일찍 개통된 노선이다. 분리전 110-1번 일체노선과 차이점이 있다면 가야벽산아파트가 종점이 아닌 500m 더 올라가야 나오는 백병원[3]이 종점이였다. 그리고 운행종료시 가야차고지로 공차회송했었다. 그리고 본 노선은 구만덕을 다녔다는것과 감전동방면에 한해서 80번이 다니는 우장춘로를 경유하여 화신아파트~만덕1터널로 우회하는 특징이 있었다. [4]그 외에는 차이점이 없었으나 95년도에 파행운행을 하다가 잠시 폐선된 적이 있었다. 그리고 98년도에 노선이 부활하게되는데 가야벽산 출발이 아닌 백병원에서 출발하는 노선으로 변경, 덕천교차로까지 단축되었지만 얼마가지 못해서 감전동까지 노선이 환원이 된다. 하지만 그 후 양방향 만덕2터널을 통과하는 110-1번이 너무나 잘다녀주고 있었고, 그 영향으로 감차를 거듭하더니 준공영제가 되기도 전(2006년도)에 폐선이 되고 말았다.

4 특징

노선은 대도운수 본사(학장차고지), 새벽시장, 서부시외버스터미널, 북부면허시험장, 북구청, 구포역, 덕천역, 신만덕, 제2만덕터널, 미남교차로, 온천2동 주민센터, 식물원입구, 온천장까지 가서 길을 따라 다시 되돌아온다.

110-1번보다는 못하지만 출.퇴근 시간대에는 수요가 넘쳐난다. 이 시간때만해도 가축수송이 잦다. 감전안동네에서 서부터미널로가는 그 이북(구포인근)으로 이동하는 수요 또한 상당히 많다. 서부터미널~구포역 구간은 다른 노선과 달리 신모라로 들어가지 않고 북부면허시험장, 모덕역을 경유하여 바로 가기 때문에 이동 소요시간 면에서도 상당히 단축된다.

특히 미남교차로를 지나서 동래역을 경유하지 않고 온천2동(럭키상가)으로 우회해서 온천장까지 다이렉트하게 연결해주기때문에 구포/덕천/신만덕일대에서 원예고교, 전자공고로 갈때 탁월하며 학생들의 호응도 꽤 좋은편이다. 뿐만 아니라 온천2동/동래럭키 주민들이 덕천쪽으로 넘어갈때 꽤 용이한 노선으로 평가받고 있다[5].

그리고 온천장가는 빨리 가는노선으로 익히 잘 알려져 있는데, 사상구북구 일대 어르신들이 이 노선을 선호하고 있어서[6], 평시에도 온천장행 수요가 잘 유지되는 편이다.

반면 온천장에서 같이 회차했었던 46번은 동래역을 지나 수안역, 동래경찰서로 빙 둘러서 온천장까지 가는지라 이 노선에 비하여 이동 소요시간이 상당히 많이 걸려 이 노선에게 압도당하고 있다. 그래서 온천장 시절에는 공기수송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46번은 2015년 12월 27일에 동래중학교까지 노선단축이 되었다.

게다가 형제노선인 110-1번 같은 경우는 온천장에서 승객을 아예 태우지 못하고 있는 반면, 이 노선같은 경우는 110-1번과 심히 대조될 정도로 온천장 정류장에서의 탑승률이 높다. 특히 주말에 금정산 등산객들의 수요[7]가 많고 온천장 정류장에 왔다하면 110번부터 찾는 사람들도 실제로 많이 존재한다.

하지만 나머지 구간에서는 평시간때에 꽤 한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5년 11월 28일 시내버스 노선 조정으로 인하여 130번124번으로 변경되고 부산대 방면이 아닌 서면 방면으로 운행될 예정이기 때문에 사실상 북구청, 구포역, 구포시장 일대에서 부산대로 가는 노선은 148-1번 단 하나만 남기 때문에 이 노선을 부산대까지 연장시켜라 하는 의견이 아주 간간히 보이고 있다. 그러나 2016년 4월 23일에 148-1번이 다시 부산대로 연장이 되었기 때문에 이 노선은 앞으로도 계속 현행유지된다.

5 연계 철도역

  1. 가야벽산~동의대~가야시장~서면롯데~시청~동래전화국~온천장~럭키상가~신만덕~북구청~서부터미널~감전동 이동소요시간(왕복) : 210분, 노선총거리 : 약 65~70km 정도.
  2. 행선판에는 학장동이라 표기되어있지만 148-1번과는 달리 학장동 주요지역으로는 가지 않는다. 예를들면 학장반도보라아파트. 이용하실때 주의바람.
  3. 98년도 노선이 부활하면서 연장되었다.
  4. 폐선 이후 우장춘로에서 만덕터널로 넘어가는 노선이 현재 전무한 상태다. 환승을 하기에도 해당지역에는 사직동으로 가는 80번만이 유일한데다가 근처로 다니는 동래3번은 해당지역을 경유하기도 전에 금정마을방면으로 올라가버리는 노선이라 환승해서 가는거 조차 힘든 실정이다.
  5. 다만 동래럭키아파트 주민들 대부분은 중산층~부유층에 속해서 시내버스 노선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6. 이 외에도 자사노선 77번어르신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높다. 그 영향 때문인지 대도운수의 모든 노선들이 온천장을 경유해주고 있다..심지어 77번과 148-1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들은 온천장에서 회차한다(...).
  7. 대부분이 금정산 등산 후, 온천장에서 온천을 하고 다시 되돌아가는 승객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