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문제점/노선
정관신도시의 버스 노선 | |
급행버스 | 1008 ・ 1010 |
마을버스 | 기장8 ・ 기장12 |
일반버스 | 37 ・ 73 ・ 107 ・ 182 ・ 184 ・ 188 ・ 302 |
width=100% | width=100% |
더 나은 사진이 있으면 교체바람. |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2번 | |||||
기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공영차고지 | 종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모전리 정관신도시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45 |
막차 | 22:20 | 막차 | 00:10 | ||
배차간격 | 25~30분 | ||||
운수사명 | 부산여객, 부일여객 | 인가대수 | 8대[1] | ||
노선 | 청강리공영차고지 ㅡ (→ 동해남부선 송정역 → 장산역 →)[2] 청강사거리↔기장읍사무소↔일광해수욕장↔화전리.일광초등학교↔부산장안고등학교↔정관읍사무소.기장소방서↔정관신도시 ㅡ 모전리(부산해마루학교) | ||||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2번(심야) | |||||
기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공영차고지 | 종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모전리 정관신도시 | ||
종점행 | 첫차 | 22:45 | 기점행 | 첫차 | 00:25 |
막차 | 22:45 | 막차 | 00:25 | ||
배차간격 | 1일 1회 | ||||
운수사명 | 부산여객, 부일여객 | 인가대수 | 1대(두 회사가 교대로 배차) | ||
노선 | 청강리공영차고지 ㅡ (→동해남부선 송정역 → 장산역 →)[3] 청강사거리↔기장읍사무소↔일광해수욕장↔화전리.일광초등학교↔부산장안고등학교↔정관읍사무소.기장소방서↔정관신도시 ㅡ 모전리(부산해마루학교) |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8.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3.1 구.182번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버스노선은 현재 폐지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현 노선 이전의 전신노선이 있었는데 그 노선은 2002년 개통되어 기장~송정~남좌동~벡스코를 운행했고, 당시 운행 회사는 해동여객, 배차간격은 당시 27분이었다. 허나 당시엔 센텀시티가 개발중이었고 중복노선이 많아 수요가 저조했다. 북좌동 경유,벡스코 회차 조정 등의 노선변경을 하였지만, 2004년을 기하여 계속된 적자 운행으로 차량 대수를 감차해 1대로 운행하다가 2005년엔 181번의 폭발적인 주말 수요 대응을 위해 대변/용궁사로 운행하긴 했으나 결국 2007년 1월 1일에 폐선되었다. 그 후 2007년 5월 준공영제 개편때 181번이 남좌동에서 북좌동으로 노선이 변경되어 해당노선을 조금 대체하고 있다.
3.2 구.1006번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 ||||||
1000 | 1001 | 1002 | 1003 | 1004 | 1005†* | |
1008† | 1009† | 1010 | 1011†* | 2000×* | ||
† : 환승대기시간 60분 적용 노선, × : 준공영제 환승제도 미적용 노선, * : 급행버스 입석금지 제도 적용 노선 |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버스노선은 현재 폐지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2009년 2월 9일부터 2012년 5월 29일까지 운행했던 급행버스이다.
1006번은 정관신도시의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면서 37번, 73번의 증차 이후에도 계속해서 늘어나는 인구와 입주민들의 교통불편이 가중되자 부산시에서 2009년 2월 9일에 일광여객, 부산여객에서 각각 3대씩 차량을 빼와서 차량 6대, 배차간격 25-30분으로 개통시켰다. 그리고 2009년 3월에 부일여객, 해동여객이 각각 1대씩 이 노선에 배차를 참여하면서 일광여객 1대, 부산여객 1대가 타 노선으로 이동을 했다. 그리고 2011년 4월 1일에는 부산시내버스 21대 감차로 인하여, 부산여객 차량 1대가 감차, 면허소멸이 되자, 일광여객에서 차량 1대를 빼와서 이 노선에 투입을 하였다.
당시엔 회동동~정관 고속화도로 개통 이전이라 기존 도로를 이용해야 했기 때문에 좌천~화전리 14번 국도를 타고 기장읍을 경유해 해운대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노선 신설은 반가웠지만, 기장~좌천으로 돌아갔다 나오는 선형 때문에 이 노선이 불만족스럽다는 반응이 있었고, 여전히 37번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도 몇 없는 노선 중에 하나라 점점 수요가 늘기 시작했고, 기장~해운대 분산수요도 생기며 심야 운행이 추가되는 등 노선이 차차 안정기에 접어드나 싶었지만...
2009년 10월 쯤에 정관 ~ 회동동간 고속화도로가 개통되며 정관신도시 내에서 고속화도로로 빠르게 연결하는 버스노선을 개통해달라는 목소리가 많아지며, 부산시에서도 고속화도로를 이용해서 운행하는 1007번을 2009년 12월 1일에 개통시켰다.
그래서 정관 주민들은 해운대로 빨리 진입하고 차량까지 좋은 1007번으로 발걸음을 향했고, 1006번의 정관내 입지는 순식간에 줄어들게 된다.[4] 시간이 지날수록 1006번은 정관신도시에서 변변한 수요도 없이 다니게 되어, 사실상 기장~해운대 분산수요로 다니는 형국이 되었고... 신설한지 1년도 안 된 노선을 새 직행노선으로 사장시켜버리는 쿨하고 위엄쩌는 부산시 교통과 이후 무정차 통과하던 14번 국도내에 마을버스 정류소 위치에 정차시키고 기장 내에서도 정류소를 추가시키며 아예 일반좌석버스화하게 된다.
그래도 이름은 급행버스인지라 FX116차량을 투입 운행하며 흑역사를 계속 이어가던 중... 2012년 5월 30일 노선 베이스는 살려둔 채 입석으로 형간전환하는 걸로 확정되었다.
3.3 현.182번
구 1006번이 2012년 5월 30일 개편으로 입석으로 형간전환되면서 생겨난 노선이다.[5]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다만 노선조정 이후 해운대까지 가던 것이 청강리에서 끊겨버린 탓에 원자력의학원에서 해운대로 이어준 노선도 사라지게 되면서 지역 주민들과 원자력의학원 직원.방문객들의 불편 때문에 의학원 측에서도 곤란하다는 의견을 표명하였다.
그 후 원자력의학원 방문객 불편에 의한 의학원 측의 항의와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2012년 11월 17일부터 정관 방향 한정으로 장산역을 경유하게 되어 해운대 - 원자력의학원 노선은 다시 생겨나게 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그리고 기존 6대에서 8대로 증차하게 되었고, 운행회사도 부산여객, 부일여객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여전히 청강리에서 끊겨있는 탓에 반쪽짜리 노선이 되어버렸다.
또한 정관신도시 구간이 순환코스로 양방향 운행하는지라 정관면사무소를 4회 왕복하게 되어 노선이 기이한 점이 있었는데 2014년 12월 27일 개편으로 정관신도시 구간의 노선이 조정되어서 37번의 노선경로로 운행되며 모전리 이지더원아파트를 단방향 순환하여 회차한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신도시 구간을 효율적인 노선으로 조정하는데 입석 형간전환 이후에도 무려 2년 7개월이라는 기간이 걸렸다. 전신인 구 1006번 개통일부터 따져보면 무려 5년 11개월 정도 걸린 셈....
2016년 11월 12일 동해남부선 부전역 ~ 일광역 1단계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개통이 되면 일광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며 동해남부선을 이용해 벡스코역에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해 장산역 편도 경유가 폐지되고 편리한 환승연계를 위해 배차간격을 단축시킬 가능성이 있다.
4 특징
형간전환 당시에는 급행노선일 때보다 수요가 다소 감소했는데, 이는 여전히 정관사무소를 무려 4번이나 왕복 경유하는 정관면 구내의 굴곡구간이 여전히 유지된 점, 또 늘어난 정류소 수와 고질적인 청강리발 노선의 운행시간 과다조정으로 인한 저속 운행이 그 원인이다.
하지만 운행한 지 1년 정도가 지나자 어느 정도 인지도가 생겨, 다시 승객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출.퇴근시간에 가축수송을 하고 다니는 수준이며[6], 139번이 해운대역 이전으로 인해 노선이 변경된 이후 장산역에서 기장읍 교리까지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 되면서 교리에서도 기장쪽 수요는 많아졌다.
다만 장산역은 정관신도시 방향만 경유하니 여전히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으며 아예 정관신도시로 기점을 바꾸고 장산역에서 회차시켜라는 의견도 상당하였다. 그래서 담당관으로 송 모씨가 있을 때 182번을 기.종점을 맞바꾸고 세진여객과 부일여객이 운행하는 것으로 검토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청강리에 차고지를 두고있는 부산여객과 2015년 11월에 정관영업소에서 철수한 부일여객이 배차하고 있어 이제는 이루어지기 어렵다.
기장~좌천 14번 국도로 직통하는 유이한 노선[7]이며 빠르게 이어준다는 점이 장점이나 배차간격이 25분인지라 비슷한 경로의 188번 노선과 승객선호도는 별반 차이가 없다.
5 연계 철도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장산역[8]
-
동남권 전철 동해선 : 송정역, 기장역, 일광역 - 일반 철도역 : 기장역(무궁화호), 송정역(무궁화호), 좌천역(무궁화호)
- ↑ 부산여객 6대, 부일여객 2대
- ↑ 정관행만 경유
- ↑ 정관행만 경유
- ↑ 1007번이 센텀시티를 거쳐서 시청으로 운행했으므로 좌천~기장으로 돌아가는 1006번보다 1007번 타고 센텀에서 환승하는 편이 더 빠르기에 당연히 1006번 수요가 줄어드는게 당연한 결과.
- ↑ 당시 운행회사는 기존에 1006번을 운행하던 일광여객, 해동여객이었다.
- ↑ 특히 장산역에서는 정관신도시 가려고 이 버스를 타려는 승객들로 인하여 그야말로 장사진을 이룬다. 장산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가 몇 없기 때문.
- ↑ 다른 하나는 187번이 있다. 이 노선은 반송으로 간다.
- ↑ 정관신도시 방향에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