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목록

1

2

3 ㄷ,ㄹ

  • 다기망양
  • 다다익선 (한신 문서 참고.)
  • 다재박덕(多才薄德) : 재간이 많을수록 덕이 모자라 바른 길을 보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또는 카사노바처럼 재주는 많은데 덕이 없는 사람을 칭할 때도 쓴다.
  • 다사다난(多事多難) : 여러 가지로 일이나 어려움이 많음
  • 다사다망(多事多忙) : 여러 가지로 많아서 몹시 바쁨, 공사다망과 같은 뜻
  • 단사표음/단표누항
  • 단장
  • 단기지계
  • 담소자약
  • 당랑거철
  • 대기만성
  • 대도무문
  • 대동단결(大同團結) : 많은 사람이나 여러 집단이 하나의 공동 목표를 위하여 크게 하나로 뭉침.
  • 도룡지기
  • 도외시
  • 도원결의
  • 도지태아
  • 도불습유
  • 도탄지고
  • 도행역시
  • 독서삼여
  • 독안룡
  • 독야청청(獨也靑靑) : 혼자 푸르다는 뜻으로, 혼탁한 세상에서 홀로 높은 절개를 지킴.
  • 돈제일주
  • 동가홍상(同價紅裳)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값이 같거나 똑같은 노력을 들인다면 더 좋은 것을 가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량지재(棟梁之材) : 기둥이나 들보가 될 만한 훌륭한 인재.
  • 동병상련
  • 동상이몽
  • 동온하량(冬溫夏凉) : 사자소학에서 나온 말로 겨울은 따뜻하고 여름은 서늘하다.
  • 동족방뇨
  • 동호직필
  • 두각
  • 두문불출
  • 득롱망촉(得朧望蜀) : 광무제의 이야기로, 농 땅을 얻자 촉 땅까지 바라게 된다는 의미으로 동의어로 평롱망촉(平朧望蜀), 망촉지탄(望蜀之歎)있고 유사어로 계학지욕(谿壑之慾), 차청차규(借廳借閨), 거어지탄(車魚之歎), 기마욕솔노(騎馬欲率奴). 계륵(谿肋)이 있음.
  • 득의만면(得意滿面) :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서 기쁜 표정이 얼굴에 가득함.
  • 등용문
  • 등고자비

4

5

6

7

  • 아전인수(我田引水) : 자기 논에만 물을 끓어넣음. 남을 생각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행동하거나 그렇게 꾀하는 것을 말한다.
  • 애이불비(哀而不悲) : A+B 슬프기는 하지만 겉으로 슬픔을 나타내지 않음.
  • 야단법석
  • 약육강식
  • 안분지족(安分知足) : 자기 분수에 만족하며 삶.
  • 안빈낙도(安貧樂道) : 가난을 따지지 않고 도를 즐김.
  • 안하무인(眼下無人) : 눈 아래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교만하여 남을 업신여긴다는 뜻.
  • 암향부동 : 그윽한 향기가 은근히 떠돎.
  • 양두구육
  • 양상군자
  • 양호유환
  • 어부지리
  • 어불성설(語不成說) : 말에 일관성이 없거나 이치에 맞지 않음.
  • 어불택발(語不擇發) : 말을 삼가지 않고 함부로 함.
  • 억조창생(億兆蒼生) : 수많은 사람 또는 백성.
  • 언과기실(言過其實) : 말만 꺼내고 실천이 없거나 부족함. 유비가 제갈량에게 마속의 실속이 다르므로 경계하라고 했는데 무시해서 나온말
  • 언어도단(言語道斷) : 언어의 길이 끊겼다. 즉 말문이 막힘.
  • 언중유골(言中有骨) : 뼈 있는 말을 뜻한다.
  • 엄이도종 : 자신의 귀를 막고 방울/종을 훔친다. 뻔한 수로 남을 속아넘기려 하는 어리석은 행위를 일컫는다.
  • 여도지죄
  • 여세추이 : 세상이 변할때 함께 변함.
  • 역발산기개세
  • 역지사지
  • 연모지정(戀慕之情) : 사랑하여 그리워하는 정.
  • 연목구어
  • 연작처당
  • 연하고질(煙霞痼疾) :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性癖).
  • 염랑세태(炎凉世態) : 권력이 있을때는 아첨하고 권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속칭 태세전환.
  • 영안탁고(永安託孤) : 삼국지에서 유비가 백제성에서 죽기 전 제갈량을 불러 촉나라를 부탁했다는 일을 일컫는다. 즉, 믿을 만한 사람에게 중대한 부탁을 말한다.[3]
  • 오거지서(五車之書) : 수많은 서적을 일컫는다. 즉, 다독의 중요성을 말한다.
  • 오곡백과(五穀百果) : 온갖 곡식과 과실.
  • 오리무중
  • 오병이어
  • 오비삼척(吾鼻三尺) : 내가 급해서 남을 돌볼 여유가 없음. 내 코가 석자라는 속담이 이와 같다.
  • 오비이락(烏飛梨落)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경우에 처할 때.
  • 오십보백보
  • 오월동주
  • 오하아몽
  • 오합지졸
  • 옥석구분
  • 옥석혼효
  • 온고지신
  • 와각지쟁 = 와우각상지쟁
  • 와석종신(臥席終身) : 사람이 제명(命)대로 다 살고 편안히 자리에 누워서 죽음.
  • 와신상담
  • 완물상지
  • 완벽
  • 왈가왈부(曰可曰否) : 옳으니 그르니 말한다는 뜻으로, 서로 이게 옳다 저게 옳다 하며 말다툼함을 이르는 말로 왈가불가(曰可不可)와 동일어.
  • 왕좌지재
  • 왕형불형
  • 외유내강(外柔內剛)
  • 용두사미
  • 우공이산
  • 우국지사(憂國之士) : 나랏일을 근심하고 염려하는 사람.
  • 우국지정(憂國之情) : 나랏일을 근심하는 마음.
  • 우문현답
  • 우수마발
  • 유리걸식(流離乞食)  :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며 얻어먹음
  • 우유부단
  • 우이독경
  • 우이효지
  • 원화소복
  • 월명성희
  • 위편삼절
  • 위풍당당 : 모습이나 크기가 남을 압도할 만큼 위엄이 있음.
  • 위호부익/위호첨익
  • 유구무언 : 입이 있어도 할 말이 없음. 상대방에게 매우 미안할 때를 말한다.
  • 유리걸식(流離乞食)  :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며 얻어먹음 * 유명무실
  • 유비무환
  • 유아독존 = 천상천하유아독존
  • 유언비어
  • 유유상종
  • 유유자적(悠悠自適) : 속세를 떠나 아무것에도 매이지 않고 자유로우며 편안하게 삶.
  • 유일무이(唯一無二) : 오직 하나뿐이고 둘도 없음.
  • 유필유방
  • 육출기산
  • 은감불원
  • 읍참마속
  • 이관규천
  • 이란투석
  • 이민위본
  • 이심전심
  • 이여반장 : (일의) 쉽기가 손바닥 뒤집는 것과 같음.
  • 이열치열
  • 이왕지사(已往之事) : 이미 지나간 일.
  • 이율배반
  • 이이제이
  • 이전투구
  •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 어떤 사실을 이렇게도 혹은 저렇게도 해석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로 속담인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와 동일.
  • 이화접목
  • 인과응보
  • 인면수심
  • 인의예지
  • 인의예지신
  • 인자무적
  • 인자요산
  • 인지상정(人之常情) : 사람이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보통의 마음이나 감정.
  • 일간두옥(一間斗屋) : 한 칸 안팎의 작은 오막살이집.
  • 일거양득 : (=일석이조)
  • 일구이언
  • 일기당천
  • 일기일회(一期一會) : 세상에서 단 한 번뿐인 인연.
  • 일명경인(一鳴驚人)
  • 일모도원
  • 일부일처
  • 일부종사
  • 일석이조
  • 일신시담
  • 일신우일신
  • 일어탁수(一魚濁水) : 한 마리의 물고기 온 물을 흐리게 한다
  • 일언구정
  • 일언지하
  • 일위도강
  • 일취월장
  • 일패도지(一敗塗地) : 한 번 싸우다가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나지 못함
  • 일희일비(一喜一悲) : 한편으로는 기쁘고 또 한편으로는 슬픔.
  • 입신양명
  • 입춘대길
  • 의기투합(意氣投合) : 품고 있는 마음이나 뜻이 서로 잘 맞음.
  • 의기양양

8

9 ㅊ~ㅎ

  1. 고사성어가 아니다. 의외로 고사성어로 착각하기 쉬운 예시. 三寒四溫 3일간 춥고, 4일간 따뜻한 날씨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겨울철 기후를 나타낸 말이다.
  2. 塞翁 之 馬 : 변방 요새(塞)에 사는 어르신(翁)의(之) 말(馬)
  3. 탁고는 죽기 전에 남은 자식을 남에게 부탁하는 것을 말한다.
  4. 여기에서는 심리학 용어가 아닌 고사성어 화병을 말함.
  5. 畵→龍, 點→睛 : 용(龍)을 그리고(畵) 눈동자(睛)에 점찍다(點).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고사성어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