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의 운용 장비 목록. 국군 장비가 아닌 국내 개발 무기를 찾는다면 국산무기 항목으로.
1 육군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 ||
기타전차 | M4A3E8R | |
MBT | 1세대 | M47R, M48(A2CR/A3KR/A5K · K2 · KW) |
3세대 | K1(A1), T-80(U/UK) | |
3.5세대 | K1(E1/A2), K2 | |
장갑차 | 장륜장갑차 | 바라쿠다, KM900, K806/808 |
궤도장갑차 | M3 하프트랙R, M113A1R, LVTP-7R, KAAV7A1, K200(A1), BMP-3, K-21, K532/533/534, K-77, K-10 | |
차량 | 소형 | K-151, K-131, K-111, 쌍용 코란도 스포츠 · 렉스턴, M38(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
트럭 | K-351, K-311, K-511, K-711, K-811, K-911, 대우 차세대트럭R · 노부스, 현대 엑시언트, 벤츠 악트로스 , 현대 메가트럭 · 마이티, 기아 봉고, M37R, M715R, J602R, M602R, M211R, J603R, CCKWR | |
자주포 | M36 잭슨R, M56 스콜피온R, 105mm 차륜형 자주포, M107R, M110R, K55(A1), K-9 | |
자주 대공포/ 단거리 대공 미사일 | K-30 비호, K263(A1/A3), K-31 천마 | |
다연장로켓 | M270(A1) MLRS, K-136 구룡 I/II, K-239 천무 | |
기타 | KM-9 | |
※ 윗첨자R : 퇴역 차량 |
1.1 보병
- K1 기관단총
- K2 자동소총
- K5 자동권총
- K7 소음기관단총
- K11 복합소총
- M16A1
- 콜트 M1911
- 38구경 리볼버[1]
- K3 기관총
- K4 고속유탄발사기
- K6 중기관총
- M2 중기관총
- M60 기관총
- K12 기관총
- K14 저격소총
- USAS-12 산탄총 (소량운용)
- Kel-Tec KSG [2]
- FN SCAR [3]
- HK416
1.2 포병
- 견인포
- KH-178 105mm 견인곡사포
- KH-179 155mm 견인곡사포
- 자주포
- 다연장로켓
- 지원차량
- 탄도미사일
- 순항미사일
- 현무 3
1.3 기갑
- 전차
- 장갑차
- M113 (1967년)
- Fiat 6614 (1977년) (제식명칭 KM900)
- BMP-3
- K200 / K200A1
- K221 발연장갑차
- K242A1 - 107mm 자주박격포
- K276 - NBC 정찰장갑차
- K277 - 지휘장갑차
- K281A1 - 81mm 자주박격포
- K288A1 - 구난장갑차
- K-21 보병전투차량
- K806/808 장갑차
- 바라쿠다
- S5
1.4 차량
1.5 방공 장비
- 맨패즈 (MANPADS)
- 저고도 (단거리) 대공미사일
- 중고도 (중거리) 대공미사일
- 고고도 (장거리) 대공미사일
- 자주대공포
- K30 비호 30mm
- K263A3 20mm - K200 계열 파생형
- 대공포
1.6 공병 장비
- 기갑 장비
- 도하 장비
- 개인 장비
- POMINS-Ⅱ - 휴대용 지뢰제거 시스템
- 휴대용 폭파기구셑
- 휴대용 원격무선 폭파기구셑
- KM-180 - 도로대화구 폭파키트
1.7 헬리콥터
- 500MD (1976년)
- AH-1 코브라
- AH-64 가디언 아파치 (도입중)[4]
- Bo-105 CBS5 정찰헬기 (KLH 사업)
- CH-47D 치누크
- KUH-1 수리온
- UH-60P (199x년)
- UH-1H (1967년)
- 차기경헬기 (LAH)
1.8 무인정찰기
- RQ-101 송골매 군단급 무인 정찰기
- 서쳐 군단급 무인 정찰기
- 리모아이 대대급 무인 정찰기
- 차기 사단급 무인정찰기 (2017년 전력화)
- 헤론-1 군단급 무인정찰기 (2015년 후반기 배치)
- 차기 군단급 무인정찰기 (2020년 전력화)
2 해군
현대의 대한민국 해군 함선 | ||
잠수정/잠수함 | 코스모스급R 돌고래급R, 장보고급, 손원일급, (KSS-III) | |
고속정 | 백구급R, 참수리급, (PKX-B) | |
고속함 | 윤영하급 | |
경비함/정CG | P-정CG 해누리급CG,해우리급CG, 태극급CG, 한강급CG, 제민급CG, 태평양급CG, 삼봉급CG | |
초계함/정 | 백두산급R, 수성급R, 노량급R, 거진급R, 신성급R, 동해급R, 포항급 | |
호위함 | 두만급R, 울산급, 인천급, (대구급) | |
호위구축함 | 경기급R, 충남급R, 경북급R | |
구축함 | 해외도입 | 충무급R, 대구/인천R, 광주급R, 충북급R |
한국형 | 광개토대왕급, 충무공 이순신급, 세종대왕급, (KDDX) | |
상륙정 | 서울급R, LSF-1R, LSF-2, 무레나급, 물개급 | |
상륙함 | LPH | 독도급 |
LPD | 천왕봉급 | |
LST | 천안급R, 운봉급R, 고준봉급 | |
LSSL | 영흥만급R | |
LSM | 대초급R, 시흥R | |
항공모함 | ||
기뢰전함 | 기뢰부설함 | 풍도급R, 원산급, 남포급 |
기뢰소해함 |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 |
구조함 | 창원급R, 청해진, 평택급R, 통영급 | |
군수지원함 | 소양급(초대)R, 천지급, (소양급(2대))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윗첨자CG : 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 함선 ※ ※ (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자세한 것은 대한민국 해군/전력 참조.
2.1 고속상륙정
2.2 소해함
2.3 고속정 / 함
2.4 호위함 / 초계함
2.5 구축함
2.6 상륙함 / 강습상륙함
2.7 잠수함
2.8 지원함
2.9 지원정
- 물개급 상륙정
- LCM - 소형 상륙정, 출입항 지원
- YTL - 출입항 지원 및 예인
- YUB - 항만경비정
- YF - 인원 수송
- YO - 유조정
- YWB - 청수선
- YDT - 잠수지원함
- KAAV7A1 상륙장갑차[5]
2.10 보병
육군 제식장비와 겹치는 장비는 육군 문단 참조 [6] 아래의 해군 소속 지상군 장비는 대한민국 해병대 소속 장비가 포함되어 있다.
2.11 포병
- 견인포
- M101 105mm 견인곡사포
- KH-179 155mm 견인곡사포
- 자주포
- 다연장로켓
- 130mm K-136 구룡
- 지원차량
2.12 기갑
2.13 차량
2.14 방공 장비
2.15 공병 장비
- 기갑 장비
- 도하 장비
- 개인 장비
- POMINS-Ⅱ - 휴대용 지뢰제거 시스템
- 휴대용 폭파기구셑
- 휴대용 원격무선 폭파기구셑
- KM-180 - 도로대화구 폭파키트
2.16 항공기
- P-3C
- P-3CK
- 슈퍼링스
- AW159
- KUH-1 수리온 : 상륙기동헬기로 도입 예정이며 현재 해병대 항공병과가 신설되었다.
- UH-60P (199x년)
- UH-1H (1967년)
- LAH
3 공군
3.1 전투기
- F-4E PhantomⅡ
- F-5E / F TigerⅡ
- F-15K Slam Eagle
- F-16C / D block 32
- F-16C / D block 52 (제식명칭 KF-16)
- F-35 A (도입 예정)
- FA-50 - 공격기
- 차기전투기 (KFX)
3.2 수송기
3.3 조기경보통제기
3.4 공중급유기
- A330 MRTT (도입 예정)
3.5 정찰기
3.6 훈련기
3.7 헬리콥터
- HH-60 - 탐색구조용으로 개조된 모델.
- VH-60 - VIP용으로 사용하는 모델.
- HH-32 - 탐색구조용으로 개조된 모델.
- CH-47 Chinook
- VS-92
- AS-332 슈퍼퓨마
3.8 기타 항공기
3.9 방공 장비
- 고고도 (장거리) 대공미사일
- 중고도 (중거리) 대공미사일
3.10 무인정찰기
- RQ-4 글로벌 호크 (2018년 배치)
- 차기 중고도 무인정찰기
4 기타
4.1 개인장비 및 장구류
4.2 개발 취소 무기
4.3 적성국 장비 연구용
- AK-47
- AK-74
- RPG-7 - 중국제 69식 화전통을 비롯해 다수
- 170mm 곡산 자주포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밀수입
- T-62 - 이스라엘의 Tiran 6, 기갑학교에 배치
- T-72M1 - 중동에서 밀수입, 기갑학교에 배치
4.4 차기장비
5 퇴역장비
5.1 육군 퇴역장비
- 소화기
- 중화기
- 바주카
- 57mm M1 견인포
- 75mm M1A1 견인곡사포 - 6.25 개전 당시의 장비다.
- 105mm M3 견인곡사포
- 155mm M59 견인곡사포 - 주한미군으로부터 인수 받았다.
- 203mm M115 견인곡사포
- 175mm M107 자주곡사포 (퇴역)
- 203mm M110 자주곡사포 (1966년, 퇴역)
- M101 105mm 견인곡사포 (1950년, 퇴역)
- 전차
- 기타 기갑차량
- M2 반궤도장갑차
- M16 반궤도 방공장갑차 - M2에 승공포를 올린 것
- M3 반궤도장갑차
- M8 그레이 하운드 정찰장갑차 - 마지막으로 남은 M8은 1.4 후퇴 당시 배에 피난민들을 모두 태우기 위해서 탑재 거부 판정을 받아 노획당하지 않기위해 소각했다.
- M20 그레이 하운드 정찰장갑차 - 4.19 혁명 때 경찰에 동원된 사진 자료가 있다, 이후 행방은 묘연하다.
- M32 ARV 구난전차 - 52년 11월에 최초로 수령한 M36 잭슨 22대와 함께 1대가 지급되었다. 이 녀석은 M4 셔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구난전차다.
- M36 잭슨 90mm 대전차자주포 - 처음으로 제대로 된 공격용으로 쓰인 국군의 기갑차량이다. 소년전차병분들이 이 전차를 타고 전투에 나섰다.
- M56 스콜피온 90mm 공수자주포 - 60년대에 썼으며, 지금은 전쟁기념관에 한 대만을 전시하고 있다.
- M110 203mm 자주포 - 203mm M115 견인곡사포를 장착한 자주포다.
- 맨패즈
- FIM-043 레드아이
- 헬리콥터
- H-19D (1958년 - 1976년)
5.2 해군 퇴역장비
- 경비정
- 충무공(Type 3)급 경비정 PG-313 충무공정, PG-315 제2의 충무공정 - 일본이 미완성채로 버리고 간 같은 급 경비정 2척을 개조해 1947년 2월 2일에 완성시킨 한국 해군 최초의 배들이다.
- 고속정
- Elco 80'급 - 일명 갈매기급 어뢰정
- 제비급
- 기러기급
- 백구급 미사일 고속정
- 초계함 (한국 해군 퇴역 초계함 목록)
- 백두산(PC-461)급 초계함[11] PC-701 백두산함(PC-823), PC-702 금강산함(PC-799), PC-703 삼각산함(PC-802), PC-704 지리산함(PC-810), PC-705 한라산함(PC-485), PC-706 묘향산함(PC-600), PC-707 오대산함(PC-1145), PC-708 금정산함(PC-1546), PC-709 설악산함(PC-564) - 이 중 지리산함은 기뢰에 격침당했다.
- 노량(PCE-842)급 초계함 PCEC-51 노량함(PCE-882 Asheboro), PCEC-52 명량함(PCE-896 No Name(?)), PCEC-53 한산함(PCE-873 No Name(?)), PCEC-55 옥포함(PCE-898 No Name(?)), PCEC-56 당포함(PCE-842 Marfa)[12], PCEC-57 벽파함(PCE-870 Dania), PCEC-58 율포함(PCE-892 Somerset), PCEC-59 사천함(PCE-903 Batesburg)
- 거진(Admirable)급 초계함 PCEC-50 거진함(MSF-289 Report) - 67년 도입되어 79년 퇴역 한다.(추측 이긴 하지만 PCEC-50 거진함을 들여온 이유가 PCEC-56 당포함이 침몰로 인해 들여 온 듯 하다.)
- 신성(Auk)급 초계함 PCE-1001 신성함(MSF-376 Ptarmigan), PCE-1002 순천함(MSF-116 Speed), PCE-1003 거제함(MSF-341 Dextrous)
- 동해급
- 호위함
- 두만(Tacoma)급 호위함 PF-61 두만함(PF-49 USS Muskogee), PF-62 압록함(PF-48 USS Rockford), PF-63 대동함(PF-3 USS Tacoma), PF-65 낙동함(PF-5 USS Hoquiam), PF-66 임진함(PF-4 USS Sausalito) - 이중 압록함은 1951년 4월 5일 북한 항공기의 공격과 52년 5월 21일 기타 피해등의 이유로 큰손상을 입고 쓸수 없게 되자 52년 9월 3일에 미국에 돌려주고 1년 후 5월 26일에 퇴역하여 9월 30일 표적함으로써 어뢰에 맞아 침물한다.
- 구축함
- 잠수함
- 상륙함 / 강습상륙함
- 소해정
- JMS Type-1급. 이 중에서 305 두만강함은 미군의 오인 사격으로 인해 격침, 통천함은 48년도에 납북당해버렸다.
- YMS-1급
- 항공기
- 헬리콥터
5.3 공군 퇴역장비
- 전투임무기
- 훈련기
- Ki-9 타치카와 95식 1형 연습기 (1948년? - 1950년?)[13]
- T-6 건국기 (1950년 - 1962년)
- 부활호 (1953년 - 1955년)
- T-33 (1955년 - 199x년)
- T-28A (1960년 - 1989년)
- T-41 (1972년 - 2006년)
- T-37 (1973년 - 2004년)
- T-38 Talon (1999년 - 2009년)
- T-59 호크 Mk 67 (1992년 - 2013년)
- 수송기
- C-46D (1955년 - 1978년)
- C-54E (1966년 - 1992년)
- VC-118 (1970년 - 1993년)
- C-123K Provider (1973년 - 1994년)
- 관측기 / 정찰기 / 전술통제기
- 이동 ↑ 장관급 장교들이 지급받는 무장으로,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이나 스미스 & 웨슨의M10 2인치 모델을 지급받는다.
- 이동 ↑ 특수전부대에서 소량 도입. 명목은 UAV 대응
- 이동 ↑ SCAR-L을 707 특임대에서 도입함.
- 이동 ↑ AH-X 항목 참고
- 이동 ↑ 상륙장갑차는 장갑차량이지만 상륙작전을 맡고 육군이 아닌 해군 소속 장비라 엄연히 "배"로 분류된다. 그래서 해병대의 상륙장갑차 부대는 함정수당이 나온다.
- 이동 ↑ 특수부대의 장비나 해군/해병대만 사용하는 장비만 추가바람.
- 이동 ↑ UDT에서 소량 사용
- 이동 ↑ 해양경찰특공대에서 사용
- 이동 ↑ SCAR-L을 UDT에서 사용함.
- 이동 ↑ 한국 전쟁 때 노획한 물품이다. 당시 북한군, 중공군으로부터 상당한 양의 총을 노획. 쓸만한 것 몇몇개는 다른 나라 고급 인력이 왔을 때 선물로 주기도 했다.
- 이동 ↑ 구잠함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이동 ↑ 67년 북한의 해안포에 의해 격침되었다. 자세한것은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참조.
- 이동 ↑ 공군에서 사용했다는 사진 자료만 있고, 기록에는 없다. 미국의 본격적인 군사 원조가 시작된 이후에 폐기해 버린 듯 하다. 한 대의 비행기라도 아쉽던 시절에 아무런 언급도 기록도 없다는 사실에서 이 비행기의 위상(...)을 알만하다. 실제 속도도 관측기인 L-4나 L-5보다 느렸다고 하니, 파일럿 양성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은 듯 하다. 그래도 대부분의 구 일본군 항공기들이 밥그릇으로 환생(...)하던 시절에 유일하게 국군에서 사용하던 일제 항공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