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명된 캐릭터

각종 창작물에서 현지화나 기타 이유로, 북미판 등의 해외판(한국판 포함)에서 이름이 다른 캐릭터들을 모아놓은 목록.

캐릭터 이외에 개명된 것들도 포함되며, 현지화된 작품이라도 개명되지 않은 캐릭터는 제외한다.

1 한국어판

1.1 일본 창작물 캐릭터

1.2 미국 창작물 캐릭터

2 영어판

2.1 일본 창작물 캐릭터

샤돌루의 사천왕 중 사가트를 제외한 3명은 영어판에선 개명되었는데, 문제는 그냥 새 이름을 단 게 아니라 3명의 이름을 서로 돌아가면서 바꿨다는 것이다. 덕분에 일본 유저들과 서양 유저들 사이에선 이 3명의 명칭에 대한 치명적인 혼란이 생겼다.
M은 Mike (마이크)의 약자. 즉 사실 이 캐릭터는 마이크 타이슨을 패러디한 캐릭터다. 하지만 해외판에서는 명예훼손 같은 문제에 휘말릴 여지가 있었기 때문에 개명되었다.
일본판에서는 별 문제가 없었지만, 베가라는 이름은 서양권에서 여성적인 이미지가 강했다. 때문에 이 베가란 이름은 나르시스트인 발로그(...)한테 가고, 이 최종보스의 이름이 M. 바이슨이 된 것. 때문에 서양권에서는 이 M이 MasterMajor의 약자인 줄 아는 사람도 많다. 흠많무.
특이하게 일본식 이름에서 일본식 이름으로 개명당한 케이스. 즉 현지화는 절대 아니며, 실제로 개명된 이유는 현재까지도 불명이다. 자세한건 해당 문서 참고.
유명 뮤지션과 그들의 곡에서부터 브랜드명까지 이름으로 쓰기때문에 영역판에선 저작권 침해와 명예훼손 방지 문제로 개명당한다.

3 일본어판

3.1 한국 창작물 캐릭터

4 관련 문서

  1. 일본어로 '여섯', '6' 을 뜻한다.
  2. 일본 성우 와타나베 쿠미코와 한국 성우 양정화의 공통점은 케로로 중사의 목소리를 담당한다.
  3. 번역상의 실수로 인해 개명된 케이스. 덧붙여 원작 코믹스 한정으로, 애니메이션의 경우 당연하게도 대원방송 더빙판과 투니랜드 자막판 모두 원래 이름인 '미사토'로 나왔다.
  4. 만화책이 나올때부터 혼자 개명된 케이스로 애장판이 나오면서 원판 이름으로 돌릴까 이야기가 나왔지만 이게 너무나도 굳어져서 원판 이름으로 돌리지 않고 개명한 이름으로 그대로 갔다. 만화책에서 개명된 이유는 제목에 일본이름을 내세울 수 없는 일본 문화 개방 이전이었기때문으로 추정.
  5. 투니버스에서 방영할 당시 1기는 오지명이었지만 2기로 넘어가면서 카멜로 바뀌었다.
  6. 원본 시대순으로는 다이노썬더(폭룡전대 아바레인저)보다 앞이어야하지만 한국 방영 순서로 치면 엔진포스(염신전대 고온저)다음이 맞다.
  7. 이카리 가이(박재민)를 제외한 나머지 캐릭터는 캡틴포스에서 개명된 게스트 캐릭터다.
  8. 후지사키 루미 미소라 레미는 성만 바꾸고 이름은 그대로
  9. 유일하게 애니메이션 자막판(대원방송)에서도 개명된 이름으로 나온 캐릭터. 아무래도 염라대왕의 아들이라는 설정이 있는데다가 그렇다고 마냥 '소염라'라고 직역하기도 뭐하고, 거기다 이마에 영어로 'Jr.'라는 글씨가 써 있어서 그런 듯 하다.
  10. 애니메이션 1기 투니버스 더빙판 한정.
  11. 모 장난감 회사에서는 '채아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하여 항간에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으나 방송국에서는 '아무' 로 표기하였다.
  12. 모 출판사에서 나왔던 애니메이션 만화판에서는 '시아나' 라는 이름으로 표기하였다가 증쇄본에서 '세라' 로 변경하였던 적이 있다.
  13. 2기 캐릭캐릭 체인지 두근에서는 다이아로 돌아갔다.
  14. 구판, 비디오판 한정
  15. 구판, 비디오판 한정
  16. 구판, 비디오판 한정
  17. 41권부터 다시 레드로 고정된다.
  18. 레드와 달리 41권에서 고쳐지지 않았다.
  19. 미국이나 한국에 방송할 때 스폰지밥의 이름은 영어 이름 그대로다. 그러나 EBS에 방송할 때만 개명되었다.
  20. 공식적인 이름은 불명이며 인칭 대명사로 공개한다. 일본에서 파워퍼프걸Z를 제작할 때 그의 이름은 카레(彼, かれ)로 이름 뿐만 아니라 외형까지 바뀌었다.
  21. 미나레트는 이슬람 사원의 첨탑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