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 노선

1 개요

차적지 또는 면허지와 상관있으나 기종점 또는 회차지가 아닌 중간정류장(단 양방향 1개 정류장이라도 정차운행해야지만 해당)에 경유하여 운행하는 노선을 의미한다. 즉 단어의 모습은 '아웃'과 '인'으로 반댓말인듯한 모습을 띄지만, 실제 의미에 있어서는 완전한 반댓말은 아닌 셈이다. (아웃XX의 반댓말은 중간 정류장 몇 개가 차적지를 지나는 인XX가 아니라 아예 노선 전체가 차적지 안에서 다니는 노선. 따라서 차적지 안에 양측 방향 정차하는 정류장이 몇 개 있다는 의미에서 부르는 말인 인XX는 아웃XX의 반의어가 아니라 차라리 유의어.). 대표적인 표제어에 대한 예시가 따로 없지만, 인 XX 노선을 표시한다.

면허지 또는 차적지를 지나가되 중간에 정차하는 양측 정류장이 1개 이상 존재되는 경우에는 인 XX노선으로 분류를 한다.

아웃 ○○ 노선도 같이 참고할 것.

2 인김포

이 문단은 인김포(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인김포 노선에 대해 좀 더 설명하자면, 원래 검단이 김포시 지역이었으나 인천으로 넘어가면서 인 김포 노선이 많이 늘어났으며, 특히 김포시가 선진네트웍스 독점 지역이고 옆동네 인천광역시의 북부도 선진의 세력이 막강한지라 인김포노선이 인천 북부(부평구/계양구/서구)와 서울특별시 강서구 지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근데 아웃광주의 포스엔 못 미치고 아웃안산이랑 비등비등하다.

  • 인김포 버스 60 : 일반좌석노선 시절부터 입석노선으로 형간전환하기까지 인 김포노선으로 현재까지 이어져온 노선.
  • 인김포 버스 69 : 노선도 상으로는 인김포 노선이 아닌데 김포운수 측에서 몰래 차고지에서 기점인 유현사거리까지 공차회송 구간인 인천광역시 구간에서 승객을 받고 있다. 행선판에도 '풍무동/원당사거리'라 써 있는데, 원당사거리 자체가 이미 인가 노선을 벗어난 곳이다.
  • 인김포 버스 88 : 노선 신설 당시(김포대학~영등포역) 그냥 김포노선이었으나, 강화로 연장되면서 자연스럽게 인 김포노선으로 전환.
  • 인김포 버스 90 : 말이 필요없는 인김포의 대표주자.
  • 인김포 버스 1002 : 인천광역시 서구 당하동 완정사거리에서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시청까지 이어지는 인김포노선. 0권역 경기도 시내일반버스 진입불가 정책을 쿨하게 씹어먹는 노선.
  • 인김포 버스 1004 : 1002의 급행형 노선.
  • 인김포 버스 2000 : 3100번이 부활한 노선.
  • 인김포 버스 3000 : 과거 신촌-강화 직행버스로 인김포 직행좌석버스.

3 지역 업체의 인 XX 노선

번호순으로 기재바람(번호가 겹칠 경우 지역의 가나다 순으로 기재).

3.1 애매한 경우

  • 안산 버스 1 - 안산시 반월공단을 출발하여 부천시 종합터미널로 가는 노선인데, 반월공단-예비군훈련장 사이에 시흥시 구간이 걸쳐져 있다. 그래서 안산-시흥-안산-시흥-부천 이렇다. 이 노선의 시내일반버전이었던 61번은 그냥 안산 노선.
  • 안양 버스 1-2, 안양 버스 8, 안양 버스 8-1, 안양 버스 88 - 석수동버스공영차고지 정류장 위치가 분명 안양시인데, GBIS에서 광명시 정류소로 뜬다.
  • 광명 버스 2 - 차고지가 광명시 옥길동에 있는데, 중간에 서울시 구간을 지나가 광명 - 서울 - 광명 - 안양 이렇게 되어있다. [5]
  • 평택 버스 2를 비롯하여 용이동, 월곡동, 죽백동 차고지를 출발하여 진사리입구를 지나가는 수많은 버스들 - 진사리 부분 서동대로는 길 건너면 평택시와 안성시가 바뀐다. 이 때문에 어떻게 보면 안성시를 지난다.
  • 수원 버스 7-2, 수원 버스 27-1, 수원 버스 900 외 - 영통회차장을 출발하는 일부 노선의 경우 영통로200번길이 용인시 경계. 괴상한 행정 구역 때문에 래미안영통마크원1단지 정류장이 화성시 반정동 구역. 7-2는 수원 - (용인) - 수원 - (화성) - 수원 - 용인 - 성남, 900은 수원 - (화성) - 수원 - 의왕 - (군포) - 안양 - 서울이다.
  • 오산 버스 8, 오산 버스 71, 오산 버스 200, 오산 버스 707 - 석수동 예시와 마찬가지. 기점들의 정류장 위치가 분명 오산시 갈곶동이고 평택시 갈곶리를 지나야 한다 볼지도 불확실한데, GBIS에서 평택시 정류소로 뜬다.
  • 광명 버스 11 : 광명시 화영운수 차고에서 서울시 개봉역, 광명시 광명사거리, 학온동을 거쳐서 안양시 안양역까지 가는 노선 광명에서 안양으로 갈 때 시흥시 목감동 구간을 잠깐 거쳐가는 노선으로, 광명-서울-광명-(시흥)-안양으로 광명시를 2번이나 거친다. 측면행선판에 개봉역이 기점인 양 적혀있어서 오해를 사기 쉽지만 엄연히 광명시에서 출발한다.[6]
  • 의왕 버스 12 : 의왕시 숲속마을 - 안양시 인덕원역 - 의왕시 포일단지 - 안양시 평촌 간 노선. 의왕-안양-의왕-안양 마을버스 노선이다.
  • 용인 마을버스 14 -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을 출발하여 미금역으로 가는 노선인데, 고기동에서 동천동으로 가는 사이에 성남시 구간이 걸쳐져 있다. 쉽게 말하자면 용인-성남-용인-성남 순이다.
  • 서울 버스 서초18 - 언남중고에서 선바위역 방향으로 가는 중 구룡사거리부터 양재역4번출구까지 논현로남부순환로 경계가 강남구 개포동, 도곡동 구역이다. 그리고 기점인 선바위역은 경기도 과천시. 선바위역 방향으로 치자면 서초 - (강남) - 서초 - 과천.[7]
  • 수원 버스 20, 수원 버스 32, 수원 버스 34, 수원 버스 34-1, 수원 버스 81, 수원 버스 999 외... - 수원시 동부차고지를 출발해 광교신도시를 거쳐 화성시[8] 혹은 오산시[9]로 가는 노선인데, 광교차고지 바로 다음 정류장이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속해있다. 위 노선 전부 다 용인시 구간인 중심상가를 지나 수원시 구간인 더사랑의교회 앞까지 간다. 34와 34-1은 원래 그냥 화성 노선이었지만 수원시 면허로 전환되어 애매하게 바뀌었다.
  • 성남 버스 21 - 송파구복정역에서 성남시를 거쳐 하남시 위례동까지 가는데, GBIS에서는 복정역이 아닌 복정동주민센터 출발로 뜬다.
  • 경기광주 버스 60 - 경남여객 시절에는 인용인 노선이었으며, 기점은 광주시에 속해있으나 모현면의 해괴한 행정구역으로 인해 용인시 구간인 한국외대에서 광주시 오포읍을 지나 다시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으로 들어가는 노선이다. 그리고 수요를 위해 죽전에서 오리역을 왕복해 용인시를 또 들른다. 그러니까 광주 - 용인 - 광주 - 용인 - 성남 - 용인 - 수원으로 광주시를 2번, 용인시를 3번 지난다. 이 노선보다 빠른 660번은 그냥 광주시 노선.
  • 인천 버스 78, 김포 버스 841 : 유현사거리의 해괴한 행정구역 때문에 78번은 인천 - (김포) - 인천 - (김포) - 서울, 841은 인천 - (김포) - 인천 - 김포 이렇게 다닌다.
  • 부천 버스 88 - 빗자루질의 대표주자. 서울-부천-인천 구간을 다니는 노선이지만 기점인 대장동공영차고지가 부천시에 위치한다. 이 정류장만 지나면 인천광역시 계양구다. 첫차시간대만 운행하는 88-1은 송내남부역에서 출발하므로 상행 한정으로는 그냥 부천 노선이다.(그래도 서울 구간이 더 길다.)
  • 화순 버스 217 - 화순교통근성노선. 종착지가 다양한 노선인데, 공통적으론 광주광역시에서 출발하여 화순군 사평리까지 운행하고, 사평리 이후부터 노선이 갈라진다.[10] 그 중에도 순천시 주암면, 보성군 용암삼거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있지만 대부분 노선은 화순군내에서 종착하기 때문에 몇 편의 노선계통만 가지고 인 화순 노선으로 단정짓기는 어렵다.
  • 인천 버스 302 - 인천공항 소재인 운서동이 인천시라 좀 그렇지만 기·종점이 인천 내륙이 아니다. 그러니까 부천시-인천 내륙(계양구, 서구)-인천공항이다. 그러니까 완전한 인인천이라고 보기 힘들다. 단, 인천 본토는 북부로 경유하기 때문에 아웃 인천의 애매함은 성립이 되지 않는다.
  • 인천 버스 308 - 역시 기·종점이 인천 내륙이 아니다. 김포시-인천 내륙(서구)-인천공항이다.
  • 서울 버스 441 - 의왕시 월암동에서 과천시를 거쳐 서울시 신사역까지 가는 노선인데, 서초지구와 양재2동 사이에 과천시 구간이 걸쳐져 있다. 441같은 경우는 의왕 - (군포) - 안양 - 과천 - (서울) - (과천) - 서울이다.
  • 서울 버스 462, 서울 버스 4419 : 송파공영차고지는 서울 땅, 그런데 성남시내를 경유한다. 위례신도시로 인해 몇 개 더 생겼다. 자세한 것은 하남시 버스 목록 문서도 참고바람.
  • 인천 버스 790 - 사실 인천이 기·종점이라 상관없지만 이 노선은 시외좌석버스다. 인천 남구 - 남동구 - 시흥시 - 안산시 - 인천 옹진군으로 인경기인 인천 시외좌석버스다.
  • 인천 버스 800 - 역시 인천이 기·종점이라 상관없지만 이 노선도 시외좌석버스다. 인천 남구 - 남동구 - 남구 - 동구 - 서구 - 김포시 - 인천 강화군 구간으로 다니는 인경기 인천 시외좌석버스다.
  • 시흥 버스 5602 - 안산 1번과 마찬가지로 능곡지구와 군자동 사이에 안산시 구간이 걸쳐져 있다. 그러니까 서울 금천구 - 안양 - 시흥 - 안산 - 시흥, 이렇게(...).
  • 인천 버스 9300, 인천 버스 9301 : 인천-부천-강남 노선으로 인천 - 부천 - 인천(구산사거리) - 서울로 인천을 2번이나 지난다.

4 과거에 있었던 사례

  • 대원운수남양주 버스 1-4 : 개설 초기부터 그냥 남양주 노선이었는데, 가평군 대성리로 연장하면서 인 남양주 노선이 되었다가, 차산리로 단축하여 도로 그냥 남양주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대신 23번처럼 회차구간을 하남시로 연장.
  • 대일교통성남 버스 3 : 애매한 경우에 속한다. 이 노선은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을 출발해 미금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미금역에서 용인시계로 들어갔다가 다시 성남시계로 넘어갔다 용인시계에 들어가서 운행이 끝나는 노선이다.
  • 강화운수김포 버스 8 : 과거에 운행되던 시절 강화터미널로 연장운행하여 인 김포노선으로 바뀌었으나, 배차간격이 폭망하여 김포 버스 88과 통폐합후 뒤안길로 사라진 노선.
  • 과거 명진운수 시절의 남양주 버스 8 : 신설하기 이전에 남양주시 와부/덕소지역 일대에 인 남양주 노선이 하나도 없었다. 이게 생기면서 인 남양주 노선이 되었는데, 회사사정이 어려워지자, 금강고속에게 양도한 시점부터 그냥 양평 노선으로 전환되었지만,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양평군으로 연장되면서부터 수요급감은 물론 을씨년스러운 배차간격으로 운행되다 쓸쓸하게 폐선.
  • 경남여객용인 버스 10 : 과거 수원시 수원역으로 시작하여 용인시를 걸쳐서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까지 운행되어 배차간격이 다소 짧으면서 장거리로 자랑했던 천하의 버스노선이 어느새 노선이 죽산까지 잘리고, 다시 용인 백암면까지 단축되어 가장 유일했던 인 용인노선이 사라졌으니, 현재 백암에서 죽산까지용인 버스 10-1, 101, 죽산에서 광혜원은 안성 버스 17로 분리 운행중이다. 지못미!!!
  • 화영운수광명 버스 11-2 : 과거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서 시흥시 월곶까지 운행했었는데, 광명역 이후의 구간의 수요부족과 배차간격 때문에 여의도-광명역과 광명역-월곶을 운행하는 광명 버스 11-3으로 분리했다. 그래서 그냥 광명노선이 되었다.
  • 안양 버스 11-6 : 군포시 산본동에서 잠실운동장까지 운행되었던 노선.
  • 부천 버스 12 : 원래는 인 부천 노선이었지만 2016년 4월 6일 부로 시흥교통으로 양도하고 아웃시흥에 가장 근접한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시흥 버스 25 : 애매한 인 시흥 노선이지만, 정왕역으로 단축되어서 더이상 안산시를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 안양 면허 시절 경원여객의 안양 버스 31-1, 31-8 : 과천시 서울대공원에서 안양시, 시흥시등을 거쳐 부천역까지 갔던 노선. 안산 면허로 넘어오면서 아웃안산이 되면서 얼마 못가 폐선.
  • 안양 면허 시절 경원여객의 안양 버스 31-7 : 군포시 오금동에서 안양시, 시흥시를 거쳐 부천역까지 오던 일명 인안양노선이었는데 역시 안산 면허로 전환하고 나서 아웃안산의 대표주자가 되었다.
  • 신성운수 시절의 고양 버스 34, 360 : 서울 불광동에서 고양시 효자동 일대와 양주시를 거쳐 고양시로 가던 인 고양 노선이었지만 신성운수의 재정난으로 15/07/14부터 KD 운송그룹 소속의 명진여객으로 이관하면서 그냥 의정부 노선이 되었다.
  • 평안운수의정부 버스 35 : 가래비에서 도봉산역을 잇는 인 의정부 노선이었으나 파주시 법원읍으로 연장되고, 서울 구간이 짤려 그냥 의정부 노선이 되었다. 그리고 32번32-1번을 골로 보냈다
  • 소신여객부천 버스 50/550, 51, 52, 53 : 과거 월미도부터 출발하여 김포공항, 방화동까지 운행했던 아스트랄하면서 인 부천노선이자 장거리노선들이었는데, 51번, 52번, 53번은 90년대 후반에 폐선되었다. 550번은 2000년대 초반부터 부평역(?)부터 단축을 해오다가 경기 성민버스으로 넘어가면서 50번으로 바뀌고 송내역으로 단축된 비운하면서 추억의 노선.
  • 수원 버스 53 : 이것도 동부차고지에서 상현역을 들려 수원으로 들어갔다 용인으로 들어가는 애매한 인 수원 노선이지만 운휴크리.
  • 양주 버스 55-2 : 파주시 기산리에서 양주시를 거쳐 의정부역까지 가는 노선. 2015년 5월 1일 폐선.
  • 삼영운수안양 버스 60 : 과거에는 의왕시 고천차고지에서 안양시 인덕원역, 범계역을 거쳐 군포시 당동까지 갔던 인 안양 노선이었으나, 2011년 말에 동편마을 경유로 변경되면서 노선이 60번과 60-1번으로 분리되어 두 노선 모두 그냥 안양 노선이 되었다.
  • 과거 김포운수김포 버스 60-2 : 인천시 강화군 화도터미널에서 김포시를 거쳐 송정역까지 가는 인김포노선이었는데 인천 면허로 넘기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한강신도시-송정역 구간이 단축되어 특이한 아웃인천노선이 되었다.
  • 경기 선진버스김포 버스 70 : 이것도 90번과 마찬가지로 엄연한 인 김포 노선였다가 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냥 인천 면허로 전환되었다.
  • 고양 버스 73 : 원래 그냥 파주노선이었으나 파주 신성교통(현 신성여객)이 고양시 면허인 신성운수에게 넘겨서 인 고양 노선이었으나. 2015년 4월 중 강선마을~신촌구간이 대폭 잘려나가 그냥 고양시 노선이 되었다.
  • 고양 버스 76 - 역시 고양 73번이랑 마찬가지의 이유지만 회사 사정때문에 무기한 운행 중단중이다가 2015년 2월 2일 결국 최종 폐선되었다.
  • 강화운수김포 버스 80 : 고양시 대화역에서 강화를 잇던 노선으로 적자를 감당 못하는건 물론이요 훌륭한 대체노선이 있어 존재가치가 없어져 무기한 운행중단 중.
  • 경기 선진버스의 김포 버스 99 : 과거에 강화도에서 부천시 송내북부역까지 운행되던 노선이었으나 시내버스로 전환하고 양곡으로 단축하고 얼마 못 가 운행 중단.
  • 전주 버스 300 : 완주군 북부지역 농어촌버스 노선(동상, 화산, 운주, 대둔산 등) 운행 후 고산면을 출발하여 전주시내와 완주군 상관면을 지나 임실군 관촌면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2000년대 들어 전주~관촌 구간이 단축되었다.
  • 경남여객에서 운행하던 용인 버스 550 : 경희대를 출발해 신갈, 구성, 수지를 경유해 양재역으로 가던 노선. 지금은 광교- 강남역으로 단축된데다가 아웃광주가 되었다.
  • 인천 버스 563 : 인천 서구 가좌동에서 계양구 효성동까지 운행하는 노선. 원래 그냥 부평노선이었지만 가좌동으로 연장되어서 인 부평 지선버스가 되었으나 인천 버스 개편으로 폐선.[11]
  • 서울 버스 570 : 고양시 삼송동 ~ 광명시 노온사동 간 운행했던 간선버스. 서울 최초이자 마지막의 인 서울 노선이며, 범일운수신성교통 소속이였다. 그러나 장거리 운전으로 인한 피로에 버틸 수가 없었는지 범일운수에서 백기를 들고 사실상 폐선되어, 현재는 신성교통이 금촌 ~ 영등포로 단축과 동시에 일부 구간을 손질해서 서울 버스 760이 되었다.
  • 경기광주 버스 660 - 2009년 3월까지는 광주-죽전 구간이 60번과 비슷했으나 43번 국도 경유로 바뀌어 그냥 광주 노선이 되었다. 대신에 단국대학교+죽전 헬게이트를 경험하겠지
  • 고양 버스 830 : 2011년 3월 23일 1500번 신설 전까지는 인 고양 버스였으며, 단축 이전의 노선은 교하 - 탄현, 중산 - 마두역 - 영등포 노선으로 운행했었다. 2015년 12월 현재는 덕이지구 - 탄현, 중산 - 마두역 - 영등포로 운행 중이다.
  • 예전 김포 버스 959 : 고양시를 거쳐서 김포시를 거쳐 강화도까지 운행하는 버스였으나, 고양시 면허로 전환되었다. 이후 시내일반버스로 형간전환 후 2014년 1월까지 운행한 뒤 96번으로 통합되었다. 현재 운행중인 95번과는 무관.
  • 예전 김포 버스 960 : 959번과 동일한 구간을 달렸으나, 현재는 이 노선이 본선이 되어 고양시 면허가 되면서 시내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
  • 경기광주 버스 1500 : 이것도 역시 오포읍 신현리를 거치는 인 광주노선이었으나, 신분당선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할 거라고 판단한 덕에 폐선.
  • 성남 버스 2003 : 본래 마북-분당신도시-강남역인 인 성남 노선이었으나, 노선이 단축되어 그냥 성남노선이 되었다가 폐선되었다.
  • 김포운수김포 버스 3100 : 과거에 화도-신촌구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였는데 형간전환되고 양곡-송정역으로 단축되다가 폐선되었다. 어느새 김포 버스만 여덟줄이다. 아웃광주 리다이렉트처럼 인김포 리다이렉트를 만들어야 할 듯 근데 생겼다.
  • 경남여객 공배 시절의 경기광주 버스 5007 : 수원시 동부차고지를 출발해 용인시 흥덕지구를 경유해 서울역으로 가는 버스로 아웃광주노선이자 인용인 노선이었다. 지금은 대원고속 단독 배치로 아웃 광주 노선이기만 하다.
  • 경원여객안산 버스 5601 : 원래 시흥시-안산시-시흥시-안양시-광명시-금천구-구로구-영등포구까지 갈 정도로 초장거리 본전좌석버스였으나 안산역으로 단축후 다시 경원여객 본사로 연장. 그리고 농어촌버스로 전락
  • 남양주 버스 7007 : 포천시 내촌에서 강남역을 잇던 인 남양주 노선이었으나 광릉내차고지로 단축되어 그냥 남양주 노선이 되었다.
  • 남양주 버스 8012 - 포천시 내촌차고지에서 잠실역을 잇는 노선이긴 한데, 포천시 정류소가 내촌차고지뿐이라 사실상 그냥 남양주 버스로 보는 게 옳았지만 광릉내로 단축되어 그냥 남양주 노선으로 전환.
  • 시외버스 9800 : 원래 인 경기 시외버스였으나 인천 면허 광역버스로 변경. 삼화고속 광역버스 면허는 인천광역시, 시외면허는 경기도 수원시 면허를 써서 그렇다.

5 시외버스 (고속버스 제외)

업체명 가나다순으로 기재바람. 고속면허 버스는 전국구를 사업단위로 하므로 여기서는 적지 않는다. 차적지는 도(道) 단위로 하며 남북도 모두 중간에 걸치는 노선은 특별히 표기한다.

번외: 삼화고속의 부천-인천-나주-영암-강진 노선 : 시외버스 차적지는 경기도 수원이나, 삼화고속 본거지가 인천인 특성상 인인천 시외버스 노선이긴 하다.

  1. 정확하게는 구리 경기여객 소속 노선 전부 과거 인 남양주나 아웃광주 출신이었다.
  2. 통합 전 청원군 오송읍 소재
  3. 대원버스의 일부 차량이 용인시 면허인 경기 78 아로 되어 있다. 이 노선에서도 일부 차량이 용인시 번호판을 달고 다니긴 한다
  4. 왜 화성시에 들어 오는데 인 수원 노선이라고 하면, 경진여객이 직행좌석버스, 시외버스는 수원시 면허, 시내일반버스 면허는 화성시 면허를 써서 그렇다. 그랬지만...
  5. 하지만 광명시에서 2번을 부천시 옥길보금자리로 연장하기 위해 부천시와 협의 중이라고 한다. 이게 성사될 경우, 반토막짜리 인 광명 노선에서 진짜 인 광명 노선이 된다. 그리고 부천시 옥길동과 광명시 옥길동을 전부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 된다.
  6. 다른 개봉역 거쳐자는 화영운수 노선들도 있지만, 다른 노선들은 개봉역이 종점인 반면, 이 노선만 화영운수차고까지 가므로 방향판 보고 타야 한다.
  7. 반대편 언남중고 방향은 과천시-서초구로 그냥 서초구.
  8. 32번, 34번, 34-1번, 81번, 999번
  9. 20번
  10. 물론 사평리까지만 운행하는 노선계통이 있다.
  11. 원래 인천 지선버스들이 마을버스에서 시작했다. 시내버스로 전환하고 번호대별로 운행구역을 나눴다. 근데 그 상식을 무참히 파괴하는 버스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