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U.K에서 넘어옴)
그레이트브리튼[1]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국기

(스코틀랜드 이외에서 사용)

(스코틀랜드에서 사용)
국장
국호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건국1922년[2]
수도런던
상징국가God Save the Queen
국화장미
국조울새
국가 코드GB
자연환경면적(영토)243,610km2 [3]
인문환경인구63,742,977명 (2016년 통계)
인구 밀도1km2당 255.6명
공용 언어영어[4][5]
공용 문자라틴 문자
종교잉글랜드 성공회(잉글랜드),
없음(잉글랜드 이외 지역). 기독교 59.5%, 무교 25.7%
정치정치체제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단일국가
여왕엘리자베스 2세 (Elizabeth II)
총리테레사 메이 (Thersea May), 보수당
임기2016년 7월 13일 ~
행정 구역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6]
경제명목 GDP(전체 GDP) 2조 8649억 3000만 $
1인당 GDP 44,118$
GDP(PPP)(전체 GDP) 2조 5489억$
1인당 GDP 41,787$
공식 화폐파운드 스털링 (£)
ccTLD.uk .gb[7][8]
단위법정 연호서력기원
시간대UTC +00:00 (협정 세계시[9])
도량형SI 단위야드파운드법 혼용
대한수교현황남북한 동시수교
남한 1949년 / 북한 2000년
국제연합(UN) 가입1945년
영국의 지형도 보기
영국 및 영국 속령 내 소수 언어의 국호 표기
노르만어Rouoyaume Unni d'la Grande Brétangne et d'l'Irlande du Nord[10]
맨어Reeriaght Unnaneysit ny Bretyn Mooar as Nerin Hwoaie
스코트어Unitit Kinrick o Great Breetain an Northren Ireland
얼스터[11] 스코트어Claught Kängrick o Docht Brätain an Norlin Airlann
스코틀랜드 게일어Rìoghachd Aonaichte Bhreatainn is Èireann a Tuath
아일랜드어Ríocht Aontaithe na Breataine Móire agus Thuaisceart Éireann
웨일스어Teyrnas Unedig Prydain Fawr a Gogledd Iwerddon
콘월어Rywvaneth Unys Breten Veur ha Kledhbarth Iwerdhon
서유럽의 국가 및 지역
?width=50
아일랜드
?width=50
맨 섬
(영국)

영국

벨기에
?width=50
네덜란드
?width=50 ?width=50
채널 제도
(영국)

프랑스
?width=50
모나코
?width=50
룩셈부르크
G7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유럽 연합
(비공식)
G20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대한민국

프랑스

독일
?width=45
이탈리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터키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width=45
유럽 연합
?width=150
유럽연합의 회원국
그리스네덜란드덴마크독일라트비아루마니아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몰타벨기에불가리아스웨덴스페인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아일랜드에스토니아영국 *오스트리아이탈리아체코
크로아티아키프로스포르투갈폴란드프랑스핀란드헝가리
* 영국의 경우 유럽연합 탈퇴 국민 투표에서 과반수가 찬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2017년 3월 29일 탈퇴를 규정한 리스본 조약 50조를 발동했다.
* 부속 규정에 의거하여 영국은 유럽연합과의 탈퇴 협상을 시작하며, 2년이 지난 2019년 3월 29일까지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유럽연합에 가입한 27개 회원국들 중 한 나라라도 협상 연장을 거부할 경우, 2019년 3월 29일부로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자동 확정된다.
* 탈퇴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은 유럽연합 회원국으로서의 지위는 유지된다. 다만 영국이 희망하면 유예기간 내에도 탈퇴는 가능하다.
UN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상임이사국
?width=45
미국
?width=45
영국
?width=45
프랑스
?width=45
러시아
?width=45
중국
비상임이사국 (2016년 ~ 2017년)
세네갈이집트일본우루과이우크라이나
비상임이사국 (2017년 ~ 2018년)
에티오피아카자흐스탄볼리비아이탈리아스웨덴
그리스네덜란드노르웨이
뉴질랜드대한민국덴마크
독일라트비아룩셈부르크
멕시코미국벨기에
스웨덴스위스스페인
슬로바키아슬로베니아아이슬란드
아일랜드에스토니아영국
오스트리아이스라엘이탈리아
일본체코칠레
캐나다터키포르투갈
폴란드프랑스핀란드
헝가리호주
,,당시
2차 세계대전의 주요 연합국
?width=45
미국
?width=55
소련
?width=50
영국
width=42
중국
?width=45
프랑스

1 개요

기사신사의 나라, 근대화와 산업혁명의 탄생지
세계 공용어의 고향

북해의 서쪽에 위치해 대서양을 마주보고 있는 영국은 아일랜드 해를 사이에 두고 아일랜드와 근접해 있고 도버 해협을 사이에 두고서는 프랑스와 마주보고[12] 있으며, 유럽 3대 강국중에 하나다. 그레이트브리튼과 아일랜드 섬에 걸쳐 있는 영국의 면적은 243,000 km제곱으로 우리나라(남한) 전체 면적의 두배다. 물론 중심 영토인 그레이트브리튼은 면적이 한반도와 비슷하다.아하

영국의 수도는 런던으로, 영국은 입헌군주제를 정부 형태로 채택하고 왕실을 상징하는 국왕과 의회를 상징하는 총리가 지도자로 군립하여 영국을 다스린다. 現 국왕은 엘리자베스 2세다. 영국은 지역 구분은 크게 4곳으로 나누는데 그것이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즈북아일랜드다. 이외에도, 영국 왕실 영지인 맨 섬저지섬 과 건지 섬이 존재하고, 카리브 해와 아프리카 지역에 몇몇 해외 영토를 가지고 있다.

지금의 4개의 독립적 지역이 연합하여 생겨난 영국은 생긴지 얼마 안 된 나라다. 현재 영토가 확정된 것은 1922년으로 아일랜드가 독립한 후이다. 뒤이어 식민 제국들의 붕괴로 대영 제국이 무너지고 지금의 영국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영국의 역사는 세계에 정말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영국에서 산업 혁명이 시작되었다는 점, 영국이 미국과 함께 2차 세계 대전의 서부 전선을 승리로 이끌었다는 점에서만 해도 영국의 세계사에서 중요한 나라 중 하나다.

산업 혁명이 영국에서 시작 되었다는 대목에서 알 수 있듯이 영국은 근대에 들어서며 엄청난 부를 누렸다. 제국주의의 시절 해가 지지 않는 나라 라고 불릴 정도로 거대한 식민 제국을 세웠던 영국은 당시 산업 혁명을 주도하며 세계의 공장을 자처했다. 그러나 영국의 경제는 근대를 지나 2차 세계대전 이후로는 미국과 소련에게, 그 뒤로도 일본, 독일, 프랑스 같은 나라와 엎치락 뒤치락하며 꾸준히 영향력을 상실하게 된다. 하지만 영국은 지금도 세계 5위 안에 드는 경제력을 보유한 국가이며, 지난 수 년간 G7 중 가장 빠른 경제 성장률을 보여준 명실상부한 경제 강국이다.

영국군은 500년에 걸친 오랜 역사와 우수한 인력과 장비를 보유한 강군으로 평가 받는다. 특히 특수부대 SAS가 매우 유명하다. 영국군은 2008 금융위기로 영국의 경제가 근간에서부터 흔들렸을 때 발표된 2010 방위백서로 엄청난 군비 감축을 당할 뻔 했다. 하지만 경제 사정이 나아진 2015년에 다시 대대적인 무기 도입 계획을 실행하게 됐다. 자세한 건 영국군 문서를 보시길.

또한, 영국에서 시작되어 만국공통어로 불리우고 있는 언어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영어다. 하지만 미국처럼 수도의 방언인 런던 방언표준어가 아닌 이상한 동네다.[13] 런던 방언은 이민자의 유입으로 원래 표준어에서 변화되었다. 서울 사투리는 타 지방에서의 인구 유입으로 다양한 변화를 겪었지만 그나마 표준어와 유사한 구석이라도 있는데, 런던 방언은 용인발음과는 매우 다르다. 원래는 각 시기별 영국왕실언어가 표준어였으나[14] 현재는 RP(Received Pronunciation, 용인발음)라고 하여서 지방 방언이 아닌 대학 교수나 언론, 사회 상류층이 사용하는 계급 방언을 표준어로 삼고 있다.[15] 또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영국식 악센트는 Oxford english 쪽에 가까우며, 웨일스 방언이나 맨체스터 방언 등은 우리가 생각하는 고급스러운 악센트와는 차이가 심하다. 또한 웨일스 방언이나 아일랜드 방언은 각각 웨일스어, 게일어에서 온 단어를 일상생활에서 그냥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아예 알아듣지 못할 수도 있다.#[16] 미국 상류 계층에서는 한 때 영국식 악센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졌으나, 반대로 유럽 등지에서도 미국식 영어를 따로 배우는 경우마저 있어 어느 쪽이 우세하다고는 할 수 없으며, 한국인의 흔한 오해(표현이 다르다)와는 달리 같은 단어마저도 다르게 읽는 경우가 제법 된다.#

영국은 NATOEU의 정회원국이었으나 현지시간 2016년 6월 23일 브렉시트 국민투표에서 탈퇴가 잔류보다 더 많은 표를 얻었다. 유로화를 사용하는 유로존과, 자유로운 국경 통과를 허용하는 솅겐조약에 가입하지 않음으로서 독일이나 프랑스와는 달리 EU로부터 조금은 거리를 두더니 결국 EU를 등지게 되었다.

유럽연합 탈퇴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브렉시트 참고.

2 역사

영국과 아일랜드의 역사
History of the United Kingdom
Foras Feasa ar Éirinn
고대중세 ~ 근세근대 ~ 현대
아일랜드켈트족히베르니아아일랜드 영지아일랜드 왕국그레이트
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아일랜드 자유국아일랜드
(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칼레도니아알바 왕국스코틀랜드 왕국그레이트
브리튼
왕국
그레이트
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웨일스로만 브리튼귀네드 왕국웨일스 공국잉글랜드 왕국잉글랜드 연방잉글랜드 왕국
잉글랜드칠왕국
잉글랜드 왕조동앵글리아, 머시, 노섬브리아, 웨식스, 에식스, 켄트, 서식스웨식스 왕조덴마크 왕조웨식스 왕조노르만 왕조앙주 왕조플랜태저넷 왕조랭커스터 왕조요크 왕조튜더 왕조엘리자베스 시대스튜어트 왕조스튜어트 왕조하노버 왕조작센윈저 왕조
조지안빅토리안에드워디안
대영제국

3 정치

영국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812015년, 세계 10위
언론자유지수202015년, 세계 34위

이 문제는 그리 간단하지가 않다. 동군 연합이란 하나의 군주아래 두 나라가 연합한 것을 말하므로 현재, 영국(UK)과 영연방 중 15개 국[17]은 평등한 주권을 갖는 독립국가이면서 공통적으로 영국왕을 국가원수로 두고 있으므로, 현재의 영연방은 얼핏 동군 연합의 정의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군 연합(Personal union)이라는 단어는 중세 이후 유럽의 정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온 말인데 영연방은 각국이 마음만 먹으면 가입, 탈퇴가 자유로우므로 기존의 동군 연합이라는 단어를 예시로서는 적합치 않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의 교수인 J. D. B. Miller는 그의 저서에서 영연방을 일반적인 연방도 아니고, 군사동맹도 아니며, 동군연합이라고 할 수도 없다고 정의한 바 있다.[18] 이후 일반적으로는 영연방을 동군 연합으로 보지는 않는 편이다. 다만, 이 문제는 사람마다 이견이 있을 수 있으니 각자 참고하기 바란다.

여담이지만 이 문제는 영어 위키피디아에서도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으나 현재는 동군 연합으로 보지는 않고 있다.

다만, 영국 역사상 동군연합인 때도 분명히 있었다.(1801~1837년까지), 현재는 그 국가들은 동군연합국가가 아니다. 스코틀랜드웨일스, 북아일랜드는 독립된 국가가 아니며, 자체적인 국방력도 외교권도 갖고 있지 않다. 영국 왕실령인 채널 제도맨 섬 역시 독립국이 아니다.

영연방은 어디까지나 국가연합이지 영국을 뜻하지 않는다. 때문에 영국을 영연방이라고 할 수는 없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문서 참고. 다만 영국을 연합국가로서 말할 때 영국연방이라고 쓰는 경우가 없지는 않지만 어떤 경우에도 영연방(Commonwealth of Nations)을 영국으로 표기하지는 않는다. 영국은 스스로를 United Kingdom(UK)라고 표현하며, 이것을 일반적으로 번역한 것이 연합왕국이고 영연방은 절대 아니다. 애초에 영연방(commonwealth)은 번역을 '연방'으로 잘못 해놔서 그렇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방(federation)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그러나 한국의 기레기들은 commonwealth과 United Kingdom을 구분하지 못하고, 영연방이란 단어를 남용하고 있다.

영국 왕실은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대표적 표본으로 현 국왕인 엘리자베스 2세제2차 세계대전에 자원 복무를 해서 차량 정비공(여군이라는 얘기는 아니고 군부대에서 근무하는 민간 근로자 즉 일종의 군무원으로 영국 소녀들은 대부분 군무원이 되어 전쟁에 참여했다. 남자들이 징병되어 공장에 일손이 없어서이기 때문)한 경우도 있고 엘리자베스 2세의 둘째아들 요크 공작 앤드루 왕자는 포클랜드 전쟁 중 위험한 임무(해군 구조헬기 조종사)에 자원해서 나간 경우도 있으며 손자 중에서는 둘째 손자인 해리 왕자가 아프가니스탄에 나가있는 영국군 전투 부대 보병 소대장으로 일선에서 직접 싸웠다. 얼마 지나지 않아서 본국으로 송환되었는데 이유가 '너무 언론에 노출되어서 과도하게 테러를 당할 수 있다'. 사실은 왕자가 소대장으로 전선에 나가있다는 사실에 대해 전 영국 언론들에게 검열 지침을 내렸고 영국 언론사들은 신변 보호의 이유로 검열령에 따라주었으나 미국 언론에서 노출되었다(...)[19]

단, 싱가포르말레이시아 같은 동남아시아의 구 영국령들도 독립국이라 국가원수가 따로 있으면서도 영연방에 속해 있으며 의사, 변호사 면허 등이 영국 면허다. 그리고 아무리 영연방에 속해 있는 국가라도 완전 독립을 보장한 나라들도 있다. 예를 들어 인도 공화국가 있으며 영연방에 속해 있어도 독자적인 헌법은 보장을 받으면서 자주권을 가지고 있기에 영국 헌법보다 상위에 속한 경우도 더러 있다.

3.1 감청

국내 감청 및 CCTV 설치가 엄청나다. 런던만 해도 장난이 아니다. 1990년대에 한 타블로이드지가 Security Service(속칭 MI-5, 영국 정보국 보안부)의 감청실태를 조사하다가 걸려서 박살(...)난 적이 있다. 전국적으로 무려 440만 대나 설치된 CCTV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20] 민간 CCTV까지 포함하면 정말 모든 게 다 기록되는 수준.[21] 역시나 제1공대 본 얼티메이텀을 보면 확인 가능하다?

전세계 모든 통신망과 유선망을 감청 가능하다는 와치독 미 국가안보국(NSA)의 감청망 에셜론은 영국에서 그 단말로 추정되는 시설이 처음 발견됐다. 물론 진짜 에셜론 감청소라고 확인된 건 아니지만 가능성은 꽤 높고 단지 음모론에서 알려져 있는 것만큼 만능 수준 역시 아니라고 보인단다.

또한 요크셔에 있는 공군기지(RAF Menwith Hill)와 콘월 주에 있는 감청기지(GCHQ Morwenstow)은 에셜론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기지들로 알려져 있다.

4 군사

영국군 문서 참고.

5 경제

영국 경제 문서 참고.

6 교육

6.1 초/중등 교육

사립학교는 잘 되있는 곳이 많은데 비해 공립학교는 정말 암울하다. 사립학교 교사가 공립학교에 일일 선생님을 하러 간 영상이 있는데 배울 게 없다며 수업 중간에 나가는 학생들이 있으며 정규 선생님은 없다. 공립학교 교사들도 자녀들을 사립학교에 보내고 싶어할 정도다. 대신 사립학교는 엄청나게 비싸다. 그런 탓에 대부분의 명문 사립은 상류층을 위한 케이스가 많다. 서민층들의 상당수는 신분 상승을 노려봤자 넘사벽을 느끼고 그저 현실에 체념, 안주하는 까닭에 이들의 교육열 역시 낮을 수 밖에.

영국의 대학 입시 전형은 대표적으로 A-Level이라는 시험이 있다. GCE(General Certificate of Education)이라고도 한다. 에이레벨은 2년 과정인데, 첫 년도는 AS level, 두번째 년도는 A2 level이라고 세분화한다. 오직 시험에만 치중하지 않고도 UCAS 점수를 모아 대학에 지원할 수도 있다. 상위권 대학은 A-Level 성적의 등급으로, 중/하위권 대학은 UCAS 점수로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UCAS 점수는 시험 외의 활동에서도 얻을 수 있으므로 순전히 시험에 집중하는 것보다는 널널한 편.

A level을 치기 전, 중등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과정은 GCSE(General Certicficate of Secondary Education)이다. 우리나라로 치자면 약 중1~ 고1까지의 과정이며, C 미만일 경우 낙제다. 만 17세 미만일 때 영어와 수학은 낙제했다면 통과할 때까지 재시험를 쳐야한다고. 여담으로, 영국에선 A+ 대신에 A* 를 쓴다.

6.2 고등 교육

세계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대학들이 존재한다.

7 사회

영국병이라는 것이 있다.

빅토리아 여왕 시대에는 사회지도층인 성직자들이 앞장 서서 부부 간의 성행위 체위까지 간섭하며 반강제적으로 정상위[22]만을 종용했을 만큼 사회적으로 순결과 성의 건전함을 표방했지만 사실 영국은 세계에서 BDSM이 가장 먼저 시작됐고 기초가 잡힌 나라다. 심지어 저 빅토리아 시절의 억압적인 분위기(…)도 플레이 대상이다. 신사들만의 사교클럽은 회원제 매춘 클럽으로 이어지는 연결의 장이 되었는데 통제된 성에 대한 반발의식 때문에 회원제 BDSM 클럽이 발달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신사들 대부분이 '매' 를 때리는 쪽이 아니라 '매' 를 맞는 쪽을 선호했다는 것이다. 이때 통용되던 은어로 '마담 케인과 약속이 있다' 는 은어는 케인(cane : 회초리)로 엉덩이를 때려줄 매춘부를 만나러 간다는 의미로 폭넓게 쓰였다.

스포츠 베팅이 발달한 나라이다. 동네마다 스포츠 베팅 샵이 있어서 거기서 베팅을 하면 스포츠를 동네 사람들과 같이 보기도 한다고. 대표적인 베팅 업체로는 BET365, BETFRED, BetFair, William Hill, Ladbrokes가 있는데 별 걸 다 베팅한다.[23] 정작 국가에서 발행하는 스포츠토토는 없다고.

7.1 신분제 사회

영국은 군주제 국가이며 엄연히 귀족 신분이 존재하는 국가다. 물론 21세기 민주주의 사회에서 과거 귀족들처럼 봉건적 특권을 가지거나 신분에 따른 차별의식을 가진 건 아니지만 엄연히 상류층, 유산층, 중산층의 사회적 계급 구분이 확연하며 서로 어울리거나 섞이는 일은 극히 드물다. 아예 귀족 출신들은 말할 것도 없고, 누대에 걸쳐 고위 관리나 지식인을 배출한 가문이나 주교 등 고위 성직자 등 오랜 시간에 걸쳐서 다져진 부류가 바로 상류층이다. 이들은 엄한 사립학교(이튼스쿨 등)을 따로 다니고 취미활동이나 쓰는 언어나 행동거지 등이 모두 다른 계층과 다르다.[24]

개천에 용난 케이스로 당대에 자수성가한 부호 등이 있다 해도 이들은 결코 영국 사회에서 상류층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중류층은 우리나라처럼 중산층이 주류를 이루고 하류층은 그야말로 고정관념적인 영국 신사 이미지와는 정반대의 가난한 노동자, 무직자 등이 많다. 간단한 예로 훌리건을 생각하면 된다.[25][26] 이러한 계층적 분류는 현대사회에서 많이 약화되고 의식적으로 언급을 안하지만 보이지 않는거지 이런 의식이 없는게 아니다.[27] 게다가 계층에 따른 상호간에 불만이나 갈등도 엄연히 존재한다.

하지만

최근 영국의 사회 계급은 예전의 유산층/중산층/서민 분류에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자본주의 체계가 단순히 경제적 아젠다를 넘어 영국 사회 전반에 뿌리 내리면서 일어난 변화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BBC에서는 영국의 새로운 사회 계급을 총 7개로 세분화했는데, 이것을 좀 더 간략하게 분류해 보자면

전통 엘리트
전통 중산층
신흥 중산층
전통 노동계급
빈민층

으로 나눌 수 있다.

전통 엘리트는 영국의 유서 깊은(?) 유산층이다. 하지만 귀족 하면 으레 생각나는 지주 계급 보다는 은행에서 일하거나 대기업 임원직을 맡고 있는 고연봉 직종 종사자들이 영국의 새로운 전통 엘리트층으로 부상했다. 이 전통 엘리트층은 영국 사회의 6% 가량을 차지한다고 하며, 이들의 자녀들은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아 부모보다 더 성공한 엘리트가 될 가능성이 높다. 최상위 부가 계속 되물림되는 것이다. 사실, 고도로 발전된 자본주의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전통 중산층은 시 행정 관련직에 종사하는 공무원이나 군인, 그리고 여러 탄탄한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돈을 많이 벌고 자산도 풍부하고 고급 문화를 향유하며 진보적이다. 진보적이어도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1번을 많이 찍는다

신흥 중산층. 이 사람들이 현대 영국의 사회 계급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 사람들은 전통 노동계급의 자녀들로, 보통 90-00년대에 걸쳐 고등 교육을 받은 노동자 자녀들이 양질의 고임금 일자리를 찾으면서, 전통적인 중산층과 맞먹는 부를 축적했다. 직업은 매우 다양하다. 전문 기술이나 과학 연구직에 종사하는 과학자, 전문가들. 고임금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젊은이들. 엔지니어링, 설계, 판매직에 종사하는 30대 등등. 근데 전통 중산층 중에서도 이런 직종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나 사실상 이들이 현대 영국 경제의 척추라 할 수 있으며 가장 목소리가 큰데, 경제적으로는 부유하지만 문화적 감수성은 부모님 세대의 뿌리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 노동계급은 우리가 영국 노동자 하면 떠올리는 그 사람들이다. 자산을 가지고 있지만 가치는 그리 높지 않고, 연봉도 많이 받지 않는다. 대형 트럭 운전, 카센터 등 전통적인 직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평균 나이가 60세 이상으로 노년층이다. 한 마디로 영국에서 노동 계급이 서서히 몰락해가고 있다는 것. 영국이 고임금 사회로 변모하면서 겪는 현상 중 하나이며, 현재 영국 정치계에서 노동 운동 구호가 옛날에 비해 그렇게 많은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빈민층은 한 해 8000파운드(1400만원) 가량 버는 사람들이다. 이민자, 그 중에서도 여성 비율이 압도적이라고. 이들이 전체 사회의 15% 가량을 차지하는데 이것은 영국 빈곤선 아래에 있는 노동자 비율과 동등한 것이다.[28]

상기했다시피 영국은 단순히 소득의 격차에 따라 상류층과 노동계급이 나뉘지 않는다. 락스타 노엘 갤러거가 롤스로이스 자동차를 가졌고 개인용 비행기로 투어를 하고 다닌들, 그의 정체성은 노동계급이다. 영국의 사회 계급은 한 마디로 그 사람이 어떤 문화적 '뿌리' 에 속해 있고, 어떤 문화를 향유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헌데 이 문화의 향유라는 것도 결국은 그 사람이 가진 자본의 양에 영향 받을 가능성이 크다. 아무리 고고한 심성을 가진 사람이라 한들 빵이 고픈 시기에 장미만으로 만족할 수 있겠는가. 게다가 흔히 오해하는 사실이지만, 영국은 사회 신분 이동이 사실상 차단되어 있다 하더라도, 경제적 신분 이동이라는 관점에서는 여전히 다이나믹한 사회다.[29] 부의 되물림이 이미 고착되어 있는 한국이나 다른 유럽 국가들, 그리고 계층 이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미국보다도 부를 상속받는 억만장자 부자들의 비율이 현저히 낮다. 현대 영국의 부자들은 기업주, 혹은 대기업 경영직으로 스스로 경력을 쌓아 자수성가를 이룬 사람들이거나 러시아나 중동에서 건너온 외국인 자원 부호들이다.

고급 기술을 가진 이민자들, 외국 부호의 유입, 신흥 중산층의 탄생과 성장 등, 자수성가한 부자들의 숫자가 여전히 전체 부호 비율에서 압도적이며 이들은 전통 노동계급의 상징이라 여겼던 영국 하위(대중)문화와 상류층들의 전유물(클래식, 재즈, 공연 문화 등) 둘 다에 왕성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런 변화가 영국인들의 오랜 의식을 완전히 무너뜨리지는 못할 것이다. 영국의 계급 문화란, 말 그대로 오랜 시간에 걸쳐 관습적으로 형성된 개념이기 때문이다. 차라리 현대 영국 사회는 불순물(?)과 전통적인 것들이 함께 섞여 이뤄진 일종의 칵테일에 가깝다고 보는 것이 맞다. 이 혼합물이 미래에 어떤 모습으로 변모할 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을 것이다.

7.2 언어

공용어로는 영어를 쓴다. 영어는 현재 국제 공용 언어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언어로써, 많은이들이 영어를 배우기 위해, 어학연수, 유학, 워킹홀리데이 등의 형태로 영국으로 입국한다.

영국식 영어, 용인발음 참조.

7.3 교통

8 문화

중장년 계층 한정이지만 자기가 태어난 지역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이 대단하다. 지역 도서관에 가보면 그 지역사에 관련된 자료들이 반드시 따로 구비되어 진열되어 있고 그 양도 방대하다. 겉 핥기식의 지역 소개 책자들이 아니라 정말 학문적 사료로써의 소논문 수준들인 경우가 많다. 다만 이런 연구들도 부유한 동네에 몰려있다.

영국 문학은 프랑스 문학과 함께 인류 문학사에 거대한 족적을 남겼고, 또 현재도 왕성하게 발전해가고 있다. 오죽하면 영국은 지금도 출판업을 지속 성장 가능한 제조업으로 고려하고 있을 정도. 뮤지컬, 연극 등 공연 문화도 매우 발전되어 있다. 특히 셰익스피어 관련 극을 주기적으로 재창작하며 재능 있는 예술가들을 배출하는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신분제 사회라 그런지는 몰라도 영국은 상류 문화와 하위 문화가 폭넓게 발전했다. 필름 분야에서는 007이나 닥터후 처럼 대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대형 시리즈물을 잘 만들지만서도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작품들도 눈에 띄게 많다.

8.1 음악

서양음악에선 영국 가곡을 필두로 조지 프레드릭 헨델의 주 활동지이기도 하며, 에드워드 엘가나 유진 달버트[30] 같은 걸출한 작곡가도 배출하였지만 타 유럽국가의 전적들에 비하면 비교적 실적이 초라한 편이다. 물론 서양음악은 중세부터 적어도 후기 낭만주의 시대까지 오스트리아-프랑스-독일의 라인업 아성을 넘볼 국가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건만... 적어도 음악적으로 강국의 위치에 있던 폴란드이탈리아, 그리고 러시아가 계속해서 거장 혹은 그에 준할 수준의 음악가[31]들을 산출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전 음악 시대에는 음악적으로 강국이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하지만 현대음악, 특히 대중음악 분야에선 압도적이다. 1960~70년대는 비틀즈, 레드 제플린, 딥 퍼플, 핑크 플로이드 등 걸출한 밴드가 등장하며 에서 넓게보면 음악 전반까지 세계를 휘저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80년대에는 맨체스터라는 특정 도시를 중심으로 뉴 오더, 더 스미스 등의 다양한 음악이 등장했으며 맨체스터 외 지역에서도 퀸(밴드) 등 전설적인 대중음악 밴드들이 등장했다. 90년대 이후로도 오아시스, 라디오 헤드, 뮤즈, 콜드플레이 등등 걸출한 아티스트가 등장하며 현재도 음악에 지대한 영향을 끼지며 전세계 대중음악계를 선도하는 나라 중 하나다. 현대음악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브리티시 인베이전 참조.

8.2 영국 영화 및 드라마

영국 드라마

8.3 종교

영국은 유럽에서 종교적으로 가장 복잡한 나라 중 하나다. 영국 전체의 국교는 없지만 잉글랜드스코틀랜드는 각각 독자적인 교회가 공식적인 종교로 간주되고 있다. 잉글랜드의 국교인 Church of England는 성공회 소속인 것으로 유명하며 스코틀랜드 국교인 Church of Scotland는 장로교 소속이다.[32] 잉글랜드 국교회는 법적으로 국교회이나 스코틀랜드 국교회는 법적인 국교 지위는 상실했으며 사실상의 국교회로 간주되고 있다. 웨일스북아일랜드는 현재 딱히 정해둔 종교가 없다. 북아일랜드에는 아일랜드 공화국까지 함께 관할하는 성공회 소속의 Church of Ireland가 있으나 국교는 아니다. (아일랜드 섬에선 1871년, 웨일스에서는 1920년에 성공회의 국교 지정이 해제되었다.)

성공회 신자 수가 가장 많다고 하나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지는 않는다. 잉글랜드는 본래 가톨릭을 믿었으나 헨리 8세의 종교 개혁으로 잉글랜드 국왕과 캔터베리 대주교를 수장으로 하는 성공회를 국교로 지정했다. 때문에 상당히 피를 봐야 했지만, 다른 개신교 교파에 비해 전례와 교계제도 면에서 보면 성공회천주교(가톨릭)와 상당히 유사하다. 애초에 갈라져 나온 이유가 신앙적인 갈등이 아니라 헨리 8세의 혼인 무효 문제였으니 당연한 일이다. 다만 교리적인 면에서는 여느 개신교파와 다를 바 없다. 이 성공회 교단은 영국 내에서도 통일된 위계 질서를 갖춘 것이 아니다. Church of England는 잉글랜드 지역만 관할하며 스코틀랜드 지역은 Scottish Episcopal Church가 성공회 교단이며 북아일랜드 지역은 아일랜드 공화국까지 함께 관할하는 Church of Ireland가 성공회 교단이다. 웨일스 지역의 성공회는 원래 Church of England 소속이었으나 분리되었고 교단은 따로 없고 교구만 존재한다.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기는 하나 역사적인 이유로 아직까지 잉글랜드인이라면 사회 지도층은 성공회 신자여야 한다는 암묵적인 관례가 있다. 일단 영국 왕실부터가 전부 성공회 신자이기도 하고, 영국 왕은 영국 성공회의 수장을 맡고 있다. 이런 이유로 원래 성공회 신자였던 토니 블레어 총리[33]는 아내와 자녀를 따라 가톨릭으로 개종하려는 것을 총리 퇴임 후로 미룬 바 있다.##

성공회라는 특이한 종교의 탄생지이기도 한데 침례교, 감리교 등 많은 개신교 교파의 탄생지이기도 하다. 침례교 등 개혁주의 계통들은 성공회가 국교가 된 후 한동안 큰 박해를 받았고(단, 감리교는 성공회에서 분리된 종파임) 이러한 이유로 일부가 신대륙으로 건너갔고 미국 건국의 한 배경이 되기도 했다. 가톨릭도 성공회 종교개혁 후 많은 탄압을 받았으나 18세기 이후 신앙의 자유가 보장되었다. 북유럽 국가들과 달리 가톨릭 세력이 말살되지도 않았고 아일랜드 출신 이주자들도 가톨릭 신앙을 지켰기 때문에 계속 가톨릭도 존속해왔다. 그러나 기독교 종파 간의 대립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고, 특히 북아일랜드 지역에서는 "가톨릭"과 "성공회 등 범개신교계"의 대립으로 비교적 지금까지도 이 문제는 완전히 해결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역사적으로 그리스도교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영국은 근대까지도 그리스도교가 사회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미쳤지만, 오늘날의 영국은 그때 당시와 너무나도 많은 차이를 보여준다. 영국 역시 유럽 여러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세속화 경향이 강해지면서 그리스도교 신앙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옛날 번성했던 흔적은 이제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으며 소수의 노인들만이 외롭게 교회를 지키고 있다. 이러한 교회의 몰락이라 볼 수 있는 현상은 영국의 여러 대, 소도시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34] 특히 성공회를 포함한 여러 개신교 교파들에서 더욱 그러한 경향이 강하다. 설문 조사 결과 영국 성인 44.7%가 ‘종교가 없다’ 혹은 ‘종교에 소속된 적이 없다’고 답했다. 가톨릭도 크게 다르지 않으나 폴란드 등 가톨릭 신자가 많은 국가 출신 이주민들이 유입되면서 현상 유지는 하는 편. 근데 솔직히 유럽 나라들은 죄다 세속주의 요즘 젊은이들 중에는 아예 새로운 걸 믿어보겠다고 불교에 흥미를 가지는 사람들도 많고[35] 기독교도 동양종교도 싫은 사람들은 위카신이교주의를 시도해보기도 한다.

공영방송인 BBC에서는 그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시점을 기준으로 시대를 BC/AD로 나누던 관행을 바꾸기로 결정했다. 연대를 기원전(BC : Before Christ)과 기원후(AD : Anno Domini)로 구분하던 것을, 종교적 색채가 덜한 BCE(Before Common Era)와 CE(Common Era)로 대체한 것이다. 다만 BBC는 전면적으로 용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용어 선택을 강제력 없는 ‘권장 사항’으로만 두겠다는 방침이다.

이민자들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이슬람의 빠른 성장도 눈에 띈다. 하지만 현대 영국 사회는 전반적으로 종교에 회의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최근 영국 의회에서도 전 고위 판사였던 배로니스 버틀러-슬로스를 포함한 영향력 많고 시민 사회에서 존경 받는 지식인들이 이 새로운 동향과 관련된 보고서를 내놓았다. 그 중에는 성공회의 킹왕짱인 전 캔터베리 대주교 로완 윌리엄스도 포함되어 있다. 보고서는 영국 정계의 종교적 성향을 줄이고, 이민자들이 늘어나면서 무슬림이 많아졌으니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종교 지도자도 상원(귀족원)에 올라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극단적인 이슬람 종교권 내에서 핍박받는 여성을 보호할 수 있도록 법 체제를 정비할 것을 권고했다.[36] 2016년 5월 24일에 가디언은 잉글랜드, 웨일스에 무신론자 수가 기독교 신자를 넘어섰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물론 아직까진 영국 종교계의 주류인 성공회의 힘이 막강한데다 최근의 난민 위기와 테러 사건으로 타 종교, 특히 이슬람에 대한 시민들의 반감이 커졌다는 걸 고려할 때[37] 당장 영국 상원이 극적인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은 적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이 문제가, 그것도 영국 내에서도 상당히 영향력 있는 인사들에 의해 수면 위로 올랐다는 사실이 중요할 것이다. 현재 영국에서도 성공회의 위치, 문화적 다양성의 포용 등에 관한 문제로 많은 토론이 벌어지고 있다.

[1]
게다가 어딜가나 미친놈들은 있는법이라고, 샤리아 경찰같은 이슬람 근본주의적 사고관을 가진 인물들이 종종 있고 그들이 언론에 강조되어 특필되면서 죄없는 일반 무슬림들 얼굴에까지 먹칠을 하고있다. 그중 가장 악명높은 인물이 바로 안젬 초다리(anjem choudary)로, 그야말로 영국 한복판에서 사우디 이슬람 학자 마냥 행동하고 다니는 인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국을 샤리아가 적용되는 이슬람 국가로 만들겠다'고 공공연히말하고 다니는 인물인데, 영국 여왕은 부르카를 입어야 한다, 영국인들은 샤리아를 지켜야 한다는등 제정신인지 의심스러운 발언을 하곤 하는 인물. 2011년에 런던을 샤리아 적용구역으로 선언하고 유인물을 붙여댄 사건이 유명하다. 결국 IS에 입대할 지하드 전사들을 모으는등 IS에 공조한 혐의로 기소, 유죄판결을 받았다. #

8.4 요리

영국 요리 문서 참고.

8.5 스포츠

축구메카

스포츠에서 영국의 각 지역 협회가 국제연맹에 별개로 가입한 종목(예: 축구)에서는 영국으로 나가지 않고 그 지역으로 나간다. 지역 협회가 별개로 가입한 종목은 올림픽 같은 영국 하나로만 가입되어 있는 종합 스포츠 대회의 경우 참가를 포기하거나 단일 팀을 구성하여 참가한다.[38]

축구 팬들은 대표팀 경기가 나라가 아닌 협회 대항전임을 강조하지만 축구만 그런 게 아니라 다른 종목도 마찬가지다. 축구 팬들의 시각대로 이야기한다면 올림픽도 국가를 대표한 게 아니라 올림픽위원회(와 해당 종목 협회)를 대표하여 참가하는 것이다. 럭비의 경우는 영국 안의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웨일스가 따로 나가지만 북아일랜드는 아예 다른 나라인 아일랜드 공화국과 합쳐서 나간다. 이 역시 영국과 아일랜드의 럭비협회들이 그렇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배구의 경우도 영국은 지역별로 따로 참가하나(다만 네 지역 다 못하기 때문에 세계대회에서 볼 일이 없어서 잘 알려지지 않았다) 2012 올림픽에서는 단일 팀을 구성했다.

올림픽에서는 Great Britain(GBR)이라는 이름으로 표기한다. 엄밀히 따지면 Great Britain은 북아일랜드를 제외한 명칭이지만, 실제 선수단은 북아일랜드는 물론이고 왕실령과 해외 영토의 선수들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논란이 있다.

야구도 Great Britain(GBR)라는 이름으로 국제대회에 참가한다.

영국의 한 마을에는 자체적으로 여는 병맛스러운 달리기 축제가 있다. 축제 성격상 컬트적인 인기를 끌어서 전세계의 이목을 사로잡았고 점점 참가자 수가 늘어나고 있다고. 자세한 내용은 치즈 롤링 페스티벌 참고.

1908 런던 올림픽에서 종합 메달 1위 해본 이후로 최고 성적은 바로 2016 리우 올림픽에서의 2위다. 2012 런던 올림픽에서 3위를 했었는데 홈에서도 하지 못 했던 2위 성적을 리우에서 터트렸다
[2]

요트 , 트라이애슬론에서 역대 가장 메달 많이 따고있다. 나머지 영국이 가장 메달 많이 따고 있는 종목들은 현재는 다 퇴출된 옛날 종목들이다

2016년에는 사이클 , 조정카누 , 요트 섬나라고 해군이 강한 전통 덕분인지 , 승마에서 선방했다 [3]

9 상징물

9.1 국호

9.1.1 공식 국호

원어인 영어로의 긴 공식 국호는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로 현존 국가의 영어 국호 중 가장 긴 길이를 자랑한다. 짧은 공식 국호로는 앞부분만을 따서 United Kingdom(연합왕국)이라 줄여 부르는데, 이렇게 본래 지명을 생략하고 정부 체제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남겨 짧은 형태의 국호로 쓴다는 것도 영국 국호의 특이한 점이다.[39] 긴 국호에서 Grerat Britain(그레이트브리튼)과 Northern Ireland(북아일랜드)를 구분해서 표현하고 있다 보니, 이를 줄여서 Great Britain이나 Britain(브리튼) 같은 통칭(다음 항 참조)으로 부른다면 북아일랜드의 취급이 애매해지기 때문에 차라리 앞부분만으로 부르는 것이 공식적인 자리나 문서에선 가장 공평하기 때문이다. 이름이 United Kingdom of~로 시작하는 나라는 역사상 몇 있긴 했지만 현재로서는 영국이 유일하므로 이렇게 쓴다고 해도 다른 나라와 혼동될 여지는 없다. 이니셜로는 UK를 쓴다.

이 긴 명칭을 그대로 한국어로 옮길 때는 그레이트브리튼(대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그레이트브리튼(대브리튼)과 북아일랜드의 연합왕국 등 고유명사나, 띄어쓰기, 조사까지도 번역하는 사람마다 제각각이게 되는데, 대한민국에서 영국의 한국어 공식 국호는 영국이기 때문에 위의 해당 명칭에 대한 직역은 공식적으로 정해진 것이 없고 어느 것을 써도 맞는다. 단, 구를 잘못 나눠서 '그레이트브리튼 연합왕국' 및 '북아일랜드'라고 하면 의미가 달라지므로 틀린 번역이다.

영국의 공식 한국어 명칭을 더 살펴보자면, 우선 대한민국 정부가 영국 정부와 체결한 조약문에서 영문본의 긴 공식 국호(United Kingdom of...)와 짧은 공식 국호(United Kingdom)에 대응하는 국문본 표기는 어느 쪽도 그냥 '영국'이다.[40] 한국 외교부의 각국 소개 페이지를 찾아보면 영국과 국호가 비슷한 미국만 해도 미합중국이라 명시돼 있고, 마찬가지로 미승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다른 국가들도 긴 영문 공식 국호가 있으면 그대로 번역한 한국어 명칭이 표기되어 있다. 영국은 긴 영문 국호를 병기하고 있음에도 한국어로는 영국이라고만 적고 있다.

이는 영국(英國)이란 표현을 공유하는 한자문화권에서도 한국이 특이한 경우인데, 공식적으로 영국의 긴 국호를 써야 할 때 북한에서는 대브리텐 및 북아일랜드련합왕국, 중국에서는 大不列颠及北爱尔兰联合王国(대불렬전 급 북애이란 연합왕국, 대만에서는 大不列顛暨北愛爾蘭聯合王國), 일본에서는 グレートブリテン及び北アイルランド連合王国(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베트남에서는 Liên hiệp Vương quốc Anh và Bắc Ai-len(영·북아일랜드 연합왕국)으로 모두 긴 공식 국호에 대해서 자국어 번역 명칭을 따로 쓰고 있다.[41]

9.1.2 그레이트브리튼, 브리튼

Great Britain, Britain. 좁은 뜻으로는 영국의 특정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이자, 넓은 뜻으로는 영국 전체를 가리키는 통칭이다.

그레이트브리튼은 본래 아일랜드 섬을 제외한 영국의 큰 섬, 즉 잉글랜드·스코틀랜드·웨일스만을 가리키는 지명이다. 그래서 1707년 잉글랜드(웨일스를 포함)와 스코틀랜드가 합병하던 당시의 국호는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었으며, 1801년 아일랜드를 합병할 때도 아일랜드를 그레이트브리튼의 일부로 만들지 않고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이라는 각각의 지명을 남기는 형태의 국호를 만든 것이다. 이 구분은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이 된 지금까지도 유효하다.

그러나 그레이트브리튼과 아일랜드가 형식상으로는 동등한 연합이었다 해도 실상은 그레이트브리튼의 식민지나 다름없던 아일랜드의 독립운동을 진압한 결과로 이루어진 합병이었기에, 영국의 주도권을 쥔 그레이트브리튼 측에 편향되어 그레이트브리튼이나 그 약칭인 브리튼이 영국 전체에 대한 통칭으로 확대되는 것은 아일랜드를 제외한 영국 대내외적으로 당연한 결과였다.

오늘날 아일랜드가 북아일랜드를 남기고 독립한 영국에 있어 그레이트브리튼이란 이름은 두 가지 상반된 성격을 가지는데, 하나는 영국의 아일랜드 섬 통치 범위가 북아일랜드로 쪼그라든 만큼 그레이트브리튼 지역이 영국을 대표하는 성격이 더욱 커졌다는 것, 다른 하나는 그럼에도 여전히 그레이트브리튼과 북아일랜드가 공식적으로 구분된 상태가 오래 굳어져온 탓에 공직자나 언론인 등 정치적 올바름에 주의해야 하는 자들은 오히려 그레이트브리튼을 영국의 통칭으로 쉽게 쓰지 못하게 됐다는 것이다. 근래에 영국 정부에서는 더 이상 그레이트브리튼을 국호로서 사용하지 않지만, 올림픽을 비롯한 각종 스포츠 대회에는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가 아닌 지역의 선수를 포함할 때도 종래의 그레이트브리튼 명의로 출전하는 것이 이 명칭의 양 측면을 보여준다.

그레이트브리튼 명칭은 영국 전체와 구분해서 쓰일 경우 우리말에서 '대(大)브리튼'으로 번역되기도 하며 이는 국어사전에도 실려 있는 표현이다. 한편 그레이트브리튼을 대영제국이라 번역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엄연히 잘못이다. 이 때문인지 아직도 영국이 스스로를 대영제국이라 칭한다거나, 대영제국이 영국의 공식 국호라거나 하는 오해도 간혹 있다. 대영제국의 영어 표기는 British Empire로, 앞에 '대'가 붙는 것은 한중일에서나 통용되는 관습적 표현 같은 것이라 현재는 그레이트브리튼의 그레이트와 직접 관계는 없다.[42]

대한민국과 영국이 맺은 조약에선 문맥에 따라 영문본의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를 국문본에서 '영국 본토와 북아일랜드'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그레이트브리튼이 영국의 주가 되는 섬인 것은 맞기에 이런 표현이 나온 듯한데, 북아일랜드를 영국 본토로 보느냐 아니냐는 본토라는 말에 여러 뜻이 있는 만큼 생각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어차피 조약 해석의 기준은 영문본이기 때문에 딱히 문제는 없을 것이다.

브리튼도 그레이트브리튼의 짧은 형태로서 역시 중의성은 있지만, 대신 이쪽은 그레이트브리튼에 비해 영국의 통칭으로서 사용되는 빈도가 훨씬 높으며, 영국 정부에서도 United Kingdom이나 UK의 동의어로 곧잘 사용하고 있다. 특히 브리튼의 형용사형인 브리티시(British)는 공식적으로도 일반적으로도 북아일랜드를 포함하는 통일 영국 국민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니, 긴 공식 국호 상에서 여전히 북아일랜드와 대비를 이루고 있는 그레이트브리튼 명칭에 비하면 이런 점에서 뉘앙스 차이가 생겼을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도 브리튼이 현 영국보다 큰 범위를 가리키는 경우가 제한적으로 있는데, 영국과 아일랜드의 섬들을 합쳐 부르는 브리튼 제도(영어로는 British Isles) 같은 지리적 표현이 그러하다. 물론 아일랜드 정부 측에서는 받아들이지 않는 표현이지만 국제적으로는 널리 쓰인다.

더욱 자세한 역사적 배경은 브리튼 문서 참조.

9.1.3 잉글랜드와 영국

잉글랜드는 엄연히 영국의 4개 지방의 하나에 불과하지만, 영토는 절반 이상이고 인구는 5/6 이상으로 사실상 영국을 대표하는 지방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서 잉글랜드와 영국을 혼동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지역감정에 민감한 영국 자국민들 말고는 보편적으로 England를 아무래도 많이 쓰는데다, 현재 전 세계에 공통적으로 통용되는 '통일 영국'을 가리키는 국호만도 2개가 되고 이중 딱히 하나만을 쓰라고 강제한 적도 없다 보니 England, United Kingdom, Great Britain 이 세 명칭이 여기저기서 중구난방으로 쓰이고 있다. 이 때문에 정보 찾느라 어떤 사이트에서 나라 목록을 찾다 보면 'E'ngland가 안보여서 'U'K를 찾고, 그래도 없으면 결국 G 항렬로 가서 'G'reat Britain을 찾게되는 경우가 가끔 있다.(...)

잉글랜드 사람들은 스스로를 "English first, British second(다른 지방은 Scottish, Welsh, Northern Irish)" 라고 소개하며 자신의 지방을 먼저 내세우는 편이다. 그래서 스코틀랜드웨일스 사람을 British라고 부르는 건 괜찮지만 English라고 하면 처음에는 화를 내다가, 멍청한 외국인들과 오래 부대끼다 보면 허탈해하거나 포기하기도 한다.[43] 역사적으로도 연합왕국이 된 기간보다 별개로 지내온 기간이 더 긴 만큼, 영국인들 스스로도 4개의 지방을 먼저 내세우는 경우가 더 많다. 자세한 역사는 영국/역사 참조.

영국과 역사적으로 관계있는 나라들은 비교적 이런 사실을 잘 아는 편이라 4개의 지방을 구분해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예를 들어 미국인은 평소에 England라고 부르는 경우가 UK라고 부르는 경우보다 더 많다. 다만 이들이 England라고 말할 때는 엄연히 잉글랜드를 부르는 것이지 United Kingdom이 아니다. 역사적으로 England라고 불러왔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England로 나누어서 부르는 것으로 영국을 말할 필요가 있는 때는 UK나 Britain이라고 부른다.[44] 영국과 천 년 이상 부딪치며 살아온 프랑스 사람들도 Angleterre라 부르는 경우가 훨씬 많지만, 이들도 전통적으로 잉글랜드로 나누어 불러왔기 때문으로 연합왕국을 부를 때는 Royaume-Uni(UK)나 Grand-Bretagne로 나누어서 부른다. 다시말해 미국인이나 프랑스인은 영국을 England나 Angleterre로 부르는 것이 아니다. 그저 구분해서 부를 뿐이지. 다만 잉글랜드로 부르는 빈도가 연합왕국인 영국으로 부르는 빈도보다 높아 그렇게 보이는 것. 그래서 "글래스고는 잉글랜드에 있다" 는 식으로는 절대 말하지 않는다.

한편 한국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은 사정이 좀 다르다. 영국(英國)이라는 단어부터가 잉글랜드의 음차인 영길리(英吉利)에서 유래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쪽은 영국과의 관계가 비교적 오래되지 않다 보니 역사적으로 잉글랜드와 영국을 명확히 구분해오지 않았다. 잉글랜드로부터 유래한 단어인 '영국', '英国(중국어로 Yīngguó, 일본어로 eikoku, 베트남어로 Anh quốc)', 'イギリス(이기리스)' 등이 오늘날 연합왕국인 영국을 뜻하는 단어가 된 것은, 이들이 원래 잉글랜드를 가리키는 말이었다가 그 뜻이 확대되었다기보단 거의 처음부터 양자가 잘 구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처럼 영국과의 관계가 가까워진 시대에는 아무래도 둘을 분명히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잉글랜드만을 부를 때는 별도로 원어에 가깝게 '잉글랜드', 'イングランド(잉구란도)', '英格兰(Yīnggélán)' 등의 표현을 쓰게 되었다.[45] 지금도 한국에서 영국과 잉글랜드를 단순히 동의어쯤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지만, 국어사전에서도 영국과 잉글랜드를 구분하고 있고, 축구대회 등에서 영국이 아닌 잉글랜드로 출전하는 경우는 분명히 잉글랜드로 표기하기 때문에 구분에 주의해야 한다.[46] 즉 동아시아 언어로는 원어에서 다섯 단어로 표현되는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가 지칭하는 것을 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잉글랜드와 영국을 칼같이 구분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특히 역사적인 맥락에서 영국을 언급할 때가 그런데, 아무래도 잉글랜드가 영국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엘리자베스 1세앤 여왕은 흔히들 영국 여왕이라고 알고 있고 딱히 틀린 말도 아니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이들은 각각 잉글랜드 왕국(927-1707)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1707-1801)의 여왕이다. 만약 영국을 현재(또는 아일랜드 합병 이후)의 연합왕국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면 이들을 영국 여왕이라 부르는 게 오류가 되겠지만, 역사상의 영국은 그 정의가 느슨한 관계로[47] 이 정도를 딱히 오류라 할 수는 없다. 나무위키의 다른 문서만 보더라도 잉글랜드와 프랑스 간의 전쟁인 백년전쟁 문서에서 잉글랜드라는 표현은 r123판 기준으로 단 1차례만 쓰였다. English Civil War를 영국 내전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흔하다.[48] 잉글랜드를 영국이라 부르는 것을 무턱대고 무식하다 하는 태도도 꼭 옳지만은 않은 것이다.

이렇게 잉글랜드와 영국은 혼동이 있는 편인데, 어쨌든 공식적으로는 '잉글랜드≠영국=UK(연합왕국)'이고, 상황에 따라 잉글랜드를 영국으로 부를 때도 있다는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다.

9.2 국기

파일:Attachment/unionjack.png

현재의 국기 유니언 플래그(Union Flag). 유니언 잭(Union Jack)으로도 알려져 있으나 이는 해군만의 이름으로 현재는 보통 유니언 플래그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이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의 국기를 조합한 것이다. 유니언 플래그가 제정되던 때 웨일스가 잉글랜드에 완전히 합병되었던 상태였기에 웨일스의 국기는 포함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웨일스에서는 유니언 플래그에 웨일스의 상징을 집어넣자는 제안을 하기도 한다. 근데 어떻게 드래건을 집어넣냐고 파라과이처럼 뒷면 쓰면 되지

500px-Flag_of_England.svg.png
잉글랜드의 국기는 하얀 바탕에 적십자를 새긴 깃발로 영국에서는 주로 잉글랜드 지역에서 통용되는 편으로 월드컵에서는 잉글랜드 팀이 단독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때에 등장하는 편이다.

2012 런던 올림픽 축구 경기 때는 잉글랜드, 웨일스 2개 지역이 영국 단일팀으로 출전하였기 때문에 이 국기 대신 영국 유니언 잭이 사용되었다. 북아일랜드스코틀랜드는 단일 팀에 합류하지 않았다.결국은 겉으로만 단일 팀이네

500px-Flag_of_Scotland.svg.png
스코틀랜드의 국기는 파란색 바탕에 X자 모양의 백십자 깃발로[49] 영국의 연합국기에서는 중앙에 둘로 끊기게 된 영향 때문에 다소 변형이 되어있으며 여기에 잉글랜드의 적십자가 추가되면서 변형이 되어있었다. 스코틀랜드 지역에서 통용되는 국기로 월드컵 경기 때는 스코틀랜드 팀이 단독으로 사용한다.

500px-Ulster_banner.svg.png
[50]
북아일랜드의 국기는 일단 따로 없다. 위 구 '얼스터 배너'기는 예시로 올렸을 뿐이다. 영국 국기, 즉 유니언잭만 사용한다. 예전에 있었는데 폐지된 국기는 잉글랜드 국기와 비슷하게 꾸며졌고 거기에 문장을 더한 깃발로 지금의 아일랜드 공화국 국기인 삼색기(초록, 하양, 귤색)과 구분하고 잉글랜드와의 연관성을 강조하여 국기도 잉글랜드 모습의 국기로 제정하였다. 공식적으로 폐지는 되었지만 북아일랜드 축구팀은 국제경기에서 사용한다.

500px-Flag_of_Wales_2.svg.png
웨일스의 국기. 웨일스는 스코틀랜드나 북아일랜드와는 달리 잉글랜드에 병합된 역사가 워낙 오래된지라 처음 유니온 잭이 만들어진 17세기에는 아예 독자적인 국기란게 없었다. 지금 보이는 웰시 드래곤 국기는 1959년에 만들어진 것이라 유니온 잭을 만들때 아예 넣을 생각조차 안했던게 맞다. 물론 드래곤이 웨일스의 상징으로 쓰인건 한참전(무려 9세기)부터고, 하얀색과 녹색문양은 처음 웨일스 출신으로 잉글랜드의 국왕이 된 튜더 왕조의 문장에서 가져왔으므로 국기 자체는 웨일스를 상징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다만, 현대에는 웨일스 일부에서 유니언 잭에 자신들의 문장을 추가해야 한다고도 주장하기도 한다. 문제는 넣어주고 싶어도 너무 튀어서 힘들 듯. 배경에 파란색과 초록색을 섞어 넣으면 대충 들어간거네

웨일스에서 통용되는 국기로 월드컵 대회에서는 웨일스 팀 단독으로 사용한다.

9.3 국가

10 지역

영국의 지역

연합왕국 구성원
45px-Flag_of_England.svg.png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비공식기)
북아일랜드
해외 영토
몬트세랫버뮤다지브롤터케이맨 제도
아크로티리, 데켈리아앵귈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차고스 제도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터크스 케이커스 제도포클랜드 제도
핏케언 제도영국령 남극지역
왕실 직할령
맨 섬채널 제도 (건지, 저지)
취소선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영토임을 의미함

각 구성국가들이 광범위한 자치권을 부여받고 있는 실정이며 교육과 법마저 다르다. 수도는 각각 카디프, 에든버러, 벨파스트에 위치. 한국에서 부르는 '영국(英國)'은 '잉글랜드'를 한자로 음차한 영길리(英吉利)에서 따온 것이다. 잉글랜드 이외 지역의 영국 사람들을 잉글랜드 사람이라고 해버리면, 좋은꼴 당하지 못하므로 주의. 영국 지역들은 서로간 지역감정이 매우 안좋기로 유명하다. 대한민국지역감정이 정말로 애교수준으로 보일 정도로 서로를 진짜 싫어한다. 국제대회에 조차 영국 대표팀이 아닌, 각 지방 단위로 나가는 경우도 있으니 말 다했다. 국제축구경기가 있을 때도 따로 출전한다.

스코틀랜드심심하면 영국에서 독립한다고 하는 지역중 하나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 문단들도 참고하자. <7.3. 스포츠>, <8.1. 국호>

10.1 해외 영토

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독립하지 않고 영국의 영토로 남아있는 지역. 섬으로 구성된 곳이 많으며 주로 카리브해에 모여있다. 지역에 따라 정치 체제도 다르고, 파운드 스털링이 아닌 자체 통화를 사용하는 곳도 있다.

10.2 영국 왕실령

영국 국토가 아닌 영국 왕실이 소유한 땅. 역사적으로 복잡한 이력을 가지고 있어서 자치권을 가지고 있고 독립적인 의회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외교, 국방 등은 영국 정부에 의지하고, 대외적으로도 경우에 따라서는 영국 국민으로 인정받기도 하고, 인정 못받기도 하는 등 이래저래 애매한 지역.

어쨌거나 왕실 소유이기 때문에 영국이 왕실을 폐지하고 공화제 국가로 바뀐다 해도 이들 지역은 왕실 영토로 남게 된다.

11 외교 관계

현재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예멘, 이라크등 중동 지역 국가들의 분쟁의 원인을 제국주의 시절에 가져온 나라다. 특히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경우는 제국주의 시대 유대인과 아랍인들을 상대로 일관성 없는 맥마흔 협정, 벨푸어 선언 등 이중적인 약속을 행하며 분쟁의 빌미를 가져왔다.

아이슬란드와 해역 문제로 이른바 대구 전쟁을 벌인 적이 있다. 군사력, 경제력, 외교력 모든 것이 압도적임에도 인구 50만도 안되는 아이슬란드와 대차게 갈등을 벌이는 것도 묘미.

2010년 7월, 19세기에 약탈해 간 105캐럿짜리 코이누르 다이아몬드를 돌려달라는 인도 측의 요청에 대해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이 직접 "이는 있을 수 없는 전례가 될 수 있다. 한번 반환하면 어느날 갑자기 텅 빈 대영박물관이 될 것" 이라며 거절했다. 알게뭐야 어차피 너희것도 아닌데

일본은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메이지 유신 당시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기도 했고, 같은 섬나라 & 입헌군주제라는 공통점의 영향으로 보인다. 게다가 19세기 후반부터 1차 세계대전까지 양국이 동맹을 맺으면서 각별한 사이를 과시하기도 했다.[51] 덧붙이자면 일본의 카레는 영국 해군이 매주 주말마다 먹던 카레를 일본 해군이 영국 해군의 '모든 것'을 베껴오던 중에 곁다리로 따라온 것이다(...) 당시 식습관과 함상 생활방식 까지 고대로 카피를 해오려고 했기에 영국식 카레 파우더에서 유래했다. 또한 의외로 쇠고기 감자 조림도 영국의 스튜와 비슷한 걸 만들다보니 유행하게 되었다는 비사(!)

남극점 정복 경쟁에서 로버트 스콧로알 아문센이 이끄는 노르웨이 원정대에게 패하자 자존심 때문에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1920년대까지 영국의 스콧이 세계최초로 남극점을 정복했다고 교과서에 수록해 교육에 사용한 흑역사가 있다. 아문센 VS 스콧 문서 참고.

11.1 영연방과의 관계

영연방 문서 참고.

11.2 미국과의 관계

현재 영국은 미국의 최우방국이다. 미영관계 참조.

11.3 독일과의 관계

영독관계 문서 참조.

11.4 EU와의 관계

2015년 12월, 최근 영국이 EU 측에 '느슨한 EU'를 요구하며, 이러한 사항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EU를 탈퇴하는 국민투표를 시행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기사) 당연하지만 EU측에서는 영국의 요구사항을 들어줄 수 없는 상황.

그러나 영국의 EU 탈퇴 투표일이 가까이 다가오자 결국 EU는 영국의 요구안을 대다수 들어주기로 했다. 기사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면 브렉시트 문서 참조.

2016년 6월 24일 12시 45분 시점으로 EU를 떠나자는 표가 많다고 한다. .. 참고 링크 #

그리고 2016년 6월 24일 14시 시점으로 결국 영국은 EU를 떠나기로 결정하였다. 참고 링크#

11.5 러시아와의 관계

러시아와는 역사적인 이유와 함께 사이가 안좋은 관계이다. 하지만 교류도 실시되고 있고 영국에도 러시아인들도 거주하고 있다. 유로마이단사태때에는 러시아제재에 대해서 찬성표를 던지기도 하고 리트비넨코 암살 사건이 발생되었을 때 러시아와 갈등이 있을 정도였다. 브렉시트로 영국이 EU에서 탈퇴하자 영국은 러시아와의 관계도 풀릴 예정을 보이고 있다.# 물론 영국은 미국의 최우방국이다보니 러시아와 관계가 풀린다해도 결국엔 미국편이라서 미국과 사이 나쁜 러시아와는 그다지 좋은 관계는 아닐것으로 본다. 특히 러시아는 유럽 국경에 장거리 미사일을 배치하고 군사훈련을 자주 하는등 유럽 전체의 안보를 위협하고 있어 영국도 이런 러시아를 좋게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11.6 한국과의 관계

1885년 거문도 점령 사건이 발생했다.현재도 거문도에 당시에 사고로 사망한, 영국군 묘지가 남아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949년 1월 18일 영국이 대한민국을 합법 정부로 승인했으며 공사급 외교관계로 수교했다. 광복 후 처음으로 외국과 수교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후 1957년 공사급의 외교관계를 대사급으로 격상하며 현재에 이른다.[52] 수교 당시 중화민국, 미국, 프랑스와 함께 주요 우방국이기도 했다!

한국전쟁UN군의 일원으로 참전했다. 미국 다음으로 많은 병사들을 파견했다! 그것도 5만명이 넘는다! 나무위키에서 취소선으로 사람들이 잘 모른다고 했는데, 영국군미군 다음으로 많이 파병되었다는 것을 모르는 한국인보다 아는 한국인이 더 많을 것이다. 애초에 영국은 미국과 함께 한국의 주요 서방 우방으로 취급 받았으며 미국인의 기원이 영국인인지라[53] 당연히 한국인들은 영국을 친근하게 여길 수밖에 없다. 인지도가 낮은 참전국은 태국이나 에티오피아, 필리핀, 콜롬비아제3세계 참전국들이며[54] 이들도 국가보훈처 등의 지속적인 홍보로 인지도가 높아지는 중이다.

2016년 1월 27일 기준으로 보면 영국이 자국에 입국하는 한국인들의 입국심사를 완화했다고한다. 한국인 관광객들이 영국에 관광을 많이 와서 그런 것이라고 한다. 그만큼 많은 인적 물적 교류를 유지하고 있다.

구 영국령인 홍콩은 6.25전쟁 당시 영국의 식민지로서 다른 식민지인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와 함께 물자 지원을 했고, 휴전 후에는 김포국제공항-타이베이를 거쳐 홍콩으로 연결되는 항공로가 생겼다. 동맹국의 식민지인데다 거리도 가까운 홍콩은 한국인들이 이전부터 좋게 봤으며[55] 1997년 반환 후에도 마찬가지로 한국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대한항공런던 히드로 국제공항에 취항하기 전 한영 직항로는 이 홍콩을 거치는 루트였다.

북한과는 2001년 수교했으나 공식적으로는 사실 상 적국이다. 영국군은 한미연합훈련 시 동참하며, 한국의 주요 군사동맹국의 일원으로서 조선인민군과 적대한다. 물론 북한이 영국을 이길 방법은 없다는 것은 다들 잘 알리라 믿는다(...). 참고로 북한이 미국 다음으로 디스하는 서방 국가가 일본과 영국이다. 애초 지들이 그토록 증오를 마다않는 미제 승냥이(...)들의 조상인 만큼 좋게 볼수는 없는데다 현실적으로도 군사 대치관계다. 주영 북한대사관이 있지만, 대북제재가 강화되면서 영국 내 북한 재산을 압류하는 등 여러가지 면에서 관계가 안 좋다. 2016년 8월. 주영 북한대사 차석에 해당되는 태영호[56]가 한국으로 귀순하였다. # 황장엽 이후 북한 최고위층이 망명한 셈이다. 앞으로 영-북 관계가 험난할 것으로 보인다.

2015년 공개된 영국 정부 국방 리포트에 따르면 북한을 미래 위협으로, 한국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중인 아시아 중요 우방국 중 하나로 지정해놨다. 2016년으로 예정된 영국군 아시아-태평양 사령부 창설 이후 안보 및 군사 분야에서 한영 관계에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11.7 중국,일본과의 관계

중국하고는 사이가 안 좋고, 일본 하고는 너무 비슷해서 동맹도 맺을 정도로 섬나라에다가 군주가 있는등 여러모로 닮은 나라다.
일본 관련해서는 일본/외교 참조.

11.8 외교공관 관련 이야깃거리

영국의 경우 외교공관을 설치한 나라로는 164개국으로 벨기에에 이어 유럽 역내 국가로는 당연히 2위로 중국과 비슷한 규모에 해당된다. 런던에 설치되는 상주공관(대사관, 고등판무관 사무소) 중 운영을 멈춘 나라도 존재하며 대표적으로는 시리아이고, 비상주공관은 약 29개국이 존재하게 된다. 겸임국을 보면, 대부분이 거의 브뤼셀파리에 상주공관을 두고 영국을 겸임하는 경우도 있다. 거기에 유럽내 초소형 국가들이 영국에 상주공관을 두고 있지 않는 것도 의외이다. [57]

12 영국 출신 인물

13 창작물에서의 영국

왕실귀족 제도가 아직도 유지되는 대표적인 나라이며, '귀족'이란 말을 들으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제일 먼저 떠올리는 나라. 때문에 소녀들의 로망을 담은 귀족을 주요 소재로 한 순정만화는 영국이 배경으로 나오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캔디캔디, 들장미 소녀 제니, 유리의 성, 들장미 소녀 린 등. 그리고 내일의 나쟈에서도 영국의 비중이 상당히 높다. 또한 흑집사빙페아가씨?백작과 요정도 영국을 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미국과 함께 여러가지 가상 매체에서 자주 쑥대밭이 되곤 하는 나라이기도 하다. 자기들이 만든 것에서 그렇게 나온다면 그러려니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 만든 매체에도 곧잘 그러한 식으로 나오곤 하니 희한한 일(...) 아무래도 유럽을 중심으로 하고 미국을 서쪽, 아시아를 동쪽에 두는 그리니치 중심 방식의 세계 지도에서 정중앙에 떡하니 박혀있어서 그런 듯하다. 그리고 어째서인지 마술, 마법 등이 등장하는 세계관에서 그것의 총본산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흔하다. 대표적인 예가 타입문 세계관의 마술사들[65] 어째서 이렇게 마술의 종주국으로 여겨지는지 유래는 바로 멀린. 자세한 것은 문서 참고.

  • 영화 '레인 오브 파이어' 에서는 드래곤이 깨어난 곳이 다름 아닌 영국이다.
  • '28일 후' 에서는 분노 바이러스에 걸린 인간들이 좀비처럼 변해서 거리를 활보한다.
  • '칠드런 오브 맨'에서는 유일하게 정부가 무너지지 않은 나라처럼 보이지만 정부가 테러와 중상모략을 저지르고 불법 체류자들을 게토에 처박아 넣고 국민들에게 자살용 약을 나눠준다.
  • 게임 헬게이트 런던에서는 런던 지하철헬게이트가 열려 악마들에 의해 영국이 쑥대밭이 된다.
  • 막장제조 게임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에서는 레알 헬게이트. 다른 곳은 다 우측통행인데 이쪽만 좌측통행인 데다가 기름값도 제일 비싸고 과속카메라도 온 사방에 깔려 있고 과속표지판이 미터가 아니라 마일 단위로 되어있어 초보가 갔다가 파산당하기 딱 좋다. 하지만 장거리 운송 시의 목적지의 다수가 영국이라서 나중에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가야하는 곳이기도 하다. 현실을 잘 반영한 듯 하다.
  • 레지스탕스에서는 키메라들에게 점령당해서 흠좀무한 상황이 되었는데(7월인데도 눈이 내린다) 한 스테이지에서 맨체스터 대성당을 무대로 삼았다가 고소당할 뻔하기도 하였다.
  • 헬싱에서는 런던이 불바다가 된다. 군신강습에선 스펠 헬릭스 직격에 초토화당했다. 섬나라는 이래저래 시달리는 듯하다.
  • 기동전사 건담 ZZ에서는 옆동네 아일랜드더블린콜로니가 떨어졌다. 떨어진 건 소형 실린더 콜로니. 이 작전을 주도한게 강화인간이 된 마슈마 세로. 여담으로 플 투가 탑승한 사이코 건담 MK-II와 쥬도의 ZZ건담이 '콜로니로 파괴된 더블린' 을 배경으로 일전을 벌이며 처음 대면한다.
  • 영화 혹은 그래픽 노블 '브이 포 벤데타' 에서는 미래 영국을 총통이 권력을 마음대로 사용하는 독재주의 사회로 그리고 있다.
  • 스킨스에 나오는 영국의 10대들의 기행만 보면 완전 막장 수준.
  • 조지 오웰의 소설 '1984' 는 '영국 사회당(줄여서 국내표기는 보통 영사)' 의 빅 브라더에 의해 일거수 일투족이 감시받는 사회주의 국가로 묘사된다. '1984' 는 3-40년대 독일, 혹은 스탈린 통치 하의 소련을 겨냥하고 쓰인 듯하다. 좀 대단한 것이 이 소설에서 묘사되는 상황은 국내의 국정원이라든가 미국의 NSA 등 국가 기관에서 '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음모론과 동일하다. 고로 보통 음모론의 우두머리는 '빅 브라더' 라고 불리기 일쑤다.
  • 2012에서는 전 세계의 혼란을 앞둔 상황에서 런던 올림픽이 취소되었다고 작중에 언급된다.
  • 영화 둠스데이 - 지구 최후의 날에서는 스코틀랜드 지역에서 살인적인 '리퍼 바이러스' 가 발병, 국제사회의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스코틀랜드를 차단(말 그대로 진짜 거대 장벽으로 차단했다)해서 좀 나아지나 싶었으나 결국 몇십 년 후 잉글랜드 지방에도 바이러스가 발병해서 사람들이 죽어나간다.
  • 판타지 소설 해리 포터 시리즈의 주요 무대가 되는 국가. 영국 마법사들의 정부인 마법부가 어둠의 마법사 볼드모트의 손에 넘어가기도 했다.
  • BBC의 SF드라마 닥터후에서는 외계인이 시도 때도 없이 출몰하는 국가가 되었다. 그리고 그 때마다 파란색 전화박스가 나타나더니 거기서 웬 남자가 문을 열고 나와서는 문제를 해결하고 바람처럼 사라진다. 그리고 한마디 하지 Allons-y!
  • 게임 킬링 플로어의 배경. 게임에서의 묘사를 볼 때 망했다.
  • 레벨 파이브의 게임인 레이튼 교수 시리즈의 주요 무대가 되는 국가. 레이튼 교수와 최후의 시간여행에서는 런던이 거대 병기에 의해 쑥대밭이 된다.
  • 만화 빈란드 사가의 중반 무대로 데인계 바이킹들 정복지다. 같은 섬나라 일본과 달리 영국은 타국의 정복을 많이 당했는데 5권에서 붙잡힌 색슨계 정찰병이 지옥에 갈 야만족이라 욕하자 아셀라드가 이섬엔 원래 켈트족이 살았고 그들을 정복한 로마가 브리타니아를 만들었다. 근데 너희 조상인 앵글로 색슨족은 아무것도 주지않고 학살과 파괴만 했다. '그러니 니들 조상이 한 일 우리가 다시 하는 것임' 이라 말했다(사실 후대에 있을 노르망디계 바이킹의 정복이 남았다.).
  • 그레이트 올드 원들 셋이 영국 지역에 봉인되어 있다. 바이티스(Byatis 글로터셔의 고대유적), 이호트(Eihort 영국 지하 미궁), 글라키(Glaaki 영국 브리체스터 근방의 계곡 호수 밑). 르뤼에가 떠오르면 제일 먼저 멸망하겠다
  • 스트롱홀드에서 무대이다. 왕은 야만인에 사로잡혔고 네명의 영주가 땅을 나눠 먹고 있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 캠페인에서 적대세력으로 자주 등장한다. 2에서 스코틀랜드 독립전쟁과 백년전쟁, 3에서 주인공 세력이 식민지를 건설하는 중에 영국군과 충돌하며, 확장팩인 대전사에서 미국 독립전쟁 아시아 왕조에서 세포이 항쟁을 다루고 있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에서는 주인공이 SAS부대원인지라 시작할때 훈련소가 영국이다.
  •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ZombiU에서는 좀비로 인해 나라 자체가 지옥도로 변해버린다.
  • 게임 사이퍼즈의 주 배경이 바로 영국.
  • 미니언즈에선 작중 사건의 대부분이 런던에서 일어난다.

13.1 영국 출신 캐릭터

※해당국 작품은 제외합니다

이외 SAS 대원들

14 관련 문서

  1.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데, "대브리튼"의 대(大) 자는 동양의 대청제국이나 대일본제국 등에서 사용하는 대 자와 용법이 다르다. 말인 즉슨 자기네 위대함을 자화자찬하기 위하여 갖다붙인 꾸밈말이 아니라, 남이 붙여준 이름이라는 것. 그레이트브리튼은 잉글랜드·웨일즈·스코틀랜드 이 세 나라의 본토가 자리잡은 209,331 km2짜리 섬의 이름으로, 그 자체로서 고유명사다. 저 옛날 그리스 로마 시절에 지리학자들이 "브리튼 족의 땅덩이들 중 큰 것"이라는 뜻으로 붙여준 "메갈리스 브레타니아스"라든가 "브리타니아 마요르"라든가 하는 이름이 전해내려오다가, 최종적으로 오늘날의 "그레이트브리튼"으로 정착된 것. 하여간 "큰 브리튼"이 있는 만큼 이에 대응하는 "작은 브리튼"도 당연히 있는데, 오늘날의 에이레 섬(mikris Brettanias; 영어로 Little Britain), 또는 경우에 따라 브르타뉴 반도(Britannia minor; 영어로 Lesser Britain)가 바로 "소(小)브리튼"에 해당한다.
  2. 1707년 5월 1일 연합법, 1801년 1월 1일 아일랜드 왕국 합병, 1922년 12월 5일 아일랜드 자유국 독립을 통해 현재의 영국이 되었다.
  3. 잉글랜드는 브리튼 섬의 남부 저지대로 면적은 섬 전체의 약 56.7%인 130,410km2이다. 스코틀랜드는 북부 고지대로 78,789km2이며, 서부 고지대인 웨일스는 20,758km2, 북아일랜드는 14,160km2이다.
  4. 2005년에 웨일스에서는 웨일스어, 스코틀랜드에서는 스코틀랜드 게일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5. 이외에도 스코트어, 아일랜드어, 얼스터 스코트어, 콘월어 등이 공인된 지역언어로 쓰이고 있다.
  6. 각 구성 국가마다 자체적인 행정 구역 체제가 나뉘는데 잉글랜드는 9개의 지역(region)으로 나뉘어 있다. 각 지역은 다시 48개의 주(county)로 나뉜다. 스코틀랜드는 32개 주(council area)로 나뉜다. 웨일스는 22개 주(unitary authority)로 나뉜다. 북아일랜드는 26개 구(district)로 나뉜다. 그 밖에 해외 영토(overseas territory)들과 왕실령(crown dependency)들이 존재하나, 이 지역들은 형식적으로는 영국 영토로 간주되지 않는다.
  7. 등록돼 있긴 한데 현재는 쓰지 않는다. 사실 원칙적으로 국가 최상위 도메인은 ISO 국가 코드에 따라야 하기 때문에, ISO 코드대로라면 .gb를 쓰는 게 맞지만 GB(Great Britain)은 영국의 전체가 아닌 일부이므로(물론 영토와 인구 대부분을 차지하긴 하지만) UK가 선호돼 .uk를 등록해 쓰고 있다.
  8. 최근 최상위 도메인 등록이 쉬워져 영국 내 일부 지역에서는 자체적인 도메인들을 추가로 등록해서 쓰기도 하다. 런던의 .london, 스코틀랜드의 .scot 등이 그 예.
  9. 영국에서는 '협정 세계시(Universal Time Coordinated, UTC)'라고 부르지 않고, 자신들의 천문대가 위치한 그리니치의 이름을 따서 '그리니치 평균시(Greenwich Mean Time, GMT)'라고 부른다. 어쩌면 이런 게 아직도 자신들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우월감의 발로일 수도... 그런데 영국은 서머타임을 적용하기 때문에 그리니지에서 그리니지 시간을 쓰지 않는 상황이 흔하다.
  10. 저지 방언의 표기이다. 건지 방언의 표기는 추가바람. '연합왕국'의 건지 방언 표기는 Rouoyanme Uni이다(저지 방언에서는 마지막 부분이 Unni라는 차이가 있음). 참고로 노르망디 본토(프랑스 영토) 방언으로 '연합왕국'은 Reyoume-Unin.
  11. 아일랜드 섬의 전통적인 네 지방 중 북동부에 위치한 지방. 현재도 영국 영토로 남아 있는 북아일랜드는 전부 얼스터 지방에 속한다.
  12. 프랑스와 마주보고 있다고 표현하기에는 아쉬운 것이, 겨우 33km를 두고 프랑스와 마주하고 있다. 해저를 통해 지하터널이 뚫려 있을 정도이니.
  13. 사실 수도나 최대 도시의 방언이 표준어의 기반이 되지 않은 나라는 이외에도 상당히 많다. 중국베이징보다 하얼빈중국어가 더 표준중국어에 가깝고 독일베를린이나 프랑크푸르트가 아니라 하노버 일대 니더작센 독일어가 표준에 가깝고, 이탈리아토스카나 주 방언이 표준어의 기초이고, 미국일리노이를 비롯한 중서부를 표준어 기준으로 한다.
  14. 즉 왕이 영국 북부 출신이면 북부 방언이 표준어가 되었다.
  15. 보통 Oxford English라고 하는 것. 엘리자베스 2세가 이 쪽 방언을 쓰기 때문에 Queen's English 라고도 불린다.
  16. 다만 해당 영상의 Dan은 비속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대화 중 아래에서 설명할 화장실 이야기도 나온다.
  17.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자메이카, 바베이도스, 바하마, 그레나다,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투발루, 세인트루시아,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벨리즈, 앤티가바부다, 세인트키츠네비스.
  18. The survey concludes with an attempt to classify the Commonwealth. It is no longer a federation, nor a military alliance, nor a personal union. 출처 : The Commonwealth in the World
  19. 실제로 2012년 9월 10일 해리 왕자가 주둔하던 바스티온 기지가 공격당해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자 결국 본인과 부대원들의 안전 문제 등으로 영국으로 귀환하게 되었다.
  20. 우리나라도 만만치 않은 숫자인 300만대가 설치되어있다. 이는 면적당 개수로 따지면 영국보다도 많은 수다.
  21. 여담으로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의 대표곡인 'Eye of the Sky'는 런던의 수 많은 CCTV에서 영감을 얻어 자었다고 한다.
  22. 영국 극작가 콜린 윌슨의 저서인 잔혹 : 피와 광기의 세계사 에 소개된 내용을 보면 여성은 국가와 여왕을 생각하며 천장만 보고 누워 있는 것을 윤리적인 체위로 권장했다고.
  23. 미국 대통령 선거, 정치 관련 일까지 베팅하는 걸 보면 말 다 했다.
  24. 케이트 왕세손빈의 어머니가 왕궁에 열린 파티에 참석해서 "화장실(Toilet)이 어디에요?" 라고 물어봤다가 영국 상류층 사교계가 뒤집어진 일이 있었다. 화장실의 경우 상류층은 루(loo) 혹은 래버트리(lavatory)라 하고, 유산층은 워싱 룸(Washing Room), 중산층은 토이러트(Toilet)라 한다. 그런데 이런 중산층에서 쓰이는 단어를 상류층 중에서도 상류층인 귀족 출신들이 즐비한 궁정에서 써버렸으니... '역시 천한 출신을 드러냈다'며 까였다고 한다. 단 중요한 점은 평범한 사람들이 쓰는 단어는 그냥 Toilet가 맞다. 위의 사투리 설명 동영상에서도 Oxford english를 쓰는 Ted는 loo라고 하긴 했지만, 다른 두 사람은 Toilet을 쓰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loo 같은 단어를 써봤자 우스꽝스러울 뿐이며, 저 경우도 딱히 천박하거나 무식한 단어를 썼다기보다 격식을 차려야 할 자리에서 일상용어를 그냥 쓴 것이 상류층들에게 트집 잡힌 정도라고 봐야 한다. 참고로 Restroom은 미국식 표현이라 영국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단, 모 영국 영화에서 일상 장면에서 'loo'라는 단어를 아무렇지도 않게 쓴 것을 보아, 케바케인듯 하다.
  25. 선호하는 스포츠 역시 계급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유산층의 경우 비싼 말을 타고 다니며 하는 폴로라던가 요트 등을 즐기며, 중류층은 주로 테니스나 럭비를 한다. 하류층은 역시 축구.
  26. 그러나 축구의 경우는 1990년대 프리미어쉽 출범 이후 최상위 리그 구단들의 티켓값이 워킹클라스들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올라감에 따라 중심계급이 중산층으로 옮겨갔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실제로 빅클럽들의 최상위 멤버쉽 티어는 상류층들의 사교장이기도 하고.
  27. 실례로 노동자 계급 출신의 대학 진학은 1960년대까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으며, 영국의 명물인 이층버스도 1990년대까지 1층은 중류층, 흡연이 허용되는 2층은 하류층혹은 뉴비 관광객용이라는 인식이 암묵적으로 자리했다.
  28. [4] 참고함
  29. [5] 28 페이지 참조. 영국에 거주하는 억만장자 중 부를 상속받는 부자는 전체의 6.4%에 불과하다.
  30. 당대의 거장 피아니스트이기도 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모국을 증오에 가까울 수준으로 혐오했다고 하는데 이유는 바쁘다는 이유로 그의 작품들을 제대로 평가해주지 않은 스승 때문이었다고 한다
  31. 몇몇 예를 들어보면 폴란드는 쇼팽 이후로도 준 메이저 혹은 메이저급 음악가들을 많이 산출했고 이탈리아는 베르디와 같은 거장을 제쳐두더라도 프랑스 국립대학에서 꾸준히 로마 음악 대상을 선정해 대놓고 밀어 줄 정도였으니 말이 필요없으며, 러시아는 두말 하면 입 아플 차이코프스키와 러시아 5인조(무소르그스키, 보로딘, 림스키-코르사코프, 발라키레프, 큐이), 루빈스타인 형제 같은 거물들을 연달아 배출했다.
  32. Church of Scotland도 성공회 소속으로 알기 쉬우나 장로교 소속이다. 스코틀랜드의 성공회는 잉글랜드 교회와 분리된 Scottish Episcopal Church이다. 장로교도 통일되지 않아서 Church of Scotland에 속하지 않는 장로교 교단도 있고 그 외에도 많은 개신교 교단이 존재한다.
  33. 스코틀랜드 태생이나 잉글랜드 출신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34. 이렇게 죽어버린 교회들을 redundant church라고 부르며, Friends of Friendless Churches라는 비영리 단체에서 교회건물의 무분별한 용도 변경과 철거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35. 주로 티베트식이나 일본식, 물론 요즘은 한국식도 꽤 알려졌다.
  36. [6]
  37. 파리 테러 이후 영국 성공회 캔터베리 대주교인 저스틴 웰비는 이슬람 극단주의를 디스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38. 원래 올림픽 축구가 아마추어 대결일 때는 명목상 영국 단일 팀이고 사실상 잉글랜드 아마추어 대표팀이 참가했다. 그러다가 잉글랜드 축구협회가 아마추어와 프로의 구분을 없애자 잉글랜드 아마추어 대표팀이 사실상 구성될 수 없어서 줄곧 올림픽은 불참했다. 그리고 나서 신분제한이 아닌 나이제한으로 바뀌게 되자 유럽 21세 이하 선수권 대회의 상위 팀이 나가게 되었는데 영국의 각 지역은 이 대회에 참가하되 본선 진출권을 얻으면 본선 경기를 포기하여 다음 순위 팀이 대신 나가는 구도로 바뀌었다. 그동안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본선 진출권을 얻었다가 포기한 사례가 있다. 이 대회는 원칙적으로 순위결정전을 하지 않는데 2008 베이징 올림픽 예선을 겸한 2007년 대회에서는 5-6위전을 치렀다. 그것은 유럽 지역에 배정된 올림픽 본선 팀이 4팀인데 잉글랜드가 4강에 들었고 잉글랜드가 본선 진출을 포기함에 따라 5위 팀을 내보내야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2012년 대회에서는 모처럼 단일 팀으로 참가했다.
  39. 이런 형태의 영어 국호는 America를 생략한 채 United States(합중국)를 사용하는 미국과 영국뿐이다. 만약 세계 공용어가 영어가 아니었다면 이런 건 자기들 국내에서나 통했을 수도 있다. 그런데 다른 언어에서도 이것의 번역어가 통용된다. 불어 Royaum-Uni, Etats-Unis 등
  40. 단, 한·영간 조약에서도 1966년에 단 한 번 '영연합왕국'이라는 명칭이 사용된 적은 있다.
  41. 다음은 각국 외교부의 영국 국호 표기가 나오는 페이지 링크이다. 중국 외교부 대만 외교부 일본 외무성 베트남 외교부 (북한 쪽은 링크가 불가한 관계로 생략한다.)
  42. 일본에서는 현대에 와서 영국 대신 이기리스를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대영제국 또한 이기리스제국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다만, 대영제국이란 표기가 이미 익숙해졌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는 편이다.
  43. 참고로 북아일랜드인의 경우는 브리튼 섬사람은 아니지만 영국시민권자이므로 분리통일주의자가 아니라면 그냥 British라고 불러도 된다. 브리튼 섬과 관련없는 다른 영국령도 마찬가지. 그 북아일랜드인이 분리통일 성향이라면 이런 복잡한 국적 관계 다 때려 치우고 현행 행정적 실상은 무시한 다음 '아일랜드인'으로 대접해 주는게 예의다. 물론 여기서 '분리 통일'이란 영국에서 분리해 아일랜드 공화국과 통일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44. 다만 미국인 문서에서 보듯이 상식 없는 사람들도 많아서 그냥 영국을 England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영국인은 모두 런던에 사는 줄 아는 미국인도 많은데 뭐. 하지만 학교나 언론 등 공식적인 자리에서 England와 UK를 헷갈리면 무식하다는 소리를 들을 수밖에 없다.
  45. 베트남어는 예외로 지금도 구분이 모호하다. 굳이 나누자면 대체로 영국은 Anh quốc(英國), 잉글랜드는 그냥 Anh(英)으로 부르는데, 이게 꼭 그런 것만도 아니라 Anh이 어떨 때는 영국을, 어떨 때는 그레이트브리튼을 의미할 때도 있어서 따로 관심있게 공부하지 않는 한 그게 그건 줄 아는 경우가 보통이다.
  46. 그런데 유명 유튜버 영국남자는 자신을 "영국 남자=English man"이라고 표현한다. 어?
  47. 물론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이후를 영국 왕이라 부를 수도 있다. 현재 나무위키의 역대 영국 국왕들 각 문서 상단 표가 이렇게 되어 있다.
  48. 위키백과에서는 잉글랜드 내전이 표제어이다.
  49. '성 안드레의 십자가'라고 불린다. 예수의 12사도였던 안드레가 순교할때 X자형 십자가형을 당해 순교했다는 전승으로 인해 그렇게 칭하고 있는 것.
  50. 사진은 1972년까지 사용된 구 정부의 '얼스트 배너'기. 아래에서도 설명하듯이 공식적 폐지가 되긴 했지만 북아일랜드 축구 대표팀 등에서 지금도 많이 쓰인다.
  51.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게, 대한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버린 원인도 바로 이 영일동맹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52. 이전 버전에서는 휴전 후에 수교했다고 나와 있으나 이는 잘못이다.
  53. 미국인 자체가 영국계여야 하는데 이민자들 때문에 골치를 앓고있다.앵글로 색슨 참고.
  54. 그리스터키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편이다. 하지만 대부분 아직도 태국이나 필리핀이 참전국인건 모른다!
  55. 그럴만한 게 한국의 주변국들은 다 적국 내진 과거 원한이 있는 관계였다. 북한소련, 중화인민공화국은 엄연한 대치 관계로 중소 양국은 1990년이 되야 수교했다. 소련은 초강대국이어서 어찌 보면 북한보다 더 위협적인 큰 적인데, 조소우호조약에 의거 북한의 남침 시 얼마든지 소련군 개입이 가능했고, 연해주를 경계로 붙어있기까지 해 대규모 부대가 남침할 수도 있었고 다량의 잠수함을 운용하는 소련 해군도 당시 연안해군 수준이던 우리 대한민국 해군에겐 버거웠다. 일본은 일단은 미국을 사이에 두고 있었으나 옛 식민통치국으로 한국을 쥐어 짜고 2차대전에 억지로 끌고 가는가 하면 분단의 원흉이기도 해서 감정이 좋을 리 없었다. 1960년대까진 북한과 함께 적국으로 분류했을 정도. 그래서 그나마 주변에서 가장 우호적인 곳은 중화민국홍콩 둘 뿐이었다.
  56. 당초 알려졌던 태용호로 보도했으나, 실명 두고 한차례 혼선이 있었다.
  57. 영국에 설치된 유럽 소형 면적 국가 소재 대사관 및 고등판무관 사무소는 모나코바티칸, 몰타 등 단 3개국 뿐이며, 나머지는 상주공관을 아예 설치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58. 안도라는 본국 직할이다.
  59. 키리바시도 역시 본국 직할이다.
  60. 산마리노도 물론 본국 직할이다.
  61. 수리남은 헤이그 주재 자국 대사가 영국을 겸임하고 있다.
  62. 시리아는 주영 시리아 대사관을 운영할 수 없어 테헤란 주재 자국 대사를 통해 겸임하고 있지만 상황이 더 좋지 않을 경우 로마, 아테네 등에서 겸임국을 조정시킬 가능성이 클 수도 있다.
  63. 투발루는 투발루 하우스를 이용해서 대사관 역할을 대신하며, 나머지 3개국은 명예 영사관만 운영된다.
  64. 소말리아는 대사가 없어 본국에서 파견하고 있다.
  65. 공의 경계아오자키 토우코는 온 런던을 뒤져서 초레어급 위저보드를 지르고 사원인 코쿠토 미키야의 월급을 자랑스럽게 체불해서 미키야의 어이를 날려버렸다. 아니 아예 런던탑이 온세계 마술/마법의 정점으로 군림하고 있다.
  66. 정확히는 영국의 혹스턴 출신의 범죄자,출신 지역의 이름을 따서 혹스턴이라고 이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