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당/캐릭터/광기형

< 악당‎ | 캐릭터

1 개요

악당/캐릭터의 유형. 원래부터 미쳐서 별다른 이유 없이 사람들을 괴롭히거나 모종의 이유로 미치는 경우로 나뉜다. 즉, 그저 개인의 '재미'를 이유로 악행을 저지르는 악당 유형이다. 비논리적인 악당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가장 쉽기 때문에 상당히 많이 쓰이는 성격이다. 이 속성의 캐릭터들은 대부분 성격파탄자(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1], 사디즘에 해당된다. 현실에서도 문제를 일으키는 자들은 대부분 성격에 결함이 있는 자들이어서 어찌 보면 현실에 충실한 설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속성의 캐릭터 중 개과천선하면 파탄되었던 성격이 순해지고 정신병반사회성 성격장애(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가 자연스럽게 완치된다.

2 목록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 작품명 - 캐릭터 : 가나다순으로 작성.
  • 개과천선하여 선역이 되어서 악당을 그만 둔 경우는 @ 표시.
  • 이 속성의 주인공은 ♤ 표시, 악인형 주인공 목록도 참고.

3 관련 목록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악당/캐릭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둘 다 섞인 경우도 있다.
  2. 아사쿠라는 더 할 나위도 없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은 시바우라와 토죠 역시 인격에 결함이 있는 사람이 개인의 안위나 잘못된 사상을 추구하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는 사례다.
  3. 개과천선하여 선역으로 돌아와서 @로 표시되어 있으나 갱생한 악역들에 비해 임팩트가 큰 악행들은 두고두고 회자된다.
  4. 옆에 둘에 비하면 유순한 편이다.
  5. 좀 더 증오형에 가깝다.
  6. 해석에 따라서.
  7. 정확히는 막장 양할아버지.
  8. 36화에서 제대로 포텐이 터진다. 그래도 위의 둘에 비하면 나은 편이다.
  9. 참고로 얘 초등학생이다.
  10. 일단 자기네들은 하치야 아이가 무서워서 이런다지만 정작 하는 짓을 보면 그냥 변명처럼 들린다...
  11. 근데 2화 만에 죽어버려서 상관 없을 듯.
  12. 이 쪽 역시 위선자. 그리고 아버지도 못됐다.
  13. 스너프를 단속해야 될 상황에 어떤 4명이 찍은 스너프를 장려했다. 사실 이 쪽은 세계관 자체가 미쳤다고 봐야 된다. 뇌물을 다른 것도 아니고 마유코팬티로 받았으니 말 다했다(...)
  14. 어떤 육상 스플린터 선수를 위의 4명이 찍은 스너프를 그대로 따라하면서 고문했다.
  15. 초중반 한정.
  16. 셋 다 마지막에 반성해서 @가 붙었지만 이들이 저지른 악행은 두고두고 회자된다.
  17. 기본적으로 탐욕형 악당이지만, 돈과 전혀 관련되지 않은 일에도 남들을 마구 괴롭히는 짓을 보면 알 수 있다.
  18. 주연이기는 하지만 전투 시에 하는 짓들은 영락없는 악당이다(...).
  19. 이소영한테 한 짓거리를 보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0. 이 쪽은 동생인 주제에 자기 언니를 괴롭힌다!
  21. 뚱보 부우 한정으로 @에 해당.
  22. 지능은 파워드라몬, 피에몬, 바보는 피노키몬 한정.
  23. 이 쪽은 동물을 괴롭힌다.
  24. 정확히는 지식욕.
  25. 8, 9권을 보면 색욕형에도 겸비될 수 있다. 이런 면에서는 밑의 엠브리오와 비슷하다?
  26. 다만, 데미안은 상당히 옹호의 여지가 있다.
  27. 1기까지만 한정.
  28. 따당 따당 땅!ㅋㅋ 이걸로 요약 끝. 다만 이 쪽은 주인공들을 도우는 편도 많다.
  29. 단, 이 쪽은 광기형 악당이지만 딸들 만큼은 소중히 여기는 편.
  30. 지능, 막장 부모는 아버지 한정.
  31. 마지막에 반성해서 @가 붙었지만 그가 저지른 악행은 두고두고 회자된다.
  32. 엄밀하게 말하면 여기 나오는 악역 전부 다 포함 된다. 어떤 악역이든 그렇게 표현될 수 있기 때문. 애초부터 배트맨 이중성이 광기와 관련이 깊은 데다, 팀버튼 배트맨 이후 정신병자 축제를 그려놓은 배트맨 쪽이 인기가 꽤 많아 좋은 평가를 듣는 배트맨 작품은 대개 광기 어린 빌런들과 연관이 깊어지기 때문. 다만 표현 매체에 따라서 조커도 지능형 빌런 정도로 약화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 특히 아동 방향의 매체에서는 잔인함과 광기를 심도 있게 표현할 수 없는 경우다.
  33. 이 분야의 본좌급 인물.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4. 보통 지능형 빌런 정도로 순화되지만 자신의 우월함을 만족시키기 위해 민간인 살인을 일삼는 표현이 근래 들어서 많아졌다.
  35. 이 쪽은 실제로 사이코패스 판정을 받아서 사이코패스 문서에도 등재되어 있다.
  36. 이 쪽은 임시로, 아세치 킨타로, 이가라시 이치로와 비슷한 케이스.
  37. 쿠레시마 미츠자네, 엄일남과 약간 비슷한 케이스. 유우야와 마찬가지로 복수형에도 포함.
  38.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사람들을 죽이고 그것을 즐기기까지하는 광기 가득한 악당.
  39. 2 한정.
  40. 지능은 높은데 약을 한 사발 들이킨 듯한 웃음 소리에 묻히는 감이 있기는 하다. 애초에 공식적인 성격 설정이 '의외로 교활하고 냉철함'이니(…)
  41. 그냥 지루하다는 이유로 칸도 쟝리오의 부모를 살해했다.
  42. 아수라 한정.
  43. 아수라의 부모 한정.
  44. 배트맨 시리즈에 조커가 있다면, 스파이더맨 시리즈에는 노먼 오스본이 있다!
  45. 사이코패스답게 그 방식이 비인간적이어서 그렇지, 브레티젠의 피해자들을 죽임으로서 브레티젠을 투약하는 자들이 늘어나지 않도록 막은 점에서는 평화형에도 속한다. 그러나 누구처럼 선한 의도가 세계정복으로 탈바꿈하는 바람에 침략자형 악당캐가 되었다.
  46. 얼불노 판 이로준. 아니, 이로준보다도 더 심하고 소름이 끼치는 게, 이로준이 자라온 곳보다 넘사벽으로 더 좋은 곳에서 자라나고도 이 모양 이 꼴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국가 원수다. 로버트와 세르세이의 잘못된 가정 교육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고 하는데, 절대로 아니다. 이미 어린 시절부터 동물들을 죽이는 등의 싹수가 보였기 때문.
  47. 개과천선하여 @로 표시되어 있으나 갱생한 악역들에 비해 임팩트가 큰 악행들은 두고두고 회자된다.
  48. 시대를 앞선 극성 얀데레. 그 이유는 문서 참고.
  49. 기본적으로 색욕형 악당인 동생 과는 달리, 이 쪽은 살인 및 동물학대 같은 질 나쁜 범죄까지 저지른다.
  50. 이영싫 내의 악역 중에서 가장 광기가 돋보이는게 이 셋.
  51. 지능형도 겸한다.
  52. 쥬얼펫 시리즈를 통틀어 유례가 없는 소시오패스쥬얼펫 시리즈의 다른 악역들도 광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디안의 광기가 정점을 찍었다. 마지막에 반성하고 다음 작들부터 선역으로 나와서 @가 붙었지만 그가 무인편에서 저지른 악행은 두고두고 회자된다.
  53. 아이돌 애니메이션을 통틀어 유례가 없는 소시오패스프리티 리듬 시리즈 외 타 작품의 악역들도 광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세치 킨타로의 광기가 정점을 찍었다. 마지막에 반성해서 @가 붙었지만 그가 저지른 악행은 두고두고 회자된다.
  54. 노리즈키 진의 광기가 아세치 킨타로의 뒤를 이어 2번째로 정점을 찍었다.
  55. 그건 사실 칸나비스 때문에 악에 물들어버리면서 광기까지 생겨버린 것이다. 시즌 1 마지막에 개과천선해서 광기는 사라졌다.
  56. 임시로, 오쿠이 시오리, 아세치 킨타로와 유사한 케이스.
  57. 주인공이자 작품 속 만악의 근원 중 하나이다.
  58. 자기 나라 여왕을 실각시키려다가 반지를 끼고 미쳐버렸다.
  59. 정확히는 선조.
  60. 단, 이오리의 경우에는 위의 셋과는 달리 정의로운 활약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