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페이크 최종 보스&진 최종 보스/창작물, 캐릭터/목록
이 문서에는 집단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틀이 달린 문서에는 독자연구를 담을 수 있습니다. 모든 의견들은 다른 이용자의 정당한 반론에 의해 수정될 수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하기 전에 문서 내 검색을 통해 중복된 내용인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집단연구 문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틀이 달린 문서에는 독자연구를 담을 수 있습니다. 모든 의견들은 다른 이용자의 정당한 반론에 의해 수정될 수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하기 전에 문서 내 검색을 통해 중복된 내용인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집단연구 문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개요
게임에 등장하는 페이크 최종 보스&진 최종 보스를 기록. 스포일러인 내용이 많으므로 주의하며 스토리상 최종보스는 기울임과 굵은 글씨로 표시 할 것.
2 기준
게임에서 처음 선보인 것은 패미콤판 위저드리이다. 격투 게임에서는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출현하는 가짜 최종 보스'와 '특정 조건을 만족시켰을 경우 출현하는 진정한 최종 보스'를 뜻하기도 한다. 그 효시는 스트리트 파이터 2의 베가[1]이며, 실질적으로는 용호의 권 2의 기스 하워드라고 할 수 있다.
이후 각종 격투 게임에서는 심심찮게 진 최종 보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것은 격투 게임뿐만 아니라 다른 게임상에서도 위 사항과 같은데 게임에서 등장하는 진 최종 보스는 다음과 같다.
- 스토리 진행으로만 등장하는 페이크 최종 보스&진 최종 보스
- 만화나 소설,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와 같은 일반 영상물과 마찬가지로 스토리 진행으로만 등장하는 유형으로, 예를 들어서 심슨의 스미더스 - 번즈, 악마성 순수의 비가의 발터 - 사신,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사가트 - 베가, 풍운묵시록의 사자왕 - 眞 사자왕, 테일즈 오브 그레이세스의 리챠드 - 람다가 있다.
- 일정한 조건을 만족해야만 대면 할 수 있는 진 최종 보스의 유형
- 히든 보스와 비슷하지만 페이크 최종 보스가 존재할 경우 배드 엔딩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으며 배드엔딩이 없는 페이크 최종 보스라도 결말이 어느 정도 찝찝한 경우가 많다. 이 케이스일 경우 히든 보스와 종종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 분기점을 잘못 선택시에 등장하는 페이크 최종 보스
- 이 패턴은 대개 RPG나 어드벤처, 일부 대전액션게임에서 자주 사용한다. 대전액션게임일 경우 노미스 클리어나 파이팅 레벨이 S랭크가 평균유무에 따라 분기점이 달라진다.(예시 : 아랑전설 3)
- 대부분의 대전액션게임장르에서 사용하는 패턴
- 도돈파치를 시작으로 케이브사의 슈팅게임들이 자주 사용하는 패턴
- 난이도 설정에 따라 최종 보스가 다른 케이스
일본 RPG 계열에서 가장 유명한 건 역시 뭐니뭐니해도 드래곤 퀘스트 3의 바라모스 - 조마. 특히 이 당시에는 제작사의 언론 통제까지 있었기 때문에 플레이어들의 충격이 몇 배나 컸다고 한다.
상위 문서에서 든 두 예시들 중 전자인 마왕 - 대마왕이 바로 이 케이스를 예시로 든 것.
출현 조건이 있는 최종 보스일 경우 밑에 출현 조건을 서술해주시길 바랍니다.
3 목록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페이크 최종 보스) → (진 최종 보스)
3.1 1 ~ 0
3.2 ㄱ ~ㄴ
- 건 프론티어의 와일드리자드 군단의 거대전차 → 황금묘비
- 황금묘비속에서 외관상 주인공 기체와 똑같은 전투기가 등장하며 게임 진행중에는 6발로 제한되어 있어 한발이라도 진 최종 보스를 맞추어야 한다. 단 진 최종 보스 중심으로 배리어가 형성되는데 진행중에는 컨티뉴가 없으며 플레이어가 당할 시 배드 엔딩으로 끝난다.
- 건그레이브 O.D의 돈 크레아레 코르시오네 → 가리노 크레아레 코르시오네
- 건스타 히어로즈의 그레이 장군 → 골든 실버
- 검은방 4의 강성중 → 허강민
- 곡괭이 시리즈
- 레전드 오브 곡괭이의 메피스토펠레스 → The King of Gockgang-E(곡괭이 시리즈)
- 2회차 이상에서 맵 구석구석에 숨겨진 곡괭이 7개를 모은 뒤 메피스토펠레스 처치.
- 역대 그라디우스 시리즈의 최종 보스는 적 함선의 메인컴퓨터인데 최종 보스치고는 매우 허약하다.[2] 아케이드판 그라디우스 2부터 최종 스테이지에서는 부보스가 나타나는데 플레이어가 파괴할 수 없어 한마디로 대책이 없으며 즉 본래의 최종 보스보다 더 강해서 사실상의 최종 보스로 취급한다.
- 사라만다의 제로스 포스 → 메탈 슬레이브
- 그라디우스 II의 크랩 → 고퍼
- 고퍼의 야망 에피소드 II의 퀸즈 라이치 → 고퍼
- 그라디우스 III의 새도우 기어(개량형 크랩) → 박테리안
- 그라디우스 IV의 크랩 mk2 → 고퍼
- 사라만다 2의 켈베로스 → 둠
- 파로디우스 시리즈의 여성무희[3] → 최종 보스
- 오토메디우스의 고퍼자메&오딘 코어 → 최종 보스
- 그라디우스 제네레이션의 회전벽 → 에레오스 브레인
- MSX판 그라디우스 2의 아바돈함 → 닥터 베놈[4]
- 그로우랜서의 리샬, 게벨 → 벤젤
- 극초호권의 파우엘 → 마헤스바라
- 노컨티뉴로 파우엘을 쓰러트릴 것.
- 기가 윙의 6면 보스 → 7면 보스
- 날아라 슈퍼보드-환상 서유기-의 마황대제 → 옥황상제[5]
- 냥코 대전쟁(세계편 1~3장 한정)의 대갈이군[6] → 악의 제왕 야옹마 → 맴매 선생
- 냥코 대전쟁(미래편 1~3장 한정)의 파괴생물 쿠오리넬 → 반역의 발키리 → 폭주의 고양이 무트
- 냥코 대전쟁(레전드 스토리[7]) 살의의 멍뭉이 → 스승 → 핫도그 → 늘보보 → 셰익스피망 → 맴매 선생 → 사순록 → 혹부리 낙타 → 코알락교 → 스승 → 핫도그 → 쿠로사와 감독 → 늘보보 → 블랙 맴매 → 하이 에너지 → 대디 → 울프와 우루룬 → 대디 → 천사 개복치 → 블랙 맴매 → 쿠로사와 감독 → 꼬맹이 야옹마 → 블랙 맴매 → 불칸 보어 → 배틀 코알락교 → 두더더지 → 멍뭉이 냥미 → 배틀 코알락교 → 엔젤 보어 → 초롱아귀 → 맴매 선생(현재)
- 네버윈터 나이츠의 발샤리스 → 메피스토텔레스[8]
- 네오지오 배틀 컬리시엄의 미즈치, 네오-디오, 진 사자왕(배드 엔딩) → 굿맨(진 엔딩)
- 노 모어 히어로즈의 다크스타 → 진
- 닌자용검전 패미콤판
3.3 ㄷ ~ ㄹ
- 슈퍼 단간론파 2 -안녕히 절망학원-의 모노쿠마 → 카무쿠라 이즈루, 에노시마 쥰코
- 절대절망소녀 단간론파 Another Episode의 모나카, 쿠로쿠마 → 시로쿠마
- 단간론파 어나더 -또 하나의 절망학원-의 모노쿠마 → 타이라 아카네→ 우츠로
-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DX의 마스터 핸드&크레이지 핸드 → 기가 쿠파
-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X의 에인션트 경 → 터부
-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for Nintendo 3DS / Wii U의 마스터 핸드 & 크레이지 핸드 → 마스터 코어
- 대해원과 와다노하라의 도살제국 → 미코츠 공주의 세력(샤케)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KOF 2001의 NESTS → 이그니스
- KOF 2003의 아델하이드 번스타인(배드 엔딩) → 무카이(진 엔딩)
- 이 둘의 출현조건은 결승전인 스테이지 6 종료시까지 얻은 스코어가 조건치(2,500,000점 이상)를 만족시켜야 한다. 만족하지 못할 경우 그대로 배드 엔딩으로 진행. 이 때 애쉬가 그 옆에서 지켜보는 장면이 나온다.
- KOF SKY STAGE의 불꽃의 운명의 크리스 (→ 오로치) → 오메가 루갈
- 2주차 진입조건은 1주차에서 숨겨진 아이템인 편지를 5개 모아야 하며 그리고 1주차에서 노미스를 클리어. 단 가정용판 한정에서는 2주차에서도 5개의 숨겨진 편지를 모으면 루갈과 대면가능.
- 더블 드래곤 시리즈
- 데드 라이징 2의 TK → 레이 설리번[11]
- 데드 라이징 3의 햄록 장군 → 이사벨라
-
데드 오어 얼라이브의 최종 보스 전원 → 류 하야부사 - 데몬 프론트의 악마의 심장 or 철치아[12] → 4대 마신수[13]
- 출현조건 - 밑 네가지 조건 중 한가지 조건충족.
- 조건1 : 1~5 스테이지의 열쇠를 전부 꽂는다... 코인 사용제한이 없음...
- 조건2 : 5 스테이지까지 클리어후 총합점수 1억점 돌파...
- 조건3 : 1~5 스테이지까지 원코인 올 클리어...
- 조건4 : 2인용으로 1~5스테이지까지 각자 원코인 올 클리어...
- 출현조건은 노 컨티뉴 클리어 혹은 200만 점수획득으로 클리어.
-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 레이블의 경우는 1주 모드에서 진 보스를 보는 것도 가능.
- 블랙 레이블 한정으로 골든 디재스터 대면전까지 노미스+2봄이내+5면까지 모든 보스를 열로MAX로 격파후 골든 디재스터를 노미스로 격파할경우에 등장한다 .
- 어레인지 모드의 골든 디재스터 → 에바카니어 둠
- 도돈파치 최대왕생의 코류 → 히바치 or 인바치
- 히바치의 출현조건은 코류 격파까지 벌 퍼펙트 3회 이상 + 1미스 이내. 인바치의 출현조건은 코류 격파까지 노미스 노봄 + 전 스테이지 벌 퍼펙트 + 그 외 기체별로 숨겨진 조건 2개 만족.
- XBOX 360 모드의 히바치 → 인바치
- 도쿄 제나두의 땅거미의 사생아 → 어두운 재앙의 신희 → 구미의 백수
- 도키메키 메모리얼 대전퍼즐다마의 이주인 레이 → 코알라
- 특정조건 불만족 시 이주인 레이에서 끝난다. 단 조건을 만족하면 전설의 나무라는 새로운 스테이지가 추가하며 최종 보스인 코알라와 대전을 벌인다. 코알라와 대전에서 패할 경우 컨티뉴는 없으며 바로 배드 엔딩으로 끝난다.
- 부스터 2.0, 철의 인연을 소유해야 보로스가 있는 숨겨진 최종던전 "성역"으로의 입장이 가능.
- 동방 프로젝트
- 동방환상향의 잠옷바람 유카 → 유카
- 출현조건 : 노멀 이상 난이도에서 노 컨티뉴 상태로 5면 클리어
- 이지 난이도로 하면 5면에서 끝난다. 노말 이상이라도 6면 진입 전에 한 번이라도 컨티뉴를 하면 5면에서 배드 엔딩이 발생하며, 6면에서 죽을 경우 컨티뉴를 할 수 없고 역시 배드 엔딩.
- 출현조건 : 노멀 이상 난이도에서 노 컨티뉴 상태로 5면 클리어
-
동방괴기담의 유메코 → 신키 -자세한 사정은 유메코 문서 참조. - 동방홍마향의 이자요이 사쿠야 → 레밀리아 스칼렛
- 출현조건: 노멀 이상 난이도에서 5면 클리어
- 이지 난이도로 하면 5면에서 끝난다. 체감 난이도는 루나틱을 제외하면 오히려 사쿠야가 더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 출현조건: 노멀 이상 난이도에서 5면 클리어
- 동방요요몽의 사이교지 유유코 → ???[18]
- 5번째 스펠이 끝이 아니라, 버티기 스펠, "반혼접"이 존재한다. 난이도에 따라 1, 3, 5, 8분소로 나뉘며, 이는 라스트 스펠이 아닌지라 미스가 나도 끝나지 않는다.
- 동방영야초의 야고코로 에이린 → 호라이산 카구야
- 출현조건: 한 번이라도 6A를 클리어한 난이도 + 기체로 5면 노 컨티뉴 클리어.
- 조건을 만족하면 6B에 진입해 에이린 대신 카구야가 최종 보스로서 출현하며 이 때는 컨티뉴가 불가능하다. 이지와 노멀은 에이린이, 하드와 루나틱은 카구야가 더 어렵다는 의견이 많은 편. 참고로 한 난이도에서 4개 태그 팀 모두로 6B를 클리어하면 플레이 캐릭터 8명을 단독 기체로 플레이할 수 있게 되고 이 때부터는 난이도, 기체에 상관 없이 노 컨티뉴 상태에서 6A와 6B를 선택해 플레이할 수 있다.
- 동방문화첩의 시키에이키 야마자나두 → 샤메이마루 아야[19]
-
동방지령전의 카엔뵤 린 → 레이우지 우츠호.자세한 사정은 카엔뵤 린 문서 참조.
- 동방환상향의 잠옷바람 유카 → 유카
-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 디아블로 시리즈
- 디아블로 2: 파괴의 군주의 디아블로 → 바알
- 디아블로 3: 영혼을 거두는 자의 디아블로 → 말티엘
- 디지몬 월드 리디지타이즈 책모의 마왕편의 발바몬 → 마왕몬 → 루체몬(루체몬 사탄 모드)
- 라스트 닌자로의 길의 대마왕 슷파라게 킹 → 모쿠모쿠렌
- 라이덴 시리즈
- 출현조건은 노컨티뉴에 미션 1의 마지막 파트(스테이지 3)와 미션 2의 마지막 파트(스테이지 6)의 적 파괴율이 100% 달성해야 함.
- 라이덴 파이터즈 Jet의 실전미션 PHASE 1 보스 → 실전미션 PHASE 2 보스 → 실전미션 PHASE 2 진 보스(전폭기)
- 출현조건은 노컨티뉴/연습미션 LV45 클리어 or LV40 노미스 클리어/전 보스 제한시간 내 파괴/10만점 모드 발동의 조건들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PHASE 2 진 보스는 PHASE 1을 노미스로 클리어하면 출현.
- 라쳇 & 클랭크 시리즈
- 라쳇 & 클랭크(리부트): 드렉 → 네파리우스
- 란스 시리즈
- 레바의 모험의 점심밥 → 마검 히페리온
- 레이 크라이시스의 콘휴먼 → 인피니티[21]
- 레이징 스톰 가정용 스토리 모드의 전갈형 기동병기(명칭 불명) → 중대형 폭격기(명칭 불명) → 파울로 게에라
- 마지막 스테이지 3의 보스인 전갈형 기동병기와의 전투 종반부에서 미사일을 발사하게 되는 데 그 미사일들을 전부 요격시 숨겨진 최종스테이지로 진출 할 수 있다. 단 게임의 독택 수에 따라 내구력이 결정된다.
- 렛츠 고 정글의 거대 식물(3면 보스)[22] → 거대 나비(3면 진 보스)
- 렛츠 브라보 뮤직의 라젠스키 행진곡 → 위풍당당 행진곡
- 로드 오브 버밀리온의 제우스 → 그렌델
-
로스트 월드의 무신 → 천제 바이오스[23] - 록맨 시리즈
- 리썰 인포서스 3의 카하프 나디르 → 토키타 요시키
단 육상방위관으로 플레이 할 경우 진 엔딩을 볼 수 없다.
3.4 ㅁ ~ ㅂ
- 시리즈 특성 상 2주차 맨 마지막에 출현하는 데다, 특정한 아이템을 먹어야 진입이 가능하다. 단 극마계촌에서는 맵 곳곳에 숨겨져 있는 링 33개를 전부 모아야 진입이 가능하며 改 버전에서는 조건 자체가 사라졌다.
- 마계촌의 사탄 → 아스타로스[26]
- 대마계촌의 벨제붑 → 루시퍼
- 초마계촌의 아스타로스 → 네비로스 → 사마엘
- 극마계촌의 다크 아스타로스 → 하데스
- 마리오 시리즈
- 요시 아일랜드의 카멕 → 베이비 쿠파
- 슈퍼 페이퍼 마리오의 느와르 백작 → 디멘
- 마리오&루이지 RPG 시간의 파트너의 동생 게돈코 공주 → 언니 게돈코 공주
- 마리오&루이지 RPG 4 드림 어드벤쳐의 아크몽 → 드림 쿠파
- 요시 아일랜드 DS, 요시 뉴 아일랜드의 베이비 쿠파 → 쿠파[27]
- 뉴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좀비쿠파 → 쿠파와 쿠파주니어
- 뉴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Wii의 쿠파 → 거대화 쿠파
- 뉴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의 쿠파 → 거대화 쿠파
- 마비노기의 키홀 → 누아자 → 모리안
→ 데브캣 - 마비노기 영웅전의 마신룡 엘쿨루스 → 마신화된 카단 (키홀)
→ 데브캣 -
마인크래프트 - 엔더드래곤 → 위더[28] - 머나먼 시공 속에서 4 카자하야 트루 엔딩 루트의 라쟈 → 흑룡 → 백룡[29]
- 트루엔딩 루트 돌입조건은 카자하야 노멀 엔딩, 나머지 7명 엔딩, 솔로 엔딩 도합 9개의 엔딩 전부 감상(...)
- 전사와 도적으로 모든 챕터를 완료시 에레고스2가, 궁수와 마법사로 모든 챕터를 완료시 파풀라투스2가 최종 보스가 된다. 4명의 엔딩을 모두 보면 진 최종 보스인 4대 원죄가 등장한다. 전사는 글루토니(폭식), 마법사는 슬로쓰(나태), 궁수는 러스트(성욕), 도적은 래쓰(분노)와 대결. 래쓰, 슬로쓰, 글루토니, 러스트순으로 대결한다.
- 메이플스토리 네오 도쿄의 코어 블레이즈 → 아우프헤벤
- 메탈기어 솔리드 피스 워커의 피스 워커 → 메탈기어 지크 = 파스 오르테가 안드라데
- 메탈슬러그 시리즈
- Easy모드로 플레이할시 파이널 미션 전에 끝나버린다. 침략자의 왕을 보려면 Hard모드를 플레이해야 한다.
-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의 제4제국 → 붉은 라인
- 모두의 골프 6의 파티마 → 아이작
- 몬무스 퀘스트의 앨리스피즈 페이타르베눈 → 일리아스 → 검은 앨리스 → 일리아스
- 상당히 특이한 케이스로 앨리스피즈는 메인히로인으로 전락하고 일리아스가 처음부터 흑막임을 나타낸다. 그러다가 검은 앨리스가 프로메스틴과 짜고 일리아스를 봉인해버리고 최종보스로 군림하는듯 했지만 주인공이 검은 앨리스를 해치운 이후에 다시 일리아스가 부활하여 최종보스로 재복귀한다(...) 사실 일리아스는 일부로 검은 앨리스와 프로메스틴의 계략에 넘어가는 척 하며 이 모든것을 계획했던 것이다. 자세한 것은 일리아스 문서 참조.
- 출현조건
- 5번째 스테이지까지 원코인으로 클리어할 것
- 2. 5번째 스테이지의 유명무장(보스 외에는 흰 기를 단 적기로 등장, 보스 포함 총 30명)을 모두 물리칠 것.
- 3. 5번째 스테이지까지 10번 이상 컨티뉴할 것
- 출현조건 : '하늘의 권(어려움)'에서 2주차 플레이('땅의 권(쉬움)'은 2주차가 없음)
- 바이오쇼크의 앤드류 라이언 → 프랭크 폰테인
- 바이올런트 스톰의 레드 프레디 → 젤드
- 바인딩 오브 아이작의 엄마 → 엄마의 심장,그것은 살아있다 → 허쉬,울트라 그리드 → 아이작,사탄 → ???,어린양 → 메가 사탄
-
바인딩 오브 아이작의 메가 사탄 → 블롯 - 배틀 가레가의 글로스퀴드 → 블랙하트 Mk2[30]
- 배틀 서킷의 플루토 → 마스터 프로그램
- 출현조건
- 플루토전 클리어까지의 점수가 320만점 이상. 단, 1인 조건으로 2인부터는 각각 280만점 / 3인은-230만점 / 4인은-200만점 이상
- 2. 6개 이상의 업그레이드를 구입. 단, 새턴이 주는 바이탈 게인 포함된다.
- 3. 소지금이 1000코인 이상
- 1, 2 혹은 1, 3을 만족시키면 출현합니다.
- 출현조건은 4색의 열쇠 입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슈퍼 마이타 또는 킹 몬스타를 끝으로 마지막 월드가 어떤 곳이냐에 따라 배드 엔딩이 된다.
- 버블 메모리즈의 스위머 퀸 몬스타(라운드 70) → 슈퍼 다크 그레이트 드래곤(라운드 80) → 메카니컬 몬스타(슈퍼모드 라운드 80)
- 버추어 캅 시리즈
- 버키오 헤어 아케이드의 토드 에어 마쉘 → 콤플렉스
- 베어 너클 3의 미스터 X(안드로이드)(스테이지 5) → 네오 X(스테이지 7)
- 대면조건은 노멀이상 난이도 설정&6면(스테이지 6)에서 제한시간 내에서 장군을 구출해야 진 엔딩 루트로 진입하며[31] 진 엔딩 루트의 7면(스테이지 7) 맨 마지막에서 미스터 X(본인)가 자신의 육체를 로봇으로 개조하여 변신한 모습인 네오 X를 제한시간 내에 격파해야 한다.
- 무지개의 구슬을 다 모으지 못하면 디디디를 쓰러뜨리고나서 몬스터의 이름만 보여주는 밋밋한 엔딩이 나오며 맨 마지막에 다크매터의 스프라이트가 ?!란 이름으로 뜨면서 끝난다.
- 하트를 다 모으지 못하면 디디디를 쓰러트리고 밋밋한 페이크 엔딩이 흐르며 엔딩이 끝나고 제로가 있는 하이퍼 존을 공포스럽게 보여주며 '?'라는 글자를 띄운다.
- 크리스탈을 다 모으지 못하면 미라클 매터를 쓰러트리고 페이크 엔딩이 나오는데 엔딩의 끄트머리에 제로투에 빙의되어 음산하게 웃는 리플 스타의 왕녀의 모습이 보인다.
- 별의 커비 도팡 일당의 습격의 도팡 → 다크 제로
- 별의 커비 Wii의 랜디아 → 마버로아
-
별의 커비 Wii의 마버로아 → 갤럭틱 나이트 - 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 헬퍼 마스터의 길의 마인 왐밤 록 → 왐밤주얼
- 별의 커비 트리플 디럭스의 타란자&디디디 대왕 → 퀸 세크토니아
- 단 타란자는 보스가 아니다. 계속 남을 조종하거나 해서 커비와 싸우게 하는데, 그걸 다 무찌르면 마지막에 세크토니아가 갑툭튀.
- GO! 디디디의 퀸 세크토니아 → 블랙 디디디 → 다크 메타 나이트 리벤지[32]
- 터치! 커비 슈퍼 레인보우의 클레이시아 → 다크 크래프터
- 별의 커비 로보보 플래닛의 프레지던트 할트만 → 별의 꿈
- 북두의 권 펀치매니아의 라오우 → 켄시로[33]
- 브레이브 사가의 그란다크 → 세르츠 바하 (→ 眞 그란다크)
- 브레이블리 디폴트의 브레이브 리 → 에어리 → 우로보로스
- 브레이블리 세컨드의 황제 오블리비언 → 안네 → 프로비덴스
- 블루 드래곤의 네네 → 데스로이
- 뿌요뿌욘의 사탄 → 도플갱어 아르르[34]
3.5 ㅅ ~ㅇ
- 사립 저스티스 학원 시리즈
- 사립 저스티스 학원의 이마와노 라이조 → 이마와노 효
- 불타라 저스티스 학원의 키리시마 쿠로 → 이마와노 효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사무라이 스피리츠 아마쿠사 강림의 아마쿠사 시로 도키사다 → 미나즈키 잔쿠로
- 제한시간 내에 6명의 CPU를 쓰러트려야 한다.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보스전 없이 해당 라이벌과 대전을 벌인 후 배드 엔딩으로 직행.
- 상대를 절명오의나 일섬으로 끝내지 않으면 해당 보스를 쓰러뜨린 시점에서 게임이 끝난다.
- 스테이지 5까지 임무를 6개 이상 완수하지 못하면 스테이지 6으로 넘어 가지 못하고 조조가 참수 당하는 페이크 엔딩이 흐른다.
- 소닉 & 너클즈 - 너클즈 편의 에그로보 → 메카 소닉
- 소닉 더 파이터즈의 메탈 소닉 → 닥터 에그맨
- 소닉 어드벤처의 닥터 에그맨 → 카오스
- 소닉 어드벤처 2의 섀도우 더 헤지혹 or 소닉 더 헤지혹 → 파이널 해저드
- 소닉 히어로즈의 닥터 에그맨 → 네오 메탈 소닉
-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의 디아블론/블랙 둠/에그 딜러 → 데빌 둠
- 소닉 어드밴스, 소닉 어드밴스 2, 소닉 러시, 소닉 러시 어드벤처의 파이널 보스 → 엑스트라 보스
- 출현조건은 카오스 에메랄드 7개 획득. 소닉 러시 시리즈의 경우 카오스 에메랄드와 솔 에메랄드를 모두 획득해야 한다.
- 출현조건은 카오스 에메랄드 7개 획득.
- 소닉과 암흑의 기사의 아서 왕 → 황천의 여왕
- 소닉 컬러즈 DS판의 닥터 에그맨 → 다크 마더 위스프
- 소닉 프리 라이더즈의 닥터 에그맨 → 메탈 소닉
- 소닉 로스트 월드의 육귀중 → 닥터 에그맨
- 소울 시리즈
- 소울 엣지의 세르반테스 → 소울 엣지
- 소울 칼리버의 나이트메어[37] → 인페르노
- 소울 칼리버 3
- 소울 칼리버 4의 알골 → 나이트메어[38]
- 소울 칼리버 5의 퓨라 오메가 → 엘리시움
- 쇼크 트루퍼스 세컨드 스쿼드의 나카토미 사장 → 스네이크 장군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 제3차 슈퍼로봇대전의 웬드로 → 슈우 시라카와
- 슈퍼로봇대전 F 완결편의 티니퀘트 제제난 → 샤피로 키츠/팝티머스 시로코
- 슈퍼로봇대전 α 외전의 메이거스 → 슈우 시라카와
- 슈퍼로봇대전 α For Dreamcast의 유제스 곳초 → 라오데키야 쥬데카 곳초, 슈우 시라카와
- 제3차 슈퍼로봇대전 α의 우주괴수(or 아포칼륩시스) → 케이사르 에페스
- 슈퍼로봇대전 OG 외전의 다크브레인 → 슈우 시라카와[39]
-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의 간에덴 → 알테우르 슈타인벡(???)
- 슈퍼로봇대전 W 2회차 플레이의 인퍼런스 → 크리틱
- 슈퍼로봇대전 Z의 에델 베르날 → 디 에델 베르날
- 슈퍼머슬봄버의 아스트로 → 빅터 오르테가
- 슈퍼 프린세스 피치의 해머브러스 군단 → 쿠파→ 거대화 쿠파
- 스타워즈 구공화국의 기사단 2의 다스 니힐러스 → 크레이아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스타크래프트 : 지구집정연합&초월체 → 사라 케리건
- 스타크래프트2 : '사라 케리건 → 아크튜러스 멩스크 → 아몬
크게보면 사라 케리건 → 아몬 케리건은 시리즈의 페이크 최종보스이자 진주인공이다.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사가트 → 베가
- 스트리트 파이터 EX의 베가 → 가루다
- 스트리트 파이터 EX 2 플러스의 가루다 → 베가
- 스파이더맨 아케이드 게임의 킹핀 → 닥터 둠[40]
- 스플래터 하우스
- 신 삼국전기 칠성전생의 여포 → 진 북진
- 점수가 150만 이상 점수이고(자세히 알 수 없음.) 2인 플레이시에는 1명에게 점수 130만점 이상을(자세히 알 수 없음.) 몰아주고 스테이지 4를 플레이해서 날고 있는 축융을 떨어뜨리면 등장하는 빨간색 새 모양의 아이템을 얻고 스테이지 7의 보스인 백호는 30초내로-현무조조는 40초내로-창룡손권은 22히트 이상 성공시키면 등장하는(자세히 알 수 없음)색-검은색-파란색 새 모양의 아이템을 얻으면 된다. 또는 캐릭터 선택화면에서 여포를 숨겨진 커맨드로 등장시키고 플레이하면 진 최종 보스만 상대하는게 가능하다.]
- 일정조건을 만족하여 쓰러뜨리지 못할 경우 야마자키 류지를 끝으로 배드 엔딩. 노컨티뉴로 야마쟈키를 쓰러뜨릴 경우 진숭수가 등장하는데 숲의 정원에서 등장할 경우 페이크 엔딩이 흐른 뒤 각 캐릭터 별로 엔딩으로 진행된다. 호수정원에서 등장할 경우 이벤트에서만 진숭뢰가 등장한다.
- 시작할 때부터 그랜트를 쓰러뜨릴 때까지 한 번이라도 컨티뉴했거나 평균 파이팅 레벨이 AAA 이상이 아닐 경우 등장하지 않으며 이 때는 페이크 엔딩이 흐른다.
- 초판은 안젤리아가 최종 보스이지만 확장판인 대단해Ver에서는 파라세가 최종 보스이다. 출현조건은 노 컨티뉴로 전부 클리어.
- 전 미션 클리어시 긴급 의뢰로 추가.
- 아머드 코어 AC4 프로토타입 넥스트 버전 하드 모드의 조슈아 O. 브라이언 → 셀로
- 아머드 코어 ACFA 하드 모드의 윈 D. 팬션 + 로이 써랜드 → 오츠달바 버전 언성
- 아수라의 분노의 칠성천 데우스 → 고마 블리트라 → 전륜성왕 차크라바르틴
- 아이돌 마스터 2의 류구코마치 → Jupiter
- 아이워너비더베스트가이3의 베켓 D.퍼펙트맨 → 구스타브 카운터펠트
- 악마성 시리즈
- 페이크 엔딩이 있는 시리즈로서는 상당히 유명한데, 대부분 드라큘라가 진 최종 보스로 등장하며 진 엔딩 루트로 가기 위해선 플레이 도중 주어지는 힌트대로 움직여야 한다. 무언가를 장비해야 하거나, 페이크 최종 보스를 모종의 방법으로 깨야 하는 등 방식은 여러가지.
-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의 리히터 벨몬드 → 샤프트 → 드라큘라 블라드 쩨뻬쉬
- 악마성 드라큘라 폐허의 초상화의 브로넬 → 드라큘라 블라드 쩨뻬쉬
- 캐슬바니아 백야의 협주곡의 맥심 키신 → 드라큘라 팬텀
- 캐슬바니아 효월의 원무곡의 그라함 존스 → 혼돈
- 캐슬바니아 순수의 비가의 발터 베른하르트 → 사신
- Vampire killer의 에르체베트 바토리 → 드라큘라
- 앵그리버드 스타워즈의 다스 베이더 → 다스 시디어스
- 앵그리버드 에픽의 5번째 성에서 킹피그와 싸우고 나면 위즈피그가 알이랑 왕관을 들고 튄다. 그후 흑화한 위즈피그와 6번째 성에서 결투를 벌인다.
- 어스토니시아 스토리의 브림휠트 → 카이시라크
-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 어쌔신 크리드의 로베르 데 사브레 → 알 무알림[41]
- 어쌔신 크리드 : 레벨레이션의 마누엘 팔라이올로고스 → 아흐메트 왕자
- 언더테일의 아스고어 -> 포토샵 플라위[42]
- 엇갈림 전설 1의 갑옷 비스트 → 라스트 고스트
- 엇갈림 전설 2의 갑옷 대마왕 → 라스트 고스트 → 어둠의 왕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 싱글 플레이 모드의 마을 회관 → 주민들
- 엘소드의 벤더스 →월리 → 킹 나소드 → 베르드 → 란 → 카리스 → 스카 →
솔레스 - 엘피스의 크론 박사 → 곰돌이
- 여신전생 시리즈
- 디지털 데빌 스토리 여신전생 2의 사탄 → YHVH
- 진 여신전생 3 녹턴 매니악스의 다크 카오스 루트의 무진광 카구츠치 → 대마왕 루시퍼
- 진 여신전생 4 FINAL의 루시퍼, 메르카바 → YHVH
- 페르소나 시리즈
- 역전재판 시리즈
-
역전재판의 카루마 고우 → 간토 카이지[43] - 역전재판 3의 미야나기 치나미 → 고도 검사
- 역전검사 2의 이치야나기 반사이 → 사루시로 소타
- 열혈 시리즈
- 열혈고교 돗지볼부 패미컴판의 미국팀 → 수수께끼의 군단(가칭)[44]
- 열혈고교 돗지볼부 축구편 PC 엔진 CD판의 시만츄 실업 고교 → 독일 대표
- 다운타운 열혈물어의 핫토리 류이치/핫토리 류지 → 야마다 다이키
- 신 열혈경파 쿠니오들의 만가의 켄 → 사부
- 영웅전설 시리즈
- 영웅전설 4 도스판의 오크툼 → 발두스[45]
- 영웅전설 6
- 영웅전설 7
- 영웅전설 8
- 섬의 궤적의 로어 에레보니우스 → 푸른 기신 오르디네
- 섬의 궤적 2의 푸른 기신 오르디네 → 홍련의 마인 → 로어 루시페리어[48]
- 전체 스토리: 길리아스 오스본 → 귀족 연합 → 스포일러
- 용과 같이 시리즈
- 류가 고토쿠 2 ~용과 같이 2~의 김대진 (= 테라다 유키오) → 고다 류지
- 용과 같이 3의 하마자키 고우 → 미네 요시타카[49]
- 용과 같이 4 : 전설을 잇는 자 제3부의 카츠라기 이사오 → 무나카타 세이시로
- 용과 같이 5 : 꿈, 이루는 자 쿠로사와 츠바사→ 아이자와 마사토
- 용과 같이 켄잔!의 사사키 코지로 → 난코우보 텐카이
- 흑표 용과 같이 2 아수라편의 아키타 야스토 → 사에키 준 → 츠루미 타다시 → 노자키 료
- 용호의 권 시리즈
- 용호의 권 1의 미스터 빅 → 미스터 가라데
- 용호의 권 2의 미스터 빅(노멀 엔딩) → 사우스 타운의 진정한 흑막(진 엔딩)
- 출현조건은 전 시합까지 노라운드로 클리어 할 것.
- 우타와레루모노 두 명의 백황의 라이코우 → 워시스 → 쿠온
- 원머스트폴 2097의 이안 타바레스 → 니콜라이[50]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살게라스 → 공허의 군주들[51]
- 월드 컴뱃의 적 사령관 → 거대해골
- 보너스 스테이지인 긴급사태 미션들을 제외하고 총 10개의 스테이지(작전)을 제한시간안에 실패없이 클리어한 상태에서 적 사령관을 제거하면 등장한다.
- 월드 히어로즈 시리즈
- 월희 시엘 루트의 미하일 로아 발담용 → 알퀘이드 브륜스터드
- 이브니클의 세데스 → 펠튼 → 욕망의 결집체
- 이스 오리진의 다레스 → 카인 팩트 (→ 마왕 다암)
- 이터널 파이터 제로 배드문 판 이후의 UNKNOWN → 칸나 비노 미코토[55]
- 인피니티 블레이드 시리즈
- 인피니티 블레이드의 신들의 왕 → 주인공의 조상
- 인피니티 블레이드 2의 쎄인 → 레이드리아(신들의 왕)
- 시리즈 전체의 레이드리아 → 신비의 장인
3.6 ㅈ ~
- 자칼 패미콤판의 거대요새 → 전차[56]
- 전국무쌍 시리즈 - 도요토미 히데요리 → 사나다 유키무라(동군 한정)[57]
- 젤다의 전설 시리즈
-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의 아그님 → 가논
- 젤다의 전설 이상한 나무열매의 베란/고르곤 → 트윈로바 → 가논
- 젤다의 전설 시공의 장/대지의 장 중 하나를 클리어하고 나오는 암호를 다른 하나의 게임에 입력해서 시작해야만 트윈로바와 가논이 나오는 진엔딩 루트를 탈 수 있다.
-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의 젠트 → 가논돌프
-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의 기라힘 → 종언자
- 젤다무쌍의 시아 → 가논돌프
- 좀비 고등학교의 진격의 좀비에서 퍼스트 블러드 (정동석) → 교장
- 좌충우돌 화투 여행기 중 구취노인 벌레잡이 킹-아저씨와 심폐정지-의 아케이드 모드의 체리 블러섬 셀시안 → 큐링 믹스 리믹스
- 지휘봉의 행방의 도쿠가와 이에야스 → 요도도노
- 진 연희무쌍 촉 루트의 카린 → 오호족
- 천외마경 제4의 묵시록의 사네토모 → 절대신
- 천지를 먹다 시리즈
- 천지를 먹다의 동민 → 동탁
- 천지를 먹다 II의 여포 → 조조
- 선택지 및 제한시간 내에 쓰러트리는 여부에 따라 엔딩 결정.
- 천지창조의 베루거 → 다크 가이아
- 철권 시리즈
- 카구라 학원기의 츠루기 아사카 → 에사카 사이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의 스티브 렉스 → 더글라스 제이콥
-
오리지널의 ARX-160 → HK416
-
- 카이저 너클의 아스테카 → 제너럴
- 한 번 이상 컨티뉴한 채로 아즈테카를 쓰러트릴 경우 그대로 제너럴에게 회유당한 채로 페이크 엔딩으로 끝난다.
- 케이브의 슈팅에서는 2주차를 깨야만 진 최종 보스가 출현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그것도 그냥 2주차가 아니고 특정조건을 만족해야만이 2주차가 생기는 케이스로 진행되며 심지어는 그냥 2주도 아니고, 숨겨진 우라 2주에서만 출현하는 경우도 있다.(**)
- 울트라 모드 한정. 단, 2인용일 때는 아키가 출현하긴 하지만 버그로 프리징이 걸린다. 사실상 1인 플레이로만 가능.
- 출현조건은 울트라 모드에서 노 컨티뉴로 드라간 엠페리온 클리어. 블랙 레이블의 스피리추얼 라사는 갓 모드에서 노 미스 클리어로 출현조건이 변경된다.
- 케츠이의 에바카니어 → 에바카니어 둠**
- 콘트라 시리즈
- 콘트라의 쟈바 → 고메라모스 킹
- 슈퍼 콘트라의 에일리언 얼굴 → 천황귀 갸바
- 콘트라 더 하드 코어 진 엔딩 분기의 바하무트 대령 → 데드아이 죠 → 미사일[59]
- 진 콘트라의 랜스 빈(미션 5) → 원로원 (→ 레릭)(미션 6)
- 미션 5 종료까지 A 랭크로 클리어 할 경우 진정한 최종미션이 등장한다. 이는 네오 콘트라에도 계승된다.
- 출현조건은 진 콘트라의 출현조건과 동일하다.
- 콘트라 듀얼 스피리츠의 러닝버그[60] → 블랙 바이퍼[61]
- 이지모드 시 최종 보스는 러닝버그가 되며 노멀모드 이상으로 진행 시 블랙 바이퍼가 진 최종 보스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블라디미르 마카로프 → 셰퍼드 중장[62][63]
- 크라임 파이터의 경호원[64] → 조직의 보스[65]
- 클로저스의 헤카톤케일 → 아스타로트
- 타임 크라이시스 5의 와일드 독 → V.S.S.E. 내부 첩자
- 테일즈 오브 그레이세스의 리처드 → 람다
- 테일즈런너의 하루 → 아누비스
- 파랜드 시리즈
- 파스텔 챠임 3 바인드 시커의 레이 뷔테크 → 릴리서
- 파워드 기어의 아즈라엘&워록(스테이지 6) → 메카 브레인(스테이지 7)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파이어 엠블렘 if의 가론[66], 스포일러[67] → 스포일러[68], 아난코스
- 판타시 스타: 천년기의 끝에의 지오 → 다크 포스 → 영원한 암흑
- 판타지로망스의 델카디스 → 벨제아탄[69]
- 퍼즐앤드래곤 일반 던전의 제우스 → 헤비 메탈드래곤
- 펌프 잇 업
- 펌프 잇 업 2011 FIESTA EX의 크래쉬데이 → 진공 청소기
- 펌프 잇 업 2015 PRIME의 요그 소토스 → 1950 → PARADOXX
- 페르시아의 왕자 전사의 길의 카일리나 → 다하카[70]
- 포켓몬스터 시리즈
- 포탈2의 글라도스 → 휘틀리[73]
- 폴아웃 시리즈
- 푸른 뇌정 건볼트 - 시덴 → 아시모프[76]
- 푸른 뇌정 건볼트 爪 - 판테라 → 아큐라 혹은 건볼트
- 풍운 시리즈
- 풍운묵시록의 사자왕 → 眞 사자왕
- 풍운 슈퍼 태그 배틀의 사자왕 → 쟈즈
- 프로토코스 외전의 가루다 → 네므로
- 피파 온라인 3 리오넬 메시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77]
- 하프라이프 시리즈 니힐란스 → 콤바인의 높으신 분
- 한 뚝배기 슈터의 심영 → 농심그룹(...)
- 헤일로 시리즈의 그레이브마인드 → 343 길티 스파크
- 호혈사일족 3의 루돌프 겔트하이머 → 브리스톨 웰러 → 브리스톨-D
- 홍신락의 오니 삼남매[78] → 쿠레나이 겐류
- 환상수호전 티어크라이스의 벨프레드 → 유일왕
- 환세취호전의 암각권 총통 → 폭호
- 진행 중간에 나오는 마을 왼쪽의 유적에서 적어도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