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보스/창작물/게임

1 개요

게임에 등장하는 최종 보스를 기록. 스포일러인 내용이 많으므로 주의.

2 목록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널리 알려져 있는 최종 보스는 굵게 표시. 진 최종 보스는 ◆로 표시. 주인공이 최종 보스는 해당 항목 참고.

2.1 숫자

2.2 ㄱ~ㄴ

2.3

2.4

2.5

2.6

2.7

2.8

2.9

2.10

2.11

2.12

2.13

2.14

2.15 알파벳

3 리듬게임계 최종보스

3.1 BEMANI 시리즈

3.1.1 GITADORA 시리즈

3.1.2 DDR

3.1.3 리플렉 비트 시리즈

3.1.4 beatmania IIDX

3.1.5 사운드 볼텍스[82]

3.1.6 유비트 시리즈

3.1.7 팝픈뮤직

3.1.8 BeatStream 시리즈

3.2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3.3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3.4 오투잼

  • 오투잼의 Identity 시리즈의 헉노트[87]와 死月 시리즈의 변태변속[88]
  • 오투잼 U의 Headless Chicken SHD, Driving Lazy Bee UHD, U Are My SuperStar UHD, 아마데우스 UHD, Bach Alive UHD

3.5 응원단 시리즈

  • 押忍!闘え!応援団 - READY STEADY GO
  • 도와줘! 리듬 히어로 - Without a Fight[89], Jumpin' Jack Flash
  • 燃えろ!熱血リズム魂, 押忍!闘え!応援団2 - COUNTDOWN[90], 世界はそれを愛と呼ぶんだぜ

3.6 태고의 달인

신기판 6대천왕 幽玄ノ乱, 双竜ノ乱, ドンカマ2000, Xa (裏), チャーリー ダッシュ!, !!!カオスタイム!!!.

3.7 펌프 잇 업

Hypnosis->Extravaganza->Mr. Larpus->SLAM->Let's Get The Party Started->Dignity->NXSB->Bemera->Vacuum Cleaner->PARADOXX

3.8 DJMAX 시리즈

3.9 EZ2AC

3.10 기타 리듬게임들

  1. 모든 것은 트루 엔딩에서 밝혀진다. 네타를 알고 싶지 않은 사람은 보지 않기를 바란다.
  2. 단 이그저드 사인의 스토리 모드는 전투 자체가 없기 때문에 전투로서의 최종 보스는 램리썰 밸런타인이 담당하고 있다. 덕분에 진 최종 보스는 엘펠트이지만 실질적인 최종 보스는 램리썰이라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되었다.
  3. 파일 이름이 Boss다(...)
  4. 3번째 작품인 리오 리인카네이션은 최종보스가 없다.
  5. 연애 시뮬레이션 쪽에서 최초로 최종 보스 기믹을 의도적으로 달고 나왔고, 이후로도 이 바닥에서 최종 보스 하면 가장 먼저 거론되는 전설의 레전드. 게임센터 CX켠김에 왕까지에서 모두 최종 보스로 판정하고 방송을 진행하기도 했다.
  6. 모든 이벤트와 심지어 엔딩까지 랜덤 발생이라는 특수한 공략 조건 때문에 정공법 공략이 딱히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엔딩 달성에 능력치보다는 이벤트 조건 만족이 더 중요하고 SFC 이식판처럼 엔딩이 고정되는 경우도 존재하기에 실질적으로는 히든 보스에 더 가깝다.
  7. 전작의 시오리처럼 능력치 육성상의 최종 보스. 육성 난이도는 시오리보다 무난하지만 히로인 간 상성 요소가 추가되었기 때문에, 특정 캐릭터의 호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아예 데이트를 안 받아주므로 이걸 돌파하는 게 관건이다.
  8. 능력치 대신 플레이어의 인내심 및 시간과의 싸움이 된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9. 등장 조건 만족, 능력치 조건, 이벤트 변수 3가지를 모두 넘어서기 까다롭다. 특히 마지막 요소는 거의 함정 수준.
  10. 캐릭터 자체가 시오리의 오마쥬라 능력치 요구 수준, 어려운 호감도 관리, 바리케이드 캐릭터 등 과거 공략의 난점들은 대부분 그대로 물려받았다. 보유 특기도 대처하기 어렵고, 엔딩 조건에 진로가 관여하는 것도 주의점이다.
  11. 히바치 항목의 마지막 즈음 문단 참조. 게임 발매 3년이 지났음에도 노미스 클리어러가 단 한명도 존재하지 않으며 클리어하는것도 모자라 조우하는 것도 세계급 랭킹을 기록하는 플레이어가 아닌 이상 불가능하니 말 다했다. 전 세계 최고의 슈팅게이머인 유세미조차 대놓고 불가능할것 같단 말을 꺼냈다. 때문에 인바치는 그 악명을 아는 혹자들에겐 도돈파치 시리즈 뿐만이 아니라 사람이 만든 모든 게임의 최종보스 취급을 받고있다.
  12. DLC 한정 보스이긴 한데 그 명성이 하도 유명해서인지 후속작에서도 등장할 정도이다.
  13. 아마쿠사 강림 한정으로는 진 최종 보스.
  14. 잔 다르크를 이용하기만 했지만 필살기 한 방만 때리면 보스전이 끝날 정도로 약하다.(...)
  15. 페이크 최종보스는 캡틴 위스커와 고스트 타이탄.
  16. 페이크 최종보스는 가짜 아서 왕.
  17. 해당 항목을 참조하면 왜 절벽이 최종 보스인지 뼈저리게 느낄 수 있다.
  18. 1편 한정 진 최종보스. 2편에서 타락한 젤나가 아몬이 흑막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스타크래프트 전체 스토리 라인에서 칼날여왕은 페이크 최종보스가 되어 버렸다.
  19. 공허의 유산에서는 그냥 최종 보스지만 스타크래프트 1, 2편 전체를 놓고 보면 진 최종 보스가 된다. 아몬의 죽음으로 스타크래프트 1기가 끝을 맺었다.
  20. 용호의 권 2 한정으로는 진 최종 보스.
  21. 아랑전설 와일드 앰비션의 경우.
  22. 여담이지만 4까지는 점점 최종보스가 퇴화하는 시리즈이다(...) 알 무알림과 로드리고, 체자레는 보스전이나 있었지만 그 외 나머지는 이벤트씬만 나오고 끝나는 경우가 더 많다. 하지만 유니티부터 에덴의 조각 덕분에 어느 정도 나아진다.
  23. 쉬버링 아일즈 한정 보스지만 주인공은 지갈랙을 패퇴시키고 나서 데이드릭 프린스 쉐오고라스가 된다.
  24. 로우 루트에서는 아수라왕, 카오스 루트에서는 미카엘, 뉴트럴 루트에서는 둘 다 상대해야 한다.
  25. 로우 루트에서는 멤 알레프, 카오스 루트에서는 젤레닌, 뉴트럴 루트에서는 둘 다 상대해야 한다.
  26. 로우 루트에서는 루시퍼, 카오스 루트에서는 메르카바, 뉴트럴 루트에서는 둘 다 상대해야 한다.
  27. 로우 루트에서는 루시퍼, 카오스 루트에서는 메르카바, 뉴트럴 루트인 인연 루트와 몰살 루트에서는 YHVH를 상대해야 한다. 로우 루트와 카오스 루트가 배드 엔딩 취급을 받는걸 보면 진 최종 보스는 YHVH라고 봐야한다.
  28. 후일담을 그대로 뒷이야기로 보는 관점이라면 EOV가, 후일담까지 포함해서 전체를 스토리의 한 편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로어가 최종보스가 된다.
  29. 이 때는 특별히 전체를 관통하는 스토리 없이 여기저기서 산발적으로 일어난 문제들을 영웅들이 해결하러 가는 형식이었기 때문에 켈투자드가 딱히 이야기의 최종 보스라기보다는 그냥 오리지널 시기에 나온 레이드 보스 중 가장 강한 적일 뿐이다.
  30. 세리카에게 있어 자기 자식과 자기 자신인 존재가 융합한 물건.
  31. 베라모드-하이델룬, 데미안 폰 프라이오스-아슈레이로 이 두 개의 전투가 동시에 진행된다.
  32. 정공법으로는 절대로 이길 수 없다. 파순의 기형낭종인 하바키와의 1대1 상황을 만들고 거기에 너프를 잔뜩 먹여서 겨우 승리.
  33. 2탄 이후로는 중간 보스가 되었다.
  34. 경우에 따라 폰투스도 최종 보스가 되지만 이집트같은 느낌은 없다.
  35. 동방 국가(폰토스, 사바, 하야스단(아르메니아), 팔라바(파르티아) 등)으로 하면 저 둘이 동맹맺고 같이 침공해온다! 하나로도 벅찬데 둘이 같이 오냐
  36. 물량은 몰라도 질은 매우 좋다.
  37. 이양반들이 오리지날에 비해 병종들이 많이 수수하고 포스가 덜하지만 3단 변신에 시간이 지나면 상당한 물량이 쌓이는데다 알프스 밖에도 영토가 매우 넓다. 이탈리아로 끝이 아니라니
  38. 셀레우코스, 프톨레마이오스와 함께 이 모드 3대 물량에 속한다. 가끔 거기에 로마도 포함되어 4대 물량이 되는 경우도 있다.
  39. 유닛 대부분이 유지비 0원(…)에다 처음 주어지는 물량도 많다! 대륙의 기상? 다만 모드나 확장팩에 따라 다르다. 킹덤즈의 크루세이드에선 아예 티무르가 나오지 않고, 튜토닉은 정착 상태이며, 모드들은… 대부분 오리지날보단 덜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40. 최종 보스보다는 물량에 가깝지만 많은 유저들이 인도를 늦게 가는 편이라서 그 때는 이미 물량.전작의 이집트의 후예?
  41. 그레이 만이 사망하면서 새로운 최종 보스로 등극했다.
  42. 온라인으로 제작된 11과 14는 제외.
  43. 에본 쥬 자체는 사건의 원흉으로 스토리 상의 보스는 맞지만, 사실상 질 수가 없는 이벤트성 전투인지라 게임으로서 실질적인 최종보스는 젝트가 된다.
  44. 3편에서는 라이벌들도 시간에 따라 능력치가 거의 딸 수준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게임 최후반쯤 되면 최종 보스가 되어버린다. 딸의 능력치를 거의 풀로 찍어도 축제나 대련 등에서 털리는 경우가 나올 정도. 특히 무술계 라이벌인 아리엘은 싸움 관련 수치를 죄다 999로 찍어도 대련에서 거의 50% 확률로 딸을 개발살내는가 하면 수확제에서도 만렙 찍은 딸을 이기고 지가 우승하는 것으로 악명 높다. 참고로 2의 무신은 능력치 풀업 시키면 그냥 때려잡고 5의 알포트도 풀업 후 아주 조금의 컨트롤만 해주면 어렵잖게 때려잡는다.
  45. 시리즈 사상 가장 보기 어려운 엔딩. 심지어 육성 시뮬레이션이라는 장르 사상 가장 어려운 엔딩이라는 말까지 있다. 공략을 보면서 해도 이 엔딩 보기가 쉽지 않다.
  46. 본래 IWBTBG1은 정식 스토리가 없기에 취급하지 않지만, 1에서 마지막보스를 처치하고 함정을 피하면 구스타브가 진 최종보스로 나오게된다.
  47. 여기서 나온 최종 보스의 생각과 정의를 몽땅 갈아치운 최종 보스 제대로 갈아엎었지
  48. 다른 최종보스는 다 MASTER 보면인데 얘 혼자 EXTREME 보면이다.
  49. SuperNOVA부터의 최종보스곡은 개인차에 따라 크게 갈릴 수 있으므로, 그 시리즈 내에서의 보스곡급의 곡들만 표기하였다. 이 중 보통 가장 어렵다고 여겨지는 곡은 볼드 표시.
  50. 곡 자체는 초대작에서 나왔지만, 문제의 SP 패턴은 그루빈에서 추가되었으므로 여기에 서술.
  51. 이 두 곡의 난이도는 우열을 가리기 힘든지라 같이 표기했다.
  52. 이하 복수의 최종보스곡이 있을 경우 그 시리즈에서 가장 어렵다고 평가 받는 곡에, 난이도의 우열을 가리기 힘든 경우에는 최종 해금곡에 볼드 표시.
  53. 현재 1st Style 곡중 가장 높은 난이도의 5.1.1. SPA는 7th Style에서 어나더가 추가된 것이라 제외.
  54. 표기 난이도는 dong-tepo no.1이 위였으나 실재 난이도는 이쪽이 우위라는 평가가 대다수다.
  55. 지금은 곡이 삭제돼서 플레이 할 수는 없지만 현행 난이도 기준으로 11레벨, 비공식 난이도로는 11.4로 평가 받는 의외의 난곡이다.
  56. 하이퍼 보면 한정시
  57. 동시에 CS판의 진 최종보스 이기도 하다.
  58. 5th Style은 더블에서 이렇다할 최종보스가 나오지 않은 시리즈였다. 그나마 찾아보자면 QQQ 14KEYS가 최종 보스라고 할 수 있다.
  59. 6th Style은 싱글에서 이렇다할 최종보스가 나오지 않은 시리즈였다. 억지로 싱글 최종보스를 찾아 보자면 현행 난이도 기준 11레벨인 NEMESIS ANOTHER7이 최종보스 이기는 한데(12레벨인 Colors (radio edit)도 있지만 이쪽은 SPA가 7th Style에서 나왔다.) 전작에서 나온 싱글 최초의 12레벨 곡과 비교하면 너무 약하다(...).
  60. ANOTHER 14를 제외한 14KEYS 부문에선 최종보스라고 할 수 있어 취소선은 긋지 않는다.
  61. 해금 순서로는 원모어 엑스트라인 혁명이 최종보스가 되지만 실제 난이도는 더블은 둘다 12레벨 이지만 A SPA가 12레벨로 혁명 SPA의 10레벨을 뛰어넘는 난이도를 보여줬다. 다만 DP의 경우는 혁명이 14KEYS와 ANOTHER14가 모두 12렙이라 조금은 미묘.
  62. 곡은 6th Style에서 나왔으나 싱글 어나더는 7th Style에서 추가됐다. 그리고 싱글 한정으로 실제 클리어 난이도가 A보다 높은지라 싱글 한정으로는 진 최종보스라고 할 수 있다.
  63. 사실은 xenon이나, 8th에서는 오히려 제논이 조금 더 쉽다(...)
  64. 노멀 게이지라면 보다도 더 어렵다. 여담으로 이 곡이 처음 공개될때만 해도 이 곡의 7KEYS 난이도가 7밖에 안되어서 유저들은 그냥 널린 저렙 악곡 중 하나로 인식했었다(...)
  65. 해금 순서상으로는 최종보스가 맞지만 위에 나온 두 곡이 더 어려워서 페이크 최종보스가 됐다.
  66. cs판 단위인정에서 특수한 방법을 써야 볼 수 있는 곡으로 히든보스로 볼 수 있다.
  67. 단 CS판에선 싱글은 Go Beyond!! SPA 하드클리어, 더블은 quell -the seventh slave- DPA와 QUANTUM TELEPORTATION DPA에게 밀린다.
  68. 폭타와 스크래치에 약하면 VOX UP이, 변속에 약하면 Pluto가 더 어렵게 느껴질 것이다.
  69. 69.0 69.1 69.2 CS DD에서 이식한 곡이나 편의상 여기에 표기.
  70. 참고로 통상 원모어인 Bad Maniacs는 상대적으로 이 두 곡 보다는 난이도가 쉬운 편이라 제외했다.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으로 쉬운 거지 이쪽도 만만치 않게 어렵다.
  71. 스크래치곡 부문에서는 단연 진 최종보스다.
  72. Lincle당시 한정으로 天空の夜明け DPA 보다 낮은 클리어율을 보여줬다.
  73. 계단에 약하다면 天空の夜明け 보다도 어려울수 있다.
  74. 74.0 74.1 스크래치에 약하면 이 두 곡이 최종보스곡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75. Proof of the existence는 난이도가 비교적 낮은 관계로 제외.
  76. 싱글, 더블 할 것 없이 동 시리즈의 보스곡들을 가볍게 이기고 특히 더블은 †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 이후 비공식 난이도 12.5의 최고 난이도를 부여받은 최강급 난이도다.
  77. 하드클리어로는 煉獄のエルフェリア와 동급으로 평가 받는다.
  78. 곡 자체는 SPADA에서 나왔지만 †LEGGENDARIA 채보는 PENDUAL에서 추가됐다.
  79. 비공식 난이도 12.5를 받은 펜듀얼 더블의 진 최종보스다.
  80. beatmania IIDX 23 copula의 수록곡이지만 선행공개 이벤트로 등장했다.
  81. 4th Style 가정판에서 이식.
  82. EF 레이트 클리어 난이도를 기준으로 개인차가 갈리는 경우를 모두 포함했으며 KAC 오리지널 콘테스트 최우수 당선곡에는 볼드 처리했다.
  83. 형식적으로 유비트 소서의 최종보스 자리에 있지만 난이도가 미쳐 돌아가는 밑의 4개의 곡 때문에 묻혀버렸다. 노트 수를 갈아치웠다는 의의는 있지만...
  84. 당시 유이한 난이도 42였으므로 둘 다 표기. 변속에 약하다면 DDR MEGAMIX, 트릴에 약하다면 곤강력이 더 어렵다.
  85. 원래는 真超深TION가 眞 HELL 13의 최종 보스이나 42 물렙곡 판정 받고 41로 강등 당했기 때문에 같은 42였던 심포닉 메탈 Op.2를 표기.
  86. 이하 MASTER+ 난이도들은 이벤트 전용 난이도로 일종의 히든보스.
  87. 3에서는 헉노트 대신 64비트 계단(…) 그리고 SHD버전에서는 충격과 공포의 64비트 헉노트로 부활했다.(…)
  88. 2에서는 변속이 너무 변태같아서 맞추는 사람이 없을 정도. 덕분에 변속을 삭제한 클린버전이 나올정도.
  89. 중간보스에 해당하는 곡.
  90. 중간보스에 해당하는 곡.
  91. 오메가 코스 등장 전까지 5키의 진 최종보스
  92. 5키에서 최고난이도 18을 꿰찼다.
  93. 난이도도 난이도지만 작열 시즌 2 등장 전까지 건반게임 내에서 제일 많은 스크래치를 보유하고 있었던 채보이기도 하다.
  94. 3곡 모두 8년만에 소디하드의 난이도를 뛰어넘었다. 뭔 말이 더 必要韓紙?
  95. 모두 10키 난이도 체계가 20까지 확장된 이볼브에서 나온 패턴들로, 이 중 데라루 슈하와 레조넌스 슈하는 19였던 게 상향된 케이스고 나머지는 모두 처음부터 20을 책정받은 케이스. 그러나 이 중 블리츠크리크 EX는 20 난이도로도 부족하다는 평이 많다. 어찌나 어려운지 2015년 10월 3일에나 겨우 오토 클리어자가 떴고 15년 10월 15일 기준으로도 노오토 클리어자가 없다!
  96. 이 쪽은 기형 패턴들이다. 클럽 믹스 패턴을 거의 그대로 이식해 만든 패턴이라 캐치로 플레이하기에는 아주 심각하게 뒤틀린 패턴들이기 때문.
  97. 정식 수록 곡들. 특징적으로 모두 16이었다가 18로 상향된 곡들인데, 스키조프레니아의 경우 패턴은 16급인 대신 게이지와 판정 때문에 난이도가 뛰고, 블리츠크리크의 경우 판정이나 게이지는 그냥저냥인 대신 패턴의 난이도가 대놓고 18급이다.
  98. 모두 Lv.17 이상의 곡들이다.
  99. 인비저블, 해골악단과 리리아는 2에서 부터 추가.
  100. 보스곡이 아니라 보스 챕터다(...) 하지만 과하다 싶을정도의 막장채보로 욕을 얻어먹고 있는 중. 항목참조.
  101. 프리덤 다이브의 히든 보면, 2분 20초 동안 2000개를 우겨넣은 막장곡이다.
  102. 이 곡 포함 밑의 세 곡은 10레벨이고, Myosotis는 11레벨이다. 10렙들 주제에 11레벨과 동급 취급 받는다(...)
  103. Fire Storm(Arcade)-神威(Arcade)-BLEED(Percussion)-Rosen Vampir(Percussion)인데… 하나같이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며 특히 마지막 스테이지는 1인 클리어자가 없고 앞으로도 없다.